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2023A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2023A
KR20190092023A KR1020180011303A KR20180011303A KR20190092023A KR 20190092023 A KR20190092023 A KR 20190092023A KR 1020180011303 A KR1020180011303 A KR 1020180011303A KR 20180011303 A KR20180011303 A KR 20180011303A KR 20190092023 A KR20190092023 A KR 2019009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irtual key
us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형
노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비씨
Priority to KR1020180011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2023A/ko
Publication of KR2019009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적 키를 전달하지 않고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통신모듈을 장착하지 않고,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암호화된 정보를 차량의 장치에서 해독하여 사전에 약속된 정보를 비교, 확인하는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상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휴대단말기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수신부와;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부착되고, 터치 센서가 내장된 입력 패드와;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 및 입력 패드에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락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정보가 사전에 약속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적으로 인증이 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Virtual key authentication method using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용자의 휴대단말기를 활용한 차량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별도의 통신모듈을 장착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을 위한 것이다.
IT 기술발전과 더불어 자동차 키는 열쇠를 돌려 문을 열고 닫는 기계식 키에서 원격에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리모컨 키, 키 뭉치를 갖고만 있어도 문 잠김을 해제할 수 있고 버튼을 눌러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키로 발전하게 되었다. 하지만, 자동차 키는 형태가 바뀌고 편의성 기능이 개선되었을 뿐 무엇인가를 휴대하여야 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은 변하지 않았다.
이에 물리적 키를 휴대하지 않아도 서버상에서 인증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의 가상키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가상키 시스템은 중앙관제센터 서버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차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대형 시스템 구축과 개별차량에 통신모듈 장착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소는 모바일 가상키 생성이 필요한 상황 즉 개인 간 혹인 소규모 비영리 카셰어링을 확산하는데 장애요소를 작용하고 있으며 일부 대형사업자만을 위한 가상키 시장과 이를 사용하는 무인렌터카 및 카셰어링 시장이 형성되어 개인용, 비사업용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을 실현하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마스터 스마트폰 또는 PC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가상키 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SNS 텍스트 형태로 전송하고 이 정보를 갖고 차량에 접근하면 장치에서 암호를 해독하여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전에 서버에서 차량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없이 스마트폰 또는 PC를 통해 간편하게 가상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상 키를 이용한 차량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휴대단말기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블루투스 칩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부착되고, 터치 센서가 내장된 입력 패드와;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 및 입력 패드에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도어 제어방법에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 내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수신부의 수신범위에 근접하여 SNS를 통해 수신된 암호화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장치에 전달하면 장치에서는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여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맞으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 스마트폰 또는 PC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SNS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사용시간, 인적 사항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상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차량에 별도의 통신모듈을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의 휴대단말기 또는 PC를 통하여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통해 직접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통신 난청 지역 등이 없고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다.
휴대단말기를 분실하거나, 고장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여도 별도의 비밀번호를 수동입력 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고 차량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물리적 차 키, 카드를 휴대하지 않아 분실 및 훼손의 위험이 없다.
가상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용량 서버의 운용, 관리를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이 소요되었으나 휴대단말기 또는 PC를 통해 가상키를 생성 전달함으로써 누구나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수있다..
지역별, 국가별 통신 프로토콜에 영향을 받지 않아 어디서나 간단하게 카셰어링 플랫폼을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키 사용을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패드의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 작동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키 사용순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패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 작동 순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상키를 생성 전달하는 마스터 단말기(20)와, 식별 인자(25)와, 수신부(30)와, 입력 패드(40)와, 입력된 비밀번호와 수신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판단, 제어하는 제어부(50)와, 이를 통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차량을 이용하기 위하여 마스터 단말기(20)로부터 가상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블루투스 칩이 내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창이 있어 상기 수신부(30) 등록정보와 차량의 인증정보(비밀번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수신부(30)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10) 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카쉐어링을 위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를 갖고 차량에 접근하여 통신 가능한 범위에서 상기 수신부(30)를 검색하여 마스터 단말기에서 전송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마스터 단말기(20)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는 현재 사용자 정보(비밀번호, 사용자 시간, 인적 사항 등)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텍스트 파일 형태로 다양한 SNS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카톡, 문자전송, 페이스북 등 문자를 암호화시켜 보내는 방식이면 가능하다.
사용자는 마스터 단말기(20)에서 전송받은 문자를 직접 카피하거나, 혹은 자동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국외는 지역에 따라 SNS 사용 방법이 다를 수 있어 가장 확실한 방법은 텍스트로 가상키 정보를 전송받아 복사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붙이는 방법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수신부(30)에 연결되어 암호화된 정보를 해독하여 사전에 약속한 정보내용이 맞으면 상기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블루투스 특성에 따라 정해진 시간 내에서는 1:1 사용만 허용되므로 시간을 달리 사용하면 사용자 수에 관계없이 확장할수있다..
사용시간은 인증정보에 포함되어 있어 인증시간이 허용되는 시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연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인증 키를 부여받아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차량에 전송한다. 상기 입력 패드(40)는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부착되고, 터치 센서(12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입력 패드(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터치 센서(120)의 상부에 숫자키(100)와 기능키(110)가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치 센서(120)는 8채널 센서를 사용하여 1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숫자키(100)에는 해당하는 번호에 LED(130)가 배치되어 있어 해당 번호가 입력될 때 이에 대응되는 LED(130)가 점등되어 입력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 패드(40)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확인되면 이후 카쉐어링 사용 시간 단축키를 통해 문 열림, 문 닫힘을 제어한다. 즉 특정 키를 터치하면 문이 열리고, 특정 키를 터치하면 문이 닫힘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순서도 이다.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10)를 차량의 수신부(30)에 근접하여 암호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휴대 단말기(10)에는 암호화 정보로 사용자의 비밀번호, 사용시간, 사용자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사용자 휴대 단말기(10)에서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사전 약속된 방법으로 암호를 해독하여 진위를 판단하여 도어락 해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가상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마스터 단말기, 25: 식별인자, 30: 수신부, 40: 입력패드, 50: 제어부, 60: 도어락

Claims (5)

  1. 무선통신 기능이 내장된 휴대단말기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블루투스 칩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기와; 차량의 유리창 내측에 부착되고, 터치 센서가 내장된 입력 패드와; 상기 블루투스수신기 및 입력 패드에 연결되어 차량의 도어 및 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상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 정보를 차량의 블루투스 수신부에 전송하고 암호화 정보를 해독하여 사전에 약속한 내용이 일치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통신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입력 패드에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인증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에 명시된 사용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자가 추가사용을 요청하여 추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잠그거나, 시동을 끈 상황에서는 도어락이 잠금 상태로 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카셰어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가상키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SNS를 통해 암호화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복사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 붙여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은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으로 대체되어 와이파이 등으로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1020180011303A 2018-01-30 2018-01-30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KR20190092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03A KR20190092023A (ko) 2018-01-30 2018-01-30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303A KR20190092023A (ko) 2018-01-30 2018-01-30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023A true KR20190092023A (ko) 2019-08-07

Family

ID=6762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03A KR20190092023A (ko) 2018-01-30 2018-01-30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20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3332A (zh) * 2019-10-22 2020-02-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蓝牙钥匙功能的车辆下线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2330869A (zh) * 2020-10-21 2021-02-05 广东省安心加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门禁的开门控制方法及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3332A (zh) * 2019-10-22 2020-02-2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蓝牙钥匙功能的车辆下线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0853332B (zh) * 2019-10-22 2021-08-3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蓝牙钥匙功能的车辆下线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2330869A (zh) * 2020-10-21 2021-02-05 广东省安心加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门禁的开门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429B2 (en) Vehicle digital key shar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AU2019344067B2 (en) Wireless access credential system
KR102540090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키 관리 방법
US9718440B2 (en) Electronic key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ntrolling lock system and transmitting control authentication of lock system, system therefor, and method therefor
WO2019007252A1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
CN105122769A (zh) 用于在安全单元的安全域中创建简档的方法
CN105684483A (zh) 注册表装置、代理设备、应用提供装置以及相应的方法
CN111868726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的数字钥匙供应方法
KR102301742B1 (ko) 키패드 없는 스마트 도어락 키 등록 및 사용방법과 그 출입관리 시스템
CN105325021B (zh) 用于远程便携式无线设备认证的方法和装置
JP2018010449A (ja) スマートロックにおけるスマートロック認証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98738A (ko)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CN103793661A (zh) 移动终端设备、信号处理方法、文档存储服务器和文档管理系统
KR101992708B1 (ko) 차량을 제어하는 단말기 및 그의 차량 제어 방법
KR2019009202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가상키 인증방법
KR102490395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70532A (ko) 보안단말기를 이용한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6035466A1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通信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3251814A (ja) 無線通信装置
US20230376721A1 (en) Touchless identity card emulator systems and methods
KR101934785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KR20190084391A (ko) 가상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방법
KR20200022590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장애인 운전차량의 스마트 액세스 시스템
KR102142906B1 (ko) 모바일 보안환경에서의 디지털 키 서비스 시스템
KR10137530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