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575A -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 Google Patents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575A
KR20210101575A KR1020200015695A KR20200015695A KR20210101575A KR 20210101575 A KR20210101575 A KR 20210101575A KR 1020200015695 A KR1020200015695 A KR 1020200015695A KR 20200015695 A KR20200015695 A KR 20200015695A KR 20210101575 A KR20210101575 A KR 20210101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ilter
collected
filter in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진
Original Assignee
김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진 filed Critical 김학진
Priority to KR102020001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575A/ko
Publication of KR2021010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필터 입구에 의하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바닷물 배출구에 의하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바닷물 배출구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 입구에 의하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바닷물 배출구에 의하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The filter of tiny plastic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바닷물 배출구로 구성 하여서,
필터 입구에 의하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바닷물 배출구에 의하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은 수면 위에 떠다니는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을 수거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은 선박, 컨베이어 벨트, 수거 및 보관용 용기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를 수면에 대고 작동시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은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 1020180112455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이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바닷물 배출구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바닷물 배출구로 구성 함으로써, 필터 입구에 의하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하고, 바닷물 배출구에 의하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의 단면 그림
도 2: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의 전체 그림
도 3: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를 위에서 본 그림
즉, 본 발명은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1-1)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1-2)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1-3)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1-4)바닷물 배출구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3)필터 입구는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1-4)바닷물 배출구는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1-1)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1-2)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1-3)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1-4)바닷물 배출구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커다란 해양 쓰레기는 수거가 가능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처럼 크기기 5mm이하인 쓰레기는 수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1-3)필터 입구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유선형태로 형성한 (1-4)바닷물 배출구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1: 입구, 1-2: 출구, 1-3: 필터 입구, 1-4: 바닷물 배출구

Claims (3)

  1. 해양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바닷물이 들어올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1-1)입구,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게 타원형 형태로 구성한 (1-2)출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한 (1-3)필터 입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한 (1-4)바닷물 배출구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1-3)필터 입구를 통하여 와류로 유입된 바닷물이 필터입구로 들어갈 수 있게 타원도넛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1-4)바닷물 배출구를 통하여 필터링된 바닷물을 배출할 수 있게 유선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KR1020200015695A 2020-02-10 2020-02-10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KR20210101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695A KR20210101575A (ko) 2020-02-10 2020-02-10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695A KR20210101575A (ko) 2020-02-10 2020-02-10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575A true KR20210101575A (ko) 2021-08-19

Family

ID=7749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695A KR20210101575A (ko) 2020-02-10 2020-02-10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5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3760A (zh) * 2022-05-26 2022-08-09 湘潭大学 一种基于涡流效应的微塑料收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55A (ko) 2017-04-04 2018-10-12 방기덕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455A (ko) 2017-04-04 2018-10-12 방기덕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3760A (zh) * 2022-05-26 2022-08-09 湘潭大学 一种基于涡流效应的微塑料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21299B (zh) 具有除沙螺杆的多室往复式海洋微塑料同步采集分离装置
JP2018199949A (ja) 浮遊物捕集船
KR20210101575A (ko)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KR20200075977A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US20040094848A1 (en) Gas eductors and gas eductor flotation separators
WO2022239298A1 (ja) 凝集サイクロン装置、それを用いた海洋プラスチック除去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搭載した船舶並びにその船舶の運航方法
WO2013042197A1 (ja) 排煙脱硫設備における廃水処理設備
JP2011152540A (ja) フィルタハウジング
US4279842A (en) Air diffuser assembly
KR20180100004A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부유식 배출구와 선회접촉조를 이용한 원형 가압부상장치
TWM590152U (zh) 微粒收集裝置
JP4255185B2 (ja) 浮遊物回収装置
US11148078B2 (en) Filtering device
Colic et al. Case study: fish processing plant wastewater treatment
GB2293988A (en) Sedimentation tanks
HU181464B (en) Stripping device for separating contaminations suspended in fluids particularly for ones of smaller specific density than that of fluid advantageously for purifying sewages containing oil
KR102260152B1 (ko) 사이클론식 디스크 필터
JP3462794B2 (ja) 旋回流式ストレーナ
KR102515504B1 (ko) 사이클론 활용 미세플라스틱 수집 장치
KR101609737B1 (ko) 모듈식 사이클론
RU14683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рабочих жидкостей
KR200209804Y1 (ko)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JP3241269U (ja) 旋回流型濾過器
CN211006598U (zh) 水体表面清渣系统
FI123403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aasun poistamiseksi liuokse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