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950B1 -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950B1
KR102618950B1 KR1020210167517A KR20210167517A KR102618950B1 KR 102618950 B1 KR102618950 B1 KR 102618950B1 KR 1020210167517 A KR1020210167517 A KR 1020210167517A KR 20210167517 A KR20210167517 A KR 20210167517A KR 102618950 B1 KR102618950 B1 KR 10261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route
evacuation
usage status
usage
dis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0093A (ko
Inventor
김종욱
송우승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21016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95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0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가 최선의 대피 경로를 사용하여 피난이 가능하도록 안내가 가능한 피난 설비 사용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와 같은 재난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에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SYSTEM FOR GUIDING USAGE OF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가 최선의 대피 경로를 사용하여 피난이 가능하도록 안내가 가능한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복잡한 내부 구조를 띠고 있는 대형 복합 시설물 등 복합 건축물들이 신축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 건축물들은 한 층에서도 비상 대피로 및 계단이 복수개일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보안 시설 및 유휴 공간이 많다.
이에, 복합 건축물에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되면, 해당 건축물을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은 건축물 내부의 지리에 익숙하지 않아 비상 대피로를 통해 출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건축물 내 상주하는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연기와 소음 등으로 당황한 상태에서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고 신속히 비상 대피로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건축물 내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안전한 비상 대피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소방법상 의무적으로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비상 대피로 안내 장치는 점발광 특성을 갖는 램프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비상 대피등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과 병행으로 발광 특성이 없는 각종 대피로 안내 표지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이러한 기술들은 건축물 내 다른 시스템들과 상관없이 단독으로 동작하며, 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시 대피로 안내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시 출입구를 찾아 이동하는 요구조자들의 동선이 교차되면서 혼잡을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혼잡에 의한 2차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요구조자의 위치 정보와 화재 등의 재난에 의한 위험 구역에 대한 정보의 상호 연관성이 결여되어 효율적인 대피를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출입구를 찾기 위해 이동하는 경로가 재난 발생지점을 경유하는 경로가 될 수 있으므로 대피 경로를 제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으며, 요구조자들이 자신의 대피 경로를 충분히 숙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복도와 같은 기본 대피 경로가 화재 등의 재난으로 유해한 연기로 오염될 경우, 요구조자가 재실 공간의 출입문 또는 방화문 등을 개방할 경우 오히려 오염된 대피 경로로부터 유해한 연기 등이 유입되어 질식의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에 맞는 다양한 대피 경로나 대피 경로의 현황을 제공하거나 대피 설비 등의 선택적인 사용 가능 여부 등을 제공하여 요구조자가 최선의 대피 경로로 피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8897호 (2016.09.22.)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가 안전성이 높은 최선의 대피 경로로 피난할 수 있도록 유도 가능한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대피 경로의 선택이 가능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가 가능한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와 같은 재난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에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재난 감지 장치와 상기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난 감지 장치는, 열 감지 센서와 불꽃 감지 센서 및 온도 또는 조도 감지 센서와 같은 화재 감지용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 및 진동 감지 센서와 같은 물리력 감지용 센서와, 유해가스 농도 감지 센서 및 산소 농도 감지 센서와 같은 가스 감지용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와, 상기 화재와 같은 재난 현황을 이미지화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과 연결된 복도 및 상기 복도와 연결된 피난 계단을 포함하는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과,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의 외부와 연결된 피난 설비를 포함하는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도달시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하고,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미 도달시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하되,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미 도달시, 상기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의 출입문을 폐쇄하고 상기 재실 공간에 체류를 안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피난 설비는, 완강기와 무동력 다수인 피난장치(쎄이빙선) 및 상기 재실 공간의 외부에 연결된 피난 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도어폰과 월 패드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에게 대피 경로에 따른 실시간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요구조자가 안전성이 높은 최선의 대피 경로로 피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요구조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대피 경로의 선택이 가능하여 요구조자의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대피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의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되는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이 적용된 대피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100)은, 크게 화재와 같은 재난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110)와,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211, 212, 213)에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서버(120), 및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부터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와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 및 상기 디스플레이(131, 132, 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일 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는, 열 감지 센서와 불꽃 감지 센서 및 온도 또는 조도 감지 센서와 같은 화재 감지용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 및 진동 감지 센서와 같은 물리력 감지용 센서와, 유해가스 농도 감지 센서 및 산소 농도 감지 센서와 같은 가스 감지용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와, 상기 화재와 같은 재난 현황을 이미지화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축물(10) 내 외부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건축물(10)에 열 감지 센서와 불꽃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와 같은 화재 감지용 센서 중 어느 하나와 카메라를 포함하는 재난 감지 장치(11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축물(10)에 화재 발생시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를 통해 화재가 난 구역 즉 복도(201)의 열과 온도 및 불꽃 등을 감지하여 화재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카메라에 의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건축물(10)에 상기 화재 감지용 센서와 함께 또는 별도로, 유해가스 농도 감지 센서 및 산소 농도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와 같은 가스 감지용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재난 감지 장치(110)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축물(10)에 화재 발생시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를 통해 화재가 난 구역 즉 복도(201)의 일산화탄소 농도와 산소 농도 및 연기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카메라에 의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건축물(10)에 상기 화재 감지용 센서와 함께 또는 별도로, 충격 감지 센서 및 진동 감지 센서와 같은 물리력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재난 감지 장치(110)가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축물(10)에 화재 발생시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를 통해 화재가 난 구역 즉 복도(201)에 화재로 인한 건축물(10) 천장이나 물품 등의 무너짐이나 파손 등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카메라에 의한 영상과 함께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본 실시예의 피난 정보 사용 안내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전술한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211, 212, 213)과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상기 각 요구조자의 디스플레이(131, 132, 13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211, 212, 213)과 연결된 복도(201) 및 상기 복도(201)와 연결된 피난 계단(202)을 포함하는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과,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211, 212, 213)의 외부에 연결된 피난 설비(221, 222, 223, 231, 232, 233)를 포함하는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감지된 화재와 같은 재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211, 212, 213)과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온도와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한 가스 농도 및 산소 농도 그리고 불꽃 및 연기 및 장애물 등의 화재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생성된 정보를 상기 각 요구조자의 디스플레이(131, 132, 133)로 전송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의 요구조자는 해당되는 디스플레이(131, 132, 133)로부터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메인 대피 경로와 보조 대피 경로 중 최선의 대피 경로를 선택하여 피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난 설비는 완강기와 무동력 다수인 피난장치(쎄이빙선)를 포함하는 이동식 피난 설비(221, 222, 223)와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 외부에 연결된 피난 계단(231, 232, 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부터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도달시 예를 들어, 상기 복도(201)의 온도 및 유해한 가스의 농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복도(201) 및 상기 복도(201)와 연결된 피난 계단(202)을 포함하는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고,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미 도달시 예를 들어, 상기 복도(201)의 온도 및 유해한 가스의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피난 설비(221, 222, 223, 231, 232, 233)을 포함하는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부터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하되,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 모두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미 도달시 예를 들어, 상기 복도(201)의 온도 및 유해한 가스의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피난 설비(221, 222, 223, 231, 232, 233)가 없거나 사용 불능일 경우, 상기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의 출입문을 폐쇄하고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123)에 체류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의 제어 아래 상기 피난 경로 사용 안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거나 추가로 음성 등을 통해 해당 요구조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30)로 표시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 및 사용 안내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의 제어 아래,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 즉, 각 요구조자의 요청이나 조작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비디오 도어폰과 월 패드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의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의 안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의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100)은 평상시 대기 상태 즉,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화재와 같은 재난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건축물(10) 내부의 피난 설비(221, 222, 223, 231, 232, 233)의 사용 상태가 업데이트되고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화재와 같은 재난이 감지되면,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는 감지된 화재 관련 정보를 중앙 관제 서버(120)로 전송한다.(S10)
그러면,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화재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211, 212, 213)과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생성한다.(S20)
아울러,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상기 각 요구조자의 디스플레이(131, 132, 133)로 전송할 수 있다.(S2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131, 132, 133)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로부터 전송받은 각 재실 공간(211, 212, 213)과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외부로 표시하고 최선의 대피 경로를 이미지나 음성 등을 통해 외부로 알릴 수 있다.(S30)
이때,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각 재실 공간(211, 212, 213)과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여 최선의 대피 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 산출된 최선의 대피 경로를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의 디스플레이(131, 132, 133)를 통해 표시 안내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 구역 즉, 복도(201)의 온도 및/또는 유해한 가스 농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의 디스플레이(131, 132, 133)를 통해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외부로 표시하면서 상기 복도(201)를 이용한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위험을 안내함과 함께 피난 설비(221, 222, 223, 231, 232, 233)를 이용한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피난 설비 중 완강기와 같은 이동식 피난 설비(221, 222, 223) 고장시 피난 계단(231, 232, 233)을 이용한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고, 상기 피난 설비(221, 222, 223, 231, 232, 233) 모두의 사용이 불가할 경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의 출입문을 폐쇄하고 체류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재난 감지 장치(110)로부터 화재와 같은 재난 발생 구역 즉, 복도(201)의 온도 및/또는 유해한 가스 농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의 디스플레이(131, 132, 133)를 통해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외부로 표시하면서 상기 복도(201) 및 상기 복도(201)와 연결된 피난 계단(202)을 이용한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 관제 서버(120)는, 상기 복도(201)의 온도 및/또는 유해한 가스 농도가 설정값 미만이더라도, 상기 각 재실 공간(211, 212, 213)의 요구조자 중 복도(201)의 화재 구역을 통과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재실 공간(211, 212)의 요구조자에게는 해당되는 디스플레이(131, 132)를 통해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각 요구조자는 상기 보조 대피 경로를 통해 지상층으로 이동하거나 다른 층 또는 다른 재실 공간으로 대피할 수 있으며, 추가 피난이 필요한 경우 이동한 공간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받아 피난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이 불가할 경우 화재 구역을 통과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는 재실 공간(211, 212)의 요구조자에게는 출입문을 폐쇄하고 구조대원이 올 때까지 체류할 것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건축물
100 :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110 : 재난 감지 장치
120 : 중앙 관제 서버
13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9)

  1. 화재와 같은 재난을 감지하는 재난 감지 장치;
    상기 재난 감지 장치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하여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에 대응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송신하는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제 서버는,
    상기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과 연결된 복도 및 상기 복도와 연결된 피난 계단을 포함하는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과,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의 외부와 연결된 피난 설비를 포함하는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생성하여 송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중앙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을 수신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 장치와 상기 중앙 관제 서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 감지 장치는,
    열 감지 센서와 불꽃 감지 센서 및 온도 또는 조도 감지 센서와 같은 화재 감지용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 및 진동 감지 센서와 같은 물리력 감지용 센서와, 유해가스 농도 감지 센서 및 산소 농도 감지 센서와 같은 가스 감지용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와,
    상기 화재와 같은 재난 현황을 이미지화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도달시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하고,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미 도달시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을 안내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 및 상기 보조 대피 경로의 사용 현황이 설정된 조건에 미 도달시, 상기 각 요구조자의 재실 공간의 출입문을 폐쇄하고 상기 재실 공간에 체류를 안내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7. 청구항 1과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설비는, 완강기와 무동력 다수인 피난장치(쎄이빙선) 및 상기 재실 공간의 외부에 연결된 피난 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도어폰과 월 패드 및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대피 경로별 사용 현황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KR1020210167517A 2021-11-29 2021-11-29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KR10261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17A KR102618950B1 (ko) 2021-11-29 2021-11-29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17A KR102618950B1 (ko) 2021-11-29 2021-11-29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93A KR20230080093A (ko) 2023-06-07
KR102618950B1 true KR102618950B1 (ko) 2023-12-27

Family

ID=8676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517A KR102618950B1 (ko) 2021-11-29 2021-11-29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9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56B1 (ko) * 2017-06-19 2018-10-31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대피자 맞춤형 피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34B1 (ko) * 2013-01-10 2014-12-23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1650774B1 (ko) * 2014-08-06 2016-08-25 한국과학기술원 안전 대피 경로 제공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58897B1 (ko) 2014-09-30 2016-09-22 (주)아톰포토 비상 대피로 안내 시스템 및 엘이디 점자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756B1 (ko) * 2017-06-19 2018-10-31 주식회사 지에프에스 대피자 맞춤형 피난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93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883B1 (ko) 피난 유도를 위한 중앙 감시 장치 및 카메라 모듈
Groner A decision model for recommending which building occupants should move where during fire emergencies
JP3446996B2 (ja) 総合防災救難システム
JP2004203623A (ja)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US20170345265A1 (en) Dynamic acquisition terminal for behavior statistic information of people,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KR102019438B1 (ko) 위치정보에 기반한 피난경로 제공 방법 및 피난경로 제공 시스템
JP6372851B2 (ja) 避難支援設備
JP431163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362295B1 (ko) 통합 재난 안내 시스템
KR102325565B1 (ko) 화재로부터 탈출을 위한 최적 경로 도출 방법
Bukowski et al. Egress concepts and design approaches
JP431163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469824B1 (ja) 災害情報支援システム及び災害情報支援方法
KR102618950B1 (ko) 피난 경로 사용 안내 시스템
KR102262596B1 (ko) 재실자 위치정보를 이용한 피난 안전 장치와 시스템 및 비상 유도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재난을 대피하는 방법
KR102542129B1 (ko) 재난대피 통제 방법
KR102592101B1 (ko) 인공지능 기반 건축구조물 내의 최적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및 안내방법
JP2023181762A (ja) 避難支援装置、避難支援方法および避難支援システム
JP2008308309A (ja) エレベータを利用した火災時避難誘導システム
KR102448752B1 (ko) 지능형 화재 대응 장치 및 그를 위한 모바일 단말 어플리케이션
KR20230080101A (ko) 피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06277A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90116019A (ko) 재난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12310B1 (ko) 화재시 피난 동선의 유도가 가능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