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718A -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718A
KR20210110718A KR1020217025976A KR20217025976A KR20210110718A KR 20210110718 A KR20210110718 A KR 20210110718A KR 1020217025976 A KR1020217025976 A KR 1020217025976A KR 20217025976 A KR20217025976 A KR 20217025976A KR 20210110718 A KR20210110718 A KR 2021011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key
terminal
vehicle
ke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599B1 (ko
Inventor
김성원
황재형
Original Assignee
(주)케이스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스마텍 filed Critical (주)케이스마텍
Publication of KR2021011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3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31Key distribution or pre-distribution; Key agre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1Revocation or update of secret information, e.g. encryption key update or re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04L9/0897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involving additional devices,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or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1Key generation or deriv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6Access security using security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7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being encryp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16Obfuscation or hiding, e.g. involving white bo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한 디지털 키 등록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가 사용자 본인인증을 거쳐 단말용 및 차량용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이 일반영역과 분리된 보안영역에 단말용 디지털 키를 저장하는 디지털 키 등록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차량에 접근 또는 태그하면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인증토큰을 생성하고 차량 디바이스가 관리서버로부터 등록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동작시켜 인증토큰을 검증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디지털 키 사용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운영체제와 보안 운영체제로 운영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접근 권한 설정이 가능한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의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키의 보안을 확보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지그비, 비콘, 와이파이를 포함한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비접촉방식의 원격 잠금 해제용 디지털 키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디지털 키 기술은 잠금 해제 대상이 되는 차량의 운전석 도어, 가정의 현관문 도어, 회사 출입문 도어, 및 호텔 객실문 도어를 비롯한 산업 전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잠금 해제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키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는 운전자가 잠금 해제 신호를 발생시키며 독립된 몸체를 갖는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몸에 지닌 채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내 위치하게 되면 차량의 운전석 도어 내부에 장착된 잠금 해제 구동부가 잠금 해제신호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운전석 도어가 열리게 되며, 유사한 방식으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도어를 열리게 할 수 있다.
즉,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도어의 문을 잠금 해제 시키기 위해서는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반드시 소지해야 하며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가지고 있으면 누구나 해당 도어의 문을 열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구비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방식은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소지한 자에게 모든 접근권한이 주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발렛서비스나 호텔서비스와 같은 편의를 받기 위해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타인에게 맡길 경우 무선 도어키용 본체를 돌려받기 전까지 사용자의 관리를 벗어날 뿐만 아니라 분실시 도난가능성을 염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정보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잠금 해제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도어를 잠금 해제 하는 경우에도 앞서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키와 같이 모바일 단말을 넘겨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도난 위험 증가는 물론 애플리케이션 설치에 따른 디지털 키의 사용자 등록과정에서 디지털 키에 대한 보안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디지털 키에 대한 공유 및 보안확보를 가능하게 하면서 분실시에도 도난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적용 가능한 디지털 키에 관한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 운영체제와 보안 운영체제로 운영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접근 권한 설정이 가능한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의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키의 보안을 확보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한 디지털 키 등록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가 사용자 본인인증을 거쳐 단말용 및 차량용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이 일반영역과 분리된 보안영역에 단말용 디지털 키를 저장하는 디지털 키 등록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차량에 접근 또는 태그하면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인증토큰을 생성하고 차량 디바이스가 관리서버로부터 등록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동작시켜 인증토큰을 검증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디지털 키 사용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키 등록 단계는, 모바일 단말이 차량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한 차량용 디지털 키 등록을 중계하는,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와, 차량 디바이스 및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해 각각 자신의 디지털 키를 등록 처리하는,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는,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말 공개 키 및 단말 개인 키를 생성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차량 디바이스에 단말 공개 키를 전달하고,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개인 키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차량정보 및 단말정보를 서버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차량정보에 포함된 차량 공개 키 및 단말정보에 포함된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각각 암호화한 후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 및 단말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차량용 디지털 키는 차량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단말용 디지털 키를 복호화하여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차량 디바이스가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는,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말 공개 키 및 단말 개인 키를 생성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차량 디바이스에 서버 공개 키를 전달하는 단계와, 차량 디바이스가 서버 공개 키로 차량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서버 공개 키로 단말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단말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서버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차량정보에 포함된 차량 공개 키 및 단말정보에 포함된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각각 암호화한 후, 차량용 디지털 키는 차량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단말용 디지털 키는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한 후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단계와, 차량 디바이스가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한 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의 보안영역은,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WBC(White Box Cryptography),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모바일 보안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키 소유주가 사용하는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여 본인 확인 및 인증을 거쳐 차량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 해제권한의 제한을 설정하고 공유자가 사용하는 공유 단말과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디지털 키를 공유할 공유 단말을 선택 입력받아 디지털 키의 제한설정 값과 공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관리서버에서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과 공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 단말에 디지털 키 공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이 디지털 키를 공유할 공유 단말에 디지털 키의 제한설정 값과 디지털 키를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와, 공유 단말이 마스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키를 저장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이 관리서버에 공유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전용 앱을 통해 공유된 디지털 키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디지털 키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목록을 확인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마스터 단말이 공유목록에서 소정의 디지털 키에 대한 삭제 또는 변경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관리서버에 해당 디지털 키의 삭제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와, 관리서버가 삭제 또는 변경된 디지털 키를 공유했던 공유 단말의 디지털 키를 변경 또는 삭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차량 디바이스가 텔레메틱스를 지원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차량 디바이스에 디지털 키의 변경 또는 삭제를 요청함에 따라 차량 디바이스가 디지털 키를 변경 또는 삭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포함한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해 디지털 키의 등록, 발급 및 폐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와,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해 단말용 디지털 키를 발급받아 보안영역에 저장하고 디지털 키를 공유 단말과 권한을 제한 설정하여 공유하는 모바일 단말과,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해 차량용 디지털 키를 발급받아 저장하는 차량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차량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의 접근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암호화를 위한 공개 키를 수신한 후 수신된 공개 키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면 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인증 제어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관리서버로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는 텔레메틱스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제어기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무선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거치용 무선 충전 패드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에 대한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받으면, 본인 확인 및 인증을 거쳐 차량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 해제권한의 제한을 설정하고 공유 단말과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마스터 단말과, 마스터 단말과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공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은, 공유 단말과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공유용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관리서버를 경유하여 전달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직접 접속하여 전달하고, 제한설정 값은 사용 가능 기간, 사용 가능 횟수, 사용 가능 지역 및 재공유 가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운영체제와 보안 운영체제로 운영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접근 권한 설정이 가능한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의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키의 보안을 확보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보안환경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디지털 키를 보안영역에서 복호화하여 저장함으로써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디지털 키에 대한 보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디바이스가 텔레메틱스를 지원하는 경우, 차량 디바이스가 모바일 단말의 중계 없이도 직접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용 디지털 키를 등록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디바이스의 디지털 키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앱을 통하여 잠금 해제권한을 다양한 조건으로 제한할 수 있어 디지털 키를 다른 사용자와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정을 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로부터 디지털 키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비대칭 암호 알고리즘 방식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키를 전달받아 모바일 단말의 보안영역에서 복호화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디지털 키를 전달받더라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키는 경우에도 인증토큰 암복호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디지털 키의 유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이중으로 본인인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와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디지털 키를 전달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공유 단말과 무선으로 직접 연결하여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키고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공유 단말에 대한 보안인증과정을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디지털 키를 전달하는 경우에 마스터 단말이 공유 단말에 특정암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유 단말에 디지털 키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안 운영체제에서 디지털 키를 사용해 인증토큰를 생성시키고 제한설정 값과 함께 암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필요한 보안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로부터 파생되는 대칭 키를 이용하여 암복호화 과정을 거치는 암호 알고리즘을 구현함으로써 보안성 및 암복호화 처리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가능기간, 사용 가능횟수, 사용 가능지역, 및 재배포권한을 포함한 내용으로 디지털 키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디지털 키를 분실하더라도 차량 디바이스의 도난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보안환경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사용자의 소유 차량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 도어 잠금 해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키 공유단계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키 공유단계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키 삭제 또는 변경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등록 절차에 따라 보이는 모바일 단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 절차에 따라 보이는 모바일 단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보안환경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는,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1)의 내부에 차량 디바이스(3)의 도어를 디지털 키 방식으로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디지털 키(Digital Key)를 구비하고, 디지털 키를 다른 모바일 단말인 공유 단말과 권한을 제한 설정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디지털 키는 모바일 단말(1)의 보안영역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키로서, 이 키를 가지고 차량의 도어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디지털 키 방식은, 최근 들어 널리 적용되고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Wifi, Zigbee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무선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디바이스(3)는 차량의 도어가 상술한 무선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키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은, 마스터 단말(1-1), 공유 단말(1-2), 관리서버(2), 및 차량 디바이스(3)를 포함하며, 네트워크(4)를 통해 연결 가능하다.
마스터 단말(1-1)은 디지털 키 소유주(Primary User)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관리서버(2)로부터 인증을 받고 최초 디지털 키를 발급받는다. 디지털 키 소유자가 차량 소유주가 된다. 공유 단말(1-2)은 공유자(Shared User)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이다. 공유자는 소유주로부터 디지털 키를 공유 받은 사용자이다. 예를 들어, 가족, 친구 등이 있다. 관리서버(2)는 사용자의 디지털 키의 등록, 발급, 폐기 등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마스터 단말(1-1)은 일반 운영체제와 보안 운영체제로 운영되는데, 마스터 단말(1-1)이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2)에 디지털 키 등록을 요청하면, 관리서버(2)에서 사용자 본인인증을 거친 뒤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이용하여 마스터 단말(1-1)의 일반영역과 분리된 보안영역에 단말용 디지털 키를 저장함에 따라 디지털 키를 등록한다.
디지털 키 등록 이후, 마스터 단말(1-1)이 차량에 접근 또는 태그하면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인증토큰을 생성하여 차량 디바이스(2)에 전송한다. 차량 디바이스(2)는 미리 저장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동작시켜 인증토큰을 검증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마스터 단말(1-1)은 공유 단말(1-2)과 디지털 키를 공유할 때, 제한설정 값을 설정하여 사용에 제한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 기간, 사용 가능 횟수, 사용 가능 지역 및 재공유 가능정보 등을 미리 설정하고 공유 단말(1-2)의 사용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공유 단말(1-2) 역시 마스터 단말(1-1)과 마찬가지로 일반 운영체제와 보안 운영체제로 운영된다. 공유 단말(1-2)은 마스터 단말(1-1)을 통해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디지털 키를 공유 받아 공유 받은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차량 디바이스(3)의 도어를 제한설정된 범위 안에서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디지털 키 공유 방법은, 관리서버(2)를 경유하여 전달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직접 접속하여 전달하는 방식 등이 있다.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도어 잠금, 도어 잠금 해제뿐만 아니라, 비상경보, 비상경보 해제, 원격 시동, 원격 시동 해제, 트렁크 열림 등의 서비스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의 세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적용된 모바일 단말(1)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안드로이드(구글의 스마트폰용 운영체제), iOS(애플사의 아이폰용 운영체제) 등과 같은 일반 운영체제와, 일반 운영체제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보안 운영체제가 탑재된다. 이하에서는 일반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영역을 일반영역(Normal World: NW)(110)이라 하고, 보안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영역을 보안영역(Secure World: SW)(120)이라고 한다. 보안영역(120)은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WBC(White Box Cryptography),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모바일 보안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TEE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WBC, USIM, eSIM 등 각종 보안처리 기술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을 명시한다.
지급결제, 인증, 금융정보 관리, 개인정보 관리, 기기관리, 보안 서비스 등의 모바일 보안 강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안 적용 애플리케이션(112)들은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때에는 TEE 에이전트(113)를 통하여 SW(120)에 위치하는 보안정보를 액세스하게 된다. TEE 에이전트(113)는 NW(110)에서 TEE와의 통신 및 모바일보안 강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TEE 에이전트(113)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로 모바일 보안 강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112)에 탑재되거나 단독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TEE 에이전트(113)는 SW(120)에 있는 REE(Rich Execution Environment) 에이전트(123)와 통신한다. REE 에이전트(123)는 SW(120)에서 REE와의 통신 및 보안 애플리케이션(Trusted Application)(122)(이하, TA라 함)과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REE 에이전트(123)는 인증된 TEE 에이전트(113)의 접속만을 수용한다.
TA(122)는 카메라, 마이크, 화면 터치, 지문스캐너 등의 I/O 장치를 통한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보안강화 I/O TA), 사용자 특정을 위한 특징값의 암호화 및 복호화(암호화 복호화 TA), 암호화된 특징값을 개인정보DB(121)에 저장 등 SW(120)에 저장되는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A(122)는 NW(110)에서 직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없으며, 반드시 REE 에이전트(123)를 거쳐서만 액세스 가능하다. 또한, 사이트 등록 확인, 사용자 개인키 암호화, 인증토큰의 생성, 권한 토큰의 복호화, 전자서명 데이터의 생성, 전자서명 데이터의 확인 등 TA(122)의 동작에 필요한 특징값, 공인인증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의 주요 개인정보도 SW(120)에 저장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개인정보 DB(121)를 일반 운영체제가 동작하는 일반영역과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보안영역에 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SW(120) 전체를 보안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TEE 에이전트(113)는 인증을 수행할 때에 모바일 단말(1) 외부의 관리서버(2)의 관리 및 제어를 받을 수 있다. 관리서버(2)는 암호화 모듈(210)과, 복호화 및 검증모듈(220), 및 디지털 키 정보와 제한설정 값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DB(230)을 구비하고 있어서, 모바일 단말(1)의 TEE 에이전트(113)와 함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암호화 모듈(210)은 생성된 권한토큰을 비롯해 디지털 키와 제한설정 값을 암호화한다. 복호화 및 검증 모듈(220)은 로그인 서비스를 위한 인증토큰 및 암호화되어 전달된 디지털 키와 제한설정 값을 복호화하고, 전자서명 서비스를 위한 전자서명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검증한다.
차량 디바이스(3)는 차량 도어를 가지며, 차량 도어는 모바일 단말(1)의 디지털 키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바이스(3)는 인증 제어기(300)를 포함하며, 텔레메틱스 제어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제어기(300)는 모바일 단말(1)의 접근에 따라 모바일 단말(1)을 인식하고 인식된 모바일 단말(1)로부터 암호화를 위한 공개 키를 수신한 후 수신된 공개 키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암호화한다. 그리고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면 이를 복호화하여 저장한다. 인증 제어기(300)는 모바일 단말(1)로부터 무선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거치용 무선 충전 패드 형태일 수 있다.
텔레메틱스 제어기(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2)와 직접 연결되어 관리서버(2)로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2)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한다. 텔레메틱스는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한 차량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키 등록단계(S410) 및 디지털 키 사용 단계(S4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키 등록단계(S410)에서, 모바일 단말(1)이 전용 앱을 통해 차량 디바이스(3)의 디지털 키 등록을 관리서버(2)에 요청하면, 관리서버(2)에서 사용자 본인인증을 거친 뒤 모바일 단말(1)의 전용 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의 일반영역과는 분리된 보안영역에 단말용 디지털 키를 저장한다. 사용자 본인인증은 SMS, 비대면, 공인인증, 아이핀 등이 있다.
차량 디바이스 디지털 키 사용 단계(S420)에서, 모바일 단말(1)이 차량에 접근하면 모바일 단말(1)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인증토큰을 생성하고 이를 차량 디바이스(3)에 전달한다. 그러면, 차량 디바이스(3)가 미리 저장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동작시켜 인증토큰을 검증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킨다.
차량 디바이스(3)에는 보안모듈이 탑재된 암복호화용 칩이 부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차량 디바이스(3)에는 보안모듈을 포함하고 소형 CPU를 비롯해 메모리가 부착된 형태의 칩을 통해 암복호화를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 키 등록단계(S410)에 적용된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RSA 1024 및 2048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차량 디바이스 디지털 키 사용 단계(S420) 및 후술하는 공유 단말에서 사용되는 대칭 키 암호화 방식은 AES128,256, SEED256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인증토큰은 시간정보가 있는 경우와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방법 중 카운트 증가방식을 적용하여 마스터 단말, 후술하는 공유 단말 및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에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키 등록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는 차량 디바이스(3)가 텔레메틱스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모바일 단말(1)이 차량 디바이스(3) 및 관리서버(2)의 게이트웨이(G/W)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이 차량 디바이스(3)를 중계하여 관리서버(2)의 인증을 통한 차량용 디지털 키 등록을 처리해 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은 전용 앱을 실행하여 관리서버(2)에 로그인한다(S500). 이때, ID/PW, 이메일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관리서버(2)는 로그인 완료 후, 소유 차량정보를 조회한다(S502). 이때, 소유 차량정보가 없는 경우, 차량 실소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인증, 차량 등록증 사진 전달 등의 과정이 요구된다. 이후, 관리서버(2)는 서버 공개 키 및 서버 개인 키를 생성(S502)하고, 디지털 키 미등록 차량정보와 서버 공개 키를 모바일 단말(1)에 전송한다(S504).
모바일 단말(1)은 일반영역을 통해 차량정보를 확인 후 등록을 선택한다(S506). 그리고 모바일 단말(1)의 보안영역에 단말 공개 키를 요청하면서 서버 공개 키를 함께 전달한다(S508). 모바일 단말(1)의 보안영역은 단말용 비대칭 키를 생성하고 서버 공개 키를 저장한다(S510). 이때, 모바일 단말(1)의 보안 운영체제에서 모바일 단말(1)의 기기 ID를 사용하여 개인 키와 공개 키로 쌍을 이루는 단말용 비대칭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1)은 보안영역에서 일반영역으로 단말 공개 키를 전송(S512)하고, 모바일 단말(1)은 일반영역에서 단말 공개 키를 차량 디바이스(3)에 전달하면서 차량정보를 요청한다(S514).
차량 디바이스(3)는 모바일 단말(1)로부터 수신된 단말 공개 키로 차량정보를 암호화한다(S516). 차량정보는 VIN(차대번호), 인증 제어기 정보, 차량 공개 키 등을 포함한다. 차량 디바이스(3)는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모바일 단말(1)에 전송(S518)하고, 모바일 단말(1)은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일반영역에서 보안영역으로 이동시킨다(S520). 모바일 단말(1)은 보안영역에서 단말 개인 키로 차량정보를 복호화한 후, 차량정보 및 단말정보를 서버 공개 키로 암호화(S522)하고, 암호화된 차량정보 및 단말정보를 일반영역으로 전송한다(S524).
모바일 단말(1)은 일반영역의 암호화된 차량정보 및 단말정보를 관리서버(2)에 전송(S526)하고, 관리서버(2)는 서버 개인 키로 차량정보 및 단말정보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정보를 저장한다(S528). 이어서, 관리서버(2)는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차량 디바이스(3) 및 모바일 단말(1)에서 각각 전달된 공개 키로 디지털 키를 암호화한다(S530). 예를 들어, 차량정보 내 차량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암호화함에 따라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단말정보 내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암호화함에 따라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생성한다. 관리서버(2)는 암호화된 차량용 및 단말용 디지털 키를 모바일 단말(1)에 전송(S532)하고, 모바일 단말(1)은 단말 공개 키로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보안영역으로 전달(S534)하고, 보안영역에서 단말 개인 키로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복호화하여 저장한다(S536).
한편, 모바일 단말(1)은 차량 공개 키로 암호화된 차량용 키를 차량 디바이스(3)에 전송(S538)하고, 차량 디바이스(3)는 차량 개인 키로 차량용 키를 복호화한 후 저장(S540)하고, 등록 완료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에 전송한다(S542). 그러면, 모바일 단말(1)은 등록 완료 메시지를 관리서버(2)에 전송한다(S54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 시에는 차량 디바이스(1)가 직접 관리서버(2)에 접속하여 관리서버(2)의 인증을 통해 디지털 키를 등록 처리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은 전용 앱을 실행하여 관리서버(2)에 로그인한다(S600). 이때, ID/PW, 이메일 등을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관리서버(2)는 로그인 완료 후, 소유 차량정보를 조회한다(S602). 이때, 소유 차량정보가 없는 경우, 차량 실소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인증, 차량 등록증 사진 전달 등의 과정이 요구된다. 이후, 관리서버(2)는 서버 공개 키 및 서버 개인 키를 생성(S602)하고, 디지털 키 미등록 차량정보와 서버 공개 키를 모바일 단말(1)에 전송한다(S604).
모바일 단말(1)은 일반영역을 통해 차량정보를 확인 후 등록을 선택한다(S606). 그리고 모바일 단말(1)의 보안영역에 단말 공개 키를 요청하면서 서버 공개 키를 함께 전달한다(S608). 모바일 단말(1)의 보안영역은 단말용 비대칭 키를 생성하고 단말정보를 서버 공개 키로 암호화한다(S610). 이때, 모바일 단말(1)의 보안 운영체제에서 모바일 단말(1)의 기기 ID를 사용하여 개인 키와 공개 키로 쌍을 이루는 단말용 비대칭 키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정보는 단말 공개 키를 포함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1)은 보안영역에서 일반영역으로 서버 공개 키로 암호화된 단말정보를 전송(S612)하고, 단말정보를 관리서버(2)에 전달한다(S614). 관리서버(2)는 서버 개인 키로 단말정보를 복호화한다(S616).
한편, 모바일 단말(1)은 차량 디바이스(3)에 등록을 요청하면서 서버 공개 키를 함께 전송(S618)하고, 차량 디바이스(3)는 서버 공개 키로 차량정보를 암호화한다(S620). 차량정보는 VIN(차대번호), 인증 제어기 정보, 차량 공개 키 등을 포함한다. 차량 디바이스(3)는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2)에 전송(S622)하고, 관리서버(2)는 서버 개인 키로 차량정보를 복호화한다(S624).
이어서, 관리서버(2)는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차량 디바이스(3) 및 모바일 단말(1)에서 각각 전달된 공개 키로 디지털 키를 암호화한다(S626). 예를 들어, 차량정보 내 차량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암호화함에 따라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단말정보 내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암호화함에 따라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생성한다. 관리서버(2)는 단말 공개 키로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모바일 단말(1)에 전송한다(S628). 모바일 단말(1)은 단말 공개 키로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보안영역으로 전달(S630)하고, 보안영역에서 단말 개인 키로 단말용 디지털 키를 복호화하여 저장(S632)한 후 등록 완료 메시지를 관리서버(2)에 전달한다(S634).
이어서, 관리서버(2)는 차량 공개 키로 암호화된 차량용 키를 차량 디바이스(3)에 전송한다(S636). 차량 디바이스(3)는 차량 개인 키로 차량용 키를 복호화한 후 저장(S636)하고, 등록 완료 메시지를 관리서버(2)에 전송한다(S63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에 사용자의 소유 차량정보가 없는 경우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은 회원 가입하고 전용 앱을 설치 후 실행한다(S710). 그리고 관리서버(2)에 모바일 단말(1)에 접속하여 등록을 요청한다(S720). 이때, 관리서버(2)는 소유 차량정보를 조회(S730)하고, 관리서버(2)에 사용자의 소유 차량정보가 없는 경우, 모바일 단말(1)에 소유 차량정보 등록을 요청하고 모바일 단말(1)은 등록 처리한다(S740).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은 이메일, 자동차 등록증 사진 전송, VIN(차대번호) 입력 등을 통해 소유 차량정보를 등록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를 이용한 차량 도어 잠금 해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량 도어를 잠금 해제하는 방법은, 인증토큰 생성 단계(S820), 인증토큰 전달 단계(S830), 인증토큰 검증단계(S840), 검증 성공 시 도어 잠금 해제 단계(S850) 및 모바일 단말 화면표시 단계(S8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토큰 생성 단계(S820)는, 모바일 단말(1)이 차량 디바이스(3)에 접근하거나 태깅(S810)하면, 모바일 단말(1)의 전용 앱이 실행되면서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가 인증토큰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인증토큰 전달 단계(S830)는, 모바일 단말(1)의 공유 앱을 통해 보안 운영체제에서 생성된 암호화된 인증토큰이 차량 디바이스(3)에 무선통신방식으로 전달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인증토큰 검증 단계(S840)는, 차량 디바이스(3)에 저장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1)로부터 전달된 인증토콘을 검증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어 잠금 해제 단계(S850)는, 차량 디바이스(3)의 인증토큰 검증결과 인증토큰에 대한 검증이 성공하면 차량 디바이스(3)의 도어가 잠금 해제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화면표시 단계(S870)는, 차량 디바이스(3)가 모바일 단말(1)에 검증결과를 전달(S860)하고, 모바일 단말(1)이 검증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S870)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단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최초 디지털 키 소유주가 사용하는 마스터 단말(1-1)은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에 대한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S910) 받는 방식 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모드에 진입한다. 디지털 키 공유 모드에 진입하면, 마스터 단말(1-1)은 기등록한 본인확인 수단을 이용하여 본인확인을 수행한다(S920). 본인확인 단계(S920)에서, 본인확인 방법은 패턴, PIN, PW, 생체정보(지문, 서명, 홍채, 정맥, 음성, 얼굴 등)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마스터 단말(1-1)은 차량 디바이스(3)에 대한 잠금 해제권한의 제한설정 값을 생성한다(S930). 제한설정 값은 사용 가능 기간, 사용 가능 횟수, 사용 가능 지역 및 재공유 가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마스터 단말(1-1)은 공유자가 사용하는 공유 단말(1-2)을 선택하여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디지털 키를 공유한다(S940). 디지털 키 공유 방법은 대면 공유 방법과 비대면 공유방법이 있다. 대면 공유 방법은 NFC, p2p, 블루투스 페어링 등이 있다. 비대면 공유방법은 SMS 전송, PUSH 요청, 공유 앱 간 원거리 통신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방법은, 관리서버(2)와 연동하여 디지털 키를 공유하거나, 마스터 단말(1-1)에서 공유 단말(1-2)로 디지털 키를 직접 전달하는 공유 방식이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키 공유단계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단계는,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관리서버(2)와 연동하여 디지털 키를 공유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한다(S1000). 이어서,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기저장된 본인확인 수단을 이용하여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002). 예를 들어, PIN, PW, 패턴, 생체인증 등을 이용하여 인증한다. 그리고 마스터 단말(1-1)은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2)에서 아이디 패스워드, 공인인증서, SMS, 비대면, 및 아이핀 중 하나 이상의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004).
다음으로, 마스터 단말(1-1)에서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을 생성한다(S1006). 그리고 디지털 키를 공유할 공유 단말(1-2)을 선택하고(S1008), 디지털 키의 제한설정 값과 공유 단말(1-2)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로 전달한다(S1010) 공유 단말 정보는 전화번호 등 공유자 정보를 포함하며, 패스워드(PW)를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2)는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과 공유 단말(1-2)에 대한 정보를 저장(S1012)하고, 공유 단말(1-2)에 디지털 키 공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14). 예를 들어, PUSH, SMS 등을 통해 공유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이어서, 공유 단말(1-2)은 전용 앱을 설치(S1016)한 이후, 관리서버(2)를 통해 공유 단말(1-2)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확인(S1020)하는 본인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공유 단말(1-2)을 검증한다(S1018). 관리서버(2)로부터 공유 단말(1-2)의 검증이 완료되면, 관리서버(2)는 제한설정 값 및 디지털 키를 암호화(S1022)하여 공유 단말(1-2)에 전송한다(S1024). 공유 단말(1-2)은 보안영역에서 디지털 키와 제한설정 값을 복호화하여 저장한다(S1026).
여기서, 공유 단말(1-2)에 전달되는 디지털 키와 제한설정 값을 암호복호화하는 과정은 공유 단말(1-2)의 본인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유 단말(1-2)의 공개키/개인키를 이용한 암복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단말(1-1)과 공유 단말(1-2) 간 모든 통신구간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보안영역에서만 암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함에 유의한다.
한편, 보안 강화를 위해 마스터 단말(1-1)이 디지털 키에 대한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S1010), 및 패스워드 설정 시 마스터 단말(1-1)이 공유 단말(1-2)에 패스워드를 별도 방법으로 전달하는 단계(S102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별도 방법은 SMS, 직접 전달 방법 등이 있다. 즉, 마스터 단말(1-1)에서 관리서버(2)로 패스워드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 단말(1-2)에 이동통신을 통한 SMS 문자나 근거리 무선통신 등을 통해 패스워드를 직접 전달함으로써 관리서버(2)와의 데이터 통신상에서 패스워드가 해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키 공유단계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한다(S1110). 그리고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기저장된 본인확인 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102). 이어서,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2)에서 아이디 패스워드, 공인인증서, SMS, 비대면, 및 아이핀 중 하나 이상의 본인확인 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104). 그리고 마스터 단말(1-1)에서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을 생성한다(S1006).
다음으로, 공유 단말(1-2)에서 전용 앱을 설치(S1108)한 다음 관리서버(2)를 통해 공유 단말(1-2)에 대한 본인인증 과정(S1110)을 수행하여 공유 단말(1-2)을 검증한다. 공유 단말(1-2)의 검증이 완료되면, 마스터 단말(1-1)이 디지털 키 및 제한설정 값을 보안영역에서 암호화(S1112)하여 공유 단말(1-2)에 무선으로 직접전달(S1114)하고 공유 단말(1-2)의 보안영역에 암호화된 디지털 키와 제한설정 값을 저장한다(S1116). 무선으로 직접 전달하는 방법은 NFC, P2P, WiFi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소유주와 공유주가 동일한 공간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방법이다. 공유 단말(1-2)에 전달되는 디지털 키와 제한설정 값을 암호복호화하는 과정은 공유 단말(1-2)의 본인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공유 단말(1-2)의 공개키, 개인키를 이용한 암복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단말(1-1)과 공유 단말(1-2) 간 모든 통신구간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보안영역에서만 암호화 및 복호화가 가능함에 유의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유 키 삭제 또는 변경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마스터 단말(1-1)은 전용 앱을 통해 공유 단말(1-2)과 공유된 디지털 키를 삭제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1-1)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목록을 확인한다(S1200). 디지털 키 공유목록에 삭제 또는 변경하고자 하는 디지털 키가 있는 경우,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삭제 또는 해제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202). 이어서,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2)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삭제 또는 해제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1204).
이어서, 마스터 단말(1-1)이 공유목록에서 소정의 디지털 키에 대한 삭제 또는 변경 요청신호를 입력(S1206) 받아, 관리서버(2)에 해당 디지털 키의 삭제 또는 변경을 요청한다(S1208). 관리서버(2)는 삭제 또는 변경된 디지털 키를 공유했던 공유 단말(1-2)의 디지털 키를 변경 또는 삭제 처리(S1210)하고, 결과를 공유 단말(1-2)에 제공한다(S1202).
차량 디바이스(3)가 텔레메틱스를 지원하는 경우, 관리서버(2)가 차량 디바이스(3)에 디지털 키의 변경 또는 삭제를 요청함에 따라 차량 디바이스(3)가 디지털 키를 변경 또는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차량 디바이스(3)가 텔레메틱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는, 마스터 단말(1-1) 소유주가 직접 차량에 가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공유 디지털 키 변경해야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등록 절차에 따라 보이는 모바일 단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실행하면 로그인 화면(1310)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로그인을 통해 관리서버(2)에 접속한다. 이때, 마스터 단말(1-1)의 등록 시작 화면(1320)에는 조회된 소유 차량정보가 표시되고, 신규 디지털 키 등록절차가 안내된다. 사용자의 로그인 시에, 관리서버(2)는 소유 차량정보를 조회하고 서버 공개 키 및 개인 키를 생성하며, 조회된 소유 차량정보와 함께 서버 공개 키를 마스터 단말(1-1)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 공개 키는 마스터 단말(1-1)의 보안영역에 저장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디지털 키 등록을 선택하면, 마스터 단말(1-1)의 디지털 키 등록 화면(1330)에는 디지털 키 등록을 위해 마스터 단말(1-1)을 차량 내부의 인증 제어기에 올려놓으라는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 인증 제어기는 마스터 단말(1-1)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형태일 수 있다. 인증 제어기는 무선전력 신호를 마스터 단말(1-1)에 전송하여 마스터 단말(1-1)을 충전시키는 무선 충전 패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터 단말(1-1)을 인증 제어기에 올려놓으면, 인증 제어기는 마스터 단말(1-1)은 마스터 단말 인식 화면(1340)과 등록 중 화면(1350)을 표시한다. 디지털 키 등록 절차는 관리서버(2)가 암호화된 차량 공개 키 및 단말 공개 키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 공개 키를 이용하여 차량용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단말 디지털 키를 생성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1-1)에 단말 디지털 키가 저장되고 차량 디바이스(3)에 차량 디지털 키가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키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 완료화면(1360)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등록된 디지털 키를 사용하는 주 이용 차량으로 지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전용 앱을 켜지 않아도 차량 도어에 태그하여 도어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디지털 키 등록 이후, 서비스 화면(1370)에는 등록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도어 잠금, 도어 잠금 해제뿐만 아니라, 비상경보, 비상경보 해제, 원격 시동, 원격 시동 해제, 트렁크 열림 등의 서비스도 가능하다. 그리고 공유 단말(1-2)과의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키 공유 절차에 따라 보이는 모바일 단말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비스 화면(1410)에서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한다. 디지털 키 메뉴를 선택하면, 키 공유 시 기능 및 시간에 대한 공유 제한설정 화면(1420)이 표시된다. 공유 제한설정 화면(1420)을 통해 사용자는 공유자 정보를 입력하고, 공유기간, 공유 기능 등을 작성할 수 있다. 공유 기능은 디지털 키 출입, 시동, 디지털 키 원격 제어, 스마트 원격 주차 등이 있다.
이어서, 공유 기능 수행을 위한 인증화면(1430, 1440)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복합인증방식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마스터 단말(1-1)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2)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방식은 SMS, PIN, 지문 등이 있다.
키 공유가 완료되면, 공유 완료 화면(1450)에는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공유단말 및 공유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공유자의 디지털 키를 삭제하거나 권한정지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유되는 디지털 키 정보는 근거리 통신 또는 서버를 통해 공유자에 전송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운영체제와 보안 운영체제로 운영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접근 권한 설정이 가능한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의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키의 보안을 확보하면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보안환경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디지털 키를 보안 운영체제에서 복호화하여 저장함으로서 디지털 키를 사용하는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는 디지털 키에 대한 보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를 사용하는 차량 디바이스의 디지털 키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앱을 통하여 잠금 해제권한을 다양한 조건으로 제한할 수 있어 디지털 키를 다른 사용자와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디바이스가 텔레메틱스를 지원하는 경우, 차량 디바이스가 모바일 단말의 중계 없이도 직접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용 디지털 키를 등록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정을 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로부터 디지털 키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비대칭 암호 알고리즘 방식으로 암호화된 디지털 키를 전달받아 모바일 단말의 보안 운영체제에서 복호화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 디지털 키를 전달받더라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를 잠금 해제 시키는 경우에도 인증토큰 암복호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디지털 키의 유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이중으로 본인인증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와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디지털 키를 전달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공유 단말과 무선으로 직접 연결하여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키고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공유 단말에 대한 보안인증과정을 관리서버를 통해 수행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디지털 키를 전달하는 경우에 마스터 단말이 공유 단말에 특정암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유 단말에 디지털 키를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안 운영체제에서 디지털 키를 사용해 인증토큰을 생성시키고 제한설정 값과 함께 암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필요한 보안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키로부터 파생되는 대칭 키를 이용하여 암복호화 과정을 거치는 암호 알고리즘을 구현함으로써 보안성 및 암복호화 처리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가능 기간, 사용 가능 횟수, 사용 가능 지역 및 재배포권한을 포함한 내용으로 디지털 키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함으로써 디지털 키를 분실하더라도 차량 디바이스의 도난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5)

  1. 모바일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한 디지털 키 등록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가 사용자 본인인증을 거쳐 단말용 및 차량용 디지털 키를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이 일반영역과 분리된 보안영역에 단말용 디지털 키를 저장하는 디지털 키 등록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이 차량에 접근 또는 태그하면 보안영역에 저장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이용하여 인증토큰을 생성하고 차량 디바이스가 관리서버로부터 등록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동작시켜 인증토큰을 검증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디지털 키 사용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지털 키 등록 단계는
    모바일 단말이 차량 디바이스를 대신하여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한 차량용 디지털 키 등록을 중계하는,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 및
    차량 디바이스 및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해 각각 자신의 디지털 키를 등록 처리하는,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 기반 중계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는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말 공개 키 및 단말 개인 키를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차량 디바이스에 단말 공개 키를 전달하고, 차량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개인 키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차량정보 및 단말정보를 서버 공개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차량정보에 포함된 차량 공개 키 및 단말정보에 포함된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각각 암호화한 후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 및 단말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차량용 디지털 키는 차량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단말용 디지털 키를 복호화하여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차량 디바이스가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복호화한 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 디바이스 기반 텔레메틱스 지원 모드에서의 디지털 키 등록 단계는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서버 공개 키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단말 공개 키 및 단말 개인 키를 생성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차량 디바이스에 서버 공개 키를 전달하는 단계;
    차량 디바이스가 서버 공개 키로 차량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서버 공개 키로 단말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단말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차량정보에 포함된 차량 공개 키 및 단말정보에 포함된 단말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를 각각 암호화한 후, 차량용 디지털 키는 차량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단말용 디지털 키는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이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단말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한 후 보안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차량 디바이스가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한 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보안영역은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WBC(White Box Cryptography),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및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모바일 보안영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키 소유주가 사용하는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여 본인 확인 및 인증을 거쳐 차량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 해제권한의 제한을 설정하고 공유자가 사용하는 공유 단말과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을 생성하는 단계;
    디지털 키를 공유할 공유 단말을 선택 입력받아 디지털 키의 제한설정 값과 공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에서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과 공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 단말에 디지털 키 공유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받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보안영역에 저장된 디지털 키에 대한 제한설정 값을 생성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이 디지털 키를 공유할 공유 단말에 디지털 키의 제한설정 값과 디지털 키를 공유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공유 단말이 마스터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키를 저장하는 단계; 및
    마스터 단말이 관리서버에 공유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전용 앱을 통해 공유된 디지털 키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디지털 키를 삭제 또는 변경하는 단계는,
    마스터 단말이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 공유목록을 확인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보안영역에 저장된 본인확인수단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1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의 전용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서 본인확인수단을 거치는 복합인증방식으로 도어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한 2차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이 공유목록에서 소정의 디지털 키에 대한 삭제 또는 변경 요청신호를 입력받아 관리서버에 해당 디지털 키의 삭제 또는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가 삭제 또는 변경된 디지털 키를 공유했던 공유 단말의 디지털 키를 변경 또는 삭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은
    차량 디바이스가 텔레메틱스를 지원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차량 디바이스에 디지털 키의 변경 또는 삭제를 요청함에 따라 차량 디바이스가 디지털 키를 변경 또는 삭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11. 차량 디바이스의 도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포함한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를 위해 디지털 키의 등록, 발급 및 폐기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해 단말용 디지털 키를 발급받아 보안영역에 저장하고 디지털 키를 공유 단말과 권한을 제한 설정하여 공유하는 모바일 단말; 및
    관리서버의 인증을 통해 차량용 디지털 키를 발급받아 저장하는 차량 디바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차량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의 접근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인식하고 인식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암호화를 위한 공개 키를 수신한 후 수신된 공개 키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면 이를 복호화하여 저장하는 인증 제어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관리서버로 암호화된 차량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암호화된 차량용 디지털 키를 수신하는 텔레메틱스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인증 제어기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무선 전력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거치용 무선 충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은
    전용 앱을 통해 디지털 키에 대한 공유 메뉴를 선택 입력받으면, 본인 확인 및 인증을 거쳐 차량 디바이스에 대한 잠금 해제권한의 제한을 설정하고 공유 단말과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마스터 단말; 및
    마스터 단말과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공유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마스터 단말은
    공유 단말과 제한설정 값이 반영된 공유용 디지털 키를 공유하는 경우에 관리서버를 경유하여 전달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직접 접속하여 전달하고,
    제한설정 값은 사용 가능 기간, 사용 가능 횟수, 사용 가능 지역 및 재공유 가능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시스템.
KR1020217025976A 2019-04-20 2019-04-20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325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4795 WO2020218627A1 (ko) 2019-04-20 2019-04-20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718A true KR20210110718A (ko) 2021-09-08
KR102325599B1 KR102325599B1 (ko) 2021-11-12

Family

ID=7294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976A KR102325599B1 (ko) 2019-04-20 2019-04-20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330429B2 (ko)
KR (1) KR102325599B1 (ko)
WO (1) WO20202186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2354A (zh) * 2020-12-25 2021-04-1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升级认证方法、装置及智能终端设备
WO2023192206A1 (en) * 2022-03-28 2023-10-0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thod for securely supplying energy to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5937B2 (en) * 2020-04-06 2023-04-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human body weight with vehicle sensors and big data AI analytics
EP4172961A1 (en) * 2020-06-29 2023-05-03 Allink Co., Ltd. Method for unlocking vehicle door using mobile terminal
DE102021109590A1 (de) * 2021-04-16 2022-10-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Vorrichtung, Computerprogramm,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zum Betreiben eines Fahrzeuges
CN113727303A (zh) * 2021-08-31 2021-11-30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电子设备及车辆进入系统
CN114025328B (zh) * 2021-10-29 2023-06-3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车辆验证方法、控制功能实体和车辆
KR102671529B1 (ko) * 2021-11-11 2024-05-31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 인증 시스템
CN114360107B (zh) * 2021-12-24 2024-03-29 惠州市德赛西威智能交通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用于多用户多车辆的智能车钥匙方法及系统
US11891015B2 (en) 2022-04-08 2024-02-06 Apple Inc. Group sharing of a secure digital car key
CN114708681B (zh) * 2022-04-24 2023-11-21 上海润欣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挂锁装置
US11856103B1 (en) * 2022-06-07 2023-12-26 Synchrony Bank Dynamic encryption model
CN114826624B (zh) * 2022-06-28 2022-10-11 宁波均联智行科技股份有限公司 向用户提供车载应用的线上服务的方法及系统
EP4322473A1 (en) * 2022-08-12 2024-02-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user equipment, method for backen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R3140195A1 (fr) * 2022-09-22 2024-03-29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ées de tentative d’enregistrement de dispositifs d’accès main libre pour véhicule
CN115802347A (zh) * 2022-12-06 2023-03-1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车联网终端身份的认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887221B (zh) * 2023-09-07 2023-11-24 上海银基信息安全技术股份有限公司 跨协议数字钥匙分享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109A (ja) * 2010-10-01 2012-04-19 Toyota Motor Corp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757214B1 (ko) * 2017-03-20 2017-07-12 (주)케이스마텍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8944794A (zh) * 2018-06-29 2018-12-07 笠众实业有限公司 智能型车用电子钥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8278D0 (en) * 2000-11-20 2001-01-03 Tao Group Ltd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JP4576767B2 (ja) 2001-07-30 2010-11-10 マツダ株式会社 遠隔解錠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ユーザー端末及び該ユーザー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US9365188B1 (en) * 2011-04-22 2016-06-14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cloud services to assign e-keys to access vehicles
JP5730262B2 (ja) * 2012-10-18 2015-06-0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US9252951B1 (en) * 2014-06-13 2016-02-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ehicle key function control from a mobile phone based on radio frequency link from phone to vehicle
KR20160049293A (ko) * 2014-10-27 2016-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 무선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비상 시동 방법
US10437977B2 (en) 2015-10-13 2019-10-08 Etas Embedded Systems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key sharing for access control
JP6820351B2 (ja) * 2016-01-25 2021-01-2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非ネーティブクレデンシャル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を使用したトランザクションの実行
US10647294B2 (en) * 2016-08-31 2020-05-12 Faraday & Future Inc. Remotely granting vehicle permissions
US20180326947A1 (en) * 2017-05-15 2018-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perating a key fob in a car sharing system
JP6676597B2 (ja) * 2017-10-10 2020-04-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JP6885304B2 (ja) * 2017-11-13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鍵情報共有システム、配信装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9109A (ja) * 2010-10-01 2012-04-19 Toyota Motor Corp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1757214B1 (ko) * 2017-03-20 2017-07-12 (주)케이스마텍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8944794A (zh) * 2018-06-29 2018-12-07 笠众实业有限公司 智能型车用电子钥匙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2354A (zh) * 2020-12-25 2021-04-1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升级认证方法、装置及智能终端设备
CN112672354B (zh) * 2020-12-25 2022-02-0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升级认证方法、装置及智能终端设备
WO2023192206A1 (en) * 2022-03-28 2023-10-0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Method for securely supplying energy to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0429B2 (en) 2022-05-10
US11968525B2 (en) 2024-04-23
WO2020218627A1 (ko) 2020-10-29
US20220191692A1 (en) 2022-06-16
KR102325599B1 (ko) 2021-11-12
US20210168602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599B1 (ko) 차량용 디지털 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80880B1 (ko)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009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키 관리 방법
CN107021065B (zh) 使用用户终端控制车辆的装置和方法
US1157898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program
KR102626319B1 (ko) 디지털 키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WO2018040640A1 (zh) 虚拟钥匙的授权方法、服务器及授权系统
CN111868726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数字钥匙供应方法
KR101757214B1 (ko)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24838B1 (ko) 스마트 키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출입관리시스템
KR102109981B1 (ko) 이기종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보안환경 기반의 호텔용 스마트 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호텔용 스마트 키 관리시스템
KR101873828B1 (ko) 신뢰된 실행 환경 기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무선 도어키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8313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1617707B1 (ko) 자물쇠 시스템의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시스템
KR102112975B1 (ko) 하이브리드 보안환경 기반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출입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출입관리시스템
JPWO2016035466A1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通信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934785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KR20150081387A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5942910B2 (ja) キー認証システム、キー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070663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现场认证方法和现场认证系统
KR2019009202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JP2017133286A (ja) 電子錠システム
JP2021149400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184834A (ja) リモート認証システム
KR101778554B1 (ko) 정보 접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