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084A -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084A
KR20210106084A KR1020200020759A KR20200020759A KR20210106084A KR 20210106084 A KR20210106084 A KR 20210106084A KR 1020200020759 A KR1020200020759 A KR 1020200020759A KR 20200020759 A KR20200020759 A KR 20200020759A KR 20210106084 A KR20210106084 A KR 2021010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terminal
ser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섭
이하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084A/ko
Publication of KR2021010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8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calling personnel in a restaurant, e.g. waiter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고 부가서비스정보를 전달받는 주문단말기, 주문확인정보 또는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주문정보를 전송받는 음식점단말기 및 호출정보를 전송받는 호출단말기를 포함하며, 주문의 편의성과 음식주문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Food Order Service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주문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드코트, 커피전문점 또는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식당이나 카페에서 메뉴를 주문하는 경우 메뉴판을 통해 주문할 메뉴를 결정하고, 음식점 서비스직원을 호출하거나 카운터로 직접 가서 구두주문을 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이 메뉴판을 보고 서비스직원을 불러서 음식메뉴를 주문하고, 서비스직원은 카운터에 가서 포스단말기에 주문한 메뉴를 입력하고 주방에 구두로 전달하는 등 음식을 주문하는 과정에서 고객과 서비스직원 모두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거나 해소하고자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었으나, 대체로 음식을 주문하기 위한 고객의 불편함을 개선시켜주면서 서비스 직원의 업무량을 감축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28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을 주문하고자 하는 고객이 간편하게 음식주문을 할 수 있는 음식주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아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며,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부가서비스정보를 전달받는 주문단말기; 상기 주문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지 주문정보인지 판단하고, 상기 주문단말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주문확인정보 또는 상기 호출정보에 대응되는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단말기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하는 음식점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직원이 상기 호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호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단말기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주문에 따른 주문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에 따른 호출정보인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는 제1 정보처리부; 상기 제1 정보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확인정보 또는 상기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제1 정보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확인정보 또는 상기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상기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1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정보 및 상기 호출정보 각각은,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상기 제1 입력부로 입력된 요청시각 및 상기 주문단말기의 고유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문단말기의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중앙통신부; 상기 중앙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문정보가 상기 음식점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중앙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호출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호출정보가 상기 호출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중앙통신부를 제어하는 중앙정보처리부; 및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음식점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중앙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주문정보를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음식점 주문관리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주문확인을 입력받는 제2 입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입력부로 입력된 주문확인에 따라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문확인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전달하는 제2 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호출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중앙통신부로부터 상기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서비스직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3 출력부; 및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호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제3 출력부가 출력하도록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제3 출력부로 전달하는 제3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자단말기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아서 상기 주문서비스 요청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음식주문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은, 음식 주문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가 주문단말기로부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수신하는 A단계; 서버가 상기 A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로 판단되면 호출단말기로 호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주문정보로 판단되면 음식점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음식점단말기가 전송하는 주문확인정보를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CA단계; 및
상기 CA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단말기로 전송하는 DA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정보 및 상기 호출정보 각각에는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상기 제1 입력부로 입력된 요청시각 및 상기 주문단말기의 고유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호출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호출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단말기로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DA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전송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문단말기로 뉴스정보 또는 운세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DA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전송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문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정보 또는 상기 주문확인정보에 대응되는 비용청구정보의 전송을 상기 서버가 요청받으면, 상기 비용청구정보를 상기 주문단말기로 전송하는 F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주문단말기가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을 입력받거나 음식주문서비스직원 호출을 요청하는 호출요청을 입력받는 A1단계; 상기 주문단말기가 상기 A1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음식주문에 따른 주문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에 따른 호출정보인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는 A2단계; 상기 A2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A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은, 고객이 간편하게 주문단말기로 메뉴를 주문하므로 서비스직원의 업무부담을 경감시켜주어 주문된 음식의 제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고객은 음식주문 후 기다리는 동안에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정보를 보면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음식주문의 편의성과 주문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주문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주문단말기로서 고객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주문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 중 일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은 주문단말기(100), 서버(400), 음식점단말기(200) 및 호출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주문단말기(100)는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아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한다. 그리고, 서버(400)로부터 뉴스정보 또는 생활정보를 전달받아서 고객이 뉴스 또는 생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준다.
그리고, 주문단말기(100)는 각 메뉴, 메뉴별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메뉴정보를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아서 고객이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주문단말기(100)는 제1 입력부(110), 제1 정보처리부(120), 제1 통신부(130) 및 제1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주문단말기(100)의 제1 입력부(110)는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제1 입력부(110)로서 키패드 또는 키보드가 있을 수 있다. 제1 입력부(110)는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 이외에도 오늘의 운세 또는 뉴스정보 와 같은 부가서비스정보 제공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입력부(110)으로 입력된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은 제1 정보처리부(120)로 전달된다. 제1 입력부(110)으로 입력된 부가서비스정보 제공요청도 제1 정보처리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정보처리부(120)는 제1 입력부(110)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음식주문에 따른 주문정보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에 따른 호출정보인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한다.
즉, 주문서비스요청정보는 주문정보 또는 호출정보를 총칭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정보와 호출정보 각각은,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제1 입력부(110)로 입력된 요청시각 및 주문단말기의 고유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정보처리부(120)가 제1 입력부(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식주문 또는 호출정보에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제1 입력부(110)로 입력된 요청시각 및 주문단말기(100)의 고유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키면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한다.
제1 정보처리부(120)에서 형성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는 서버(400)을 통해 음식점단말기(200) 또는 호출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제1 통신부(130)로 전달된다. 제1 통신부(130)는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1 입력부(110)을 통해 입력된 부가서비스정보 제공요청도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1 통신부(130)에서 서버(400)의 중앙통신부(4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부가서비스정보 제공요청을 전송받은 서버(400)는 주문단말기(100)로 부가서비스정보 제공요청에 따라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부가서비스정보를 수신한 주문단말기(100)는 제1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1 출력부(14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는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400)로부터 주문확인정보 또는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주문확인정보는 주문정보를 전송받은 음식점단말기(200)로부터 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확인하여 주는 정보이다. 주문확인정보가 서버(400)를 거처 제1 통신부(130)로 수신되면,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1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며, 고객은 제1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주문확인정보를 보고 음식주문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요청완료안내정보는 호출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호출단말기(300)로 호출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이다. 요청완료안내정보는 서버(400)가 호출정보를 호출단말기(300)으로 전송이 이루어진 후에 서버(400)로부터 주문단말기(100)로 전송된다.
이외에도 제1 통신부(130)는 서버(400)의 중앙통신부(43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1 출력부(1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주문확인정보 또는 요청완료안내정보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러한 제1 출력부(140)의 예로서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를 들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도 제1 출력부(140)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명한 주문단말기(100)의 예시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 2를 더 참조하여 주문단말기(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주문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 2를 더 참조하면, 주문단말기(100)에는 사용자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기 위하여 제1 입력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출력부(140)로서, 한글로 표시가능한 OLED 디스플레이부(14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통신부(130) 및 제1 정보처리부(120)는 주문단말기(100)에 내재되어 있으므로 도 2에서는 생략되었다.
제1 입력부(110)에서, 메뉴 주문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키패드가 마련되어 있다. 테이블에 비치된 메뉴판의 각 메뉴마다 각기 고유의 메뉴번호가 있고, 고객이 메뉴번호를 간단히 키패드를 통해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메뉴주문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입력부(110)에는 감지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메뉴판의 메뉴마다 접촉센서가 내재되어 있고, 이 접촉센서에 근접 또는 접촉되면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메뉴를 입력받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제1 입력부(110)의 직원call 버튼을 터치하면,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입력된다.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제1 입력부(110)에 입력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출시각과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또는 주문단말기의 고유ID를 포함하는 호출정보인 주문서비스 요청정보가 형성되어 서버(400)로 전송되고, 호출정보가 호출단말기로 전송되어 서비스직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된다. 예를 들어 호출단말기(300)에 ' 6번테이블에서 호출이 접수되었습니다. ' 와 같은 호출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카트(cart)조회 버튼을 터치하면 주문된 메뉴의 현황이 OLED 디스플레이부(142)로 표시된다. 그리고 카트(cart)삭제버튼을 터치하여 카트에 저장된 주문메뉴 일부 또는 전체가 삭제될 수 있다.
주문/재주문 버튼을 터치하면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주문한 메뉴가 서버로 전송된다. 추가적으로 재주문한 메뉴를 키패드 등을 통해 입력한 후 주문/재주문 버튼을 터치하면 재주문한 메뉴가 전송될 수 있다.
주문완료후 오늘의 운세 버튼을 터치하면, 오늘의 운세에 관한 정보의 전송요청을 제1 정보처리부(120)가 제1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 오늘의 운세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은 서버(400)는 주문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30)로 전송하고, 제1 정보처리부(120)는 제1 통신부(130)로 수신된 오늘의 운세에 관한 정보를 OLED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표시시킨다.
빌(bill)지 버튼을 터치하면 빌지요청정보가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1 통신부(130)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 빌지요청정보를 수신한 서버(400)는 주문된 메뉴에 따른 빌지정보를 주문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빌지정보를 제1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주문단말기(100)는 제1 정보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제1 출력부(140)인 OLED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표시한다. 따라서 고객은 OLED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표시된 빌지정보를 보고 계산 또는 정산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출력부(140)로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글로 표시가능한 OLED 디스플레이부(142)가 마련되어 있다.
주문단말기(100)의 OLED 디스플레이부(142)에 조합형의 한글이 출력될 수 있다. UTF-8로 저장된 3byte 한글을 2byte의 UTF-16으로 변환하고, 다시 이 값으로 초성, 중성, 종성을 분리하여 폰트를 결정한 후 조합형을 만든다. UTF-16에서 중요한 것은, 16bit 기반으로 문자를 저장하기 때문에 한글 또한 2byte로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완성형 한글과 같은 다른 한글 표시방법에 비하여 메모리 및 스케치 영역의 사이즈 한계를 극복하여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을 감축시킬 수 있게 된다. 조합형 한글 뿐만 아니라 영문, 숫자, 아스키와 같은 특수문자 모두 같은 폰트로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OLED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사용자인 고객에게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OLED 디스플레이부(142)에 표시되는 텍스트가 유동적으로 길어질 수 있는 상황에서, 제1 정보처리부(120)는 텍스트 길이정보를 분석하여 OLED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표시되는 텍스트의 자동 스크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정보 또는 오늘의 운세와 같이 상대적으로 텍스트 길이가 짧은 정보의 경우에는 텍스트 수직 스크롤의 형태로 OLED 디스플레이부(142)가 표시할 수 있다. 뉴스 티커와 같이 상대적으로 텍스트의 길이가 긴 정보의 경우에는 텍스트 수평 스크롤의 형태로 OLED 디스플레이부(14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OLED 디스플레이부(142)를 통해 표시되는 텍스트의 스크롤 형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정해져 있고, 기준과 비교하여 스크롤의 형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80byte가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80byte 이상인 텍스트의 경우 가로 스크롤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고, 80byte 미만인 텍스트의 경우 세로 스크롤의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편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주문단말기(10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기가 유선으로 연결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이처럼 주문단말기(100)가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주문 전용 단말기의 형태도 가능하며, 음식주문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 주문단말기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주문단말기(100)로서,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아서 주문서비스 요청정보를 형성하고 서버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음식주문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주문단말기(100)로서 음식주문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객의 스마트 폰의 예시적인 경우를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주문단말기로서 고객의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주문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음식주문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처음 실행되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에 고객이 자리잡은 테이블의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고 테이블 번호를 터치한다.
사용자로부터 테이블번호를 입력받은 스마트폰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번호 확인을 받는 팝업창이 뜰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은 주문하기(111`)을 터치하여 테이블번호 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테이블번호의 확인이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화면(144`)이 표시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메뉴명에 메뉴의 번호, 메뉴의 가격, 주문할 메뉴의 수량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주문할 메뉴에 대응되는 주문수량(112`)을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주문수량감축(114`)을 터치하여 주문수량을 삭감을 입력시킬 수도 있다.
도 3c에 나타낸 메뉴화면(144`)에서 좀 더 응용된 형태를 도 3e에 나타내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고객이 음식을 주문하는데 참고될 수 있도록 메뉴화면(144`)에서 각 메뉴별로 준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117`)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준비소요시간(117`)은 조리를 시작하여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각 메뉴의 준비소요시간(117`)은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며, 메뉴화면(144`)을 표시할 때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메뉴별로 주문대기수(118`)와 예상소요시간(119`)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상소요시간(119`)은 주문한 메뉴를 받을 때까지 예상되는 대기시간을 말한다.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118`)와 예상소요시간(119`)은 서버(400)로부터 전달받는다.
이와 같이 각 메뉴별로, 준비소요시간(117`), 주문대기수(118`) 및 예상소요시간(119`)을 서버로부터 전달받아서, 화면상에 표시하여 고객이 메뉴를 보고 음식을 주문함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으므로 주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문할 메뉴 및 이에 대응되는 주문수량을 입력한 후 주문하기(116`)을 터치하면, 주문서비스요청정보로서 주문정보가 서버(400)로 송신된다.
주문정보를 수신한 서버(400)가 주문정보를 음식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음식점단말기(200)에서 주문이 확인되면, 주문확인정보가 음식점단말기(200)에서 서버(400)로 전송되고, 서버(400)는 고객의 스마트폰으로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한다.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고객의 스마트폰은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문확인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고객은 주문이 접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고객의 테이블의 주문순번인 현재대기순번이 주문확인정보에 포함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현재대기순번을 포함하는 주문확인정보는 서버(40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도 3e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현재대기순번과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주문이 완료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문메뉴에 대한 선결제 진행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테이블마다 마련된 QR코드를 통해 간편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간편결제 시스템은 공중에 널리 보급된 간편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간편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결제가 되면, 서버(400)로 선결제정보가 전송되고, 서버(400)에서는 음식점단말기(200)로 선결제정보를 전송한다. 음식점단말기(200)에 선결제정보가 표시되므로 이중결제는 예방될 수 있다.
또는 주문자단말기(100)에 카드결제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아울러, 주문자단말기(100)에서 계산을 하는 경우 식사이용인원의 더치페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주문인원수를 입력받아서 결제비용을 주문인원수로 나눈 값을 표시하고 각각 결제를 진행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와 같이 주문단말기(100)로서 고객의 스마트폰이 이용되는 형태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주문이 완료된 후에는 주문단말기(100)가 서버(400)로부터 생활정보 또는 뉴스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받아서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서버(400), 음식점단말기(200) 및 호출단말기(300)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서버(400)는 주문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지 주문정보인지 판단하고, 주문단말기(100)로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주문확인정보 또는 호출정보에 대응되는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400)는 고객이 음식을 주문하는데 참고될 수 있도록 각 메뉴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주문자단말기(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각 메뉴별로, 준비소요시간, 주문대기수 및 예상소요시간을 서버로부터 주문자단말기(100)가 전달받아서 화면상에 표시하여 고객이 메뉴를 보고 음식을 주문함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으므로 주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서버(400)는 중앙통신부(430), 중앙정보처리부(42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한다.
중앙통신부(430)는 주문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30)로부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수신한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통신부(430)는 부가서비스정보 제공요청도 제1 통신부(1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중앙통신부(430)는 중앙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음식점단말기(20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확인정보를 주문단말기(1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호출정보를 호출단말기(300)로 전송한 후 중앙정보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주문단말기(100)로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한다.
이외에도 중앙통신부(430)는 중앙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주문단말기(100)와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음식점단말기(200) 또는 호출단말기(30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통신부(430)는 중앙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각 메뉴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중앙통신부(430)로부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전달받아서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지 주문정보인지를 판단한다.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문정보가 음식점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중앙통신부(430)를 제어한다.
음식점단말기(200)로부터 주문확인정보가 중앙통신부(430)로 수신되면, 중앙정보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주문확인정보가 주문단말기(100)의 제1 통신부(130)로 전송된다.
그리고,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호출정보가 호출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중앙통신부(430)를 제어한다. 중앙정보처리부(420)는 호출정보를 중앙통신부(430)를 통해 호출단말기(300)로 전송시킨 다음에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중앙통신부(430)을 통해 주문단말기(300)로 전송시킨다.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주문이 완료된 주문단말기(100)로 부가서비스정보를 중앙통신부(430)을 통해 전송한다.
음식이 제공될 때까지 고객이 주문단말기(100)의 제1 출력부(140)을 통해 오늘의 운세 또는 뉴스정보와 같은 부가서비스정보를 보면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음식점의 각 메뉴별 준비소요시간 을 음식점단말기 측으로부터 전달받아서 저장부(450)에 저장 또는 업데이트 시킬수 있다. 또한, 음식점의 각 메뉴별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중앙통신부(430)을 통해 주문단말기(100)로 전달하여 고객의 메뉴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450)는 중앙정보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저장한다. 즉, 주문단말기(100)로부터 접수된 주문정보와 호출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50)에 저장된 주문정보를 토대로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음식비 비용청구안내 즉, 빌(bill)지를 주문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450)에는 음식점의 각 메뉴별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중앙정보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저장 또는 업데이트를 할 수 있으며, 저장된 각 메뉴별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중앙정보처리부(420)로 제공할 수 있다.
중앙정보처리부(420)로 제공된 각 메뉴별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은 중앙정보처리부(420)에 의해 중앙통신부(430)를 통해 주문자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식점단말기(200)는 서버(40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주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서버(400)가 주문단말기(100)로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버(400)로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음식점 단말기(200)는 제2 통신부(230), 제2 출력부(240), 제2 입력부(210) 및 제2 정보처리부(220)을 포함한다.
제2 통신부(230)는 서버(400)의 중앙통신부(43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주문정보는 제2 정보처리부(220)으로 전달된다.
제2 출력부(240)는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주문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정보처리부(22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 여기서 음식점 주문관리자의 예로서, 음식점주인 또는 주방장 등 음식주문에 관한 관리하는 사람을 통칭한 것이고, 앞서 언급한 서비스직원은 음식점 홀 서빙직원을 대표적인 예로 들을 수 있다.
제2 정보처리부(220)는 주문정보를 제2 출력부(240)로 전달하여 제2 출력부(240)가 주문정보를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을 하게된다. 출력된 주문정보를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확인하면 음식점 주문관리자는 제2 입력부(210)을 통해 주문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10)는 음식점 주문관리자로부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주문확인을 입력받는다. 제2 입력부(210)을 통해 입력된 주문확인은 주문확인정보로서 제2 정보처리부(220)에 의해 제2 통신부(230)로 전달되고, 제2 통신부(230)에서 중앙통신부(430)로 주문확인정보가 전송된다.
제2 정보처리부(2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230)로부터 주문정보를 전달받으며, 주문정보를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출력부(24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2 입력부(210)로 입력된 주문확인에 따라 주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주문확인정보가 서버(400)로 전송되도록 제2 통신부(230)로 주문확인정보를 전달한다.
호출단말기(300)는 서버(400)로부터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서비스직원이 호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러한 호출단말기(300)는 제3 통신부(330), 제3 출력부(340) 및 제3 정보처리부(320)을 포함한다.
제3 통신부(330)는 서버(400)의 중앙통신부(430)으로부터 호출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호출정보는 제3 통신부(330)에서 제3 정보처리부(320)으로 전달된다.
제3 정보처리부(320)는 제3 통신부(330)로부터 호출정보를 전달받고, 호출정보를 제3 출력부(340)가 출력하도록 호출정보를 제3 출력부(340)로 전달한다.
제3 출력부(340)는 호출정보를 서비스직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제3 정보처리부(320)의 제어에 따라 출력한다. 제3 출력부(340)로서 LCD 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능하며,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스피커 또한 제3 출력부(340)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은 A단계, B단계, CA단계 및 DA단계를 포함하며 E단계와 F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단계(S100)는 주문단말기(100)가 고객의 입력에 따라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여 서버(400)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문서비스요청정보는 주문정보 또는 호출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A단계(S100)는, A0단계(S105), A1단계(S110), A2단계(S130), A3단계(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잠시 A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주문서비스 제공방법 중 A단계(S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A0단계(S105)에서는 주문단말기(100)가 서버(400)로부터 각 메뉴별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메뉴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주문단말기(100)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메뉴별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고객이 음식주문을 받는데 참고가 될 수 있도록 메뉴와 함께 표시한다.
고객은 주문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메뉴정보로부터 각 메뉴, 각 메뉴별의 준비소요시간, 각 메뉴별 주문대기수 그리고 예상소요시간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주문의 편의를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A0단계(S105)는 필요에 따라 A단계(S100)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A1단계에서는 주문단말기(100)가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을 입력받거나 음식주문서비스직원 호출을 요청하는 호출요청을 입력받는다(S110).
그리고 A2단계(S130)에서는 주문단말기(100)가 A1단계(S110)에서 입력받은 음식주문에 따른 주문정보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에 따른 호출정보인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한다.
그리고 A3단계(S150)에서는 A2단계에서 형성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서버(4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B단계에서는 서버(400)가 A단계(S100)에서 수신된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로 판단되면 호출단말기로 호출정보를 전송하고,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주문정보로 판단되면 음식점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송한다.
즉,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400)가 주문단말기(100)로부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수신한다(S210). 그리고 서버(400)의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주문단말기(100)으로부터 수신된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지 주문정보인지를 판단한다(S220).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정보처리부(420)는 호출정보를 호출단말기(300)으로 전송한다(S230). 그리고 호출정보를 호출단말기(300)로 전송시킨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주문단말기(100)로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중앙통신부(430)을 통해 전송시킨다(S232).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중앙통신부(430)을 통해 전송시킨(S232) 후 위의 과정(S100, S210, S220)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CA단계는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되는 단계이다.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S220)되면, 중앙정보처리부(420)는 주문정보를 음식점단말기(200)으로 전송한다(S240).
중앙정보처리부(420)가 주문정보를 음식점단말기(200)로 전송한 후(S240) CA단계로서, 음식점단말기(200)로부터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다(S242). 그리고, DA단계로서, 서버(400)는 수신된 주문확인정보를 주문단말기(100)으로 전송한다(S244).
E단계(S310)는 DA단계(S244)에서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주문단말기(100)로 서버(400)가 뉴스정보 또는 운세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한다(S310).
그리고, F단계(S320)에서는 DA단계(S244)에서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주문단말기(100)로부터 주문정보 또는 주문확인정보에 대응되는 비용청구정보의 전송을 서버(400)가 요청받으면, 비용청구정보를 주문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주문단말기(100)로 전송된 비용청구정보를 주문단말기(100)가 제1 출력부(140)을 통해 출력하면 고객은 비용청구내역을 확인 할수 있으며, 필요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편결제 시스템을 이용한 선결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주문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제공방법 에 따르면, 고객이 간편하게 주문단말기로 메뉴를 주문하므로 서비스직원의 업무부담을 경감시켜주어 주문된 음식의 제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고객은 음식주문 후 기다리는 동안에 제공되는 부가서비스정보를 보면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음식주문의 편의성과 주문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주문단말기
110 : 제1 입력부 120 : 제1 정보처리부
130 : 제1 통신부 140 : 제1 출력부
200 : 음식점단말기
210 : 제2 입력부 220 : 제2 정보처리부
230 : 제2 통신부 240 : 제2 출력부
300 : 호출단말기
320 : 제3 정보처리부 330 : 제3 통신부
340 : 제3 출력부
400 : 서버
420 : 중앙정보처리부 430 : 중앙통신부
450 : 저장부

Claims (13)

  1.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아서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며,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부가서비스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주문단말기;
    상기 주문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인지 주문정보인지 판단하고, 상기 주문단말기로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주문확인정보 또는 상기 호출정보에 대응되는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주문단말기로 상기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단말기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전송하는 음식점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직원이 상기 호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호출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단말기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는 제1 입력부;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주문에 따른 주문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에 따른 호출정보인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는 제1 정보처리부;
    상기 제1 정보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확인정보 또는 상기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제1 정보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확인정보 또는 상기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상기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1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 및 상기 호출정보 각각은,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상기 제1 입력부로 입력된 요청시각 및 상기 주문단말기의 고유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주문단말기의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수신하는 중앙통신부;
    상기 중앙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전달받아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문정보가 상기 음식점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중앙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호출정보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호출정보가 상기 호출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중앙통신부를 제어하는 중앙정보처리부; 및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점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중앙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주문정보를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2 출력부;
    상기 음식점 주문관리자로부터 상기 주문정보에 대응되는 주문확인을 입력받는 제2 입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음식점 주문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입력부로 입력된 주문확인에 따라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문확인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전달하는 제2 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단말기는,
    상기 서버의 중앙통신부로부터 상기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제3 통신부;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서비스직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제3 출력부; 및
    상기 제3 통신부로부터 상기 호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제3 출력부가 출력하도록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제3 출력부로 전달하는 제3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단말기는,
    상기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을 입력받아서 상기 주문서비스 요청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음식주문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8. 음식 주문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서버가 주문단말기로부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수신하는 A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A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호출정보로 판단되면 호출단말기로 호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주문정보로 판단되면 음식점단말기로 주문정보를 전송하는 B단계;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주문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음식점단말기가 전송하는 주문확인정보를 상기 서버가 수신하는 CA단계; 및
    상기 CA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단말기로 전송하는 DA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 및 상기 호출정보 각각에는,
    상기 고객이 자리하고 있는 주문테이블의 고유식별번호, 상기 음식주문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이 상기 제1 입력부로 입력된 요청시각 및 상기 주문단말기의 고유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가 상기 호출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호출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단말기로 요청완료안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A단계에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문단말기로 상기 서버가 뉴스정보 또는 운세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서비스정보를 전송하는 E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A단계에서 상기 주문확인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문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문정보 또는 상기 주문확인정보에 대응되는 비용청구정보의 전송을 상기 서버가 요청받으면, 상기 비용청구정보를 상기 주문단말기로 전송하는 F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주문단말기가 고객으로부터 음식주문을 입력받거나 음식주문서비스직원 호출을 요청하는 호출요청을 입력받는 A1단계;
    상기 주문단말기가 상기 A1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음식주문에 따른 주문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직원 호출요청에 따른 호출정보인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형성하는 A2단계;
    상기 A2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주문서비스요청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A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00020759A 2020-02-20 2020-02-20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106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59A KR20210106084A (ko) 2020-02-20 2020-02-20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59A KR20210106084A (ko) 2020-02-20 2020-02-20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084A true KR20210106084A (ko) 2021-08-30

Family

ID=7750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59A KR20210106084A (ko) 2020-02-20 2020-02-20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0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943B1 (ko) 2022-12-12 2023-10-23 주식회사 투비이스 무인 시설 운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06B1 (ko) 2010-05-10 2012-01-05 (주)와이즈웨어 음식 주문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06B1 (ko) 2010-05-10 2012-01-05 (주)와이즈웨어 음식 주문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문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943B1 (ko) 2022-12-12 2023-10-23 주식회사 투비이스 무인 시설 운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2472A1 (en) Apportioning a Payment Amount among Multiple Payers
CN104639756B (zh) 一种显示短信的方法及装置
AU775464B2 (en) Remote ordering system
JP5746914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
JP6696683B2 (ja) 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取引端末システム、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及び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
JP5819681B2 (ja) 注文システム
KR20190108245A (ko) 푸드 코트의 무인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CN110709876B (zh) 账单拆分系统
WO2017078635A1 (en) A product / service input device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shopping/servicing list and fulfilling the shopping/servicing list
WO2015137559A1 (ko) 단말기를 이용한 유쉐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GB2488660A (en) Ordering system
KR20210106084A (ko) 음식주문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주문서비스 제공방법
KR101633468B1 (ko) 무인 자동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72658B1 (ko) Qr코드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및 주문 방법
JP2018200525A (ja) 精算システム、ホスト端末、精算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KR20160142272A (ko) 테이블 전자 메뉴 구조의 주문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주문 처리 방법
KR20200024596A (ko) 주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193749A (ja) 自動取引システム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102004043B1 (ko) 전화번호에 의한 음식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04677A (ko) 스마트 오더 시스템 운영방법
CN205451330U (zh) 基于互联网的多功能收银系统
KR102668367B1 (ko) 차량정보들을 선택하여 주유하는 방법
KR20210014468A (ko) 쇼핑벨 - 바코드인식 기능, 제품 검색과 제품 추천 기능, qr코드 생성 및 결제 기능, 진동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한 쇼핑 서비스 기기
KR20190094540A (ko) 모바일 카페 주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