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663A -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663A
KR20210113663A KR1020217025570A KR20217025570A KR20210113663A KR 20210113663 A KR20210113663 A KR 20210113663A KR 1020217025570 A KR1020217025570 A KR 1020217025570A KR 20217025570 A KR20217025570 A KR 20217025570A KR 20210113663 A KR20210113663 A KR 2021011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coupling member
axis
lighting devi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631B1 (ko
Inventor
페터 슈타들러
토비아스 아이힝거
미하엘 고트스만
후베르트 프플뤼글
막시밀리안 구트멘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10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는, - 제1 회동축(Y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광학 어셈블리(100); - 제2 회동축(Y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광학 어셈블리(200)이며, 제1 회동축(Y1)과 제2 회동축(Y2)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것인,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200); 및 - 자체 회동축(Y1, Y2)들을 중심으로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을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장치는 커플링 부재(310)와, 변위축(X1)으로 선형 조정될 수 있는 제어 아암(321)을 구비한 구동 장치(320)를 포함하며, 변위축(X1)은 회동축(Y1, Y2)들에 대해 직교하며, 그리고 커플링 부재(310)는 제1 조인트(311)를 매개로 제1 어셈블리(100)와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제2 조인트(312)를 매개로는 제2 어셈블리(200)와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제어 아암(321)은 제3 조인트(313) 상에서 커플링 부재(310)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변위축(X1)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를 구동하며, 제1 회동축(Y1)은 수평 평면(H)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평면(H)에서부터 제1 조인트(311)의 법선 거리는 수평 평면(H)에서부터 제3 조인트(313)의 법선 거리와 다르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는,
-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광학 어셈블리;
-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광학 어셈블리이며, 제1 회동축과 제2 회동축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것인,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 및
- 자체 회동축들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광학 어셈블리를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장치는 커플링 부재(coupling element)와, 변위축으로 선형 조정될 수 있는 제어 아암(control arm)을 구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변위축은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직교하며, 그리고 커플링 부재는 제1 조인트를 매개로 제1 광학 어셈블리와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제2 조인트를 매개로는 제2 광학 어셈블리와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구동 장치의 제어 아암은 제3 조인트 상에서 커플링 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변위축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를 구동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헤드램프에서, 대개 기설정되는 장착 공간이 상응하는 헤드램프 디자인을 통해 기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상이한 광 기능들은 예컨대 상이한 지지 프레임들 상에 배치된다. 조명 범위 조절의 경우, 통상, 두 지지 프레임 또는 여러 가지 광학 어셈블리가 함께 이동되거나 회동되는 점이 의도되되, 광학 어셈블리들은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상호 간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커플링을 이용한 상기 조정의 경우, 발생하는 진동을 견뎌내면서 기울어지지 않아야 하는 최대한 원활하게 작동해야 하는 조정 메커니즘이 의도된다.
상기 요건들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조정 레버(adjusting lever), 다시 말하면 광학 어셈블리의 회동을 위한 상응하는 연동점(engaging point)과 회동축 간의 이격 간격은 가능한 한 크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그러나 이는 이미 전술한 기설정된 장착 공간 내지 헤드램프 디자인으로 인해 항상 가능하지 않으며, 그런 까닭에 절충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개선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제1 회동축이 수평 평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평면에서부터 제1 조인트의 법선 거리(normal distance)는 수평 평면에서부터 제3 조인트의 법선 거리와 다른 것을 통해 해결된다.
그렇게 하여, 장착 공간 소요는 종래 공지된 해결책들에 비해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현재 헤드램프들의 경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차량 디자인, 둘러싸는 기술 및 기능들, 그리고 헤드램프 내 추가 기술의 측에서 점점 더 높아지는 요건들을 통해 기존 장착 공간이 점점 더 적합하게 사용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커플링 부재를 위한 공지된 해결책들에서 부분적으로 필요한 것과 같은 하우징 내 가이드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부품 및 재료 조정 시 비용 역시도 감소되며, 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문제들은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는, 긴 커플링 부재를 그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왕복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커플링 부재는 광학 어셈블리들의 실질적으로 상호 간에 평행한 두 회동축, 즉 제1 회동축 및 제2 회동축의 바깥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변위 이동은 자체 회동축들을 중심으로 하는 두 광학 어셈블리의 회동 이동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커플링 부재는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법선으로 비록 일반적으로 적은 변위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변위되는데, 그 이유는 광학 어셈블리들의 조인트들이 커플링 부재와 함께 광학 어셈블리들의 회동축들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묘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에 대한 커플링 부재의 상응하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는 구동 장치 조인트를 매개로 커플링 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현 시, 실질적으로 상호 간에 평행한 두 축은, 바람직하게는 광학 어셈블리들의 광축(optical axis)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법선을 이루는 수평축들일 수 있다.
광학 어셈블리들은 상기 수평축들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될 수 있고 이렇게 각각 광학 어셈블리에 의해 생성되는 광 다발의 조명 범위가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수평으로", "수직으로", "위쪽에", 또는 "아래쪽에"와 같은 용어들이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 정확하게 장착된 조명 장치에 관련되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는 자동차 내 장착 위치에 있다는 점이다.
(조인트들의 원운동의 결과로서) 긴 커플링 부재의 추가로 상기에서 기재한 오프셋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조인트들은, 커플링 부재가, 조인트에 할당된 광학 어셈블리 및 제어 아암과 관련하여, 광학 어셈블리의 회동축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자체 평행한 축들을 중심으로 두 광학 어셈블리를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구동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자동 조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는 리니어 구동장치, 특히 리니어 모터, 바람직하게는 전기 리니어 모터이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서, 수평 평면에서부터 제3 조인트의 법선 거리는 수평 평면에서부터 제1 조인트의 법선 거리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변위축은 수평 평면에 대해 평행할 수 있다.
유용하게는, 커플링 부재는 긴 커플링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의 종축은 변위축에 대해 평행하다.
또한, 커플링 부재는 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와 구동 장치의 제어 아암을 연결하는 제3 조인트는 커플링 부재의 일측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조인트는 커플링 부재의 일측 단부 상에, 특히 제3 조인트에 대향하는 커플링 부재의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1 광학 어셈블리의 제1 회동축에서부터 제1 조인트의 법선 거리는 제2 광학 어셈블리의 제2 회동축에서부터 제2 조인트의 법선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두 광학 어셈블리는 자신들의 평행한 회동축들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 시 동일한 각도량만큼 회동된다.
또한, 제1 및/또는 제2 조인트는 볼 조인트로서, 또는 볼 조인트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회동축은 하나의 공통 수평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외에, 광학 어셈블리들은 렌즈들, 반사경들 또는 광 모듈들일 수 있다.
또한, 광학 어셈블리들은 각각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는 상응하는 조인트들이 배치된다.
그 외에, 하나 및/또는 두 광학 어셈블리는 복수의 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되, 이들 광 모듈은 각각의 광학 어셈블리마다 하나의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3 조인트는 제어 아암 상에서 커플링 부재의 적어도 부분적인 수직 변위를 허용할 수 있다.
본원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의 도면들을 근거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자동차 헤드램프 하우징 내의 예시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는,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예시의 조명 장치(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10)는 제1 회동축(Y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광학 어셈블리(100)와, 제2 회동축(Y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광학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며, 제1 회동축(Y1)과 제2 회동축(Y2)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은 예컨대 렌즈들, 반사경들 또는 완전한 광 모듈들일 수 있되,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은 각각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는 광 모듈들이 배치되거나 고정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례에서, 명확성을 이유로, 오직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의 지지 프레임들만이 도시되어 있되, 하기에서는 계속해서 "광학 어셈블리들"이란 용어가 이용된다.
또한, 조명 장치(10)는 자체 회동축(Y1, Y2)들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광학 어셈블리(100, 200)를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장치는, 커플링 부재(310)와, 변위축(X)으로 선형 조정될 수 있는 제어 아암(321)을 구비한 구동 장치(3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변위축(X1)은 제1 및 제2 회동축(Y1, Y2)에 대해 직교하여 배치되며, 커플링 부재(310)는 제1 조인트(311)를 매개로 제1 광학 어셈블리(100)와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제2 조인트(312)를 매개로는 제2 광학 어셈블리(200)와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구동 장치(320)의 제어 아암(321)은 제3 조인트(313) 상에서 커플링 부재(310)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변위축(X1)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310)를 구동한다.
제1 및 제2 조인트(311, 312)는 각각 커플링 부재(310)의 서로 반대되는 단부들 상에 배치되되, 커플링 부재(310)와 구동 장치(320)의 제어 아암(312)을 연결하는 제3 조인트(313)는, 제1 조인트(311)가 그 상에 배치되어 있는 단부 상에 배치되며, 조인트(311, 312, 313)들은 각각 볼 조인트 유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부재(310)는 길게, 그리고 강성 몸체로서 형성되되, 커플링 부재(310)의 종축은 변위축(X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1에서, 그리고 도 2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제1 회동축(Y1)은 가상 수평 평면(H)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 평면(H)에서부터 제3 조인트(313)의 법선 거리는 수평 평면(H)에서부터 제1 조인트(311)의 법선 거리보다 더 작다. 또한, 변위축(X1)은 수평 평면(H)에 대해 평행하다.
도 2에서는, 추가로, 제1 광학 어셈블리(100)의 제1 회동축(Y1)에서부터 제1 조인트(311)의 법선 거리가 제2 광학 어셈블리(200)의 제2 회동축(Y2)에서부터 제2 조인트(312)의 법선 거리와 동일한 점이 확인된다. 또한, 제1 및 제2 회동축(Y1, Y2)은 도시된 실례에서 하나의 공통 수평 평면(H)에 위치한다.
또한, 도 2에는,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의 출발 위치가 도시되어 있되, 구동 장치(320)는 긴 커플링 부재(310)를 그의 종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또는 변위축(X1)의 방향으로 선형으로 왕복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키도록 구성된다. 커플링 부재(310)는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의 실질적으로 상호 간에 평행한 두 회동축, 즉 제1 회동축(Y1)과 제2 회동축(Y2)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변위 이동은 자체 회동축(Y1, Y2)들을 중심으로 하는 두 광학 어셈블리의 회동 이동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커플링 부재(310)는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법선으로 비록 일반적으로 적은 변위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변위되는데, 그 이유는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의 조인트(311, 312)들이 커플링 부재(310)와 함께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의 회동축(Y1, Y2)들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묘사하기 때문이다.
수직 이동이 실행될 수 없는 방식으로 구동 장치 또는 제어 아암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장치(320)에 대한 커플링 부재(310)의 상응하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3 조인트(313)는, 제어 아암(321) 상에서 커플링 부재(310)의 적어도 부분적인 수직 변위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커플링 부재(310)가 볼 조인트 유형으로 지지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조인트(311) 상에서 제1 광학 어셈블리(100)와, 또는 제1 광학 어셈블리(100)의 지지 프레임과 연결을 위해 조정 나사를 포함하는 점이 확인된다. 상기 조정 나사는 나사산에 의해 커플링 부재(310) 내에 조여지되, 수평 평면(H)으로 향해 각각의 지지 프레임의 배향 또는 각도 편향을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 조정 나사에 의해 수동으로 미세 조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조인트(311, 313)들 역시도, 미세 조정을 실행할 수 있는데 이용되는 조정 나사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10: 조명 장치
100: 제1 광학 어셈블리
200: 제2 광학 어셈블리
310: 커플링 부재
311: 제1 조인트
312: 제2 조인트
313: 제3 조인트
320: 구동 장치
321: 제어 아암
H: 수평 평면
Y1: 제1 회동축
Y2: 제2 회동축
X1: 변위축

Claims (14)

  1.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100)로서, 상기 조명 장치는,
    - 제1 회동축(Y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광학 어셈블리(100);
    - 제2 회동축(Y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광학 어셈블리(200)이며, 제1 회동축(Y1)과 제2 회동축(Y2)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것인,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200); 및
    - 자체 회동축(Y1, Y2)들을 중심으로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을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장치는 커플링 부재(310)와, 변위축(X1)으로 선형 조정될 수 있는 제어 아암(321)을 구비한 구동 장치(320)를 포함하며, 변위축(X1)은 제1 및 제2 회동축(Y1, Y2)에 대해 직교하며, 그리고 커플링 부재(310)는 제1 조인트(311)를 매개로 제1 광학 어셈블리(100)와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제2 조인트(312)를 매개로는 제2 광학 어셈블리(200)와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제어 아암(321)은 제3 조인트(313) 상에서 커플링 부재(310)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변위축(X1)의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를 구동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축(Y1)은 수평 평면(H)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 평면(H)에서부터 상기 제1 조인트(311)의 법선 거리는 상기 수평 평면(H)에서부터 상기 제3 조인트(313)의 법선 거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 평면(H)에서부터 상기 제3 조인트(313)의 법선 거리는 수평 평면(H)에서부터 상기 제1 조인트(311)의 법선 거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축(X1)은 수평 평면(H)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310)는 긴 커플링 부재(310)로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부재(310)의 종축은 변위축(X1)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310)는 강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310)와 상기 구동 장치(320)의 제어 아암(321)을 연결하는 상기 제3 조인트(313)는 상기 커플링 부재(310)의 일측 단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311) 또는 상기 제2 조인트(312)는 상기 커플링 부재(310)의 일측 단부 상에, 특히 상기 제3 조인트(313)에 대향하는 상기 커플링 부재(310)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어셈블리(100)의 제1 회동축(Y1)에서부터 상기 제1 조인트(311)의 법선 거리는 상기 제2 광학 어셈블리(200)의 제2 회동축(Y2)에서부터 상기 제2 조인트(312)의 법선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조인트(311, 312)는 볼 조인트로서, 또는 볼 조인트 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회동축(Y1, Y2)은 하나의 공통 수평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은 렌즈들, 반사경들 또는 광 모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어셈블리(100, 200)들은 각각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는 상기 상응하는 조인트(311, 312, 313)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인트(313)는 상기 제어 아암(321) 상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310)의 적어도 부분적인 수직 변위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KR1020217025570A 2019-02-21 2020-01-15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KR102574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58454.9 2019-02-21
EP19158454.9A EP3699028A1 (de) 2019-02-21 2019-02-21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CT/EP2020/050902 WO2020169275A1 (de) 2019-02-21 2020-01-15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663A true KR20210113663A (ko) 2021-09-16
KR102574631B1 KR102574631B1 (ko) 2023-09-06

Family

ID=6552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570A KR102574631B1 (ko) 2019-02-21 2020-01-15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699028A1 (ko)
KR (1) KR102574631B1 (ko)
CN (1) CN113423605B (ko)
WO (1) WO2020169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252A1 (fr) * 2022-01-31 2023-08-04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d’un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9579A2 (de) * 2012-10-10 2014-04-16 Zizala Lichtsysteme GmbH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EP2803528A1 (de) * 2013-05-16 2014-11-19 Zizala Lichtsysteme GmbH Fahrzeugscheinwerfer
EP3127746A1 (fr) * 2015-08-06 2017-02-08 Valeo Vision Dispositif d'é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au moins deux modules d'éclairage
WO2018041373A1 (en) * 2016-09-05 2018-03-08 HELLA GmbH & Co. KGaA Headlamp with an improved light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28947B4 (de) * 2002-06-28 2006-06-14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JP4667321B2 (ja) * 2005-10-06 2011-04-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AT516100B1 (de) * 2014-09-12 2016-05-15 Zizala Lichtsysteme Gmbh Einstellsystem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sowie Fahrzeugscheinwerfer
US9809151B2 (en) * 2014-12-08 2017-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ment device for aiming two oppositely pivoted lamp elements of a motor vehicle
DE102015110553A1 (de) * 2015-07-01 2017-01-05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AT519210B1 (de) * 2016-10-03 2019-03-15 Zkw Group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spurige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19579A2 (de) * 2012-10-10 2014-04-16 Zizala Lichtsysteme GmbH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EP2803528A1 (de) * 2013-05-16 2014-11-19 Zizala Lichtsysteme GmbH Fahrzeugscheinwerfer
EP3127746A1 (fr) * 2015-08-06 2017-02-08 Valeo Vision Dispositif d'é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au moins deux modules d'éclairage
WO2018041373A1 (en) * 2016-09-05 2018-03-08 HELLA GmbH & Co. KGaA Headlamp with an improved light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69275A1 (de) 2020-08-27
EP3927580A1 (de) 2021-12-29
CN113423605A (zh) 2021-09-21
EP3699028A1 (de) 2020-08-26
KR102574631B1 (ko) 2023-09-06
EP3927580B1 (de) 2023-06-21
CN113423605B (zh)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663B2 (en) Lamp device for vehicles
US6773152B2 (en) Headlight
US11104266B2 (en) Central pivot region
EP2947511A1 (en) Projection device
KR102574631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US11420550B2 (en) Adjusting system for pivoting at least one optically relevant component of a vehicle headlight about a first and a second axis
US20230150419A1 (en) Dimming Mechanism, Vehicle Lamp Module, Vehicle Lamp, and Vehicle
KR20220080190A (ko)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부품을 회동시키기 위한 포지셔닝 장치
CN110454746B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调节装置
EP4157672B1 (en) Adjusting device
US20200400293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with an electrical wiring guiding member
GB2544779A (en) Actuator assembly for vehicle lighting system
CN211424291U (zh) 用于车辆前照灯的反射器装置
CN105318242B (zh) 用于机动车辆的照明模块的枢转安装
CN217587761U (zh) 一种镜片可调的组件及装置
KR20230096859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정 장치
CN219756120U (zh) 调节装置及车灯
JP2014120343A (ja) 車両用灯具
EP3995360B1 (en) Vehicular lighting fixture
KR20230076758A (ko) 차량 헤드램프용 조정 시스템
CN116601430A (zh) 调光机构、车灯模组、车灯及车辆
CN115930150A (zh) 一种汽车大灯透镜调节结构、汽车大灯及汽车
WO2021089648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with optical axis adjustment
KR20220038780A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JP2023549969A (ja) 自動車投光器の少なくとも2つの光学関連の構成ユニットを調整するための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