KR20210113703A -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703A
KR20210113703A KR1020200028742A KR20200028742A KR20210113703A KR 20210113703 A KR20210113703 A KR 20210113703A KR 1020200028742 A KR1020200028742 A KR 1020200028742A KR 20200028742 A KR20200028742 A KR 20200028742A KR 20210113703 A KR20210113703 A KR 2021011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ail
shuttle conveyor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141B1 (ko
Inventor
박순일
Original Assignee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1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만들어 놓은 규격화 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맞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확장 및 설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작업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로어플레이트와, 상기 로어플레이트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세우는 필러와, 상기 필러의 상단에 어퍼플레이트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컨베이어프레임과;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하여 어퍼플레이트 상부를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와;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상면에 장착하여 양측으로 피시비의 이동에 지장이 없게 하는 컨베이어레일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와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SHUTTLE CONVEYOR FOR EXPANSION OF PCB MANUFACTURING LINE}
본 발명은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시비제조라인 구축(설치)시 현장 상황에 맞게 컨베이어를 확장하는 것을 자유롭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의 용이성과 라인구축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셔틀컨베이어는 피시비를 제조하는 라인에 설치되어 피시비를 특정한 위치로 이동(공급)시켜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주로 단일체로 구성되어 제조라인 본체와 셔틀 목적위치까지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셔틀컨베이어의 구성을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인쇄회로기판을 얹을 수 있는 제1및 제2의 양측 레일이 바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 레일에는 각각 모터축 선상의 구동 풀리 및 다수의 종동 풀리에 감긴 벨트에 의해 상기 양측 레일의 벨트 상에 올려진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양측 레일 중 제1레일은 고정되어 있고, 제2레일은 두 열 이상의 가이드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부싱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횡행 슬라이딩 되는 스크린 프린터의 사이드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레이트(10) 하측으로 결합형성되고, 상기 바텀플레이트(10) 전체가 셔틀이송수단(100)에 의해 스크린 프린터의 투입(IN) 및 배출(OUT)측 좌우로 왕복이동제어되되, 상기 셔틀이송수단(100)은 스크린 프린터의 투입(IN) 및 배출(OUT)측 일면에 전후로 레일(110)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 레일(110) 사이에 모터(M)와 축결합되어 구동되는 볼스크류(120)가 공회전 지지블럭(122)에 지지되며, 상기 바텀플레이트(10) 하부면 전후로 상기 레일(110)에 레일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럭(130)이 형성되고, 상기 바텀플레이트(10) 전후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블럭(130) 사이 중앙에 상기 볼스크류(120)와 결합되어 모터(M)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바텀플레이트(10)가 좌우 왕복이동되도록 볼하우징(14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모터(M)의 정역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바텀플레이트(10)가 상기 레일(110)상 좌우왕복 이동거리가 제어되도록 마련된 제어부(15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본체(10)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프레임(10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구속부(380)를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100)에 왕복 구동력을 제공하는 왕복작동부(300); 상기 이동프레임(100)과 상기 본체(10)에 무한궤도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왕복작동부(300)에 의한 상기 이동프레임(100)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벨트(400); 및 상기 이송벨트(400)에 안치된 상기 물품을 배출컨베이어(200)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벨트(400)를 구동하는 벨트구동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작동부(300)는, 상기 구속부(380)를 통해 상기 이동프레임(100)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에 설정 간격으로 한 쌍씩 배치되는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에 감겨져 회전하는 왕복타이밍벨트(330); 상기 제1롤러(310)와 상기 제2롤러(3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동롤러(340); 상기 피동롤러(340)에 일측이 감겨지고, 타측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구동롤러(350)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360); 및 상기 구동롤러(350)에 축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모터(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 제 10 - 1084377 - 0000 호 특허 제 10 - 1904803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특허문헌 1은 제조되는 만두가 서로 접촉하여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만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인쇄회로기판의 폭에 대응되어 셔틀 사이드 컨베이어의 양측 레일 간격을 조정시켜 인쇄회로기판의 폭의 크기에 즉각 대응됨으로써, 범용사용이 가능하고, 스크린프린터와 연계되는 마운팅 장비 등의 주변장비로의 인쇄회로기판 투입 또는 배출시 주변장비의 투입부와 배출부측의 폭에 대응되어 왕복이동하여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시비제조라인을 통하여 이동되는 피시비를 목적하는 위치까지 공급하기 위하여 셔틀컨베이어를 설치하게 되는 데, 메인라인에서 단독장비로 피시비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피시비제로라인이 하나 이상 설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라인에서 또 다른 하나의 라인으로 피시비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 셔틀컨베이어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셔틀컨베이어를 개별규격으로 만들어져 설치되고 있는 상황인데, 즉, 피시비제조라인에서 피시비를 전달할 위치까지의 거리에 맞게 셔틀컨베이어가 만들어져 현장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규격의 셔틀컨베이어가 존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시비제조라인을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상황에 맞게 셔틀컨베이어가 주문제작되기 때문에 한번에 대량으로 생산하여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설치하지 못하고 주문과 동시에 여러 장비들과 함께 제조하여 현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설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전체적인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설치비용 등이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만들어진 셔틀컨베이어를 현장으로 이동시켜 설치하는 과정에서 현장과 맞지 않거나 현장의 상황이 변경된 경우에는 바로 설치하지 못하고 실제 상황에 맞게 다시 셔틀컨베이어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만큼 피시비제조라인의 설치작업이 지연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로어플레이트(102)와, 상기 로어플레이트(102)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세우는 필러(103)와, 상기 필러(103)의 상단에 어퍼플레이트(104)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컨베이어프레임(105)과;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상부에 장착하여 어퍼플레이트(104) 상부를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106)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상면에 장착하여 양측으로 피시비의 이동에 지장이 없게 하는 컨베이어레일(110)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와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접속수단(130)을 포함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규격화 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맞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확장 및 설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작업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규격화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구비하여 현장 상황에 맞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현장상황에 따라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추가 또는 배제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면서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미리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대량으로 제작하여 둠으로서 피시비제조라인의 설치준비가 즉시 가능하고, 미리 준비하여 둠으로서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과정은 물론 설치 후 운용과정에서도 피시비제조라인의 변경에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설치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레일을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레일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전방에 위치한 접속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후방에 위치한 접속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위치결정구를 발췌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로어클램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어퍼클램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레일을 따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레일을 따라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전방에 위치한 접속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후방에 위치한 접속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위치결정구를 발췌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로어클램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의 어퍼클램퍼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는, 저면에 높이조절 가능한 서포터(101)를 가지는 사각형상의 로어플레이트(102)를 구비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102)의 사방 모서리에는 상방으로 수직되게 프로파일타입의 필러(103)를 세우고, 상기 필러(103)의 상단에는 어퍼플레이트(104)를 고정한 컨베이어프레임(105)을 마련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킨 커버(106)를 장착하여 어퍼플레이트(104) 상부를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상면에는 양측으로 피시비의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컨베이어레일(110)을 장착한다.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전방과 후방에는 인접한 셔틀컨베이어(10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하는 현상없이 안정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프론트 및 리어에 구비하는 접속수단(130)으로 구성한다.
상기 컨베이어레일(110)은, 어퍼플레이트(105)의 상면에 소정의 폭을 유지시켜 고정되는 데, 어퍼플레이트(105)의 상면에 고정되는 레일베이스(111)와 상기 레일베이스(111)의 상부에 바 타입의 레일(112)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레일베이스(111)는, 판상형태의 베이스바디(113)의 양측에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14)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장착홀(115)을 양측에 형성한 판상형태의 베이스바디(116)와, 상기 베이스바디(116)의 상면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시켜 레일(112)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레일서포터(117)로 구성한다.
상기 레일서포터(117)의 상단면에는 레일(112)의 직경과 동일한 원호형상의 안착홈(118)을 형성하고, 베이스바디(114)의 저면에서 안착홈(118) 방향으로는 다수개의 고정홀(119)을 형성하여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20)으로 레일베이스(111)와 레일(112)을 고정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112)의 선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뾰족한 형태의 접속돌기(121)를 형성하고 후측에는 접속돌기(1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된 형태의 접속요홈(122)을 형성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100)의 레일(112)과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인접한 셔틀컨베이어(100)의 레일(112) 선측에는 접속돌기(121)가 형성되고 후측에는 접속요홈(122)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접속돌기(121)를 후측에 형성하고 접속요홈(122)을 전측에 형성하는 형태를 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접속수단(130)은, 로어플레이트(102)의 전방 중앙과 후방 중앙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와 결합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여주면서 가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결정구(131)와, 상기 위치결정구(131)의 양측 전,후방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의 하측부위를 결합시키는 로어클램퍼(13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의 상측부위를 결합시키는 어퍼클램퍼(133)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전측에 위치하는 필러(103)의 상,하측에 고정되어 인접합 셔틀컨베이어의 후측 필러(103)와 밀착되어 볼트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연결하는 체결브라켓(134)로 구성한다.
상기 위치결정구(131)는, 로어플레이트(102)의 전측에 고정되어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에 고정되는 암결정구와 결합되는 수결정구(135)와, 로어플레이트(102)의 후측에 고정되어 인접한 셔틀컨베이어 고정되는 수결정구와 결합되는 암결정구(136)로 구성한다.
상기 수결정구(135)는, 로어플레이트(102)에 볼트로 고정되는 판상의 수결정구바디(137)의 전방에 직립되게 일체로 세워지는 브라켓(138)에 개략 T형상의 위치결정팁(139)을 고정한다.
상기 위치결정팁(139)의 중앙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정돌기(140)를 형성하고, 상기 결정돌기(140)의 선측은 후측부보다 폭을 크게한 걸림부(141)를 일체로 형성하여 암결정구(136)와 결합후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암결정구(136)는, 판상형태로 구비되는 암결정구바디(142)를 스크류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43)으로 로어플레이트(102)에 고정하고, 상기 암결정구바디(142)의 양측에는 중앙에 수결정구(135)의 결정돌기(140)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공간을 두고 단속하우징(14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단속하우징(144)의 중앙측에는 직경을 축소시켜 단속볼(145)을 위치시키고 상기 단속볼(145)의 후방에는 스프링(146)을 개재한 후 단속하우징(144)의 외측단 내경에 단속너트(147)를 결합시켜 결정돌기(140)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어클램퍼(132)는, 로어플레이트(102)의 전방 양측에 작동레버(150)와 걸림고리(151)를 가지는 주지의 수클램프(152)와, 로어플레이트(102)의 후방 양측에 걸림고리(151)가 걸림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걸림훅(153)으로 구성한다.
상기 어퍼클램퍼(133)는, 어퍼플레이트(104)의 전방 양측에 고정되는 수클램프(155)와, 어퍼플레이트(104)의 후방 양측에 고정되는 암클램프(156)로 구성하는 데, 상기 수클램프(155)의 중앙에는 단속볼트(157)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홀(158)을 형성하고 암클램프(156)의 중앙에는 단속볼트(157)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홀(159)을 형성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브라켓(134)은, 전방에 위치하는 필러(103) 내측면 상,하측에 사각판상형태의 브라켓바디(160)를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바디(160)의 전방에는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의 후방에 위치하는 필러의 내측면과 볼트 등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홀(161)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를 이용하여 확장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는 미리 만들어 둔 상태에서 현장 상황에 맞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며,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필요에 의하여 그 수를 가감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를 연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를 확장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인전한 셔틀컨베이어와 연접시킨 후 접속수단(130)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서 완성되는 데, 셔틀컨베이어에 구비되는 컨베이어레일과 확장 셔틀컨베이어(100)에 구비되는 컨베이어레일(110)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레일(110)의 연결은, 레일(112)의 선측에 형성된 접속돌기(121)를 셔틀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레일의 후측에 형성되는 접속요홈(122)과 접속되도록 한다.
물론, 계속하여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를 연결할 때에는 레일(112)의 후측에 형성되는 접속요홈(122)에는 다음 연결용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에 구비되는 레일(112)의 선측에 형성되는 접속돌기(121)가 접속되는 형태가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이 레일(112)을 일치시키게 되면 접속수단(130)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데, 인접한 셔틀컨베이어 또는 인접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와 연접시킬 때 위치결정구(131)에 의하여 정위치가 결정되고 순차적으로 로어클램퍼(132)와 어퍼클램퍼(133) 및 체결브라켓(134)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유동을 배제함으로서 완료된다.
상기 위치결정구(131)의 경우에는, 수결정구(135)의 위치결정팁(139)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결정돌기(140)가 암결정구(136)의 단속하우징(144) 사이의 진입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단속하우징(144)에 스프링(146)을 개재하여 단속너트(147)로 단속된 단속볼(145)이 노출되어 있던 상태에서 결정돌기(140)가 미는 힘에 의하여 단속하우징(144) 내부로 들어갔다가 걸림부(141)를 벗어나면서 스프링(146)이 미는 힘에 의하여 다시 돌출되어 걸림부(141)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단속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로어클램프(132)의 작동레버(150)를 회동시켜 걸림고리(151)는 걸림훅(153)에 걸림되도록 한 후 다시 작동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회동시켜 걸림고리(151)가 걸림훅(153)을 걸어당겨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아래측부를 단속하게 된다.
어퍼클램퍼(133)의 경우에는 위치결정구(136)와 로어클램퍼(132)에 의하여 일부가 결합되면서 정위치가 결정된 상태이고 어퍼클램퍼(133)를 구성하는 수클램프(155)와 암클램프(156)가 연접되는 상태가 되고 수클램프(155)에 형성된 볼트홀(158)로 단속볼트(157)를 결합시킨 후 암클램프(156)에 형성되는 나사홀(159)과 견고하게 결합시켜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위측부를 단속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체결브라켓(134)을 구성하는 브라켓바디(160)에 형성된 체결홀(161)을 통하여 볼트 등을 이용하여 인전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또는 셔틀컨베이어의 필러(103) 내측면과 견고하게 결합시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100)의 연결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미리 만들어 놓은 규격화 된 확장용 셔틀컨베이어를 현장에서 현장 상황에 맞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연결하여 확장 및 설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작업과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102; 로어플레이트
103; 필어 104; 어퍼플레이트
105; 컨베이어프레임 110; 컨베이어레일
111; 레일베이스 112; 레일
117; 레일서포터 118; 안착홈
121; 접속돌기 122; 접속요홈
130; 접속수단 131; 위치결정고
132; 로어클램퍼 133; 어퍼클램퍼
134; 체결브라켓 135; 수결정구
136; 암결정구 137; 수결정구바디
139; 위치결정팁 140; 결정돌기
141; 걸림부 142; 암결정구바디
144; 단속하우징 145; 단속볼
146; 스프링 147; 단속너트
150; 작동레버 151; 걸림고리
152; 수클램프 153; 걸림훅
155; 수클램프 156; 암클램프
157; 단속볼트 158; 볼트홀
159; 나사홀 160; 브라켓바디
161; 체결홀

Claims (4)

  1. 사각형상의 로어플레이트(102)와, 상기 로어플레이트(102)의 사방 모서리에서 상방으로 수직되게 세우는 필러(103)와, 상기 필러(103)의 상단에 어퍼플레이트(104)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컨베이어프레임(105)과;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상부에 장착하여 어퍼플레이트(104) 상부를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버(106)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상면에 장착하여 양측으로 피시비의 이동에 지장이 없게 하는 컨베이어레일(110)과;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전방과 후방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와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접속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레일(110)은, 어퍼플레이트(105)의 상면에 고정되는 레일베이스(111)와;
    상기 레일베이스(111)의 상부에 바 타입으로 고정되는 레일(112)로 구성하고;
    상기 레일베이스(111)는, 판상형태의 베이스바디(113)의 양측에 고정수단(114)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홀(115)을 다수개 형성한 판상형태의 베이스바디(116)와, 상기 베이스바디(116)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시켜 레일(112)을 고정하는 레일서포터(117)와, 상기 레일서포터(117)의 상단면에 레일(112)의 직경과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안착홈(118)과, 상기 베이스바디(114)의 저면에서 안착홈(118) 방향으로 형성하여 레일베이스(111)와 레일(112)을 고정시키는 고정홀(119)을 포함하고;
    인접한 셔틀컨베이어(100)의 레일(112)과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112)의 선측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접속돌기(121)와, 상기 레일(112)의 후측에 접속돌기(1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하는 접속요홈(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130)은, 로어플레이트(102)의 전방 중앙과 후방 중앙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와 결합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면서 가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결정구(131)와;
    상기 위치결정구(131)의 양측 전,후방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의 하측부위를 결합시키는 로어클램퍼(13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104)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하여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의 상측부위를 결합시키는 어퍼클램퍼(133)와;
    상기 컨베이어프레임(105)의 전측에 위치하는 필러(103)의 상,하측에 고정되어 인접합 셔틀컨베이어의 후측 필러(103)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체결브라켓(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구(131)는, 로어플레이트(102)에 고정되는 판상의 수결정구바디(137)와, 상기 수결정구바디(137)의 전방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브라켓(138)과, 상기 브라켓(138)에 고정하는 위치결정팁(139)과, 상기 위치결정팁(139)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결정돌기(140)와, 상기 결정돌기(140)의 선측에 일체로 형성하여 암결정구(136)와 결합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141)를 포함하여 로어플레이트(102)의 전측에 고정되어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에 고정되는 암결정구와 결합되는 수결정구(135)와;
    로어플레이트(102)에 고정되는 판상형태의 암결정구바디(142)와, 상기 암결정구바디(142)의 양측에 수결정구(135)의 결정돌기(140)가 진입할 수 있는 진입공간을 중앙에 두고 형성하는 단속하우징(144)과, 상기 단속하우징(144)의 중앙측에 직경을 축소시켜 위치시키는 단속볼(145)과, 상기 단속볼(145)의 후방에 스프링(146)을 개재하여 단속하우징(144)과 결합되는 단속너트(147)를 포함하여 로어플레이트(102)의 후측에 고정되어 인접한 셔틀컨베이어 고정되는 수결정구와 결합되는 암결정구(136)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클램퍼(132)는, 로어플레이트(102)의 전방 양측에 작동레버(150)와 걸림고리(151)를 가지는 주지의 수클램프(152)와, 로어플레이트(102)의 후방 양측에 걸림고리(151)가 걸림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걸림훅(153)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클램퍼(133)는, 어퍼플레이트(104)의 전방 양측에 고정되고 중앙에 단속볼트(157)가 결합될 수 있는 볼트홀(158)을 형성하는 수클램프(155)와, 어퍼플레이트(104)의 후방 양측에 고정되고 중앙에 단속볼트(157)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홀(159)을 형성하는 암클램프(156)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브라켓(134)은, 전방에 위치하는 필러(103) 내측면 상,하측에 고정하는 판상형태의 브라켓바디(160)와, 상기 브라켓바디(160)의 전방에 인접한 셔틀컨베이어의 후방에 위치하는 필러의 내측면과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체결홀(1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KR1020200028742A 2020-03-09 2020-03-09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KR10232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42A KR102322141B1 (ko) 2020-03-09 2020-03-09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742A KR102322141B1 (ko) 2020-03-09 2020-03-09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703A true KR20210113703A (ko) 2021-09-17
KR102322141B1 KR102322141B1 (ko) 2021-11-04

Family

ID=7792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742A KR102322141B1 (ko) 2020-03-09 2020-03-09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1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255Y1 (ko) * 2007-05-29 2008-10-23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의 레일구조
KR101084377B1 (ko) 2010-11-24 2011-11-16 주식회사이에스이 스크린프린터의 셔틀 사이드 컨베이어
KR20150003659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컨베이어 모듈
WO2015068234A1 (ja) * 2013-11-07 2015-05-1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装置および対基板作業ライン
KR101904803B1 (ko) 2017-04-10 2018-10-05 이익재 셔틀 컨베이어 이송장치
KR20190043363A (ko) * 2017-10-18 2019-04-26 디엠에스지 주식회사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255Y1 (ko) * 2007-05-29 2008-10-23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모빌랙의 레일구조
KR101084377B1 (ko) 2010-11-24 2011-11-16 주식회사이에스이 스크린프린터의 셔틀 사이드 컨베이어
KR20150003659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컨베이어 모듈
WO2015068234A1 (ja) * 2013-11-07 2015-05-1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対基板作業装置および対基板作業ライン
KR101904803B1 (ko) 2017-04-10 2018-10-05 이익재 셔틀 컨베이어 이송장치
KR20190043363A (ko) * 2017-10-18 2019-04-26 디엠에스지 주식회사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141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4381B2 (ja) 半導体素子テストハンドラの素子搬送装置
KR101155961B1 (ko) 컨베이어가 1축을 대체한 2축 구동 검사장치
CN207917818U (zh) 一种pcb板皮带输送轨道
CN110861901A (zh) 一种可自由换料的转运用加工台
CN206417494U (zh) 一种具有定位装置的链板式输送机
KR102322141B1 (ko)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CN106081487B (zh) 一种垂直回流炉
CN110803490B (zh) 一种电力安装配件拉线抱箍生产配合装配机械及方法
CN216399535U (zh) 一种组合式工作台
CN202575266U (zh) 一种夹具循环输送装置
CN102642700B (zh) 一种夹具循环输送装置
CN112950847B (zh) 一种环保节能保温型自动售货机
JP2897894B2 (ja) 直立型振動パーツフィーダ
KR20130066046A (ko) 난간대의 제작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난간 조립장치
KR20190043363A (ko)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CN111660364A (zh) 一种led灯管自动冲孔装置
CN218399616U (zh) 一种纸板开槽机
CN218490911U (zh) 上料装置以及电机装配系统
KR100327540B1 (ko) 공작물 선형 이송장치
CN104476189A (zh) 一种发动机装配用多功能支架
CN109110508B (zh) 一种电视背板角码输送机构
CN117184786B (zh) 一种零件排料设备
KR100355565B1 (ko) 회로기판용 체인버퍼유니트의 체인간격 조절장치
CN219853451U (zh) 一种螺丝钉开槽机用上料装置
CN217800144U (zh) 自动攻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