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082A -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082A
KR20210104082A KR1020217021739A KR20217021739A KR20210104082A KR 20210104082 A KR20210104082 A KR 20210104082A KR 1020217021739 A KR1020217021739 A KR 1020217021739A KR 20217021739 A KR20217021739 A KR 20217021739A KR 20210104082 A KR20210104082 A KR 20210104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aterial
reservoir
circulation circuit
print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데니스 타프
알렉산더 소우-캉 코
스티븐 마크 스미스
제프리 케니스 러브
Original Assignee
카티바,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티바, 인크. filed Critical 카티바,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10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07Conditioning of the inside of ink supply circuits, e.g. flushing during start-up or shut-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9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트 어셈블리 및 제 1 순환 회로 및 제 2 순환 회로를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제 1 순환 회로는 상기 제 2 순환 회로와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 사이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번호 62/782,412 및 2019년 12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정규 특허 출원 번호 16/717,75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판들의 잉크젯 프린팅은 소정의 위치에서 기판 상에 재료의 양을 증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재료는 제어된 양으로 디스펜서에서 배출되고, 디스펜서와 기판 사이의 틈을 통해 이동하여 대상 위치에서 기판 상에 랜딩한다. 사용된 프린트 재료는 반응성 화학 물질, 용매 및 고체의 복잡한 혼합물일 수 있다. 기판 상의 다양한 위치에 프린트 재료를 일관되게 전달하는 것은 기판의 서로 다른 위치로 전달되는 재료의 일관된 구성을 유지하는 데 달려 있다. 특정 시간에 제어된 프린트 재료의 양을 프린터에 전달하면서 잘 혼합되고 분산된 상태로 프린트 재료를 유지할 수 있는 재료 전달 시스템을 갖춘 프린터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는 프린트 어셈블리; 및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에 결합된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은 제1 순환 회로 및 제2 순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 회로는 상기 제2 순환 회로와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 간에 유동적으로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은,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프린트 재료 공급 라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로부터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로 유동적으로 결합된 프린트 재료 리턴 라인을 포함하는 제1 순환 회로, 및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에 결합된 순환 공급 라인;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에 결합된 순환 리턴 라인; 및 상기 순환 리턴 라인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흡입과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배출을 갖는 펌프를 포함하는 제2 순환 회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 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갖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프린트 어셈블리; 벌크 순환 회로; 중간 순환 회로; 및 로컬 순환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벌크 순환 회로는 프린트 재료를 공급 용기에서 혼합 용기로 인출하고 상기 벌크 순환 회로 주변에 프린트 재료를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간 순환 회로는 상기 벌크 순환 회로에서 프린트 재료를 인출하고, 프린트 재료를 상기 벌크 순환 회로로 반환하고, 상기 중간 순환 회로 주변에 프린트 재료를 흐르도록 구성하고, 상기 로컬 순환 회로는 상기 중간 순환 회로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인출하고 프린트 재료를 반환하고, 프린트 재료를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술 한 바와 같은 순환 회로를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프린트 재료를 교반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통해 이동하는 프린트 재료의 혼합 상태를 유지한다.
본 개시의 양태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업계의 표준 관행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이 확장되지 않는다. 사실,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는 논의의 명확성을 위해 임의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트 장치의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등각 투상도이다.
도 3a-3c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의 다른 실시 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급 저장소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출 저장소의 개략도이다.
다음의 개시는 제공된 주제의 상이한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상이한 실시 예, 또는 예들을 제공한다. 구성 요소들, 값들, 동작들, 재료들, 배열들 등의 특정 예들은 본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된다. 물론 이것들은 단지 예일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다른 구성 요소들, 값들, 동작들, 재료들, 배열들 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설명에서 제 2 피처 위에 또는 상에 제 1 피처를 형성하는 것은 제 1 피처와 제 2 피처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는 것과 같이, 제 1 피처와 제 2 피처가 직접 접촉하는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 피처가 제1 피쳐와 제2 피쳐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실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예들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성과 명료성을 위한 목적이며 그 자체가 논의된 다양한 실시 예 및/또는 구성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beneath)", "밑에(below)", "낮은(lower)", "위(above)", "상부(upper)"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특징(들)에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특징들 관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묘사된 방향에 더하여 사용 또는 동작중인 장치의 다른 방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장치는 다르게 지향(90도 회전 또는 다른 지향)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서술자는 그에 따라 유사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일부 잉크젯 프린팅 어플리케이션들에서, 프린트 재료는 기판 상에 개별 양으로 증착된다. 양(volumes)은 일반적으로 결과 구조가 제조 매개 변수를 준수하도록 가능한 균일하게 증착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예는 기판에 디스플레이 구성 요소의 잉크젯 프린팅이다. 만일, 디스플레이 구성 요소가 불-균일하게 프린트되면 디스플레이는 발광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기판 상에 균일한 양의 프린트 물질을 증착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팅 과정의 매개 변수가 조절된다. 경우에 따라 프린트 재료의 개별 양은 10 μm만큼 작은 크기를 갖는다. 잉크젯 프린팅 과정의 조절된 매개 변수들은 프린트 기판의 위치, 프린트 기판의 움직임, 프린트 헤드와 프린트 기판의 상부 표면 사이의 분리 거리 또는 프린팅 간격,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온도 및 프린트 기판, 및 프린트 기판 상에 증착된 프린트 재료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트 재료는 종종 유체와 부유 입자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체는 열 또는 광경화(photo curing)에 의해 최종적으로 경화되어 프린트 기판에 부착되는 단단한 재료로 경화되는 단량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유체는 또한 경화된 프린트 재료 내에 2 개 이상의 폴리머 체인들을 연결하는 가교 모노머(cross-linking monomers)를 포함하여 경화된 재료에 더 큰 구조적 강도 및/또는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용매는 또한 반복 가능한 액적 형성을 위해 프린트 재료의 표면 장력, 밀도 및/또는 점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프린트 재료는 또한 산란 입자들 및 양자점들과 같은 불용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산란 입자들은 경화된 재료 내에 내장될 때 광원에서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작은 반사 입자이다. 양자점들은 양자점들의 특성에 따라 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결과적으로 방출한다. 프린트 재료에서 산란 입자들과 양자점들의 좋은 분산을 유지하면 산란 입자들과 양자점들을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에 의해 출력되는 광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분산된 프린트 재료를 유지하는 한 가지 기술은 프린트 재료를 프린트 기판에 증착하기 전에 프린트 재료를 교반하거나 혼합하는 것이다. 다른 기술은 증착 인스턴스들 사이에서 프린트 재료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00)의 개략도이다.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00)은 벌크 순환 회로 (103), 중간 순환 회로 (105) 및 로컬 순환 회로 (107)를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순환 회로들을 포함한다. 벌크 순환 회로 (103)는 프린트 재료를 프린트 재료 저장소 (104)로 공급하는 벌크 공급 용기 (102)를 포함한다. 프린트 재료는 펌프 (106), 벌크 순환 밸브 (108) 및 체크 밸브 (110)를 통해 프린트 재료 저장소 (104)로부터 벌크 순환 회로 (103)를 통해 순환하고, 프린트 재료 저장소 (104)로 다시 순환한다. 체크 밸브 (110)는 선택 사항이다. 벌크 순환 회로 (103) 주위로 프린트 재료를 이동시킴으로써, 순환 회로 내의 프린트 재료는 분산된 상태를 유지한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104)는 혼합 요소 (예를 들어, 도 3a의 구성요소 (414) 참조)를 포함하여 프린트 재료 저장소 (104)를 혼합된 또는 교반 용기로 만들 수 있다.
벌크 순환 회로 (103)는 중간 순환 회로 (105)에 연결된다. 벌크 순환 회로 (103)는 체크 밸브 (110)로부터 프린트 재료 저장소로의 벌크 리턴 라인 (101)을 포함한다. 프린트 재료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104)로부터 펌프 (106), 벌크 순환 밸브 (108), 및 체크 밸브 (110)로 흐르고, 흐름 방향 (103A)에서 벌크 리턴 라인 (101)을 통해 프린트 재료 저장소로 다시 흐른다. 중간 순환 회로 (105)는 벌크 리턴 라인 (101)에서 벌크 순환 회로 (103)에 연결된다. 벌크 리턴 밸브 (152)는 벌크 리턴 라인 (101)에 배치되어 중간 순환 회로 (105)로부터 벌크 순환 회로 (103) 로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벌크 순환 회로 (103)와 중간 순환 회로 (105) 사이의 연결은 양방향 흐름 연결이다. 프린트 재료는 양방향 연결 라인 (109)을 통해 벌크 및 중간 순환 회로 (103, 105)로/로부터 흐른다. 중간 순환 회로 (105)는 중간 순환 회로 (105)와 벌크 순환 회로 (103) 사이의 프린트 재료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이송 밸브 (112)를 포함한다. 중간 순환 회로 (105)는 회로 주위에 프린트 재료의 흐름 방향 (105A)을 갖는다. 중간 순환 회로 (105)는 중간 공급 용기 (116)로부터 중간 순환 회로 (105) 로의 재료의 입력을 제어하기 위해 중간 공급 밸브 (118)에 연결되는 선택적인 중간 공급 용기 (116)를 포함한다. 중간 순환 밸브 (120)는 중간 순환 회로 (105) 내의 프린트 재료의 흐름을 조절한다. 프린트 재료는 아래 기술한 바와 같이, 중간 순환 회로 (105)를 통해 중간 순환 밸브 (120)에서 상(phase) 정화 모듈 (121)로의 흐름 방향 (105A)으로 흐른 다음 중간 순환 회로 (105)로부터 로컬 순환 회로 (107)로 프린트 재료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 (131)로 흐른다. 프린트 재료는 로컬 순환 회로 (107)에서 밸브 (127)가 내부에 배치된 중간 리턴 라인 (113)을 통해 중간 순환 회로 (105)로 역류하여 중간 펌프 (138)로 흐른다. 중간 펌프 (138)의 배출은 중간 체크 밸브 (140)를 통해 흐르고, 흐름 방향 (105A)을 따라 중간 순환 밸브 (120)로 되돌아간다. 일부 실시 예에서, 밸브 (127) 및 밸브 (131)는 중간 순환 회로 (105)의 일부가 아니라 로컬 순환 회로 (103)의 일부이다. 본 개시의 밸브는 디지털 밸브이지만, 아날로그-동작된 밸브들은 본 개시의 주제와 일치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중간 공급 용기 (116)는 유지 보수 동안 또는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프린트되는 제품 유형을 전환할 때 중간 및/또는 벌크 및/또는 로컬 순환 회로 (105, 103, 107)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플러시 재료를 제공한다. 따라서, 중간 공급 용기 (116), 공급 밸브 (118) 및 중간 순환 밸브 (120)는 중간 순환 회로 (105)의 플러싱 모듈 (114)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중간 공급 용기 (116)는 프린트 재료를 중간 및 로컬 순환 회로들 (105, 107)로 공급할 프린트 재료 공급 용기일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재료는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로컬 순환 회로 (107)로 전달될 수 있고, 그 반대로,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벌크 순환 회로 (103)로 전달될 수 있다.
상 정화 모듈 (121)은 가스 검출기 (122) 및 가스 제거기 (12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가스 검출기 (122)는 기포 검출부이다. 다른 경우에는 화학 분석기는 기포를 형성하지 않은 고 증기압 종류들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기포 검출부는 중간 순환 회로 (105)를 통해 흐르는 프린트 재료의 광학적 관찰을 수행한다. 다른 경우에, 기포 감지부는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프린트 재료 내의 가스 포켓 또는 용해된 가스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 프린트 재료의 용량 측정을 수행한다. 가스 제거기 (124)는 프린트 재료 흐름에서의 기포가 프린트 재료 저장소의 중기 공간에 수집되도록 하기 위해 기포 수집 체적을 갖는 기포 수집부일 수 있고, 중간 순환 회로 (105)의 프린트 재료 흐름 경로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경우에, 가스 제거기 (124)는 가스 추출기이다. 사용될 수 있는 가스 제거제의 예는 매사추세츠 주(Massachusetts) 빌레 리카(Billerica)에 있는 Entegris, Inc. 에서 이용하는 pHasor®II 모듈이다. 또 다른 예는 뉴욕 주 포트 워싱턴의 Pall Corp. 에서 이용하는 UltiFuzor ™모델 탈기 장치(degasser)이다. 가스 제거기 (124)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필터 (미도시)는 원한다면 가스 제거기 (124)의 출구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순환 회로 (103)는 중간 펌프 (138)의 배출 측과 흡입 측 사이에 연결된 선택적인 완전 재순환 라인 (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완전 재순환 라인 (111)은 가스 제거기 (124)와 로컬 이송 밸브 (131) 사이의 한 단부, 및 밸브 (127)와 중간 펌프 (138) 사이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완전 재순환 라인 (111)은 로컬 순환 회로 (107)로부터 중간 순환 회로 (105)를 분리하는 동안 중간 순환 회로 (105)의 프린트 재료를 재순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중간 순환 회로 (105)를 완전 재순환 모드에 놓기 위해 선택적인 완전 재순환 밸브 (125)가 개방될 수 있고 로컬 전달 밸브 (131)가 닫힐 수 있다. 완전 재순환 모드는 프린트 재료가 로컬 순환 회로 (107)로 흐르지 않고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프린트 재료로부터 가스 제거를 허용한다. 중간 바이패스 라인 (119)이 벌크 순환 회로 (103)와 로컬 순환 회로 (107) 사이에 제공되어, 중간 순환 회로를 전체적으로 바이패스하고 벌크 순환 회로 (103)로부터 로컬 순환 회로 (107)로 프린트 재료를 직접 이동시킨다.
로컬 순환 회로 (107)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프린트 어셈블리에 프린트 재료를 제공하고 그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수신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린트 어셈블리는 프린트 작업 동안 프린트 재료를 분배하는 하나 이상의 프린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이송 밸브 (131)를 열면 프린트 재료가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로컬 순환 회로 (107)로 흐를 수 있다. 로컬 순환 회로 (107)는 공급 저장소 (126) 및 배출 저장소 (134)를 포함한다. 공급 저장소 (126)는 공급 저장소 (126)가 중간 순환 회로 (105)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수용하는 로컬 공급 라인 (115)에 의해 로컬 전송 밸브에 연결된다. 공급 저장소 (126)는 프린트 매니 폴드 (123)를 통해 유동 방향 (107A)으로 프린트 재료를 프린트 헤드 (128, 130 및 132)로 제공한다. 여기서는 3 개의 프린트 헤드가 로컬 순환 회로에 표시되지만 여러 개의 프린트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프린트 기판 상에 분배되지 않고 프린트 헤드 (128, 130, 132) 중 하나를 통해 통과된 프린트 재료는 프린트 리턴 매니 폴드 (129)를 통해 프린트 헤드를 빠져 나간다. 프린트 헤드에서 나온 프린트 재료는 중간 순환 회로 (105)로 리턴하기 위해 배출 저장소 (134)에 모인다. 로컬 및 중간 순환 회로 (107 및 105)를 통한 프린트 재료의 연속 순환은 프린트 재료를 잘 혼합하여 고체 성분이 잘못 분포되지 않도록 한다.
가스 소스 또는 진공 소스일 수 있는 가스 흐름부 (133)는, 이 경우, 로컬 순환 회로 (107) 주위로 프린트 재료를 이동시키고, 프린트 재료를 배출 저장소 (134)의 밖 및 중간 순환 회로 (105) 안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배출 저장소 (134)에 프린트 재료의 충전량을 조절하기 위해 공급 저장소 (126) 및/또는 배출 저장소 (134)에 음압을 제공한다. 선택적인 바이패스 라인 (135)은 공급 저장소 (126)와 배출 저장소 (134) 사이에 연결되어 프린트 헤드들 (128, 130, 132)을 통과하지 않고 프린트 재료를 배출 저장소 (134)로 보내는 흐름 경로를 제공한다. 바이패스 밸브 (136)는 바이패스 라인 (135)에 배치된다. 개방되면 바이패스 밸브 (136)는 프린트 헤드들 (128, 130 및 132)을 바이패싱하여 공급 저장소 (126)에서 배출 저장소 (134)로 직접 흐름 경로를 제공한다. 가스 흐름부 (133)는 일반적으로 흐름 방향 (107A)을 따라 또는 바이 패스 밸브 (136)가 개방될 때 공급 저장소 (126)로부터 배출 저장소 (134) 로의 프린트 재료의 흐름을 촉진하기 위해 배출 저장소 (134) 보다 공급 저장소에 더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공급 저장소 (126)의 액체 부피는 저장소의 프린트 재료 부피의 조절을 허용하고 필요시 프린트 어셈블리로 프린트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제 1 레벨 센서 (142)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배출 저장소 (134)의 액체 부피는 제2 레벨 센서 (144)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가스 흐름부 (133)는 여기서 단일 항목으로 도시되지만, 여러 가스 소스들 및/또는 진공 소스들이 임의의 편리한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가스 흐름부 (133)는 3 개의 개별 가스 소스들을 포함한다.
레벨 센서가 공급 저장소 (126)에 프린트 재료의 양이 너무 적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로컬 이송 밸브 (131)를 개방함으로써 중간 순환 회로 (105)로부터 공급 저장소 (126)에 더 많은 프린트 재료가 추가된다. 레벨 센서가 프린트 재료의 양이 배출 저장소 (134)에서 너무 적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프린트 재료는 바이패스 밸브 (136)를 개방함으로써 공급 저장소 (126)로부터 배출 저장소 (134)로 이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배출 저장소 (134)로부터의 프린트 재료의 흐름은 중간 펌프 (138)의 펌핑 율, 예를 들어 펌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배출 저장소 (134)의 액체 레벨에 기초하여 제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레벨 센서는 용기 또는 저장소의 외부 표면에 적용되고 용기 또는 저장소의 외부 표면에 대해 용량성 감지부를 통해 내부의 프린트 재료의 양을 감지한다. 용량성 레벨 센서는 용기의 액체에 젖지 않는다. 따라서, 프린트 재료 저장소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필요는 없지만 그 위에 위치한 용량성 검출기가 그 안에 있는 프린트 재료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충분한 벽 두께를 가질 뿐이다. 많은 용량성 레벨 센서는 1mm의 정확도로 액체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공급 저장소 (126)와 배출 저장소 (134) 사이의 가스 흐름부 (133)에 의해 유지되는 압력 차이는 프린트 재료가 공급 저장소 (126)로부터 배출 저장소 (134)로 흐르도록 보장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레벨 센서들은 각각 장점과 약점이 갖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 아날로그 레벨 센서들을 사용하면 액체 레벨을 매우 정확하게 판독하고 액체 레벨을 매우 빠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실시 예에서 유용할 수 있다. 레벨 센서들은 용기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내부 레벨 센서들을 사용하는 것은 판독 값에 대한 용기 벽의 영향을 제거하는 반면, 외부 센서들을 사용하는 것은 모니터링중인 액체를 갖는 레벨 센서의 재료들의 화학적 상호 작용을 방지하고 가능한 누출 경로를 제거한다. 또한, 용기를 열지 않고도 레벨 센서들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벌크 순환 회로 (103), 중간 순환 회로 (105) 및 로컬 순환 회로 (107)는 개별 순환 회로들을 통한 프린트 재료의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벌크 펌프 (106)는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프린트 재료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로컬 순환 회로 (107)에 프린트 재료를 추가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유사하게, 밸브 (131) 및 밸브 (127)는 중간 순환 회로 (105)를 로컬 순환 회로 (107)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 동작 가능하다. 벌크 이송 밸브 (112)는 재료가 벌크 순환 회로 (103)에서 중간 순환 회로 (105)로 및 중간 순환 회로 (105)에서 벌크 순환 회로 (103)로 양방향으로 밸브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밸브일 수 있다. 여기서, 벌크 이송 밸브 (112)는 또한 벌크 순환 회로 (103)로부터 로컬 이송 밸브 (131)로 직접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3 방향 밸브이다.
제어부 (150)는 밸브들 (108, 112, 118, 120, 125, 127, 131, 136) 및 가스 흐름부 (133)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급 시스템 (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 (150)는 또한 레벨 센서들 (142 및 144)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부 (150)는 레벨 센서 (144)가 공급 저장소 (126)의 액체량이 하한 미만인 것을 나타낼 때 밸브 (131)가 열려있는 동안 펌프 속도를 조정 (증가)하고, 액체량이 상한 이상일 때 밸브 (131)가 개방되는 동안 펌프 속도를 조정 (감소)시킴으로써 공급 저장소 (126) 내의 액체의 부피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 (150)는 레벨 센서 (142)가 배출 저장소 (134)의 액체 부피가 하한 미만임을 나타내면 바이패스 밸브 (136)를 열고, 액체 부피가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바이패스 밸브를 닫음으로써 배출 저장소 (134)의 액체 부피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150)는 또한 프린트 헤드 매니 폴드를 가로 질러 배출 저장소 (134)의 입구에서보다 공급 저장소 (126)의 출구에서 더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가스 유동부(1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를 통한 프린트 재료의 속도는 로컬 순환 회로 (107)에서 프린트 재료에 대한 펌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일정한 속도로 유지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 (200)의 등각 투상도이다. 잉크젯 프린터 (200)는 기판이 처리를 위해 배치되는 기판 지지부 (202)를 포함한다. 기판 지지부 (202)는 일반적으로 기판이 처리 중에 쉽게 위치되고 이동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마찰이 없는 지지부를 제공한다. 이 경우, 기판 지지부 (202)는 기판 지지부 (202)와 기판 사이에 가스 쿠션을 제공한다. 일부 경우에, 기판 지지부 (202)는 모놀리식(monolithic)이다. 여기서, 기판 지지부는 제 1 영역 (204), 제 2 영역 (206) 및 제 3 영역 (208)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가스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가스 개구들을 갖는다. 제 1 영역 (204) 및 제 3 영역 (208)은 제 2 영역 (206)에 있는 가스 유출 개구의 패턴과 다른 하나 이상의 패턴의 가스 유출 개구를 포함한다. 제 2 영역 (206)은 프린트 어셈블리 (209)에 인접한 프린트 영역 (215)을 정의한다.
프린트 어셈블리는 디스펜서 어셈블리 (201) 및 프린트 지지 어셈블리 (203)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어셈블리 (201)는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 및 캐리지 (207)를 포함한다. 프린트 지지 어셈블리는 기판 지지부 (202)의 양측 상의 스탠드 (216)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214)을 포함한다. 캐리지 (207)는 레일 (214)상의 디스펜서 어셈블리 (201)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고, 레일 (214)을 따라 이동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 (201)를 프린트 영역 (215)에 대해 타겟 위치에 위치시킨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는 순환 회로 (211)에 의해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에 연결되고, 순환 회로 (211)의 공급 세그먼트 (211A)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 내부의 저장소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제공하고, 리턴 세그먼트 (211B)는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으로부터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의 저장소로 프린트 재료를 제공한다. 프린트 하우징 (210)은 프린트 영역 (215)을 향하는 배출 노즐을 가진 하나 이상의 프린트 헤드들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순환 회로 (211)의 리턴 및 공급 세그먼트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 및/또는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 내에 포함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리턴 및 순환 회로 (211)의 공급 세그먼트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 및/또는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 외부에 노출된다. 디스펜서 어셈블리 (201)에서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와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프린트 재료 저장소 어셈블리 (212)와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 사이의 프린트 재료를 위한 순환 회로들은 정적일 수 있다. 프린트 헤드 하우징 (210)을 공급하기 위해 순환 회로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스 소스 (도시되지 않음)는 또한 디스펜서 어셈블리 (201)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0)의 개략도이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0)는 프린트 재료 (3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측벽 (303A 및 303B)을 포함한다 (저장소 (300)가 원통형인 경우, 측벽들 (303A 및 303B)은 하나의 연속적인 원통형 측벽이 될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0)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벌크 순환 회로 (103) 또는 중간 순환 회로 (105)와 같은 벌크 순환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출구 (304) 및 입구 (306)는 프린트 재료 (302)가 순환 회로 (그림 3A에 표시되지 않음)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한다. 출구 (304)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0)의 바닥 위치 (310)에 위치한다. 입구 (306)는 저장소 (300)의 측면 위치 (312)에 위치한다. 저장소 (300)의 바닥 (303C)은 경사질 수 있고, 바닥 위치 (310)는 바닥 (303C)의 최하부 부분이다. 바이패스 출구 (380)는 또한 저장소 (300)의 바닥 (303C)에 제공되어 출구 (304)를 우회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저장소 (300)로부터 프린트 헤드(도 1)로 프린트 재료를 운반한다. 바이패스 출구 (380)를 통한 흐름은 바이패스 밸브 (386)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의 바이패스 밸브 (136) 일 수 있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0)는 저장소 내로 연장되고 혼합 샤프트 (316)에 의해 구동되는 혼합 요소 (3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혼합 요소 (314)는 혼합기 블레이드이며, 저장소 (300)를 교반 용기로 만든다. 일부 예에서, 혼합 요소는 저장소에서 재료를 인출하여 저장소의 재료를 교반하기 위해 고속으로 저장소로 재료를 리턴하는 제트 믹서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혼합 요소 (314)는 혼합 샤프트 (316)에 직접 고정된 다중 혼합 표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지 피스 (도시되지 않음)는 혼합 샤프트 (316)에 직접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혼합 표면들은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0) 내에서 프린트 재료를 교반하기 위해 지지 피스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저장소 (300)는 또한 벽 배플(wall baffles) 또는 베인(vanes)과 같은 정적 혼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5)의 개략도이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들의 다른 개략도의 구조적 구성 요소들과 유사한 도 3B에 표시된 구조적 요소들은 동일하게 번호가 매겨진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5)에서, 프린트 재료 (302)는 측벽 (303A 및 303B) (원통인 경우 하나의 측벽 일 수 있음) 내에 포함된다. 출구 (304)는 바닥 표면 (303E)에 위치하는 반면, 입구 (306)는 제 2 위치 (320)에서 측벽 (303B)에 위치하거나, 용기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제 2 위치 (320)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5) 내의 프린트 재료 (302)의 상부 표면 위에 위치된다. 일부 경우에, 제 2 위치 (320)는 프린트 재료 (302)의 상부 표면 아래에 위치된다.
프린트 재료 저장소 (305)는 저장소 내에 배치된 자기 교반기 (324)로 구성된다. 자기 교반기 (324)는 저장소의 바닥 표면 (303E)에 인접하거나 그 위에 놓여 있고 저장소의 바닥 표면 (303E)에 나란히 놓여진 원동 공급원 (322)에 의해 이동된다. 저장소 (304) 및 입구 (306)의 위치는 저장소 내에서 프린트 재료의 혼합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저장소의 측벽 및/또는 바닥에 위치한다.
도 3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린트 재료 저장소 (315)의 평면도이다. 출구 (304)는 제 1 위치 (330)에서 측벽 (303)에 위치되고, 입구 (306)는 제 2 위치 (332)에서 측벽 (303B)에 위치된다. 측벽 (303A) 및 측벽 (303B)은 측벽 (303D)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프린트 재료 저장소 (315)는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다. 회전 방향 (338)으로 회전하는 혼합 요소 (336)는 프린트 재료 저장소 (315)의 일부 실시 예에 선택적으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출구 (304)로부터 입구 (306)로의 흐름 방향 (308)으로의 프린트 재료의 흐름은 저장소 내에서 혼합 전류를 생성하기에 충분히 크다. 중심선 (307)은 측벽 (303A)의 중간으로부터 측벽 (303B)의 중간까지 연장된다. 출구 (304)는 중심선 (307)으로부터의 제 1 거리 (334A)이고, 입구 (306)는 중앙선 (307)으로부터의 제 2 거리 (334B)이다. 일부 예에서, 출구 (304) 및 입구 (306)는 중앙선 (307)의 반대쪽에 있는 저장소의 측벽에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출구 (304)와 입구 (306)는 중심선 (307)의 반대쪽에 비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출구 (304)와 입구 (306)가 중심선 (307)에 대해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으로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여부는 순환 회로 (도시되지 않음)를 통한 프린트 재료의 유속, 프린트 재료의 온도 및 프린트 재료의 점도의 작용이다. 일부 예에서, 직사각형 프린트 재료 저장소의 모서리 위치에서 와류(eddy currents) 또는 "사점(dead spots)"을 줄이기 위해 프린트 재료 저장소는 직사각형 (표시된대로)이 아니라 둥글다. 와류 또는 "사점"은 프린트 재료의 부유 입자가 프린트 재료의 유체 구성 요소에서 침전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저속의 프린트 재료의 부피와 관련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순환 회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급 저장소 (400)의 개략도이다. 공급 저장소 (400)는 도 1에서 설명된 공급 저장소 (126)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공급 저장소 (400)는, 예를 들어, 도 1의 중간 순환 회로 (105)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입구 (402)를 갖는다. 공급 저장소 (400)가 프린트 재료 순환 회로에서 사용되는 경우, 입구 (402)로 들어가는 프린트 재료는 순환 회로를 통한 순환에 의해 혼합된다.
프린트 재료 (408)의 충전 레벨 (422)은 레벨 센서 (410)에 의해 상부 충전 레벨 (424)과 하부 충전 레벨 (426) 사이에서 유지된다. 여기서, 레벨 센서는 용량성 센서이지만, 임의의 레벨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공급 저장소 (400) 내의 프린트 재료 (408)의 양은 충전 조절기 (413)에 의해 조절된다. 충전 조절기 (413)는 레벨 센서 (410) 및 밸브들 (431, 433, 436)에 연결된다. 충전 조절기 (413)는 밸브 (531)를 통해 공급 저장소 (400)에 대한 프린트 재료의 추가를 조절하기 위해, 밸브들 (431, 433 및 436)이 개방 및 폐쇄되는 시기, 공급 저장소 (400)에서 개구 (418)를 통해 유동 라인 (420)으로의 프린트 재료의 출구 및 소스 저장소의 상부 영역에 있는 헤드 공간 (411)에 가압 가스의 추가 또는 진공의 적용을 결정한다. 가압 가스는 공급 저장소 (400)의 헤드 공간 (411)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라인 (404)을 통해 가스 흐름 유닛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의 가스 흐름 유닛 (133) 참조)을 통해 공급 저장소 (400)에 들어가거나, 또는 가스가 빠져 나간다. 일부 예에서, 압축 공기는 양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진공은 음압에 적용된다. 일부 예에서, 질소는 프린트 헤드로부터 프린트 기판 상에 증착되기 전에 프린트 재료의 산소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압 가스로 사용될 수 있다. 용존 산소는 일부 프린트 재료에 원치 않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재료와 호환되지 않는 가압 가스가 사용된다.
헤드 공간 (411)은 공급 저장소 (400)의 프린트 재료 위에 있는 공급 저장소 (400)의 내부 영역이다. 헤드 공간 (411)은 상부 충전 레벨 모니터 (410) 위의 공급 저장소 (4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부 충전 한계 (424)와 하부 충전 한계 (426) 사이의 공급 저장소 체적의 일부를 포함한다. 잉크젯 프린팅 과정 동안 프린트 헤드를 포함하는 로컬 순환 시스템을 통해 프린트 재료 (408)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 가스는 공급 저장소 (400) 헤드 공간 (411)에 추가된다. 밸브 (43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가압 가스가 공급 저장소 (400)에 추가됨에 따라, 프린트 재료가 유동 방향 (407A)으로 개구 (416)로부터 순환 라인 (414)으로 강제로 배출됨으로써, 프린트 재료 (408)의 충전 한계 (422)는 감소한다. 밸브 (43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가압 가스가 공급 저장소 (400)에 추가됨에 따라, 프린트 재료가 유동 방향 (407B)으로 개구 (418)로부터 순환 라인 (420)으로 강제로 빠져 나감에 따라 프린트 재료 (408)의 충전 한계 (422)가 감소한다. 순환 라인 (414)은 프린트 헤드 공급 라인이다. 순환 라인 (420)은 프린트 헤드를 둘러싸고 배출 저장소(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의 도 1의 배출 저장소 (134) 참조)로 직접 공급되는 바이패스 라인이다. 배출 저장소에는 배출 저장소에서 중간 순환 회로로 배출되지 않은 프린트 재료를 리턴하는 배출 라인이 있다. 배출 저장소는 프린트 헤드에 연결된 순환 라인 (414)으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수용하고, 프린트 헤드를 바이패스하는 순환 라인 (420)으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일부 실시 예에 따른 순환 회로의 배출 저장소 (500)의 개략도이다. 배출 저장소 (500)는 배출 저장소 (500)의 프린트 재료 (508) 위의 헤드 공간 (511)에 가압 가스를 공급하는 가압 라인 (504)에 의해 가압 소스 (533)에 연결된다. 배출 저장소 (500)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프린트 헤드를 바이패스하는 순환 라인 (520)로부터 유동 방향 (507B) 내의 프린트 재료 (5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밸브 (536) (도 1의 바이패스 밸브 (136) 또는 도 4의 밸브 (436)와 유사함)에 의해 조절된다. 흐름 방향 (507B)은 도 4의 흐름 방향 (407B)과 동일한 방향이다. 배출 저장소 (500)는 배출 라인 (514)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린트 헤드 (530)로부터 흐름 방향 (507A)으로 프린트 재료 (5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흐름 방향 (507A)은 도 4의 흐름 방향 (407A)과 동일한 흐름 방향이다. 배출 저장소 (500)는 배출 저장소 (500)의 바닥 위치에 결합된 배출 라인 (505)을 통해 프린트 재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배출 밸브 (534)는 배출 저장소 (500)로부터 유출하는 프린트 재료를 제어하기 위해 배출 라인 (505)에 배치 될 수 있다.
프린트 재료 충전 레벨 (522)은 충전 레벨 모니터들 (510, 512)을 사용하여 배출 저장소의 상한 충전 한계 (524)와 하한 충전 한계 (526) 사이에서 유지된다. 여기서, 충전 레벨 모니터들 (510 및 512)은 사용 가능한 레벨 센서들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압력 센서이다. 동일한 유형의 레벨 센서가 도 1의 공급 시스템 (100)에서 공급 및 배출 저장소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충전 레벨 모니터들 (510, 512)은 프린트 재료가 상한 충전 한계 (524)를 초과하거나, 또는 하한 충전 한계 (526) 아래로 떨어질 때를 나타내기 위해 충전 조절기 (513)에 연결된다. 프린트 재료가 상한 충전 한계 (524)를 초과하거나 하한 충전 한계 (526) 아래로 떨어지면, 충전 조절기 (513)는 배출 저장소 (500) 주변의 프린트 재료 흐름 변화를 트리거한다. 프린트 재료 레벨이 상한 충전 한계 (524)를 초과하면, 충전 조절 (513)은 헤드 공간 (511)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밸브 (533)을 작동, 프린트 재료의 더 빠른 유출을 허용하기 위해 배출 밸브 (534)를 오픈, 더 많은 프린트 재료가 배출 저장소 (500)로 흐를 수 있도록 바이패스 밸브 (536)를 닫는 임의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린트 재료 레벨이 하한 충전 한계 (526) 아래로 떨어질 때, 충전 조절기 (513)는 헤드 공간 (511)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밸브 (533) 작동, 배출 밸브 (534) 폐쇄 및 바이패스 밸브 (536) 개방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조절기 (513)는 프린트 재료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충전 조절기 (513)는, 프린트 과정 동안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프린트 헤드를 통해 프린트 재료의 원활한 흐름을 제공 및/또는 프린트 재료의 액체 및/또는 부유 입자가 분리되지 않고 프린트 재료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프린트 헤드들을 포함하는 로컬 순환 회로를 통해 프린트 재료의 충분한 유속을 제공하기 위해 공급 저장소와 배출 저장소 모두의 재료 충전 레벨을 모니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순환 회로를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프린트 재료를 교반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통해 이동하는 프린트 재료의 혼합 상태를 유지한다. 프린트 재료 혼합은 전자 장치용 디스플레이들 및 스크린들의 제조를 위한 프린트 기판 상에 프린트 재료를 증착하는데 관련된 요소이다. 프린트 재료의 보다 균일한 농도로 프린트된 디스플레이들은 보다 균일한 색상과 광도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들 및 전자 장치 스크린들을 위한 프린트 재료의 실시 예에는 수지용 화학 성분들, 디스플레이 광원에서 입사된 빛을 입사된 빛과 다른 파장을 갖는 방출된 빛으로 변환하는 양자점들 및 산란 입자들을 포함한다. 양자점들은 입사광을 흡수하고 빛을 새로운 파장을 갖는 방출광으로 변환한다. 산란 입자들은 입사광을 단순히 입사 광원을 향하는 면보다 양자점들의 더 많은 면에 반사하여 입사광을 흡수하고 방출 광으로 변환하는 양자점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산란 입자들은 입사광을 양자점들의 뒷면과 측면으로 리디렉션하여 (입사광의 이동 방향과 관련하여) 광 흡수 및 재 방출을 위한 더 많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양자점과 및 산란 입자의 균일한 농도는 빛 흡수 및 재-방출의 균일성을 증가시킨다. 픽셀 및/또는 픽셀 하위 영역에서 양자점 및 산란 입자의 균일한 농도는 잉크젯 프린트 과정 동안 잉크젯 프린터 프린트 헤드 또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통해 순환하는 프린트 재료의 균일성의 기능이다.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고 잉크젯 프린트 과정 동안 프린트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프린트 기판 레벨 센서들, 프린트 기판 위치 센서, 잉크젯 프린트 과정 동안 프린트 기판을 이동하기 위한 모티브 소스, 및 잉크젯 프린트 과정 동안 프린트 기판을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당업자가 본 개시의 양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실시 예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당업자는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고/하거나 본 명세서에 도입된 실시 예의 동일한 이점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과정들 및 구조들를 설계 또는 수정하기 위한 기초로서 본 개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당업자는 또한 그러한 균등한 구성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19)

  1. 잉크젯 프린팅 장치로서,
    프린트 어셈블리; 및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에 결합된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은,
    제 1 순환 회로 및 제 2 순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순환 회로는 상기 제 2 순환 회로와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 사이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잉크젯 프린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 회로는 가스 추출기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 회로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제 3 순환 회로 및 혼합 요소를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추출기는 재킷 형 다공성 튜브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환 회로는 압력 제어 공급 저장소 및 상기 배출 저장소보다 상기 공급 저장소에서 더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압력 제어 배출 저장소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 회로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제 3 순환 회로 및 혼합 요소를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요소는 교반 용기인 잉크젯 프린팅 장치.
  8.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으로서,
    제1 순환 회로 및 제2 순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순환 회로는,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프린트 재료 공급 라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 헤드로부터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로 유동적으로 결합된 프린트 재료 리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순환 회로는,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에 결합된 순환 공급 라인;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에 결합된 순환 리턴 라인; 및
    상기 순환 리턴 라인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흡입과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배출을 갖는 펌프를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 회로는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 결합된 가스 추출기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저장소와 상기 배출 저장소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 및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 각각에 결합된 레벨 센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의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레벨 센서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 및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 간의 압력 차이를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 레벨 센서에 의해 검출된 레벨로 조절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 공급 충전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 충전 제어 밸브에 동작가능 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 레벨에 의해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서 프린트 재료의 흐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 및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가스 유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유동부에 동작가능 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린트 재료 배출 저장소보다 상기 프린트 재료 공급 저장소에서 더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리턴 라인에 순환 리턴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 리턴 제어 밸브에 동작가능 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순환 회로에서 유체 순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순환 리턴 제어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 회로는 가스 검출기 및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서 상기 순환 리턴 라인으로의 순환 바이패스 라인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환 회로는 상기 순환 공급 라인에 유동적으로 결합된 프린트 재료 공급 용기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17.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을 갖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로서,
    프린트 어셈블리;
    벌크 순환 회로;
    중간 순환 회로; 및
    로컬 순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벌크 순환 회로는 프린트 재료를 공급 용기에서 혼합 용기로 인출하고 상기 벌크 순환 회로 주변에 프린트 재료를 연속적으로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간 순환 회로는 상기 벌크 순환 회로에서 프린트 재료를 인출하고, 프린트 재료를 상기 벌크 순환 회로로 반환하고, 상기 중간 순환 회로 주변에 프린트 재료를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컬 순환 회로는 상기 중간 순환 회로로부터 프린트 재료를 인출하고 프린트 재료를 반환하고, 프린트 재료를 상기 프린트 어셈블리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잉크젯 프린팅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순환 회로, 및 상기 벌크 순환 회로 및 상기 중간 순환 회로 각각에 순환 펌프를 통해 프린트 재료를 순환시키는 압력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순환 회로는 공급 저장소, 배출 저장소 및 상기 공급 저장소를 상기 배출 저장소에 연결하는 바이패스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배출 저장소보다 상기 공급 저장소에서 더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잉크젯 프린팅 장치.
KR1020217021739A 2018-12-20 2019-12-18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KR202101040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2412P 2018-12-20 2018-12-20
US62/782,412 2018-12-20
US16/717,756 2019-12-17
US16/717,756 US11338588B2 (en) 2018-12-20 2019-12-17 Print material feed system
PCT/US2019/067140 WO2020132047A1 (en) 2018-12-20 2019-12-18 A print material fee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082A true KR20210104082A (ko) 2021-08-24

Family

ID=7109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739A KR20210104082A (ko) 2018-12-20 2019-12-18 프린트 재료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338588B2 (ko)
KR (1) KR20210104082A (ko)
CN (2) CN116587744A (ko)
WO (1) WO2020132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8588B2 (en) * 2018-12-20 2022-05-24 Kateeva, Inc. Print material feed system
DE102022100700A1 (de) 2022-01-13 2023-07-13 Kolbus Gmbh & Co. Kg Druckvorrichtung zum individuellen Bedrucken von bahnförmigen oder bogenförmigen Bedruckstoffen
CN114571868A (zh) * 2022-03-03 2022-06-03 浙江普崎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墨水循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0904A (en) 1982-11-05 1984-07-17 Xerox Corporation Ink jet ink handling system
EP1052011B1 (en) 1997-04-30 2007-06-20 Mitsubishi Rayon Co., Ltd. Ink deaerating apparatus, ink deaerating method, and ink cartridge manufacturing method
US20050215664A1 (en) 2004-03-02 2005-09-29 Elwakil Hamdy A Ink jet ink
EP1938994B1 (en) * 2006-12-28 2010-03-17 Agfa Graphics N.V. Ink degassing for circulating ink supply systems in ink jet printers
CN101722716B (zh) 2008-10-27 2014-06-25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承印物涂覆系统以及用于该系统的运行方法
DE102009020702B4 (de) * 2009-05-11 2011-09-15 Khs Gmbh Drucksystem zum Bedrucken von Flaschen oder dergleichen Behältern sowie Druckvorrichtung oder -maschine mit einem solchen Drucksystem
ITMO20120093A1 (it) * 2012-04-05 2013-10-06 System Spa Sistema di alimentazione per stampanti a getto di inchiostro.
CN103085478B (zh) * 2013-01-17 2015-04-29 南京协力电子科技集团有限公司 印刷电路板喷墨印刷机喷墨系统
JP5963365B2 (ja) * 2013-04-05 2016-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3186319A4 (en) * 2014-07-25 2018-04-18 Kateeva, Inc. Organic thin film ink compositions and methods
CN206327014U (zh) * 2016-11-04 2017-07-14 程好学 一种喷墨打印机循环供墨装置
CN108068461A (zh) * 2016-11-12 2018-05-25 杭州赛顺数码科技有限公司 带有循环系统的数码打印机
US10279637B2 (en) 2016-12-02 2019-05-07 The Boeing Company Trailer-mounted mock landing gear
US11338588B2 (en) * 2018-12-20 2022-05-24 Kateeva, Inc. Print material fee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8588B2 (en) 2022-05-24
US20240083177A1 (en) 2024-03-14
WO2020132047A1 (en) 2020-06-25
CN113260515B (zh) 2023-04-21
US20200198361A1 (en) 2020-06-25
US20220242137A1 (en) 2022-08-04
CN116587744A (zh) 2023-08-15
US11865848B2 (en) 2024-01-09
CN113260515A (zh)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5848B2 (en) Print material feed system
US80390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
US8205973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k supplying mechanism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20090295888A1 (en) Circulating type ink supply system
JP6125199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
US10562310B2 (en) Liquid container
US20150321479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CN1072118C (zh) 用于喷墨打印机的墨水和溶剂容器以及墨水处理系统
US9981494B2 (en) Waste liquid container
KR20210069649A (ko) 용기 내 액상 물질 혼합물용 순환 장치
US10875317B2 (en) Liquid tank, liquid circulation device,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CN104040297B (zh) 气体可从流体输送系统去除
JP2010208264A (ja) 液体収容容器
TW202124175A (zh) 一種饋送列印材料之系統
JP2016141071A (ja) インク供給装置、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方法
US10112389B2 (en) Inkjet head and coating apparatus using same
EP4375073A1 (en) Ink supplier
EP4375072A1 (en) Ink supplier
JP2015221574A (ja) 液体噴射装置
JP6202144B2 (ja) 液体噴射装置
US20100101680A1 (en) Method for loading liquid, liquid container and head cartridge
JP2017056683A (ja) 塗布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JP2019116053A (ja) 液体収容装置
US20230166520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240026342A (ko) 잉크젯 프린팅 장치 및 잉크젯 프린팅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