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908A -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908A
KR20210101908A KR1020200016450A KR20200016450A KR20210101908A KR 20210101908 A KR20210101908 A KR 20210101908A KR 1020200016450 A KR1020200016450 A KR 1020200016450A KR 20200016450 A KR20200016450 A KR 20200016450A KR 20210101908 A KR20210101908 A KR 2021010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astic
string
clam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839B1 (ko
Inventor
서정윤
Original Assignee
서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윤 filed Critical 서정윤
Priority to KR102020001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83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제1 내지 제4탄성바로 이루어지는 탄성바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바와 제3 및 제4탄성바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지주 안착부와, 상기 제2탄성바와 제3탄성바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4탄성바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바 연결부와, 상기 제4탄성바에 연결된 바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바에 결합되는 바 지지부와, 상기 제1탄성바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며,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나선형 바로 구성되는 고정 안내부재; 및 상기 끈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집게부재와, 상기 집게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집게부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집게 연결축이 구성된 집게 결합패널과, 상기 집게 결합패널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끈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Tangle Prevention Device for Crop Stem Support Straps}
본 발명은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의 끈을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내 재배지의 끈 연결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 및 작업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연결된 다수의 끈을 동시에 풀어 낼 때에도 엉킴없이 한번에 풀 수 있는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닐하우스 내의 식물 재배시 식물의 성장에 따라 식물의 줄기가 자라고 열매가 맺어지면서 식물 자체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식물의 바른 성장을 가이드하면서 식물의 자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식물 주변으로 끈과 같은 줄을 연결하고, 이 줄을 이용하여 식물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종래에는 식물을 재배하는 재배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한 후 지주와 지주간을 끈을 이용해 묶어서 가로, 세로로 여러 줄을 연결하게 된다.
하지만, 끈의 연결 작업시 끈들의 엄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줄씩 풀면서 여러번 왕복 작업을 해야만 하므로, 해당 작업에 대한 작업략이 방대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07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973호 등에는 작물을 끈에 고정시키는 고정집게에 대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끈의 연결 작업 자체에 대한 작업을 개선하지는 못하고 있어 전술한 비효율적인 작업 방식이 여전히 고수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07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0973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의 끈을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내 재배지의 끈 연결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 및 작업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끈을 동시에 연결을 하면서도 끈들 간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된 다수의 끈을 동시에 풀어 낼 때에도 엉킴없이 한번에 풀 수 있는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제1 내지 제4탄성바로 이루어지는 탄성바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바와 제3 및 제4탄성바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지주 안착부와, 상기 제2탄성바와 제3탄성바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4탄성바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바 연결부와, 상기 제4탄성바에 연결된 바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바에 결합되는 바 지지부와, 상기 제1탄성바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며,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나선형 바로 구성되는 고정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끈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집게부재와, 상기 집게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집게부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집게 연결축이 구성된 집게 결합패널과, 상기 집게 결합패널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된 끈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선형 바는, 상기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질 때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게 결합패널에는 상기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끈의 단부가 집게부재에 고정이 이루어질 때, 상기 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번의 작업으로 다수의 끈을 동시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닐 하우스 내 재배지의 끈 연결 작업에 대한 작업 시간 및 작업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끈을 동시에 연결을 하면서도 끈들 간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된 다수의 끈을 동시에 풀어 낼 때에도 엉킴없이 한번에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의 고정 안내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의 끈 고정부재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의 집게 결합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는 재배지의 주변에 설치된 지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개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끈이 관통하거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 안내부재(100)와, 고정 안내부재(100)를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진 다수개의 끈들 각각의 끝단부를 고정하며, 재배지의 둘레면으로 이동하면서 끝단부가 고정된 다수개의 끈이 횡방향으로 지주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끈 고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안내부재(100)는 일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지주와의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타측으로 끈이 관통하여 끈 고정부재(200)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이 끈과 지주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끈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바(110), 지주 안착부(120), 바 연결부(130), 바 지지부(140), 연결바(150), 나선형 바(160)로 구성된다.
탄성바(110)는, 직선형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 안내부재(100)의 일측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내지 제4탄성바(112, 114, 116, 118)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바(110)의 이격 거리는 지주의 외주면 직경과 동일한 거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향할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탄성바(11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지주 안착부(120)와 바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탄성바(110)는 도 2를 기준으로 제1탄성바(112)의 전방으로 제2탄성바(114)가 위치하며, 제2탄성바(114)의 좌측으로 제3탄성바(116)가 위치하고, 이 제3탄성바(116)의 후방으로 제4탄성바(118)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탄성바(110)는 제1 및 제2탄성바(112, 114)와 제3 및 제4탄성바(116, 118)가 각각 지주 안착부(120)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제2탄성바(114)와 제3탄성바(116)의 상단부가 바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4탄성바(118)는 그 상단부로 바 연결부(130)가 반원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연결되며, 제4탄성바(118)에 연결된 바 연결부(130)의 끝단부로 바 지지부(140)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바 지지부(140)는 외주 일면이 제1탄성바(112)와 용접 등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지주와의 결합시 탄성바(110)의 탄성 작동에 대한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탄성바(110)는 지주와 결합이 이루어질 때, 제2 및 제3탄성바(114, 116)가 지주 안착부(120)와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벌어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결합 후 원위치로 복원이 이루어지면서 지주를 가압하여 고정 안내부재(100)가 지주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바(110)에는 제2 및 제3탄성바(114, 116)와 제1 및 제4탄성바(112, 118)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지주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일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지주 삽입홀(122)이 더 구성된다.
연결바(150)는, 제1탄성바(112)의 상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도 2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나선형 바(160)와 탄성바(11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나선형 바(160)는, 그 대량적인 형상이 스프링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질 때 나선형 바(16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나선형 바(160)는 성형된 방향으로 끈을 이동시키면서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의 어느 한 지점(A)이 나선형 바(160)의 첫번째 외주면(a1)에 접하도록 하고, 이후 이 첫번째 외주면(a1)을 따라 상기 지점(A)이 두번째 외주면(a2)으로 향하도록 이동시키게 되며, 이동이 완료되면, 나선형 바(160)의 두번째 외주면(a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62)로 상기 지점(A)이 관통하면서 고정 안내부재(100)와 끈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끈 고정부재(200)에 끝단부가 고정된 끈이 재배지를 두르면서 상기 나선형 바(160)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끈을 나선형 바(160)에 묶음 등을 통해 고정하거나, 나선형 바(160)의 두번째 외주면(a2) 및 첫번째 외주면(a1)의 순서로 끝의 끝단부를 이동시키면서 나선형 바(160)의 외주면을 이미 관통한 상기 지점(A)과의 매듭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끈 고정부재(200)는 고정 안내부재(100)와 독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고정 안내부재(100)에 관통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끈들 각각의 끝단부와 연결 및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끈들을 재배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지주들을 감싸면서 재배지에 대한 끈의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집게부재(210), 집게 결합패널(220), 고정 프레임(230) 및 수용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게부재(21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2개의 집게패널로 이루어지며, 집게 연결축(222)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끈의 끝단부를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끈 고정부(212)가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 안내부재(100)와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며, 재배지에 연결될 끈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된다.
집게 결합패널(220)은, 다수개의 집게부재(210)들을 고정하고, 이 다수개의 집게부재(210)들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집게부재(210)들을 동시에 연결하는 집게 연결축(222)이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개의 집게부재(210)가 하나의 집게 연결축(222)에 의해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집게 결합패널(2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집게부재(210)의 끈 고정부(212)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끈의 단부가 끈 고정부(212)에 고정이 이루어질 때, 이 끈 고정부(212)로부터 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패널(224)이 더 구성된다.
미끄럼 방지패널(224)은 집게 결합패널(220)의 전방측 단부에 상향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단턱부를 형성하여 이 단턱부와 끈 고정부(212)의 선단부 사이로 끈이 위치하도록 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230)은, 집게 결합패널(220)의 후방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집게부재(210)에 고정된 다수개의 끈들을 이동시켜 재배지의 둘레면에 위치하는 지주들과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작업자의 용이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가락이 수용되는 수용부(240)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240)의 일측으로 작업자가 파지하여 손잡이의 역할을 하는 파지부(232)가 구성된다.
이때, 수용부(240)는, 끈 고정부재(200)를 직접 지주에 고정시켜 다수개의 끈들에 대한 별도의 고정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끈 연결작업에 대한 마감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관통홀로 구성되며, 지주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일정 거리 만큼 크게 형성되어 지주와 끼움 결합 방식, 또는 삽입에 의한 결합방식 등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 지시된 도면부호 10 및 20은 각각 지주 및 끈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안내부재 110: 탄성바
120: 지주 안착부 130: 바 연결부
140: 바 지지부 150: 연결바
160: 나선형 바 200: 끈 고정부재
210: 집게부재 220: 집게 결합패널
230: 고정 프레임 240: 수용부

Claims (3)

  1.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제1 내지 제4탄성바로 이루어지는 탄성바와, 상기 제1 및 제2탄성바와 제3 및 제4탄성바의 하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지주 안착부와, 상기 제2탄성바와 제3탄성바의 상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4탄성바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바 연결부와, 상기 제4탄성바에 연결된 바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탄성바에 결합되는 바 지지부와, 상기 제1탄성바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며,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나선형 바로 구성되는 고정 안내부재; 및
    상기 끈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집게부재와, 상기 집게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집게부재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집게 연결축이 구성된 집게 결합패널과, 상기 집게 결합패널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끈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바는,
    상기 끈의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질 때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통,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결합패널에는
    상기 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끈의 단부가 집게부재에 고정이 이루어질 때, 상기 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KR1020200016450A 2020-02-11 2020-02-11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KR102359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50A KR102359839B1 (ko) 2020-02-11 2020-02-11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50A KR102359839B1 (ko) 2020-02-11 2020-02-11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08A true KR20210101908A (ko) 2021-08-19
KR102359839B1 KR102359839B1 (ko) 2022-02-07

Family

ID=7749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50A KR102359839B1 (ko) 2020-02-11 2020-02-11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8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47A (ko) * 1997-08-07 1999-03-05 장근홍 포도 결속용 클립
KR200170781Y1 (ko) 1999-08-25 2000-03-15 윤영도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KR20100089998A (ko) * 2009-02-05 2010-08-13 (주)일륭금속 농작물 지지용 클립
KR20150047715A (ko) * 2013-10-25 2015-05-06 박혜민 농작물 지주대
KR20160010973A (ko)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명지 작물 줄기 고정구
KR20160011317A (ko) * 2014-07-21 2016-02-01 (주)탐스텍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47A (ko) * 1997-08-07 1999-03-05 장근홍 포도 결속용 클립
KR200170781Y1 (ko) 1999-08-25 2000-03-15 윤영도 농작물 순 고정용 집게
KR20100089998A (ko) * 2009-02-05 2010-08-13 (주)일륭금속 농작물 지지용 클립
KR20150047715A (ko) * 2013-10-25 2015-05-06 박혜민 농작물 지주대
KR20160010973A (ko)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명지 작물 줄기 고정구
KR20160011317A (ko) * 2014-07-21 2016-02-01 (주)탐스텍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839B1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050A (en)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KR102359839B1 (ko) 작물 줄기 지지끈용 엉킴 방지장치
KR100816652B1 (ko) 식물 고정용 집게
KR20160010973A (ko) 작물 줄기 고정구
JPH0994032A (ja) 蔓性果樹棚の新梢支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EP2244550B1 (en) Spring-type spacer member
US20170339850A1 (en) Method of growing grapes
KR20170017858A (ko)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CN210987096U (zh) 一种树果的采摘器具
CN203661687U (zh) 成龄枣树拉枝器
JP2017189155A (ja) 植物用支持具
JP4931966B2 (ja) 果菜茎等支持具
JP3801578B2 (ja) 接ぎ木保持具
WO2016055680A1 (es) Dispositivo de sujeción y guiado para cultivo de frutales en espaldera
JP3162438U (ja) 苗木支持具及び苗木支持具キット
KR200460858Y1 (ko) 묘목 고정용 타이
WO2010068464A2 (en) Plant fastener and method of fastening a plant to a trellis
AU2017204039B2 (en) A Trellis Component.
KR101943092B1 (ko) 식물 줄기 지지용 집게
KR102168129B1 (ko)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KR20160011317A (ko)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WO2020183447A1 (en) Plant support device
JP3142821U (ja) 園芸用ピンチ
CN219373242U (zh) 一种栽培装置及其棚架
KR20230002312U (ko) 작물 고정용 집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