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092A -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092A
KR20210112092A KR1020200027219A KR20200027219A KR20210112092A KR 20210112092 A KR20210112092 A KR 20210112092A KR 1020200027219 A KR1020200027219 A KR 1020200027219A KR 20200027219 A KR20200027219 A KR 20200027219A KR 20210112092 A KR20210112092 A KR 20210112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rt
sealing unit
sensor
cover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훈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092A/ko
Publication of KR2021011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1/00Shutting-down of machines or engines, e.g. in emergency;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D21/003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03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packing rings; Mechanical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0Mounting or supporting of plant; Accommodating heat expansion or cre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은 개구부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높이 방향 및 지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커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SEALING UNIT AND SENSOR ASSEMBLY INCLUDING THE SEAL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용 엔진의 터빈 케이스 등에는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센서를 터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해, 먼저 터빈 케이스의 일면에 구멍을 뚫어 장착홈을 형성한 다음, 카운터 보어(counter bore)를 이용해 자리파기를 실시한다. 다음, 밀폐를 위한 개스킷(gasket)과 센서를 장착홈에 순서대로 삽입한다.
그런데 종래의 개스킷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자리파기를 넓게 실시해야 한다. 이에 따라, 센서가 장착되는 터빈의 장착면의 살 두께가 좁아지게 된다. 장착면의 살 두께가 지나치게 좁아질 경우, 터빈 케이스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터빈 케이스의 장착면을 보다 넓게 형성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터빈 케이스의 전체 부피와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의 무게가 증가하고, 결국 엔진의 효율이 저하된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000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링 성능이 개선된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은 개구부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높이 방향 및 지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커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주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보다 열팽창 계수가 낮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1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테두리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커버부의 외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2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슬롯과 중첩되지 않으며, 둘레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슬롯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신축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슬롯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둘레에 결합되어 장착면과 센서의 유격을 실링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실링 유닛은 개구부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높이 방향 및 지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커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는 센서와 장착홈 사이의 유격을 확실하게 밀폐하여, 향상된 실링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는 실링 유닛의 커버부를 2중 레이어로 구성함으로써, 센서와 장착홈 사이의 유격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는 실링 유닛이 안착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면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링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링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의 확대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실링 유닛이 센서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링 유닛(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링 유닛(1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피장착부재(미도시)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홈(미도시)과의 유격을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실링 유닛(100)은 항공용 엔진의 터빈 케이스(미도시)에 형성된 상기 홈에 삽입되어, 온도 센서(미도시)와 상기 홈의 유격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빈 케이스 내부의 작동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상기 터빈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상기 온도 센서 외에도 다양한 상기 피장착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피장착부재는 상기 온도 센서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심에 개구부(140)를 구비한다. 개구부(140)는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며, 내부에는 상기 온도 센서가 삽입될 수 있다.
실링 유닛(100)은 주름부(110)와,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름부(110)는 실링 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주름부(110)는 개구부(140)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름부(110)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외력 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높이 방향 및 지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주름부(110)의 지름은 높이 방향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름부(110)는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와, 지름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D)가 반복하여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주름부(110)는 제1 면(111)과, 제2 면(112)과, 제3 면(113)과, 제4 면(114)을 포함할 있으며, 제1 면(111) 내지 제4 면(114)에 의해 2개의 돌출부(P)와 1개의 함몰부(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111)은 주름부(110)의 상단에 배치되며, 개구부(14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제2 면(112)은 제1 면(111)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면(112)은 제1 면(111)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θ1으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112)은 제1 면(111)과 함께 돌출부(P)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면(113)은 제2 면(11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 면(113)은 제2 면(112)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θ2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3 면(113)은 제2 면(112)과 함께 함몰부(D)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면(114)은 제3 면(113)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4 면(114)은 제3 면(113)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θ3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4 면(114)은 제3 면(113)과 함께 돌출부(P)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주름부(110)는 복수 개의 면이 소정의 각도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름부(110)는 스프링과 같이 외력 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각도 θ1 내지 각도 θ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는, 각도 θ1 내지 각도 θ3는 모두 예각일 수 있다. 또는, 각도 θ1 내지 각도 θ3는 모두 둔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면(111) 내지 제4 면(114) 간의 경사가 완만해져, 주름부(110)의 전체적인 굴곡이 완만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도의 상승에 따라 센서(11)와 실링 유닛(100)이 신장하여, 센서(11)와 실링 유닛(100)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주름부(110)의 단면 형상이 W자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름부(110)는 각각의 면이 맞닿는 영역이 굴곡되어, 단면이 실질적으로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커버부(120)는 상기 장착홈과 직접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부(120)는 주름부(110)의 일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부(120)는 주름부(110)의 하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20)의 외경은 주름부(11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커버부(120)는 제1 테두리(121)와 제1 슬롯(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테두리(121)는 제1 커버부(120)의 지름 방향 최외곽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제1 테두리(121)는 일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테두리(121)는 제1 커버부(120)의 외측면을 향해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100)이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테두리(121)가 상기 장착홈의 내벽과 맞닿게 된다. 그리고 실링 유닛(10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실링 유닛(100)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1 테두리(121)는 상기 장착홈의 내벽을 따라 신장되어, 실링 유닛(100)과 상기 센서를 밀폐할 수 있다.
제1 슬롯(122)은 제1 테두리(121)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되도록 제1 커버부(1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6개의 제1 슬롯(122)이 제1 테두리(1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100)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을 받거나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1 커버부(120)는 제1 슬롯(122)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응력이 제1 커버부(120)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20)의 변위를 허용하여, 제1 커버부(120)가 상기 장착홈에 보다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 유닛(100)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커버부(120)는 주름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20)는 주름부(110)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버부(120)는 주름부(110)와 함께 제1 바디(도면 부호 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커버부(130)는 제1 커버부(12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커버부(130)는 원환상의 부재로서, 일단이 제1 커버부(120)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일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30)는 제2 테두리(131)와 제2 슬롯(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테두리(131)는 제2 커버부(130)의 지름 방향 최외곽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제2 테두리(131)는 일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테두리(131)는 제2 커버부(130)의 외측면을 향해 굴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100)이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테두리(131)가 상기 장착홈의 측벽과 맞닿게 된다. 그리고 실링 유닛(10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실링 유닛(100)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2 테두리(131)가 신장되면서 상기 장착홈의 측벽을 향해 밀착되어, 실링 유닛(100)과 상기 센서를 밀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테두리(131)는 제1 테두리(121)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커버부(130)는 일단이 제1 커버부(120)에 연결되고, 제2 테두리(131)가 위치한 타단이 제1 커버부(120)와 이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 사이에 내부 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롯(132)은 제2 테두리(131)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되도록 제2 커버부(1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 6개의 제2 슬롯(132)이 제2 테두리(13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100)이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을 받거나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커버부(130)는 제2 슬롯(132)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응력이 제2 커버부(130)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130)의 변위를 허용하여, 제2 커버부(130)가 상기 장착홈에 보다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 유닛(100)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슬롯(132)은 제1 슬롯(122)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슬롯(122)과 제2 슬롯(132)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슬롯(122) 또는 제2 슬롯(132)을 통해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슬롯을 통해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커버부(130)는 제1 커버부(120)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용접을 통해 제1 커버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부(130)는 제1 커버부(120)보다 열팽창 계수가 낮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120)의 단부와 제2 커버부(130)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실링 유닛(100)의 온도가 상승하면, 제1 커버부(120)가 제2 커버부(130)보다 더 크게 신장되어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에 의해 2중 레이어가 형성되어, 상기 센서와 상기 장착홈 사이의 유격이 보다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커버부(130)는 주름부(110) 및 제1 커버부(120)로 구성되는 제1 바디와 상이한 제2 바디(도면 부호 미도시)일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실링 유닛(100)이 센서(200)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터빈 케이스 등의 장착면(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 유닛(100)은 장착면(S) 상에 형성된 장착홈(H)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 유닛(100)의 제1 커버부(120)는 장착홈(H)의 일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테두리(121)와 제2 테두리(131)는 장착홈(H)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개스킷에 비해 지름과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실링 유닛(100)을 장착하기 위해 실시하는 자리파기의 길이(D1)를 종래에 비해 1/2 이하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개스킷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자리파기를 실시했을 때 장착면(S)의 상면을 모두 제거할 필요 없이, 장착면(S)의 일부(도 6a의 D2에 대응)를 남겨둘 수 있다. 따라서 장착면(S)의 전체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실링 유닛(100)이 장착되는 터빈 케이스 등의 전체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은 센서(11)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빈 케이스 등의 장착면(S) 상에 안착된 실링 유닛(100)의 개구부(140)에 센서(11)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주름부(110)의 높이는 L1일 수 있다.
다음,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커버(12)가 센서(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커버(12)는 용접 또는 볼팅을 통해 센서(11)와 결합될 수 있다. 센서 커버(12)의 일부는 장착면(S)에 의해 지지되고, 일부는 실링 유닛(100)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센서(11)의 상부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센서(11)와 센서 커버(12)는 센서 어셈블리(10)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 커버(12)는 센서(11)와 결합하면서 실링 유닛(100)을 아래로 압압한다. 이에 따라, 주름부(110)의 길이는 L2로 압축된다. 이때, L2 < L1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테두리(121)와 제2 테두리(131)는 제1 커버부(120)의 외측면을 향해 굴곡된 상태이기 때문에, 센서 커버(12)가 실링 유닛(100)을 아래로 압압함에 따라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는 장착홈(H)의 측벽을 따라 위로 굴곡된다.
다음,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10)가 장착홈(H)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치가 작동하여 온도가 올라가면 실링 유닛(100)이 신장된다. 이에 따라, 주름부(110)가 높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주름부(110)의 길이는 L3로 신장된다. 이때, L3 > L2일 수 있다. 또한, 신장된 주름부(110)는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를 아래로 압압한다. 그리고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는 장착홈(H)의 측벽을 따라 더 굴곡되어, 장착홈(H)을 밀폐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주름부(110)의 열팽창 계수는 센서(11)의 열팽창 계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10)가 가열되어 신장되는 경우, 센서(11)의 외주면은 주름부(110)의 내주면과 밀착하게 되고, 센서(11)와 실링 유닛(100) 사이의 유격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도 6c에는 주름부(110)가 길이 L3를 가질 때, 단면 형상이 W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10)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게 되면, 주름부(110)는 더욱 신장되어 실질적으로 원기둥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름부(110)의 내주면은 센서(11)의 외주면과 거의 유격을 형성하지 않게 되어, 센서(11)와 실링 유닛(100) 사이의 유격이 보다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0)는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를 2중 레이어로 구성함으로써, 센서(11)와 실링 유닛(100) 사이의 유격을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0)는 제1 커버부(120)의 제1 테두리(121)와 제2 커버부(130)의 제2 테두리(131)가 제1 커버부(120)의 외측면을 향해 굴곡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작동 과정에서 실링 유닛(100)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가 장착홈(H)의 측벽을 따라 신장하면서 센서(11)와 장착홈(H) 사이의 유격을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0)는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에 각각 제1 슬롯(122)과 제2 슬롯(132)을 배치함으로써, 외력 또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가 각각 제1 슬롯(122) 및 제2 슬롯(132)을 중심으로 용이하게 신장되어, 센서(11)와 장착홈(H) 사이의 유격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0)는 실링 유닛(100)을 금속 박판으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가 장착홈(H)에 삽입되도록 하여, 종래의 개스킷 형상에 비해 자리파기에 필요한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 유닛(100)이 장착되는 장치의 전체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0)는 주름부(110) 및 제1 커버부(120)와, 제2 커버부(130)와, 센서(11)가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갖는 금속으로 구성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라 센서(11)와 장착홈(H) 사이의 유격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10)는 실링 유닛(100)을 금속 박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착홈(H)의 형상과 작동 온도에 따라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11)와 장착홈(H) 사이의 유격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와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 어셈블리
100: 실링 유닛
110: 주름부
120: 제1 커버부
130: 제2 커버부

Claims (6)

  1. 개구부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높이 방향 및 지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커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주름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보다 열팽창 계수가 낮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실링 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1 테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테두리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커버부의 외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된 제2 테두리를 포함하는, 실링 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슬롯과 중첩되지 않으며, 둘레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실링 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슬롯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신축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2 슬롯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신축되는, 실링 유닛.
  6. 센서와, 상기 센서의 둘레에 결합되어 장착면과 센서의 유격을 실링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실링 유닛은
    개구부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높이 방향 및 지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
    상기 주름부의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1 커버부; 및
    일단이 상기 제1 커버부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지름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KR1020200027219A 2020-03-04 2020-03-04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KR20210112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19A KR20210112092A (ko) 2020-03-04 2020-03-04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19A KR20210112092A (ko) 2020-03-04 2020-03-04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92A true KR20210112092A (ko) 2021-09-14

Family

ID=7777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19A KR20210112092A (ko) 2020-03-04 2020-03-04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0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00Y1 (ko) 2003-01-14 2003-04-08 (주)한울인텍스 가스터빈의 온도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00Y1 (ko) 2003-01-14 2003-04-08 (주)한울인텍스 가스터빈의 온도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3781B2 (ja) 複数のシール部を有する金属板ガスケット
US5580065A (en) Metallic gasket with inwardly projecting folded end portion
JP2002332914A (ja) 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における点火栓チューブ挿入部のシール装置
US6089573A (en) Metal gasket with corrugated bead
EP2886803B1 (en) Seal for gas turbine engines
US7318452B2 (en) Accumulator
EP3312434B1 (en) Accumulator
JP2007315596A (ja) 平ガスケット、特に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US5873578A (en) Gaske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4137146B2 (ja) ガスケット
KR20210112092A (ko) 실링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
EP0809052A1 (en) Metal laminate gasket with mutual laminating portions
JP2000230638A (ja) ボアリングを有する金属ガスケット
JP2003156002A (ja) アキュムレータ
KR102414544B1 (ko) 가압실 측면에 도포된 막을 갖는 압력 센서 및 그러한 압력 센서의 용도
JPS5910365Y2 (ja) 内燃機関用エキスパンダ付ピストンリング
KR0169184B1 (ko) 가압 유체 완충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링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10223A1 (en) Cylinder-head gasket comprising an edge-to-edge stop ring which is connected by means of stapling
JP7301149B2 (ja) ガスケット
JP7064071B2 (ja) 軸シール装置及びこの軸シール装置を備える回転機械
KR100604042B1 (ko) 엣지 대 엣지 스톱 링을 포함하는 실린더 헤드 개스킷
JP3314371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2000104702A (ja) アキュム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29710A1 (en) Accumulator and spacer for accumulator
JP2003156001A (ja) アキュム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