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710A -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710A
KR20210102710A KR1020200017074A KR20200017074A KR20210102710A KR 20210102710 A KR20210102710 A KR 20210102710A KR 1020200017074 A KR1020200017074 A KR 1020200017074A KR 20200017074 A KR20200017074 A KR 20200017074A KR 20210102710 A KR20210102710 A KR 2021010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evacuation
vulnerable
identifi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958B1 (ko
Inventor
정태호
이종훈
정지혜
표경수
김유정
황우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20001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5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위험장소 결정부,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상기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하는 안전장소 검색부 및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SAFE PLACE INDUCTION DEVICE FOR EACH SAFETY VULNERABLE GROUP}
본 발명은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사고 발생에 따라 안전취약계층 별로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안내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는 비상구에 대한 의무적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비상구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건물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비상구와 비상구로 향하는 통로에는 사람들을 비상구로 유도하는 비상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피난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기구 및 피난설비는 크게 피난기구와 유도등유도표지로 나누어 진다. 이때, 피난기구는 응급적보조적 피난수단으로 비상구를 통해 지상으로 대피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어 진다. 그리고 유도등과 유도표지는 앞서 설명했듯이 비상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멀리서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점점 복잡화, 대형화되는 현대 건물의 구조적 특성상 실제 화재 시 폭발 등으로 전력이 끊어지거나 연기에 의해 비상 유도등의 식별이 어려워질 경우 비상구를 신속히 찾지 못하거나 비상구를 찾았더라도 안전한 탈출로가 아니어서 건물을 빠져나오지 못해 인명사고의 빈도가 늘고 있다.
또한, 비교적으로 일반 사람에 비해서 안전사고 발생에 따라서 대피가 어려운 안전취약계층이 존재하고, 이러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안전유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2806(2017.8.30)호는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건물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감지신호와 고유식별번호를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화재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화재경보기를 작동시키고, 119센터, 경찰서, 시스템에 등록된 휴대전화로 화재발생 푸시메시지와 함께 화재 위치의 카메라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화재감지신호와 고유식별번호를 토대로 화재 위치를 검출하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에 의해 화재 위치와 반대 방향의 비상구 쪽으로 비상구유도장치의 대피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비상구유도장치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재 위치와 반대 방향의 비상구 쪽으로 대피 방향을 변환하고, 자신의 고유식별번호와 대피 방향을 상기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상기 비상구유도장치에서 수신된 고유식별번호와 대피 방향을 토대로 건물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에 건물의 내부 약도와 함께 비상구 위치, 화재 위치, 비상구유도장치의 대피 방향이 표시된 비상대피안내화면을 출력하여 대피로를 안내하는 단계; 및 (f) 상기 시스템 서버에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화재 위치의 영상정보를 화면에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75134(2014.12.15)호는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건물 내
설치된 CCTV 입력 영상에서 피난자를 검출하여 총 피난자 수, 각 층별 또는 각 구역별 피난자 수 및 피난자 이동경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난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피난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피난 경로를 생성하는 피난 경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최적 피난 경로를 상기 최적 피난 경로 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2806(2017.8.3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75134(2014.12.1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안전장소까지 대피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혼잡을 피할 수 있는 경로를 각각 나누어서 제공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안전경로를 다르게 결정함과 동시에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 가이드 방법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위험장소 결정부, 상기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상기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 상기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하는 안전장소 검색부 및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상기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험장소 결정부는 상기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2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강도를 특정하는 제3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제4 과정 및 특정 시간 주기 및 상기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을 기초로 상기 위험영역을 재결정하는 제5 과정을 통해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중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구성원에 대하여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상기 책임 구성원에게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 이후에 식별자가 부여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식별자를 재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소 검색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장소를 검색하고 상기 안전 식별자 각각에 대한 상기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책임구성원 식별자에 대해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탐색된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구별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대응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경로를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부여하는 제2 과정 및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상기 구성원이 상기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제3 과정을 통해 상기 구성원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안전장소까지 대피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혼잡을 피할 수 있는 경로를 각각 나누어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는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안전경로를 다르게 결정함과 동시에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 가이드 방법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에 의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해 생성된 가이드 맵을 확인하고,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해 제공되는 가이드를 확인할 수 있고,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비콘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해 생성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하고, 메타 데이터를 다시 업데이트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상기 도 1과는 다르게, 사용자 단말(110)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면서도 다른 장치와 융합되어 외관상 사용자 단말(110)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5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가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위험 영역을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분류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고 안전경로를 결정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안전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위험장소 결정부(310),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 안전장소 검색부(35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안전사고의 종류는 건물 붕괴, 화재, 지진, 태풍, 해일, 가스 누출 사고 또는 선박 충돌 등 인체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사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10층짜리 건물의 8층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 건물의 6층 이상을 위험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의 종류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체 피해에 따라서 위험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하는 제1 과정, 안전사고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2 과정, 안전사고의 강도를 특정하는 제3 과정,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제4 과정 및 특정 시간 주기 및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을 기초로 상기 위험영역을 재결정하는 제5 과정을 통해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에 대해서 드론 또는 CCTV 등 안전사고를 감시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를 기초로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1차적으로 안전사고 신고에 따라서 넓은 범위의 안전사고 장소를 특정하고 해당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CCTV 등을 통해서 좁은 범위의 안전사고 장소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사고의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해당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에 따라 위험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장소 결정부(310)는 안전요원의 도착 등 안전사고와 관련된 이벤트 발생시 위험영역을 재결정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130)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CCTV 또는 드론 등을 통해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맹인, 농아 또는 휠체어를 탄 사람 등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자들에 대해 안전취약계층의 유형 내에서 분류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각각의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서 안전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 중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구성원에 대하여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책임 구성원에게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 중 안전시설에 대해 관리 및 책임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책임 구성원 식별자를 부여받은 사람은 대피집단 구성원들을 인솔하여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130)는 책임구성원 식별자가 부여된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 등에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해당 권한의 부여에 따라 책임 구성원은 사용자 단말(110) 등을 통해 안전방송을 수행하여 대피집단 구성원들에게 안전수칙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수신된 프로파일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서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해당 웨어러블 기기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정보에는 사용자의 바이탈(Vital)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이탈 정보는 사람의 신체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안전 식별자 부여 이후에 식별자가 부여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안전 식별자를 재부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위험영역 내의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해서 안전 식별자 부여가 끝난 후에도, 안전 식별자 부여가 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해당 웨어러블 기기에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는 해당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진압하기 위한 출동자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해당 출동자에게 구조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위험영역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안전사고의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골든타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안전장소를 검색하고 안전 식별자 각각에 대한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장소 검색부(350)는 안전 식별자에 저장된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다른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여야 하는 대피자에게는 계단이 아닌 길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로부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전달받아,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의 위치를 출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장소 검색부(350)로부터 안전장소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안전 식별자에게 맞는 안전장소를 부여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 식별자 별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집단 구성원들 중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계단과 같이 휠체어로 이동할 수 없는 곳은 해당 안전 식별자에게 안전경로로 지정할 수 없다. 다른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 휠체어 이동장치가 존재하는 계단의 경우 안전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취약계층의 유형에 따라서 다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안전취약계층 유형이 농아인 경우에는 출발지부터 안전장소까지 라이트등의 깜빡이를 이용해서 해당 구성원이 안전경로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안전취약계층 유형이 맹인인 경우에는 출발지부터 안전장소까지 안전대피 방송을 가이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책임구성원 식별자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탐색된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책임구성원 식별자가 부여된 사람에게 대피집단 구성원들에게 안전경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해당 책임구성원의 사용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기기에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구별하여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대응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가이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는 안전경로를 포함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가이드 맵은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고려하여 생성된 지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는 제1 과정,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안전경로를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부여하는 제2 과정 및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구성원이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제3 과정을 통해 구성원에게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복수개의 안전경로 중 가장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어린이 등 이동이 느릴 수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는 대피집단 구성원의 수와 해당 안전경로가 혼잡해지는 것을 예상해서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해 다른 안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은 농아에게는 시각적 효과를 통해, 맹인에게는 청각적 효과를 통해서 안전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방법이 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위험장소 결정부(310),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 안전장소 검색부(350) 및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에 의한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위험장소 결정부(310)를 통해,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41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330)를 통해,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S43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장소 검색부(350)를 통해,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할 수 있다(S45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130)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370)를 통해,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상기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S4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위험장소 결정부 330: 안전 식별자 부여부
350: 안전장소 검색부 370: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
390: 제어부

Claims (8)

  1. 안전사고의 종류를 기초로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위험장소 결정부;
    상기 위험영역 내에 있는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비콘을 통해 안전취약계층 유형을 수신하여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을 상기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안전 식별자를 부여하는 안전 식별자 부여부;
    상기 위험영역으로부터 특정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안전장소를 검색하는 안전장소 검색부; 및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관해 출발지로부터 안전장소까지 맞춤형 안전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이 상기 안전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의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를 포함하는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장소 결정부는
    상기 안전사고가 일어난 장소를 특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종류를 특정하는 제2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강도를 특정하는 제3 과정, 상기 안전사고의 장소, 종류 및 강도에 따라서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제4 과정 및 특정 시간 주기 및 상기 안전사고와 연관된 제2 안전사고의 발생을 기초로 상기 위험영역을 재결정하는 제5 과정을 통해 상기 위험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중 특정기준을 만족하는 구성원에 대하여 책임 구성원으로 선정하여 상기 책임 구성원에게 책임구성원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책임구성원 식별자에 대해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탐색된 모든 안전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의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안전취약계층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 부여 이후에 식별자가 부여되지 않은 웨어러블 기기가 위험영역에 접근하는 경우에 상기 안전 식별자를 재부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소 검색부는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장소를 검색하고 상기 안전 식별자 각각에 대한 상기 안전장소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구별하여 상기 안전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대응되는 가이드 맵을 생성하고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부는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별로 복수개의 안전경로를 결정하는 제1 과정, 상기 안전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안전경로를 상기 대피집단 구성원 각각에 대하여 부여하는 제2 과정 및 상기 안전취약계층 유형에 따라서 분류된 가이드 라인을 기초로 상기 구성원이 상기 안전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하는 제3 과정을 통해 상기 구성원에게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취약계층별 대피장소 유도 장치.

KR1020200017074A 2020-02-12 2020-02-12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KR102430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074A KR102430958B1 (ko) 2020-02-12 2020-02-12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074A KR102430958B1 (ko) 2020-02-12 2020-02-12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710A true KR20210102710A (ko) 2021-08-20
KR102430958B1 KR102430958B1 (ko) 2022-08-09

Family

ID=7746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074A KR102430958B1 (ko) 2020-02-12 2020-02-12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34B1 (ko) 2013-01-10 2014-12-23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772806B1 (ko) 2016-03-14 2017-08-30 윤종식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8045519A (ja)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避難誘導情報提供装置および避難誘導情報提供方法
KR20180122300A (ko) * 2018-07-18 2018-11-12 디토닉 주식회사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4543A (ko) * 2018-05-24 2019-12-04 (주)케이엠에스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34B1 (ko) 2013-01-10 2014-12-23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772806B1 (ko) 2016-03-14 2017-08-30 윤종식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대피 방향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비상 대피 유도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8045519A (ja)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避難誘導情報提供装置および避難誘導情報提供方法
KR20190134543A (ko) * 2018-05-24 2019-12-04 (주)케이엠에스 양방향 비콘의 위치 기반을 이용한 스마트 방향 지시 유도등을 구비하는 대피 경로 유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2300A (ko) * 2018-07-18 2018-11-12 디토닉 주식회사 대피자 그룹 생성을 통한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958B1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EP31497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evacuations using positioning systems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09981A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US9261371B2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145438B1 (ko) 화재발생위치 및 대피방향 알림기능을 갖는 대피정보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3218A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102542129B1 (ko) 재난대피 통제 방법
KR102471645B1 (ko) 지능형 비상구 표시등 관리시스템
CN102530668A (zh) 电梯系统
KR102430958B1 (ko) 안전취약계층별 안전장소 유도 장치
KR101816905B1 (ko) 비상조명등을 이용한 대피경로 제공 시스템
US2017033779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Output Of Warning Messages
KR102121672B1 (ko) 최단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618950B1 (ko)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KR102448752B1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CN114783125A (zh) 消防应急指向疏散系统
JP2023181762A (ja) 避難支援装置、避難支援方法および避難支援システム
KR102233045B1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5408A (ko) 군집 로봇 기반 동적 비상등 시스템
KR101991258B1 (ko) 피난 유도물 및 피난 유도원의 배치효율 평가 방법
KR102673334B1 (ko) 지능형 피난안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