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446A - 할로겐화 폴리에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할로겐화 폴리에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446A
KR20210106446A KR1020217019033A KR20217019033A KR20210106446A KR 20210106446 A KR20210106446 A KR 20210106446A KR 1020217019033 A KR1020217019033 A KR 1020217019033A KR 20217019033 A KR20217019033 A KR 20217019033A KR 20210106446 A KR20210106446 A KR 20210106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formula
composition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샤라트
Original Assignee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1820989.0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82098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910153.4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910153D0/en
Application filed by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filed Critical 멕시켐 플루어 소시에다드 아노니마 데 카피탈 바리아블레
Publication of KR2021010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 C08G65/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 C08G65/0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08G65/260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containing aliphatic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39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oxygen, nitrogen or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9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3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08Lubricant compositions compatible with refrige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halogen
    • C08G2650/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fluorine, e.g. perfluro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02Well-defined aliphat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4Ethers; Acetals; Ortho-esters; Ortho-carbonates
    • C10M2207/042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3/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3/0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monomer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and oxygen
    • C10M2213/04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monomer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and oxyge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2Viscosity; Viscosity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4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10N2020/099Containing Chlorofluo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9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water
    • C10N2020/097Refrigerants
    • C10N2020/101Containing Hydrofluo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6Oiliness; Film-strength; Anti-wear; Resistance to extrem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0Soluble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ubricants (AREA)
  • Polyether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Ia) 또는 화학식(Ib)에 따른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Figure pct00019

상기 식에서, 각각의 W는 H, F, Cl, Br, I and (CY2)mCY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Y는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Z는 H, OH, (CW2)pCW3, CY3, OCW3, O(CW2)pCW3, OCW((CY2)mCY3)CWCW2, (CW2)pOH,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2 내지 49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9의 정수이며; 평균 분자량(MW)은 ≤5500이고; 그리고 다분산 지수는 ≤1.45이다.

Description

화합물
본 발명은 화합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할로겐화 폴리에테르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전달 부분 및 윤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 부분은 할로겐화 폴리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냉매 및 냉매 혼합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불화 에폭시화물(fluorinated epoxides)의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전에 공개된 문서의 목록이나 논의는 그 문서가 최신 기술의 일부이거나 통상적인 일반 지식이라고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불화탄소계 화합물은 현재 추진제, 발포제, 및 열전달 유체와 같은 다수의 상업 및 산업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신규 냉매가 요구됨에 따라 열전달 유체로서의 불소계 화합물, 특히, (수소화)불화올레핀((hydro)fluoroolefin)에 대한 관심과 사용은 증가되었다.
이염화이불화메탄(냉매 R-12)은 적합한 냉매 특성들의 조합을 가지며, 오랫동안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 냉매였다. 이염화이불화메탄 및 염화이불화메탄과 같은, 전체적으로 및 부분적으로 할로겐화된 염화불화탄소가 지구의 보호 오존층을 손상시키고 있었다는 국제적인 우려로 인해, 이들의 제조 및 사용이 심각하게 제한되어야 하고 결국에는 완전히 중단되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었다. 이염화이불화메탄의 사용은 1990년도에 단계적으로 중단되었다.
염화이불화메탄(R-22)은 이의 보다 낮은 오존 파괴 지수때문에 R-12의 대체물로 도입되었다. R-22는 강력한 온실가스라는 우려에 따라, 이의 사용 역시 단계적으로 중단되고 있다. R-410A 및 (R-407A, R-407B, 및 R-407C를 포함하는) R-407가 R-22의 대체 냉매로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R-22, R-410A, 및 R-407 냉매는 모두 높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 또는 온실 온난화 지수라고도 알려짐)을 보유한다.
1,1,1,2-사불화에탄(냉매 R-134a)이 R-12에 대한 대체 냉매로서 도입되었다. 그러나, 낮은 오존 파괴 지수를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R-134a는 1430의 GWP를 보유한다. 보다 낮은 GWP를 보유하는 R-134a의 대체물을 찾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R-152a(1,1-이불화에탄)가 R-134a의 대안으로서 발견되었다. 이는 R-134보다 약간 더 효율적이고, 120의 온실 온난화 지수를 보유한다. 그러나, R-152a의 가연성은 예컨대, 이동식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에서의 이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에는 너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이의 공기에서의 하한 가연한계는 너무 낮고, 이의 화염 속도는 너무 높으며, 이의 점화 에너지는 너무 낮다.
R-410A는 R-32(이불화메탄) 및 R-125(오불화에탄)이 50중량%/50중량% 비율인 불연성 혼합물이다. 이는 공조 냉매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나, 2107의 GWP를 보유한다. 보다 낮은 GWP를 보유하는 R-410A의 대체물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R-32가 R-410A에 대한 보다 낮은 GWP 대체물로 제안되었으나, 이는 가연성이다. 또한, R-32는 폴리올-에스테르(POE) 냉장 윤활제(refrigeration lubricant)와 배합 시 액-액 불혼화성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R-32는 또한 POE 윤활제에서 R-410A보다 더 높은 용해도를 나타낼 수 있어서, 상기 윤활제 상의 유효점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가 R-410A일 때보다 R-32와 사용 시 보다 높은 점도 등급의 윤활제를 권장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가연성을 감소시키고, 상호 혼화성을 개선시키며/시키거나 윤활제 내 냉매의 허용 가능한 용해도 및 이의 역의 경우도 제공하는 윤활제와 R-32의 배합물을 찾는 것이 바람직했을 것이다.
이산화탄소(R-744)는 고정식 및 이동식 공조 및 냉장 응용 분야를 위한 냉매로서의 사용이 증가에 이르고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폴리알킬렌 글리콜(PAG) 윤활제와 함께 사용된다. 통상적인 PAG 윤활제는 R-744와 광범위한 액체 불혼화성 영역을 나타내서, 이러한 종류의 열전달 조성물을 사용하는 증발기 시스템에서는 열전달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R-744와 개선된 혼화성을 보유하는 윤활제로서, R-744와 이의 배합물이 개선된 열전달 조성물인 윤활제를 발견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PAG 윤활제는 또한 흡습성을 나타내고, R-744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탄산을 생성함으로써 시스템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다. 감소된 흡습성을 갖는 R-744를 포함하는 열전달 조성물을 찾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수소화)불화올레핀, 특히, 사불화프로펜은 다양한 열전달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냉매로서 제안되어 왔다.
열전달 유체는 예컨대, 난방 및 냉장 시스템에서 윤활제와 배합하여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윤활제는 열전달 조성물에 포함되어 열전달 시스템의 연속된 매끄러운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열전달 조성물에 사용된 윤활제는 상기 조성물 내 냉매와 화합되어야 한다. 윤활제와 냉매의 화합성은 다수의 인자들, 예컨대, 작동 온도 범위의 일부에서의 적어도 부분적인 혼화성에 대한 요구, 사용 시 분해되거나 반응할 낮은 경향성, 및 응용 시 적합한 점도에 입각한다.
그러나, 삼불화프로필렌 산화물의 중합 및 중합체에 대한 다수의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된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생성물이 윤활 및 열전달 조성물에서 (수소화)불화올레핀을 포함하는 냉매 및 냉매 혼합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명백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중합체는 분자량이 50,000을 초과하는 매우 끈적거리는 중합체나 고체를 통상적으로 제조한다.
국제공개 WO 2017/098238호는 열전달 부분 및 윤활 부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상기 윤활 부분은 할로겐화 폴리에테르를 포함한다. 국제공개 WO 2017/098238호에 개시된 불화 에폭시화물을 중합하는 방법은 산업용 규모에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냉매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 열전달 유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에 대한 요구가 있다. 상기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5500의 MW 및 ≤1.45의 다분산 지수를 보유하는 윤활제가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열전달 유체, 현재 사용되는 것 및 대체 조성물로 제안된 것 모두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윤활제에 대한 요구가 있다. 특히, 윤활제는 윤활제로서 성공적으로 기능하는 것뿐만 아니라 폭넓은 범위의 열전달 유체와 혼화성이고, 적절한 점도를 보유하며, 열전달 유체의 성능을 감소시키지 않고, 낮은 가연성을 갖는 것이 모두 요구된다.
또한, 위험한 개시제 및/또는 용매에 대한 요구 없이 상기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고/있거나 몇 일에서 몇 시간으로 반응 시간을 감소시키며/시키거나 제조되는 중합체의 특성이 우수하게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
낮은 가연성을 갖는 윤활제는 이동식 공조와 같은 공조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열전달 유체를 위해 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조성물은 엔진의 뜨거운 금속 표면에 접촉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정식 주택용 공조 응용 분야에서는, 공조 장치가 빌딩의 가열로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만약 가연성 냉매가 상기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면 유출된 열전달 조성물이 뜨거운 노(furnace) 표면에 닿을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Ia) 또는 화학식(Ib)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하여 상기 및 다른 결점들을 해결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각각의 W는 H, F, Cl, Br, I, 및 (CY2)mCY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Y는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Z는 H, OH, (CW2)pCW3, CY3, OCW3, O(CW2)pCW3, (CW2)pOH,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2 내지 49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9의 정수이며;
평균 분자량(MW)은 ≤5500이고; 그리고
다분산 지수는 ≤1.45이다.
예컨대, 상기 식에서,
각각의 W는 H,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Y는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Z는 H, OH, (CW2)pCW3, CY3, OCW3, O(CW2)pCW3,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2 내지 49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9의 정수이며;
평균 분자량(MW)은 ≤5500이고; 그리고
다분산 지수는 ≤1.45이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CY2)mCY3는 CF3일 수 있다(즉: m=0이고, 각각의 Y는 F이다).
예컨대, (CY2)mCY3는 CF3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W는 또한 (CY2)mCY3일 수 있다. 특히, 각각의 (CY2)mCY3기는 CF3일 수 있다.
화학식(Ia) 및 (Ib)의 화합물의 실시예는 (CY2)mCY3가 CF3이고, 하나의 W가 CF3이며, 각각의 다른 W기는 H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CY2)mCY3가 CF3이고, 하나 또는 두 개의 W가 F이며, 하나 또는 두 개의 W기는 H인 화합물을 포함한다(예컨대, 두 개의 W기는 H이고, 하나의 W기는 F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각각의 반복 단위가 두 개의 (CY2)mCY3기, 예컨대, 두 개의 CF3기를 함유할 때, 이들은 사슬 또는 백본(backbone) 내 동일한 탄소 원자에 연결되거나 인접한 탄소 원자에 연결될 수 있다.
화학식(Ib)의 화합물은 대안적으로 하기 화학식(Ic)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화학식(Ia), (Ib), 및 (Ic)의 화합물은 ≤4000, 바람직하게는 ≤300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500의 MW를 보유할 수 있다.
화학식(Ia), (Ib), 및 (Ic)의 화합물은 약 1.45, 바람직하게는 약 1.3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25의 다분산 지수를 보유할 수 있다.
Y는 바람직하게는 F 또는 C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는 F이다.
W는 바람직하게는 H, F, 또는 Cl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W는 H이다.
유리하게는, m은 0 내지 3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0이다.
n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9, 예컨대, 5 내지 25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6 내지 20의 정수, 예컨대,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이다.
화학식(I)에 대한 언급은 화학식(Ia), 화학식(Ib), 및/또는 화학식(Ic)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화학식(I)의 일부 화합물에서, Z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및 일부 경우에는 두 개 모두가 H 또는 OH가 아니다.
화학식(I)의 일부 화합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Z 유도체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두 개 모두의 Z 유도체는 폴리알킬렌 글리콜(PAG)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모두의 예시에서,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산화물, 폴리(프로필렌) 산화물,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PAG기는 화학식(I)의 수산기 말단 캡핑기(end-capping group)(즉, Z=OH, Z=(CW2)pOH)와 카복실산으로 말단이 캡핑된(end-capped) PAG와의 사이에서의 에스테르 결합 형성을 통해 화학식(I)의 화합물과 결합될 수 있다.
화학식(I)의 일부 화합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Z 유도체는 불화 PAG(F-PA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PAG는 F3C-로 말단이 캡핑된 PAG 및 수산기로 말단이 캡핑된 PA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F-PAG의 수산기 말단기는 유도체화를 위한 추가적인 범위를 제공할 수 있고, 예컨대,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기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기는 지방족, 방향족, 선형, 측쇄형, 불소 함유, 또는 다른 방법으로 기능화되어 생성물의 특성에 추가적인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적어도 하나의 Z 유도체가 F-PAG를 포함할 때, 화학식(I)의 화합물의 윤활 특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화학식(I)의 일부 화합물에서, Z 유도체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콕시기일 수 있다.
두 개 모두의 Z 유도체는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두 개 모두의 Z 유도체는 다를 수 있다.
p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 2 내지 6, 예컨대, 3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예컨대 40℃에서 약 5 내지 약 250 cP의 점도를 보유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40℃에서 약 15 내지 약 150 cP의 점도를 보유할 수 있다.
화학식(Ia)의 화합물은 화학식(IIa)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3
화학식(Ib)의 화합물은 화학식(IIb)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4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화학식(Ia)의 화합물은 화학식(IIIa)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5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화학식(Ib)의 화합물은 화학식(IIIb)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6
기술자는 상기 화학식들이 오직 대표적인 예시일 뿐이고, 구조적 결함이 중합체 사슬에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조성물은 예컨대, 화학식(I)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 n의 값은 화학식(I)의 적어도 두 개의 화합물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n의 값은 화학식(I)의 적어도 두 개의 화합물에 대해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I)의 화합물은 화학식(Ib)의 화합물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화학식(Ia) 및 (Ib)의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상황에서, 혼합물의 대다수는 화학식(Ib)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혼합물의 5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또는 95중량% 초과가 화학식(Ib)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에폭시화물 전구체의 중합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에폭시화물 전구체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IV)를 보유한다.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CY2)mCY3이고;
R2 H, F, Cl, Br, I, 또는 (CY2)mCY3이며;
R3는 H, F, Cl, Br, I, 또는 (CY2)mCY3이고;
R4 H, F, Cl, Br, I, 또는 (CY2)mCY3이다.
예컨대, 상기 식에서,
R1은 CF3이고;
R2는 H, F, 또는 CF3이며;
R3는 H, F, 또는 CF3이고;
R4는 H 또는 CF3이다.
예컨대, 상기 식에서,
R1은 CF3이고;
R2는 H 또는 F이며;
R3는 H 또는 F이고;
R4는 H 또는 CF3이다.
사용될 수 있는 에폭시화물 전구체의 실시예는 화학식(IV)에 따른 에폭시화물로서, R1은 CF3이고, R2는 H이며, R3는 H이고, R4는 H인 에폭시화물(3,3,3-삼불화프로펜(1243zf)의 에폭시화물); 화학식(IV)에 따른 에폭시화물로서, R1은 CF3이고, R2는 F이며, R3는 H이고, R4는 H인 에폭시화물(2,3,3,3-사불화프로펜(1234yf)의 에폭시화물); 화학식(IV)에 따른 에폭시화물로서, R1은 CF3이고, R2는 H이며, R3는 F이고, R4는 H인 에폭시화물(1,3,3,3-사불화프로펜(1234ze)의 에폭시화물); 화학식(IV)에 따른 에폭시화물로서, R1은 CF3이고, R2는 H이며, R3는 CF3이고, R4는 H인 에폭시화물; 에폭시화물로서, R1은 CF3이고, R2는 H이며, R3는 H이고, R4는 CF3인 에폭시화물(1,1,1,4,4,4-육불화-2-부텐(1336mzz)의 에폭시화물); 및 에폭시화물로서, R1은 CF3이고, R2는 CF3이며, R3는 H이고, R4는 H인 에폭시화물(3,3,3-삼불화-2-(삼불화메틸)-1,2-프로펜산화물(HFIBO)의 에폭시화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화물은 1243zf의 에폭시화물(1,1,1-삼불화-2,3-에폭시프로판)이다.
상기 방법은 염기 및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개시제를 사용하여 에폭시화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기는 I족 또는 II족 금속 수산화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I족 금속 수산화물,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1차 알코올이다. 1차 알코올은 예컨대, C1 내지 C10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다. 1차 알코올은 예컨대, C1 내지 C10 측쇄형 또는 직쇄형 알코올일 수 있다. 1차 알코올은 예컨대, 불화 알코올, 예컨대 C1 내지 C10 불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삼불화에탄올일 수 있다.
에폭시화물의 중합은 용매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중합 반응은 약 0 내지 약 13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중합 반응은 약 100 내지 약 1000.3 kPa, 바람직하게는 약 101 kPa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은 윤활 부분이고, 상기 조성물은 또한 열전달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30℃ 내지 70℃ 사이의 온도 범위 전체에 걸쳐 단일 액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총 조성물 중 윤활 부분의 중량 백분율은 예컨대, 약 1 내지 약 3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일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분은 (수소화)불화올레핀(HFO), 수소화불화탄소(HFC), 염화불화탄소(CFC), 수소화염화불화탄소(HCFC), 과불화알킬 요오드화물, 및 탄화수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부분은 예컨대, 1,1,2,3,3,3-오불화프로펜(R-1225ye), 1,3,3,3-사불화프로펜(R-1234ze), 2,3,3,3-사불화프로펜(R-1234yf), 3,3,3-삼불화프로펜(R-1243zf), 1,1,1,2-사불화에탄(R-134a), 1,1-이불화에탄 (R-152a), 이불화메탄(R-32), 불화에탄(R-161), 오불화에탄(R-125), 1,1,2,2-사불화에탄(R-134), 프로판, 프로필렌, 이산화탄소, 1,1,1,3,3-오불화프로판(R-245fa), 1,1,1,3,3,3-육불화프로판(R-236fa), 1,1,1,2,2-오불화프로판(R-245cb), 1,1,1,2,3,3,3-칠불화프로판(R-227ea), 1,1,1-삼불화에탄(R-143a), n-부탄, 이소-부탄, 및 1,1,1,3,3-오불화부탄(R-365mfc), 1,1,2-삼불화에틸렌(R-1123), 1,1-이불화에틸렌(R-1132a), 삼불화메틸 요오드화물(CF3I), 이산화탄소(R-744), 에탄(R-170), 에틸렌(R-1150), 프로펜(R-1270), 프로판(R-290), 이소부탄(R-600a), n-부탄(R-600), n-펜탄(R-601), 및 이소펜탄(R-601a)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의혹을 피하기 위해, 화합물이 두 개의 배위 이성질체, 예컨대 이중 결합 주위의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 중 하나로 존재할 수 있는 곳에서, 이성질체 지정 없이 상기 용어를 사용하는 것(예컨대, R-1234ze)은 어느 하나의 이성질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열전달 부분은 사불화프로펜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달 부분은 R-1234ze,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달 부분은 R-1234ze(E)를 포함한다.
열전달 조성물은 R-1234yf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조성물은 CF3I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조성물은 R-32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조성물은 R-32 및 R-1234yf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조성물은 R-1132a, R-1123,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과 R-32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조성물은 R-170, R-1150, R-1270. R-290, R-600a, R-600, R-601, 및 R-601a로부터 선택되는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조성물은 R-7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조성물은 폴리알킬렌 글리콜(PAG) 및/또는 폴리올 에스테르(POE)계 윤활제와 배합된 동일한 열전달 부분을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덜 가연성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존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폴리올 에스테르 윤활유와 혼화성일 수 있다.
윤활 부분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열전달 부분과 혼화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산소 대 탄소의 비율로 탄소, 수소, 및 산소를 포함하고, 예컨대, 윤활 부분이 총 중합체 중 약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의 비율로 열전달 부분에 첨가될 때, 혼합물은 하나의 액상을 보유한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의 윤활 부분이 조성물에 존재할 때, 상기 혼합물은 하나의 액상을 보유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열전달 부분 대 윤활 부분의 비율에 상관없이 하나의 액상이다. 상기 용해도 또는 혼화성은 바람직하게는 모든 정상 작동 온도에서 존재한다. 예컨대, 상기 용해도 또는 혼화성은 -100℃ 내지 +100℃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75℃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온도에서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용해도 또는 혼화성은 조성물이 액상인 모든 온도 범위에 걸쳐 존재한다.
편리하게도,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열전달 화합물 또는 열전달 부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전달 화합물 또는 열전달 부분 단독일 때보다 덜 가연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500℃ 이상, 예컨대, 약 510℃, 520℃, 530℃, 540℃, 550℃, 560℃, 570℃, 580℃, 590℃, 바람직하게는 약 600℃ 이상, 예컨대, 약 610℃, 620℃, 630℃, 또는 640℃의 최저 점화 온도를 보유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할로겐화 PAG 또는 폴리에테르 윤활제를 포함하는 열전달 조성물과 비교하여 감소된 흡습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가연성일 수 있다.
가연성은 2004년도 부록(addendum) 34p에 따른 시험 방법론을 갖는 ASTM 표준 E-681를 포함하는 ASHRAE 표준 34에 따라 측정되고, 이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편리하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의 지구 온난화 지수(GWP)는 약 3500, 3000, 2500, 또는 2000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GWP는 약 2500, 2400, 2300, 2200, 2100, 2000, 1900, 1800, 1700, 1600, 또는 1500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GWP는 바람직하게는 1400, 1300, 1200, 1100, 1000, 900, 800, 700, 600, 또는 500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0 또는 거의 0의 오존 파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열전달 유체 단독일 때보다 개선된 열전달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화학식(I)의 화합물은 열전달제로서 추가로 작용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열전달 특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안정화제, 바람직하게는 다이엔계 조성물, 인산염, 페놀 화합물 및 에폭시화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난연제는 삼-(2-염화에틸)-인산염, (염화프로필) 인산염, 삼-(2,3-이브롬화프로필)-인산염, 삼-(1,3-이염화프로필)-인산염, 이암모늄 인산염, 다양한 할로겐화 방향족 화합물, 산화 안티모니, 암모늄 삼수화물, 폴리비닐 염화물, 불화 요오드화탄소, 불화 브롬화탄소, 삼불화 요오드화메탄, 과불화알킬 아민, 브롬화-불화알킬 아민,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내마모성 첨가제, 예컨대, 인산트리크레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약 10 내지 약 90 중량%의 비율,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75 중량%, 예컨대, 약 10, 20, 30, 40, 또는 50 중량%의 비율로 윤활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유하는 열전달 장치 및/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열전달 장치에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열전달 장치는 예컨대, 냉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열전달 장치는 예컨대, 자동차 공조 시스템, 주택용 공조 시스템, 상업용 공조 시스템, 주택용 냉장고 시스템, 주택용 냉동고 시스템, 상업용 냉장고 시스템, 상업용 냉동고 시스템, 냉각기 공조 시스템, 냉각기 냉장 시스템, 및 상업용 또는 주택용 열 펌프 시스템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달 장치는 압축기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물품을 냉각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이후 상기 조성물을 냉각되는 물품의 부근에서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는, 물품을 가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가열되는 물품의 부근에서 응축시키는 단계 및 이후 상기 조성물을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유하는 기계적 발전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계적 발전 장치는 랭킨 사이클(Rankine Cycle) 또는 이의 변형을 사용하여 열로부터 일을 발생시키도록 개조된다.
기존의 열전달 유체를 제거하는 단계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전달 장치를 개조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달 장치는 냉장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달 장치는 공조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의 가연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열전달 부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화학식(I)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열전달 유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열전달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열전달제로서 사용될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화학식(I)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윤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상기 윤활제 조성물은 화학식(I)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 조성물 또는 열전달 조성물에서 화학식(I)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의 사용은 이의 열 및 기계적 안정성, 윤활성, 점도, 유동점, 항산화 및 부식 방지 특성들로 인해 유리하다.
도 1은 참조 오일, Supercool PAG 46(상업용 PAG 냉장 윤활제), 및 실시예 5 - F(F)에 대한 점도-온도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Supercool PAG 46의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이다.
도 3은 실시예 5 - F(F)의 GPC 분석이다.
도 4는 R-1234yf 및 실시예 5-F(F)에 대한 기액 평형 데이터이다.
도 5는 R-1234yf 및 Supercool PAG 46 참조 오일에 대한 기액 평형 데이터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하기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일반적인 방법:
파이렉스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서 알코올(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또는 삼불화에탄올)에 Aliquat 336 2-3 방울과 함께 다량의 염기(예컨대, 85-86% KOH)를 교반 및 냉각하면서 첨가하여 개시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염기가 알코올에 용해되었을 때, 상기 반응 플라스크에 적하 깔때기(dropping funnel) 및 응축기를 장착한 후 에폭시화물 단량체(예컨대, 3,3,3-삼불화-1,2-에폭시프로판)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이후 지정 기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반응 말에 상기 생성물을 최소량의 클로로포름(예컨대, 250 ml)에서 냉각 및 용해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 용액을 산성수(예컨대, 100 ml 물에 4 g의 36% HCl)로 세척한 후 물로만(예컨대, 100 ml) 세 번 세척하였다. 상기 중합체 생성물의 세척된 클로로포름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에서 건조하고, 여과 후 감압에서 증류를 통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중합체 생성물을 분석하였고, 하기와 같이 특징화된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PC를 RI 검출기가 장착된 Shimadzu Prominence LC 시스템에서 300 mm x 75 mm, 5 μm PLgel 100 Å 및 300 mm x 7.5 mm, 5 μm PLgel 500 Å 컬럼으로 연속하여 40℃에서 THF 용리액으로 1.0 ml/분의 속도로 수행하였다. 상기 방법은 1000 내지 10000 사이의 MW를 갖는 폴리(스틸렌) 표준물로 교정하였다.
점도 측정: 점도 측정은 TA Instruments Discovery Hybrid 유동계에서 40 mm 2.008° 콘 플레이트(cone plate) 기하학적 구조를 사용하여 10 rad/s로 -20 내지 70℃ 사이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일련의 중합체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생성물의 각각의 제조 방법 및 핵심적인 특징에 대한 세부 사항은 표 1에 요약된다. 표 1은 또한 참조 실시예: 상업용 냉장 윤활제 Supercool PAG 46의 데이터를 보유한다.
Figure pct00008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참조 실시예(Supercool PAG 46, 상업용 PAG 냉장 윤활제)와 비교할 때 분자량 제어(MW 및 Mn) 및 다분산 지수(PDI)의 상당한 개선을 갖는 중합체가 간단하고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실시예 5 - F(F)의 생성물의 특징은 특히 우수하고, 참조 실시예 및 실시예 5 - F(F)의 점도 측정 및 GPC 결과가 도 1-3에 도시된다.
기액 평형(VLE)
기액 평형 데이터는 온도가 제어되는 금속 블록에 위치한, 내부 부피가 정확하게 공지된 용기로 구성된 고정식 정적 장치에서 측정하였다. 자석 교반 장치를 상기 가열되는 용기 내부에 배치하였다. 일정한 온도로 제어되는 열전달 유체는 상기 블록을 통과하여 상기 용기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도록 하였다. 셀을 진공 처리한 후 각각의 성분의 공지량을 상기 셀에 충전하였다. 상기 셀의 온도를 이후 약 -30℃에서 +70℃로 단계적으로 변화시켰다. 각각의 온도에서, 상기 셀의 온도 및 압력을 연속적으로 기재하고 안정된 상태에 도달했을 때를 기록하였다.
기-액 평형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되는 바, R-1234yf 및 실시예 5 - F(F)의 생성물에 대해 측정하였다. 상기 시스템은 이상적인 양상으로부터 정편차를 나타내고, 미가공 실험 데이터는 연구된 온도 및 조성 범위에 걸쳐서 액-액 불혼화성 영역이 없는 것을 보여준다.
기-액 평형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되는 바, R-1234yf 및 Supercool PAG 46에 대해 측정하였다. 상기 데이터는 R-1234yf 조성이 60 중량%/중량 이상인 혼합물에서 액-액 불혼화성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R-1234yf이 50 중량%/중량 미만인 혼합물에서는 연구된 온도 범위에 걸쳐 불혼화성이 예측되지 않는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 5 - F(F)의 생성물 및 R-1234yf가 모든 비율에서 혼화성인 것을 보여준다. 동일한 혼화성은 상업용 PAG 냉장 윤활제(Supercool PAG 46) 및 R-1234yf에서는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실시예 5 - F(F)의 생성물이 상기 상업용 윤활제보다 더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6
3,3,3-삼불화-2-(삼불화메틸)-1,2-프로펜산화물(HFIBO)를 포함하는 중합:
Figure pct00009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서 삼불화에탄올(1.25 g)에 두 방울의 Aliquat 336과 함께 수산화칼륨(85%, 0.27 g)을 용해하여 개시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든 KOH 알갱이가 용해될 때까지 냉각하면서 교반하였다. 용해가 되자 마자 상기 플라스크를 응축기가 장착된 전열기로 옮겼고, 3,3,3-삼불화-2-(삼불화메틸)-1,2,-프로펜산화물(16.25 g)을 적하 깔대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상기 전열기를 이후 70℃까지 가열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40℃에서 환류시키기 시작하였다. 24시간 동안의 환류 후 점성 중합체가 생성되었고,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60℃였다. 냉각 및 세척 후 상기 중합체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서 용해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19F NMR 분광학을 통해 분석한 결과 (-164.9 ppm에서의 과불화벤젠과 비교하여) -74.28, -75.08, -76.69, 및 -78.79 ppm에서 중합체의 다수의 매우 넓은 신호 특성이 나타났다. 용매의 증발로 인해 점성의 흰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75% TFPO 및 25% HFIBO를 포함하는 중합: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서 삼불화에탄올(1.25 g)에 두 방울의 Aliquat 336과 함께 수산화칼륨(85%, 0.26 g) 을 용해하여 개시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든 KOH 알갱이가 용해될 때까지 냉각하면서 교반하였다. 용해가 되자 마자 상기 플라스크를 전열기로 옮겼고, 3,3,3-삼불화-2-(삼불화메틸)-1,2,-프로펜산화물(5.63 g) 및 TFPO(10.5 g)을 적하 깔대기를 통해 첨가하였다. 상기 전열기를 이후 70℃까지 가열하였고, 상기 혼합물을 40℃에서 환류시키기 시작하였으며, 상기 플라스크는 냉각기가 제공되는 응축기에 장착하였다. 24시간 동안의 환류 후 중합체가 생성되었고, 상기 반응 혼합물의 온도는 65℃였다. 냉각 후 상기 중합체를 세척하여 클로로포름에서 용해를 시도하였고, 상기 층을 이후 세척하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19F NMR 분광학을 통해 분석한 결과 (-164.9 ppm에서의 과불화벤젠과 비교하여) -73.61, -74.14, -75.89, -77.17, 및 -79.32 ppm에서 중합체의 다수의 매우 넓은 신호 특성이 나타났다. 용매의 증발로 인해 회색의 중합체를 수득하였다.
비교 실시예
비교 실시예는 상업용 PAG 냉장 윤활제(Supercool PAG 46) 및 국제공개 WO 2017/098238호의 실시예 1의 방법 및 생성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결과는 표 2에 나타나는 바, 에틸렌 글리콜 또는 삼불화에탄올 및 수산화칼륨의 개시제가 용매 없이 사용될 때 분자량 제어 및 다분산 지수에서 상당한 개선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5 - F(F)의 제조 방법 및 생성물의 개발
개시제 혼합물의 조성을 달리 하여 실시예 5 - F(F)의 생성물의 일련의 변형물을 제조하는데 상기 기재된 절차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개별적인 제조 및 결과의 세부 사항은 표 3에 제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중합체 생성물 내 반복 단위의 수 n는 GPC로 추정되었고, 6-34 정도 범위의 n을 갖는 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중합체의 윤활 특성
상기 방법 및 생성물 개발 실시예로부터의 중합체 생성물의 윤활 특성은 표 4에 나타나는 바, TA Instruments Discovery Hybrid 유동계를 사용하여 회전하는 하나의 볼 베어링과 세 개의 고정 볼 베어링 사이의 마찰 계수를 25℃의 다른 슬라이딩 속도에서 축력(axial force)의 함수로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상기 결과는 완전히 제형화된 상업용 윤활제로서, 상기 제형은 윤활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된 첨가제들을 포함하는 Supercool PAG 46와 동등하게 본 발명의 중합체가 탁월한 윤활제인 것을 입증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Claims (28)

  1. 화학식(Ia) 또는 화학식(Ib)에 따른 화합물;
    Figure pct00018

    상기 식에서,
    각각의 W는 H, F, Cl, Br, I, 및 (CY2)mCY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Y는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Z는 H, OH, (CW2)pCW3, CY3, OCW3, O(CW2)pCW3, OCW((CY2)mCY3)CWCW2, (CW2)pOH,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2 내지 49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9의 정수이며;
    평균 분자량(MW)은 ≤5500이고; 그리고
    다분산 지수는 ≤1.45인,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W는 H,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Y는 F, Cl, Br, 및 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각각의 Z는 H, OH, (CW2)pCW3, CY3, OCW3, O(CW2)pCW3, OCW((CY2)mCY3)CWCW2,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올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2 내지 49의 정수이며;
    m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p는 0 내지 9의 정수이며;
    평균 분자량(MW)은 ≤5500이고; 그리고
    다분산 지수는 ≤1.45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W는 ≤4000, 바람직하게는 ≤300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500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분산 지수는 약 1.40, 바람직하게는 약 1.3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25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는 F 또는 Cl, 바람직하게는 F이고/이거나 W는 H, F, 또는 Cl, 바람직하게는 H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W기는 (CY2)mCY3이고, 두 개의 W기는 H이며, Y는 F이고, m은 0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두 개의 W기는 F이고, 하나 또는 두 개의 W기는 H이며, Y는 F이고, m은 0인,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의 W기는 F이고, 두 개의 W기는 H이며, Y는 F이고, m은 0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산화물) 및 폴리(프로필렌 산화물),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 유도체는 H 또는 OH가 아닌,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 유도체는 불화-PAG(F-PAG)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F-PAG가 F3C-로 말단이 캡핑된(end capped) PAG 및 수산기로 말단이 캡핑된 PAG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은 2 내지 25의 정수이고/이거나 m은 0이고/이거나 p는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예컨대, 3 내지 5인,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40℃에서 약 5 내지 약 250 cP의 점도를 보유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점도는 약 15 내지 150 cP인, 화합물.
  14. 화학식(Ia) 및/또는 (Ib)의 적어도 두 개의 다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화학식(Ia) 및/또는 (Ib)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열전달 부분을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화학식(Ia) 및/또는 (Ib)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조성물 내 중량 백분율은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인, 조성물.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분은 (수소화)불화올레핀(HFO), 수소화불화탄소(HFC), 염화불화탄소(CFC), 수소화염화불화탄소(HCFC), 과불화알킬 요오드화물, 및 탄화수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분은 R-32, R-152a, CF3I, R-1234ze, R-1234yf, R-1132a, R-1123, R-744, R-290, 및/또는 R-600a를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안정화제는 다이엔계 화합물, 인산염, 페놀 화합물 및 에폭시화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 내지 70℃ 사이의 온도 범위 전체에 걸쳐 단일 액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학식(Ia) 및/또는 (Ib)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염기 및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개시제를 사용하는 에폭시화물의 중합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I족 또는 II족 금속 수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1가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또는 삼불화에탄올인,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가 없는 에폭시화물의 중합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약 0 내지 약 13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9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약 100 내지 약 1000.3 kPa, 바람직하게는 약 101 kPa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단계는 3,3,3-삼불화프로펜(1243zf), 2,3,3,3-사불화프로펜(1234yf), 1,3,3,3-사불화프로펜(1234ze), 1,1,1,4,4,4-육불화-2-부텐(1336mzz), 및 육불화이소부틸렌(HFIB) 중 어느 하나의 에폭시화물, 바람직하게는 1243zf의 에폭시화물(1,1,1-삼불화-2,3-에폭시프로판)에 의한 것인,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열전달 장치에의 용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전달 장치는 냉장 장치인 용도.
KR1020217019033A 2018-12-21 2019-12-20 할로겐화 폴리에테르 조성물 KR202101064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20989.0 2018-12-21
GBGB1820989.0A GB201820989D0 (en) 2018-12-21 2018-12-21 Compounds
GB1910153.4 2019-07-16
GBGB1910153.4A GB201910153D0 (en) 2019-07-16 2019-07-16 Compounds
PCT/GB2019/053650 WO2020128504A2 (en) 2018-12-21 2019-12-20 Compou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446A true KR20210106446A (ko) 2021-08-30

Family

ID=6917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033A KR20210106446A (ko) 2018-12-21 2019-12-20 할로겐화 폴리에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603433B2 (ko)
EP (1) EP3898766A2 (ko)
JP (1) JP2022514911A (ko)
KR (1) KR20210106446A (ko)
CN (2) CN117430799A (ko)
MX (1) MX2021007466A (ko)
SG (1) SG11202106404TA (ko)
WO (1) WO2020128504A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569A (en) 1990-11-30 1992-03-31 Allied-Signal Inc. Polyoxyalkylene glycol refrigeration lubricants having pendant, non-terminal perfluoroalkyl groups
JPH0726279A (ja) 1993-07-09 1995-01-27 Japan Energy Corp 冷凍機用潤滑油及びこれを含有する冷凍機用の作動流体
US20040089839A1 (en) 2002-10-25 2004-05-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uorinated alkene refrigerant compositions
WO2007105653A1 (ja) 2006-03-10 2007-09-20 Asahi Glass Co., Ltd. 含フッ素エポキシ化合物の開環重合による含フッ素重合体の製造方法
US9187682B2 (en) * 2011-06-24 2015-11-17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Refrigeration compressor lubricant
GB201521507D0 (en) * 2015-12-07 2016-01-20 Mexichem Fluor Sa De Cv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8504A2 (en) 2020-06-25
EP3898766A2 (en) 2021-10-27
CN117430799A (zh) 2024-01-23
CN113423759A (zh) 2021-09-21
US11603433B2 (en) 2023-03-14
SG11202106404TA (en) 2021-07-29
US11884776B2 (en) 2024-01-30
US20220056206A1 (en) 2022-02-24
JP2022514911A (ja) 2022-02-16
CN113423759B (zh) 2023-12-29
MX2021007466A (es) 2021-08-05
WO2020128504A3 (en) 2020-07-30
US20230151150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1396B2 (en) Heat transfer composition
US11649202B2 (en) Fluorinated esters as lubricants for heat transfer fluids
US9518204B2 (en) HFO refrigera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lidability
US10053644B2 (en) Refrigerator oil, and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refrigerators
KR101654534B1 (ko) 냉동기유, 냉동기용 작동 유체 조성물
JP7235999B1 (ja) フッ素化炭化水素を含む冷媒を含有する摺動性が改善された冷媒組成物、オリゴマー、及びオリゴ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
US11884776B2 (en) Compounds
JP7155001B2 (ja) ポリ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系化合物
JP5681829B1 (ja) 冷凍機油、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5666052B1 (ja) 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