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226A -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226A
KR20210108226A KR1020200023172A KR20200023172A KR20210108226A KR 20210108226 A KR20210108226 A KR 20210108226A KR 1020200023172 A KR1020200023172 A KR 1020200023172A KR 20200023172 A KR20200023172 A KR 20200023172A KR 20210108226 A KR20210108226 A KR 2021010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ottle
foreign material
beverage
inspecting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799B1 (ko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20002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7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이 소개된다.
이 중에서 음료병 검사장치는 정립 상태의 음료병을 경사지게 이동시켜 음료병 내 이물질을 포집하는 틸팅 컨베이어와, 이물질이 포집된 불순물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이물질 검사 모듈과, 이물질 검사 모듈에서 검사된 불순물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APPARATUS FOR INSPECTING BEVERAGE BOTTL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와 같은 액상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음료병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병은 여러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음료수의 블로우 성형 과정을 통해 음료병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음료병에 라벨을 부착하고, 음료병 내에 음료수를 투입하며, 음료병을 캡으로 락킹할 수 있다.
그런데, 음료병의 블로우 성형시, 음료병에는 가열에 의한 탄 자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음료병에 라벨 부착시, 음료병의 외면에 라벨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을 수 있고, 음료수 내에 이물질이 혼합될 수 있으며, 캡이 음료병에 제대로 락킹되지 않을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9-0081076(2019. 7. 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음료병 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장치는, 정립 상태의 음료병을 경사지게 이동시켜 음료병 내 이물질을 포집하는 틸팅 컨베이어; 이물질이 포집된 불순물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이물질 검사 모듈; 및 상기 이물질 검사 모듈에서 검사된 상기 불순물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료병 검사장치는 상기 음료병의 외부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료병 검사장치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음료병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틸팅 컨베이어를 진동시키는 진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료병 검사장치는 상기 틸팅 컨베이어에 동일 연장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틸팅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음료병을 정립 상태로 이동시키는 사이드 컨베이어; 측부에 이상이 발생된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도록 상기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사이드 검사 모듈;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발생된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도록 상기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라벨 검사 모듈; 및 상기 사이드 검사 모듈 및 상기 라벨 검사 모듈에서 검사된 상기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 이젝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검사 모듈은 상기 음료병 내 불투명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1 이물질 검사기; 및 상기 음료병 내 투명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2 이물질 검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이물질 검사기는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향하는 곡률면을 제공하는 반사 블럭; 상기 투명 이물질이 빛을 사방에서 받아 반사하도록 상기 곡률면에서 열과 행을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 램프; 및 상기 반사 블럭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투명 이물질에서 반사되는 빛을 촬영하여 상기 투명 이물질을 선별하는 검사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틸팅 컨베이어에 나란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에어 지지대; 상기 틸팅 컨베이어를 이동하는 상기 음료병의 외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건; 및 상기 에어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에어 지지대와 상기 에어 건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제공되는 에어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틸팅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진동자; 및 상기 틸팅 컨베이어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자를 구동시키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검사 모듈은 역립 상태의 음료병(V)의 캡 부근에 포집된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3 이물질 검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방법은,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단계; 음료병 내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 음료병 내 포집된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선별된 불순물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음료병 검사방법은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음료병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틸팅 컨베이어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병 검사방법은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 이후, 측부에 이상이 있는 불량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있는 불량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병을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켜, 음료병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음료병의 최하단부로 포집함으로써, 음료병 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병을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틸팅 컨베이어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음료병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음료병의 최하단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조명 램프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음료병 내 투명 이물질이 빛을 사방에서 받아 반사하도록 함으로써, 투명 이물질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부에서, 음료병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반사 블럭의 내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료병 검사장치(10)는, 틸팅 컨베이어(110), 에어 분사유닛(400), 진동유닛(500), 이물질 검사 모듈(200), 사이드 컨베이어(120), 사이드 검사 모듈, 라벨 검사 모듈(800), 이물질 이젝터(310) 및 불량 이젝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 컨베이어(110)는 장치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은 음료병 검사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프레임, 플레이트 또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에는 음료병 검사장치의 주요 구성들, 예를 들어, 틸팅 컨베이어(110), 에어 분사유닛(400), 진동유닛(500), 이물질 검사 모듈(200), 사이드 컨베이어(120), 사이드 검사 모듈(600, 700), 라벨 검사 모듈(800), 이물질 이젝터(310) 및 불량 이젝터(32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틸팅 컨베이어(110)는 음료병(V)의 이동 경로를 경사지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틸팅 컨베이어(110)는 장치 프레임 상에서 소정 각도로 비틀어지게 배치됨으로써, 정립 상태의 음료병(V)은 틸팅 컨베이어(110)를 통해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음료병(V) 내 이물질(M)은 음료병(V)의 최하단부로 포집될 수 있다.
예컨대, 틸팅 컨베이어(110)는 정립 상태의 음료병(V)을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정립 상태로 음료병(V)을 이동시킬 수 있는 음료병(V)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음료병(V)의 이동 경로 상에는 음료병(V)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틸팅 가이드(111)가 마련될 수 있다. 틸팅 가이드(111)는 틸팅 컨베이어(110)와 함께, 정립 상태의 음료병(V)을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정립 상태로 음료병(V)이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료병(V)은 음료의 수용이 가능한 투명한 용기로 이해될 수 있다. 음료병(V)의 내부에는 음료수가 수용될 수 있고, 음료병(V)의 입구부에는 밀폐를 위한 마개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음료병(V)의 외면에는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
에어 분사유닛(400)은 틸팅 컨베이어(110)에서 이동되는 음료병(V)에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음료병(V)의 외부에 묻은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 분사유닛(400)은 에어 지지대(410), 에어 건(420), 에어 튜브(430) 및 에어 공급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분사유닛(400)의 에어 지지대(410)는 틸팅 컨베이어(110)에 나란하도록 장치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지지대(410)에는 복수개의 에어 튜브(430)가 이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지지대(410)는 에어 공급기(440)로부터 공급받은 에어를 에어 튜브(4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건(420)은 에어 튜브(43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틸팅 컨베이어(110)를 이동하는 음료병(V)의 외부를 향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에어 건(420)의 일단은 에어 튜브(430)에 연결되고, 에어 건(420)의 타단은 음료병(V)을 향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병(V)의 외부에 묻은 물기는 에어 건(420)에서 분사되는 에어를 통해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튜브(430)는 에어 지지대(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복수 개의 에어 튜브(430)는 에어 지지대(410)와 에어 건(4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에어 튜브(43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의 튜브일 수 있다.
진동유닛(500)은 틸팅 컨베이어(110)를 진동시킴으로써, 음료병에 포함된 이물질(M)을 음료병(V)의 최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유닛(500)은 진동자(510) 및 진동 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유닛(500)의 진동자(510)는 틸팅 컨베이어(110)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진동자(510)는 틸팅 컨베이어(110)를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진동 모터(5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진동 모터(520)는 틸팅 컨베이어(110)의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진동 모터(520)는 진동자(510)를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진동자(5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진동자(510) 및 진동 모터(520)의 구성은,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통상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모터에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이드 컨베이어(120)는 틸팅 컨베이어(110)로부터 이어지도록 틸팅 컨베이어(11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컨베이어(120)는 틸팅 컨베이어(110)로부터 공급받은 음료병(V)을 정립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이드 컨베이어(120)는 음료병(V)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컨베이어(120)는 틸팅 컨베이어(110)로부터 공급받은 음료병(V)의 양 측부를 지지한 상태로, 음료병(V)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병(V)은 사이드 컨베이어(120)에 의해 양 측부가 지지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사이드 컨베이어(120)에 의해 이동 중인 음료병(V)의 하부는, 이물질 검사 모듈(200)에 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검사 모듈(200)은 음료병(V)의 하부에 대한 이물질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물질 검사 모듈(200)은 이물질(M)이 포함된 불순물 음료병(V)을 선별하도록 음료병(V)의 하부에 포집된 이물질(M)을 검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물질 검사 모듈(200)은 음료병(V) 내 불투명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1 이물질 검사기(210)와, 음료병(V) 내 투명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2 이물질 검사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물질 검사기(210)는 음료병(V) 내 음료수에 포함된 이물질(M) 중에서 불투명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제 1 이물질 검사기(210)는 음료병(V)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판(미도시)과, 조명판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음료병(V)의 측면을 촬영하는 이물질 카메라(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카메라(211)에 의해 촬영된 음료병(V)의 불투명 이물질 존재 여부에 이미지 신호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전송될 수 있다.
제 2 이물질 검사기(220)는 음료병(V)의 하부를 향하는 곡률면을 제공하는 반사 블럭(221)과, 반사 블럭(221)의 곡률면에서 열과 행을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 램프(222)와, 투명 이물질에서 반사되는 빛을 촬영하여 투명 이물질을 선별하는 검사 카메라(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이물질 검사기(220)의 반사 블럭(221)은 음료병(V)이 이동하는 사이드 컨베이어(1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조명 램프(222)는 투명 이물질이 빛을 사방에서 받아 반사하도록 음료병(V)의 하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검사 카메라(223)는 반사 블럭(221)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장치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틸팅 컨베이어(110)을 통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음료병(V)의 최하단부에 포집된 이물질(M)을 제 1 이물질 검사기(210) 및 제 1 이물질 검사기(220)를 통해 검사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음료병(V)은 별도의 회전장치(틸팅 컨베이어 포함)을 통해 역립되도록 180도 회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음료병(V)이 불투명 재질인 경우, 음료병(V)을 소정 각도(일 예로, 30도)로 기울이더라도, 음료병(V)의 최하단부에 포집된 이물질(M)의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음료병(V)을 역립(180도 회전)시키면, 음료병(V)의 캡 부근에 포집된 이물질(M)의 확인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사 모듈(200)은 음료병(V)가 역립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제 3 이물질 검사기(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이물질 검사기(230)는 음료병(V)의 상측에서 빛을 조사하여 백 라이트 효과를 제공하는 제 3 조명판(232)과, 음료병(V)을 사이에 두고 음료병(V)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 이물질 카메라(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이물질 카메라(231)는 역립 상태의 음료병(V) 최하단부, 다시 말해, 음료병(V)의 캡 부근에 포집된 이물질(M)의 음영을 통해 이물질(M)을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음료병(V)은 회전장치(틸팅 컨베이어 포함)에 의해 제 3 이물질 검사기(230)가 설치된 지점에서 역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13)는 사이드 컨베이어(120)에서 배출된 음료병(V)을 안내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13)는 사이드 컨베이어(120)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113)는 상면에 음료병(V)이 놓여져 이동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검사 모듈은 측부에 이상이 있는 불량 음료병(V)이 선별하기 위해, 이송 컨베이어(113) 상에 위치한 음료병(V)의 측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드 검사 모듈은 음료병(V)의 블로우 성형시 탄화된 탄화 물질(탄화 자국 등)을 검사하는 제 1 사이드 검사 모듈(600)과, 음료병(V)의 캡 이상 여부(캡 들뜸 등)를 검사하는 제 2 사이드 검사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검사 모듈 중에서 제 1 사이드 검사 모듈(600)은, 음료병(V)의 측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 1 반사판(620)과, 제 1 반사판(620)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음료병(V)의 측부를 촬영하는 제 1 사이드 검사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반사판(620) 및 제 1 사이드 검사기는 음료병(V)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 사이드 검사기(610) 및 제 1 반사판(620)은, 음료병(V)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이드 검사 모듈(700)은 음료병(V)의 상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 2 반사판(720)과, 제 2 반사판(720)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음료병(V)의 상부를 촬영하는 제 2 사이드 검사기(7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2 사이드 검사기(710) 및 제 2 반사판(720)은, 음료병(V)을 사이에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이드 검사기(710) 및 제 2 반사판(720)은, 음료병(V)을 원 중심에 두고 동일 각도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라벨 검사 모듈(800)은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있는 불량 음료병(V)이 선별하기 위해, 음료병(V)의 외면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음료병(V)의 외면부에 빛을 조사하는 라벨 반사판(820)과, 라벨 반사판(820)에서 조사된 빛을 이용하여 음료병(V)의 외면부를 촬영하는 라벨 검사기(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이젝터(310)는 이물질 검사 모듈(200)에서 검사된 불순물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불량 이젝터(320)는 사이드 검사 모듈 및 라벨 검사 모듈(800)에서 검사된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들 이물질 이젝터(310) 및 불량 이젝터(320)는, 불순물 음료병(V) 또는 불량 음료병(V)을 이송 컨베이어(130)에서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물질 이젝터(310) 및 불량 이젝터(320)는 이송 컨베이어(130)의 일측에 마련되는 배출 가이드(301)와, 컨트롤러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이송 컨베이어(130)를 이동하는 음료병(V) 중에서, 불순물 음료병 또는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배출 가이드(301)로 푸쉬하는 액츄에이터(30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물질 이젝터(310) 및 불량 이젝터(320)는, 배출 가이드(301) 및 액츄에이터(302)로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불순물 음료병 또는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병 검사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음료병 검사장치를 원용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병 검사방법은,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단계(S100)와,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S200)와,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S300)와,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400)와,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와,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단계(S600)와, 불순물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700)와, 불량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단계(S100)는, 정립 상태의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한다.
상기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S200)는,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된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한다. 에어의 분사에 의해, 음료병에 묻은 물기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S300)는, 틸팅 컨베이어를 통해 정립 상태의 음료병을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때, 음료병 내 음료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음료병의 최하단부로 포집될 수 있다.
이물질을 음료병의 최하단부로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S300)는,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된 음료병을 진동시킬 수 있다. 틸팅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된 진동자를 진동시키면, 틸팅 컨베이어의 진동을 통해 음료병은 진동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400)는, 음료병의 하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검사한다. 이때, 음료병 내 불투명 이물질은 제 1 이물질 검사기에 의해 검사될 수 있고, 음료병 내 투명 이물질은 제 2 이물질 검사기에 의해 검사될 수 있다. 음료병 내 불투명 이물질 또는 투명 이물질이 포함된 음료병은, 컨트롤러에 의해 불순물 음료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는, 제 1 사이드 검사 모듈을 통한 음료병의 측부 검사를 통해, 음료병의 블로우 성형시 탄화된 탄화 물질(탄화 자국 등)을 검사한다. 음료병 내 탄화 물질이 포함된 음료병은, 컨트롤러에 의해 불량 음료병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는, 제 2 사이드 검사 모듈을 통한 음료병의 측부 검사를 통해, 음료병의 캡 이상 여부(캡 들뜸 등)를 검사한다. 음료병 내 캡 이상이 발생된 음료병은, 컨트롤러에 의해 불량 음료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단계(S600)는,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있는 음료병을 선별하기 위해,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한다.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발생된 음료병은, 컨트롤러에 의해 불량 음료병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700)는,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400)에서 판별된 불순물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불량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800)는,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S500) 및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단계(S600)에서 판별된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후, 불순물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700) 및 불량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800)에서, 선별되지 아니한 정상적인 음료병은, 이송 컨베이어를 따라 정상적인 경로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병을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켜, 음료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음료병의 최하단부로 포집함으로써, 음료병 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고, 음료병을 경사진 상태로 이동시키는 틸팅 컨베이어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음료병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음료병의 최하단부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조명 램프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음료병 내 투명 이물질이 빛을 사방에서 받아 반사하도록 함으로써, 투명 이물질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1 :장치 프레임 110 :틸팅 컨베이어
120 :사이드 컨베이어 130 :이송 컨베이어
200 :이물질 검사 모듈 210 :제 1 이물질 검사기
220 :제 2 이물질 검사기 310 :이물질 이젝터
400 :에어 분사유닛 410 :에어 지지대
420 :에어 건 430 :에어 튜브
440 :에어 공급기 500 :진동유닛
510 :진동자 520 :진동 모터

Claims (13)

  1. 정립 상태의 음료병을 경사지게 이동시켜 음료병 내 이물질을 포집하는 틸팅 컨베이어;
    이물질이 포집된 불순물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이물질 검사 모듈; 및
    상기 이물질 검사 모듈에서 검사된 상기 불순물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이젝터를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의 외부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음료병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틸팅 컨베이어를 진동시키는 진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컨베이어에 동일 연장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틸팅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음료병을 정립 상태로 이동시키는 사이드 컨베이어;
    측부에 이상이 발생된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도록 상기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사이드 검사 모듈;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발생된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도록 상기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라벨 검사 모듈; 및
    상기 사이드 검사 모듈 및 상기 라벨 검사 모듈에서 검사된 상기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불량 이젝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사 모듈은
    상기 음료병 내 불투명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1 이물질 검사기; 및
    상기 음료병 내 투명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2 이물질 검사기를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물질 검사기는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향하는 곡률면을 제공하는 반사 블럭;
    상기 투명 이물질이 빛을 사방에서 받아 반사하도록 상기 곡률면에서 열과 행을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조명 램프; 및
    상기 반사 블럭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투명 이물질에서 반사되는 빛을 촬영하여 상기 투명 이물질을 선별하는 검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틸팅 컨베이어에 나란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에어 지지대;
    상기 틸팅 컨베이어를 이동하는 상기 음료병의 외부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건; 및
    상기 에어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에어 지지대와 상기 에어 건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제공되는 에어 튜브를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틸팅 컨베이어의 적어도 일측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진동자; 및
    상기 틸팅 컨베이어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자를 구동시키는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검사 모듈은
    역립 상태의 음료병(V)의 캡 부근에 포집된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3 이물질 검사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장치.
  10.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단계;
    음료병 내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
    음료병 내 포집된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선별된 불순물 음료병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 투입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음료병에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을 틸팅 컨베이어에서 경사지게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음료병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틸팅 컨베이어를 진동시키는,
    음료병 검사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병의 하부를 검사하는 단계 이후, 측부에 이상이 있는 불량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음료병의 측부를 검사하는 단계;
    음료의 수위 또는 라벨에 이상이 있는 불량 음료병이 선별되도록 음료병의 외면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불량 음료병을 선별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료병 검사방법.
KR1020200023172A 2020-02-25 2020-02-25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46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72A KR102464799B1 (ko) 2020-02-25 2020-02-25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172A KR102464799B1 (ko) 2020-02-25 2020-02-25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26A true KR20210108226A (ko) 2021-09-02
KR102464799B1 KR102464799B1 (ko) 2022-11-09

Family

ID=7779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172A KR102464799B1 (ko) 2020-02-25 2020-02-25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7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893A (zh) * 2021-10-13 2021-12-31 安庆帝伯格茨缸套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制造的柴油机缸套检测生产线及控制方法
KR102511789B1 (ko) * 2021-12-30 2023-03-20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의약용기 비젼 검사장치
CN117434075A (zh) * 2023-12-05 2024-01-23 安徽凤阳淮河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制品缺陷检测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802A (en) * 1978-09-25 1980-06-24 Gerber Products Company Glass fragment detector
KR20010034905A (ko) * 1998-09-18 2001-04-25 기타지마 요시토시 용기들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09179A (ko) * 2013-07-16 2015-01-26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터널식 용기 세정장치
KR20190081076A (ko) 2017-12-29 2019-07-09 전성배 일회용 음료병 정보 검사 장치
KR20190137304A (ko) * 2018-06-01 2019-12-11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용기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802A (en) * 1978-09-25 1980-06-24 Gerber Products Company Glass fragment detector
KR20010034905A (ko) * 1998-09-18 2001-04-25 기타지마 요시토시 용기들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09179A (ko) * 2013-07-16 2015-01-26 제이케이엔지니어링주식회사 터널식 용기 세정장치
KR20190081076A (ko) 2017-12-29 2019-07-09 전성배 일회용 음료병 정보 검사 장치
KR20190137304A (ko) * 2018-06-01 2019-12-11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용기 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9893A (zh) * 2021-10-13 2021-12-31 安庆帝伯格茨缸套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制造的柴油机缸套检测生产线及控制方法
CN113859893B (zh) * 2021-10-13 2023-01-10 安庆帝伯格茨缸套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制造的柴油机缸套检测生产线及控制方法
KR102511789B1 (ko) * 2021-12-30 2023-03-20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의약용기 비젼 검사장치
CN117434075A (zh) * 2023-12-05 2024-01-23 安徽凤阳淮河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制品缺陷检测系统
CN117434075B (zh) * 2023-12-05 2024-04-19 安徽凤阳淮河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制品缺陷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799B1 (ko)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799B1 (ko) 음료병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A1176340A (en) Glass container sidewall defect detection system
JP5092178B2 (ja) 充填済み容器中の異物を検出するため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4101555B2 (ja) 異物検査装置
KR102413776B1 (ko) 컨테이너 제품들을 점검하기 위한 시험 장치
RU2009122363A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или контроля бутылок или подобных сосудов,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рки бутылок или подобных сосудов
JP2002513463A (ja) 成形容器内の応力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9196856A (ja) 表面検査方法、表面検査装置及びプリズム
KR102112053B1 (ko)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표면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H07155702A (ja) 穀粒色彩選別装置
EP0730147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O-rings
NL8303860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tisch opsporen van radiale, terugkaatsende gebreken.
KR101720008B1 (ko) 제품의 분류 장치
JP2004517319A (ja) びんの光学式検査方法および装置
KR20190137304A (ko) 용기 검사장치
KR100504334B1 (ko)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및 방법
US4442934A (en) Glass container inspection handling system
JP7307520B2 (ja) 環状製品の外観検査装置
EP1494010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heel code of a container
JP2001289790A (ja) 容器の口部検査装置
JP2001264256A (ja) 粉粒体検査装置
JP2012137396A (ja) 異物検出装置
US20220398715A1 (en) Targeted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to automated visual inspection equipment
CN109196338B (zh) 用于检查容器的设备和方法
KR101923719B1 (ko) 바이오 메디컬용 채혈관의 외관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