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363A -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363A
KR20190043363A KR1020170135342A KR20170135342A KR20190043363A KR 20190043363 A KR20190043363 A KR 20190043363A KR 1020170135342 A KR1020170135342 A KR 1020170135342A KR 20170135342 A KR20170135342 A KR 20170135342A KR 20190043363 A KR20190043363 A KR 2019004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chain
control cylinder
portions
convey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현
송승목
Original Assignee
디엠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엠에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엠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3363A/ko
Publication of KR2019004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셀 단위로 연결이 가 능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셀 단위의 컨베이어 장치가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베이 스 프레임, 이동 모듈,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개별 구성을 구비하고 컨베이어 장치가 설치되는 공장 내 레이아 웃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접하는 컨베이어 장치와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파워 롤러부를 구비하여 컨베이어 장치의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 물건의 이송 방향으로 쉽게 변경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Connectable conveyor device with easy expansion}
본 발명은 이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장치로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셀 단위로 연결이 가능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셀 단위의 컨베이어 장치가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 이동 모듈,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개별 구성을 구비하고 컨베이어 장치가 설치되는 공장 내 레이아웃 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인접하는 컨베이어 장치와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직선으로 설치되어 한 방향으로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을 꺾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꺾이는 위치에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를 연결하고 연결 부분에 물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그가 설치된다.
그런데, 컨베이어는 특정의 레이아웃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이후 상이한 작업 프로세스로 인해 변경할 필요가 발 생할 때 컨베이어 레이아웃을 바꾸는 것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일이다.
때로는 작업 프로세스를 변경할 공간에 비해 이전에 너무 길게 배치된 컨베이어 이거나 너무 짧게 배치된 컨베 이어인 경우 그 구성요소(예: 체인, 리니어 모터, 베이스 프레임, 각종 실린더)를 해체하고 목적하는 레이아웃 으로 배치한 후 다시 해체한 구성요소를 재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3-0142002호 "차량용 도어트림의 이송 장치"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56120호 "체인 컨베이어용 기어식 동기장치 및 체인 컨베이어 장 치"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7-0087348호 "컨베이어 장치"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74460호 "컨베이어 장치 및 그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요소(예: 체인, 리 니어 모터, 베이스 프레임, 각종 실린더)를 구비하여 셀 단위로 연결이 가능한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공장 내 공간의 규격이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간편하게 컨베이 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듈;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 모듈에 수 평방향 구동력을 전달하는 리니어 모터; 이동 모듈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인접하는 베 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동 모듈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 1 체인부; 베 이스 프레임의 상부 타측부에 제 1 체인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 1 체인부와 나란히 수평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 2 체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인트부는, 제 1,2 체인부가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수커넥터에 연결되는 암커넥터; 암커넥터에 대향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인접하는 베이 스 프레임에 설치된 암커넥터에 연결되는 수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체인부와 제 2 체인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1,2 체인부의 수평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여 제 1,2 체인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이송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를 더 포함하 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가 나란히 제자리 회전하도록 하 는 파워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워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스트로크되면서 파워 플레이트부가 연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도록 파워 플레이트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 직하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슬 라이드 로드가 스트로크하면서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 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진 로드가 스트 로크되면서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와 연동하여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틸트 제어 실린더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 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니어 모터는 제 1,2 체인부에 동시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리니어 모터에 의한 구동력이 제 1 체인부와 제 2 체인부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는 경우 나머지 하 나에도 연동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제 1 체인부의 일단부와 이에 마주하는 제 2 체인부의 일단부를 회동 가 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로드부; 제 1 체인부의 타단부와 이에 마주하는 제 2 체인부의 타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 1 체인부와 제 2 체인부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경우 나머지 하나도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피동 로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셀 단위로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공장 내 공 간의 규격이나 형태에 제한받지 않고 간편하게 컨베이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파워 롤러부를 구비하여 컨베이어 장치의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 물건의 이송 방향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와 틸트 제어 실린더부를 구비함에 따라 이송되는 물건의 방향 전환이 나 하역시 이를 가이드하는 높이와 방향을 쉽게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의 설비를 변경하지 않고도 이송되 는 물건에 맞게 효과적으로 이송 작업을 수행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와 틸트 제어 실린더부를 통해 디테일하게 이송 물건을 가이드함으로써 이송되는 물건의 품질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와 틸트 제어 실린더부를 통해 이송되는 물건을 디테일하게 가이드함으로써 컨베이어 장치의 주변에서 물건의 이송이나 하역을 보조적으로 관리하는 작업자의 노동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부수적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 단위 연 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정면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10), 이동 모듈 (120), 리니어 모터(130), 조인트부(미도시), 파워 롤러부(150), 파워 플레이트부(160),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 (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10)은 바닥면에 설치되어 이동 모듈(120), 리니어 모터(130), 파워 롤러부(150), 파워 플 레이트부(160),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17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은 육면체의 모서리를 잇는 바 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동 모듈(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모듈(120)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 나란히 병립하여 안착되는 제 1 체인부(121)와 제 2 체인부(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체인부(121)와 제 2 체인부(122)는 도 1에서와 같이 물건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병립하여 나란히 제자리 회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제 1 체인부(121)는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 을 따라 제자리 회전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 기준으로 보면 일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제자리 회전 방향이 반대일 때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애초와 상이한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 어 결국에는 왕복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제 2 체인부(122)도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체인부(121)와 병립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제자리 회전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 기준으로 보면 제 1 체인부(12 1)와 나란히 일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제자리 회전 방향이 반대일 때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 서 애초와 상이한 방향으로 제 1 체인부(121)와 나란히 직선 운동을 하게 되어 결국에는 제 1 체인부(121)와 마 찬가지로 왕복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리니어 모터(13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 모듈(120)인 제 1 체인부(121)와 제 2 체 인부(122)에 수평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리니어 모터(130)는 제 1,2 체인부(121,122)에 동시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구동 로드부(241)과 피동 로드부(2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로드부(241)는 리니어 모터(130)에 의한 구동력이 제 1 체인부(121)와 제 2 체인부(122)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에도 연동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제 1 체인부(121)의 일단부와 이에 마주하는 제 2 체인부(122)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피동 로드부(242)는 제 1 체인부(121)의 타단부와 이에 마주하는 제 2 체인부(122)의 타단부를 회동 가 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제 1 체인부(121)와 제 2 체인부(122) 중 어느 하나의 체인부가 회전하는 경우 나머지 하 나의 체인부도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조인트부(미도시)는 이동 모듈(120)인 제 1,2 체인부(121,122)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프레임(110) 에 장착되어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부는, 암커넥터(미도시)와 수커넥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암커넥터는 제 1,2 체인부(121,122)가 이동하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인접하는 다른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수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수커넥터(미도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암커넥터에 대향하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단부에 연결되 어 인접하는 다른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암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조인트부를 통해, 셀 단위로 구성된 컨베이어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컨베이어가 설치 되는 공장 내 공간의 규격이나 형태에 제한받지 않고 간편하게 컨베이어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파워 롤러부(150)는 제 1 체인부(121)와 제 2 체인부(122) 사이에 설치되어 제 1,2 체인부(121,122)의 수평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여 제 1,2 체인부(121,122)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이송물의 방향을 전환시 킨다. 그리고, 파워 롤러부(150)는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나란히 병립 배치된다.
또한, 파워 롤러부(150)는 제 1,2 체인부(121,122)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직선운동하는 방향과 직각 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 1,2 체인부(121,122)를 통해 이송되는 물건이 파워 롤러 부(150)가 위치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슬라이드 로드와 틸트 제어 실린 더부(230)의 직진 로드에 의해 일시 정지된 후 파워 롤러부(15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송 방향을 바꿀 수가 있는데, 컨베이어의 레이아웃은 직각으로 배치하는 것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파워 롤러부 (150)는 제 1,2 체인부(121,122)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직선운동하는 방향과 직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파워 롤러부(150)의 회전 방향을 제 1,2 체인부(121,122)가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에서 직선 운동 하는 방향과 비스듬히 배치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한편, 파워 플레이트(160)는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150)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15 0)가 나란히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 1,2 체인부(121,122)를 통해 이송되는 물건이 파워 롤러부(150)가 위치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과 정에서 파워 롤러부(15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물건의 이송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경우에는 파워 플레이트(16 0)의 수준을 제 1,2 체인부(121,122)의 수준보다 높게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 1,2 체인부(121,122)를 통해 이송되는 물건이 파워 롤러부(150)가 위치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과정에 서 그대로 이송 방향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파워 롤러부(150)의 수준을 제 1,2 체인부(121,122)의 수준보다 낮게 유지시킨다.
이처럼, 제 1,2 체인부(121,122)에 대한 파워 플레이트부(160)의 상대적인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파워 플레이트부(160)의 하부에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170)를 구비하였다.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170)는 파워 플레이트부(1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스트로크되면서 파워 플레 이트부(160)가 연직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하도록 파워 플레이트부(16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2 체인부(121,122)의 상면을 따라 이송하는 물건의 종류나 규격에 호환성을 갖고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 틸트 제어 실린더부(230)를 구비하고,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 (220), 틸트 제어 실린더부(23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110)과 별도의 사이드 프레임(210)을 구비하였다.
사이드 프레임(210)은 바 형태의 수직프레임과 이 수직프레임에 다단으로 연결되는 수평프레임이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며,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측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별 도의 보조 구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는 사이드 프레임(210)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로드가 스트로크하면서 제 1,2 체인부(121,122) 상의 이송 물건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제 1,2 체인부(121,122) 상의 이송 물건을 가이드하는 수단이 고정형으로 설치되면 제 1,2 체인부(121,122) 상 의 이송 물건의 종류나 규격에 따라서는 그 수단이 제 역할을 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 물건의 가이드 역할을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슬라이드 로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제 1,2 체인 부(121,122) 상의 이송 물건의 다른 종류나 규격에도 불구하고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슬라이드 로드 높낮이 조절과 더불어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1,2 체인부(121,122) 상의 이송 물건의 다른 종류나 규격에 대해 보다 더 호환성을 갖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와 연동하는 틸트 제어 실린더부(230)를 채용하였다.
틸트 제어 실린더부(230)는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상부에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10)에 연결되어 수 평방향으로 직진 로드가 스트로크되면서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와 연동하여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물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즉, 틸트 제어 실린더부(230)는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상부에 대응하는 사이드 프레임(210)에 연결되 어 직진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스트로크됨에 따라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슬라이드 로드가 닿지 않는 베 이스 프레임(110)의 중앙부까지 깊숙히 이동하여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 물건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앙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의 슬라이드 로드가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 물건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이동 모듈
121 : 제 1 체인부
122 : 제 2 체인부
130 : 리니어 모터
(미도시) : 조인트부
(미도시) : 암커넥터
(미도시) : 수커넥터
150 : 파워 롤러부
160 : 파워 플레이트부
170 :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
210 : 사이드 프레임
220 :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
230 : 틸트 제어 실린더부
241 : 구동 로드부
242 : 피동 로드부

Claims (9)

  1.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모듈(120);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이동 모듈에 수평방향 구동력을 전달하는 리니어 모터(130);
    상기 이동 모듈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는 조인 트부;
    를 포함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2. 상기 이동 모듈(1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 1 체인부(121);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타측부에 상기 제 1 체인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인부와 나란히 수평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 2 체인부(12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제 1,2 체인부가 이동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수 커넥터에 연결되는 암커넥터;
    상기 암커넥터에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인접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암커넥터 에 연결되는 수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인부와 상기 제 2 체인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 체인부의 수평이동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하여 상기 제 1,2 체인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이송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 (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상기 복수 개의 파워 롤러부가 나란히 제자리 회전하도록 하는 파워 플레이트부(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워 플레이트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스트로크되면서 상기 파워 플레이트부가 연직 상하방향 으로 승하강 운동하도록 상기 파워 플레이트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업다운 제어 실린더부(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부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210);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로드가 스트로크하면서 상기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물 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직진 로드가 스 트로크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와 연동하여 상기 제 1,2 체인부 상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틸트 제 어 실린더부(2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제어 실린더부(220)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부를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KR1020170135342A 2017-10-18 2017-10-18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KR20190043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42A KR20190043363A (ko) 2017-10-18 2017-10-18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342A KR20190043363A (ko) 2017-10-18 2017-10-18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363A true KR20190043363A (ko) 2019-04-26

Family

ID=6628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342A KR20190043363A (ko) 2017-10-18 2017-10-18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33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703A (ko) * 2020-03-09 2021-09-17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3703A (ko) * 2020-03-09 2021-09-17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피시비제조라인의 확장용 셔틀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337B1 (ko) 분기방향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분기형 피봇 휠 소터
KR100878652B1 (ko) 탠덤 프레스라인의 공작물반송방법 및 공작물반송장치
KR20190000910U (ko) 병렬 링크형 로봇
KR101727117B1 (ko) 대형프레스의 소재 이송시스템
US4800249A (en) Automatic system for assembly and welding metal sheet bodies, particularly car bodies, suitable for high mass production
US10293444B2 (en) Workpiece conveying apparatus for a pressing machine
CN101327587A (zh) 多关节型机器人
KR101155961B1 (ko) 컨베이어가 1축을 대체한 2축 구동 검사장치
KR101727118B1 (ko) 소재 반송 시스템
JP5274053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1030084B1 (ko)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의 면취장치
CN101391403B (zh) 对位装置
KR20190043363A (ko) 확장이 용이한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JP4725003B2 (ja) パネル搬送装置
KR20190023572A (ko) 병렬 링크형 로봇
KR101780481B1 (ko) 셀 단위 연결형 컨베이어 장치
KR101559730B1 (ko) 다관절 로봇의 확장암 시스템
US7562765B2 (en) Panel carrying device
KR20170094896A (ko) 모터 샤프트 이송장치
TWI474016B (zh) Lightweight correction unit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CN202012024U (zh) 一种纸浆模塑成型机的接料装置
US6814272B2 (en) Nailing machine
CN109795865A (zh) 一种用于测试设备的传送流水线
KR20110077873A (ko) 건축용 패널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건축용 패널
KR101448474B1 (ko) 이송 경로 전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