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214A -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 Google Patents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214A
KR20210112214A KR1020200041033A KR20200041033A KR20210112214A KR 20210112214 A KR20210112214 A KR 20210112214A KR 1020200041033 A KR1020200041033 A KR 1020200041033A KR 20200041033 A KR20200041033 A KR 20200041033A KR 20210112214 A KR20210112214 A KR 20210112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a
packaging material
biodegradation
weight
cob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희
Original Assignee
오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희 filed Critical 오제희
Publication of KR2021011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2Additives activating the degradation of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33Additives activating the degradation of the macromolecular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사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무기 충진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첨가제, 글리세린, 솔비탄,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가소제, 식품 부산물, 운모계 분말, 식물성 추출 보강물에서 추출된 생분해성 물질 및 망간, 세륨, 철, 아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진 광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Packaging materials using photolysis or biodegradability}
본 발명은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포장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에다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첨가하여, 생분해 및 광분해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는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재는 라면, 스프, 스넥, 조미김, 약품, 사료 및 야채 등을 포장하고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 비닐 봉지나 알루미늄 호일 또는 플라스틱 포장지 등을 이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포장지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때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대부분 Aluminium, PE(Polyethylene), OPP, PP, EVOH, Nylon, PET, PVDC 및 PVC 등의 필름을 다층 접착한 플라스틱 필름포장지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합성수지는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전성, 내수성, 유연성, 절연성, 성형성 등의 장점에 의하여 주변 생활용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식품 위생성이 우수하고, 원료 또한 저렴하여 다양한 식품 포장지의 내부에 코팅되어 방수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지는 사용 및 폐기 과정에서 환경호르몬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으로 코팅된 식품 포장지는 물에 해리되지 않으므로 재활용을 위해 별도의 선별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폴리에틸렌으로 코팅된 식품 포장지는 재활용 관점 및 친환경 측면에서 그 한계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 시 발생하는 매연은 대기오염 및 발암물질을 유발하고, 매립을 하여도 자연 분해가 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리기 때문에 토양 오염의 주범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폴리 에틸렌과 같이 합성 수지를 이용하되 친환경 소재 또는 생분해성 및 광분해성 소재로 된 다양한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첨가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환경에서 분해되는 것이 가능한 포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폴리 에틸렌과 같이 합성 수지를 이용하되 친환경 소재 또는 생분해성 및 광분해성 소재로 된 다양한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첨가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환경에서 분해되는 것이 가능한 포장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사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무기 충진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첨가제, 글리세린, 솔비탄,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가소제, 식품 부산물, 운모계 분말, 식물성 추출 보강물에서 추출된 생분해성 물질 및 망간, 세륨, 철, 아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진 광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며, 기본수지류 5-80 중량%, 글리세린, 솔비탄,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가소제 10-15 중량%,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사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무기 충진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첨가제 5-45 중량%, 가공식품 부산물, 운모계 분말, 식물성 추출 보강물에서 추출된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물질 5-50 중량% 및 망간, 세륨, 철, 아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광분해성 물질 5-10 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수지류는 바람직하기는 40 내지 70 중량%, 상기 가소제는 3 내지 8 중량%,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10 내지 40 중량%, 상기 보조 첨가제는 12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물질은 폴리테트라메틸렌 석시네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프로피오락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틱산,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바릴레이트 공중합체으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분해성 물질은 포름산 코발트, 아세트산 코발트, 올레산 코발트, 라우릴산 코발트, 스테아르산 코발트, 세틸산 코발트의 지방산 코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모계 분말은 운모계 점토광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모계 점토광물은 일라이트, 운모, 흙운모, 백운모, 금운모, 견운모, 게르마늄, 질석버미쿨라이트, 토르말린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분해성 물질은 황토, 맥반석, 고령토, 불석, 장석, 흑운모, 옥 및 셀레늄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광물질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성 추출 보강물은 갈대, 억새, 볏집 등에서 추출된 분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 첨가제로 왁스나 미네럴유의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 에틸렌과 같이 합성 수지를 이용하되 친환경 소재 또는 생분해성 및 광분해성 소재로 된 다양한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첨가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자연환경에서 분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또는 광분해성을 가지는 포장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을 이루는 각 원료의 사용량은 기본 수지류를 5-80 중량%, 가소제를 10-15 중량%, 생분해성 물질 5-50 중량%, 보조첨가제 5-4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수지류는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의 조성에 사용되는 소재이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다. 그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80중량%이며, 바람직하기는 40 내지 70중량%이다. 수지 시트의 기본적인 물성을 좌우하게 되며, 증감에 따라 강도의 증가 혹은 감소의 결과를 가져오며, 특히 수지 시트를 이용한 용기 가공성의 용이성이 기본 수지의 증가에 따라 불리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수지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이미드(Polyimide, PI), 연신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이축연신폴리프로필렌(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BOPP),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PES)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소제는 고분자 재료의 유연성과 점탄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글리세린, 솔비톨,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등의 물질에서 한가지 또는 혼합된 형태로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서 10 내지 15중량%이며, 바람직하기는 3 내지 8중량%, 더 바람직하기는 4중량%이다. 가소제의 투입량이 적용한 범위를 상회하는 경우 수지시트의 성형성이 급격히 하락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첨가제는 주로 무기 충진물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사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혹은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한가지 혹은 혼합하여 투입한다. 그 사용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기는 13 내지 25 중량%이다. 최종 생산물의 점탄성, 강도, 치수안정 등의 세부 목적에 따라 무기물 종류와 투입량을 적절히 조절한다.
일단, 생분해성 물질의 운모계 점토광물은 일라이트, 운모, 흙운모, 백운모, 금운모, 견운모, 게르마늄, 질석버미쿨라이트, 토르말린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운모계 점토광물의 분말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325 메쉬로 분쇄된 것이 사용된다. 이보다 입자가 크면 불균일하게 편중되어 고른 결착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운모계 점토광물은 운모계 점토광물은 본 실시 예에에서 일라이트(illite)를 사용하였다. 일라이트는 연한황색 또는 백색, 흑색의 운모계 점토광물로서 삼층 인편상 구조를 가지며 물에 풀렸을때는 견사현상을 나타내는 독특한 성질이 있다. 일라이트는 규산, 알루미나, 가리, 철 등이 주요한 구성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일라이트는 중금속과 유기질 이온의 흡착 공기 중 악취 및 유독가스 흡수, 용존산소 발생, 물분자 활성화, 정균작용, 원적외선방출, 음이온발산, 독소제거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운모계 점토광물을 적당량 분쇄하여 분말화시킨다. 이때 운모계 분말은 용기의 무게, 생산비용, 다른 성분과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함량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운모계 분말은 그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기는 10 내지 40중량%을 차지한다.
생분해성 물질은 광물질과 숯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물질로는, 황토, 맥반석, 고령토, 불석, 장석, 흑운모, 옥 및 셀레늄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포장재의 성형성을 저해하지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광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황토, 맥반석 및 옥은 원적외선 생육광선의 방사를 목적으로 첨가한 것이다. 불석 및 숯은 항균 활성 및 다공성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한 것이다. 또한, 고령토 및 장석은 포장재 제조시 탄력성과 완충성을 기존 제품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혼합하였으며, 흑운모 및 셀레늄은 항산화 활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한 것이다. 상기 각 성분들의 최소 함량은 합성수지와 혼합되어 포장재 상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각각의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수치이며, 최대 함량이 초과되는 경우에는 포장재 성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천연광물질 및 숯 분말입자는 1,000 내지 1,500 메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00 메시 크기이다. 또한, 상기 분말입자는 100 ㎡/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500 ㎡/g 정도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광물질 및 숯 분말입자는 상기와 같은 1,000 내지 1,500 메시의 입자 크기 및 100 ㎡/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가질 때, 진공 성형시 합성수지 포장재의 성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최적의 식품 보존성 증진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비표면적 증대를 통해 제품 적용성을 높임으로써 경제적인 효용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생분해성 물질에 폴리 에스테롤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생분해성 폴리 에스테롤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 석시네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프로피 오락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틱산,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바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사용가능하며, 폴리카프로락톤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생분해성 수지의 사용량은 5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기는 10 내지 40중량%까지 사용가능하며, 가공성을 용이하게 하고, 생분해 속도를 저하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물질 중 식물성 추출 보강분말에는 갈대, 억새, 볏집 등에서 추출된 분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조 첨가제 중 최종 제품의 사용목적에 따라 소량 첨가할 수 있는 윤활제로 왁스나 미네럴유 등을 사용할수 있으며,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산화방지제 등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을 수 있다.
광분해성 물질에는 포름산 코발트(망간, 아연, 철, 세륨), 아세트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올레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라우릴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스테아르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세틸산 코발트(망간, 세륨, 철, 아연) 등의 지방산 코발트 (또는 망간, 아연, 철, 세륨)류와 코발트 (또는 망간,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같은 코발트, 망간, 철 등의 이온을 함유하는 아실 화합물 및 디부틸틴 라우레이트 및 벤조페논과 이들의 유도체 같은 다른 화합물류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 망간, 아연, 철, 코발트 및 세륨 등의 금속 이온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조성물들은 자연 환경에서(예를 들어, 빛, 공기, 습도, 미생물 등)완전 분해가 가능하여, 각종 포장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친환경 바이오 소재를 활용한 포장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본 수지류, 가소제, 분해성 물질, 보조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다음으로, 혼합된 원료를 압출 성형하여 시트를 제조한다(S120). 구체적으로는 혼합물을 실린더에 공급하여 150∼170℃의 온도로 용해 및 압축한 후, 압출기에서 170∼190℃의 온도로 압출시켜 다이스를 통해 시트 모양으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친환경 소재가 완성되며, 친환경 소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시트를 진공 성형기로 이동시켜 용기를 제조할 수 있게된다(S130).
한편, 실시하기에 따라 앞서 설명한 조성물들을 계량하고 혼합하여 분해성 물질을 이용하여 코팅제로 활용할 수 있다. 이후,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된 조성물을 건조 후 기본 수지류와 혼련하여 혼련물을 압출기에 투입 후 50 내지 140℃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릿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후, 펠릿으로 제조된 조성물들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시트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기본수지류
120: 보조 첨가제
130: 가소제
140: 생분해성 물질
150: 광분해성 물질

Claims (10)

  1.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본 수지류,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사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무기 충진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첨가제,
    글리세린, 솔비탄,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가소제,
    식품 부산물, 운모계 분말, 식물성 추출 보강물에서 추출된 생분해성 물질, 및
    망간, 세륨, 철, 아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진 광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 스티렌 수지를 포함하는 기본수지류 5-80 중량%,
    상기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운모, 사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로 구성된 무기 충진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조 첨가제 5-45 중량%,
    상기 글리세린, 솔비탄, 올레산, 에틸렌글리콜 혹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가소제 10-15 중량%,
    상기 식품 부산물, 운모계 분말, 식물성 추출 보강물에서 추출된 생분해성 물질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물질 5-50 중량%, 및
    상기 망간, 세륨, 철, 아연에서 선택되는 한가지 또는 1 이상 혼합물로 형성되는 광분해성 물질 5-10 중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수지류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 상기 가소제는 3 내지 8 중량%,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10 내지 40 중량%, 상기 보조 첨가제는 12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에 폴리테트라메틸렌 석시네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 아디페이트, 폴리프로피오락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틱산,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바릴레이트 공중합체으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분해성 물질은 포름산 코발트, 아세트산 코발트, 올레산 코발트, 라우릴산 코발트, 스테아르산 코발트, 세틸산 코발트의 지방산 코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계 분말은 운모계 점토광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모계 점토광물은 일라이트, 운모, 흙운모, 백운모, 금운모, 견운모, 게르마늄, 질석버미쿨라이트, 토르말린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황토, 맥반석, 고령토, 불석, 장석, 흑운모, 옥 및 셀레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광물질중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 보강물은 갈대, 억새, 볏집 등에서 추출된 분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첨가제로 왁스나 미네럴유의 윤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KR1020200041033A 2020-03-03 2020-04-03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KR20210112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52 2020-03-03
KR20200026452 2020-03-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214A true KR20210112214A (ko) 2021-09-14

Family

ID=7777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033A KR20210112214A (ko) 2020-03-03 2020-04-03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2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7224B (zh) 包装材料
KR101525658B1 (ko) 식품부산물인 소맥피 또는 대두피를 활용한 바이오 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KR101214983B1 (ko) 바이오 플라스틱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20196950A1 (en)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with calcium carbonate and methods and products using same
US20230192983A1 (en) Compostable oxygen barrier comprising a biodegradable polymer matrix and biocarbon
KR101443020B1 (ko) 바이오매스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매스 필름
KR101803495B1 (ko) 바이오매스 및 생분해 촉매제를 이용한 산화생분해성 투명 바이오 랩 필름
JP5007623B2 (ja) 鮮度保持材
CA3058958C (en) Biodegradable film
CN104086777A (zh) 一种pla改性材料及其制造方法
KR102163944B1 (ko) 신선도 유지 기능을 갖는 복합분해성 시트 또는 진공성형품
KR101856468B1 (ko) 항균제, 아세틴계 친환경 가소제, 아세틸계 생분해 촉매제 및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항균 롤백, 위생백 및 위생장갑 용도의 바이오 비닐용 조성물
KR20210112214A (ko) 생분해 또는 광분해를 이용한 포장재
WO2013017895A1 (en) Compostable and biodegradable materials and articles formed from them
CN102947374A (zh) 包含除氧剂的可生物降解聚合物制品
KR101327480B1 (ko) 바이오 베이스 쓰레기 봉투 및 이의 제조방법
JP4311916B2 (ja) 耐加水分解性に優れた生分解性樹脂製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KR101545288B1 (ko) 신선도 기능이 부여된 친환경 원료 펠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7973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식물성 가소제 및 생분해 촉매제를 포함하는 고투명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González et al. Starch-based polymers for food packaging
CN110325576B (zh) 基于碳水化合物的高分子材料
KR20090008098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140037484A (ko) 생분해성 식품용기 제조용 수지시트
JP2004284638A (ja) 生分解性袋
JP2005068346A (ja) 高機能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