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55A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55A
KR20180112455A KR1020170043555A KR20170043555A KR20180112455A KR 20180112455 A KR20180112455 A KR 20180112455A KR 1020170043555 A KR1020170043555 A KR 1020170043555A KR 20170043555 A KR20170043555 A KR 20170043555A KR 20180112455 A KR20180112455 A KR 20180112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rod
piston
sh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기덕
Original Assignee
방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덕 filed Critical 방기덕
Priority to KR102017004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55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4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 F16H21/5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ith movements in three dimension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이 다른 동력전달에 있어서 전달효율을 향상시킨 다수의 관절과 피스톤을 가지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110)와 피스톤로드(120)로 구성되는 피스톤(100)과, 상기 피스톤로드(120)의 말단에 설치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에(130) 설치되는 원통형하우징(200)과, 상기 원통형하우징(20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0)에 연결되는 로드(140)와, 상기 로드(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다중로드연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는 4개의 축(151, 152, 153, 154)을 가지고, 상기 축(151)은 로드(140)과 연결되며, 상기 축(152, 153, 154)은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에 연결되며, 상기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은 2차 동력전달로드(170)들의 축연결부(171, 172, 173)에 연결되고, 상기 2차 동력전달로드(170)의 타단은 피스톤의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축(1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A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이 다른 동력전달에 있어서 전달효율을 향상시킨 다수의 관절과 피스톤을 가지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력전달장치는 동력원으로부터 작업부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쓰이는 장치로서, 전동장치라고도 한다. 동력전달장치의 종류에는 톱니가 서로 맞물려 동력을 직접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기어전동장치, 벨트체인을 이용한 벨트전동장치, 클러치와 같이 표면마찰을 이용하는 마찰전동장치, 유체식으로 유체이음과 토크컨버터 원동기로 유압펌프를 돌려 발생한 고압의 오일을 유압모터 또는 유압실린더로 보내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전동장치, 원동기로 발전기를 돌려 발생한 전류를 전동기로 보내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식 전동장치 등이 있다. 동력전달장치는 동력공급 및 전달, 회전속도 제어 등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단독 또는 여러 장치가 어울려 동력전달 계통을 이루며 사용된다. 동력전달을 위한 수단 중 직선운동의 힘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은 오래전부터 많이 존재해 왔다. 본원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동력전달장치의 종래기술을 살펴본다. 종래기술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등록실용 제20-0381239호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롤러' (공고일자 2005년04월14일)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어와, 외경이 기어의 피치원보다 0.01 내지 0.03㎜ 크고 기어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와 동심축을 이루도록 기어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블록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롤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20-0381239호에 의한 동력전달롤러는, 서로 다른 기어가 각 피치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결합되므로 안정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어가 압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톱니가 손상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20-0189940호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수직브러쉬의 동력전달장치' (공고일자 2000년07월15일)는 승합차 또는 대형버스를 자동으로 세차하는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자동차의 측면을 세차하기 위한 수직브러쉬를 구동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에 수직브러쉬를 설치하여 프레임의 이송으로 차량을 세차하는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수직브러쉬를 가진 샤우드의 일측을 길게 연장하여 소정의 위치에 연동체인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샤우드는 베어링을 가진 브라켓트에 의해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샤우드의 일측의 프레임에 모터받침대를 형성하여 상단에 모터를 장착하고, 상기 모터의 선단에 구동체인기어를 형성하여 샤우드의 연동체인기어와 수평이 유지되도록 체인으로 연결하여서 수직브러쉬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양측면을 세차하기 위한 수직브러쉬에 동력을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모터와 부자재의 수명이 연장되고, 나아가서는 자동세차기를 고장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등록실용 제20-0381239호 '기어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롤러' (공고일자 2005년04월14일) 등록번호 제20-0189940호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수직브러쉬의 동력전달장치' (공고일자 2000년07월15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왕복운동의 동력을 회전축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110)와 피스톤로드(120)로 구성되는 피스톤(100)과, 상기 피스톤로드(120)의 말단에 설치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에(130) 설치되는 원통형하우징(200)과, 상기 원통형하우징(20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0)에 연결되는 로드(140)와, 상기 로드(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다중로드연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는 4개의 축(151, 152, 153, 154)을 가지고, 상기 축(151)은 로드(140)과 연결되며, 상기 축(152, 153, 154)은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에 연결되며, 상기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은 2차 동력전달로드(170)들의 축연결부(171, 172, 173)에 연결되고, 상기 2차 동력전달로드(170)의 타단은 피스톤의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축(1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왕복운동에 의한 동력을 회전축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로드를 이용한 운동의 전환에 있어서, 로드에 다수의 관절을 부여함에 따라 급작스런 힘이 가해질 경우 로드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본 발명의 다중로드연결구(150)에 의해 다수의 동력전달로드를 적용함으로써 회전하던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의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가 도1로부터 밀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110)와 피스톤로드(120)로 구성되는 피스톤(100)과,
상기 피스톤로드(120)의 말단에 설치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에(130) 설치되는 원통형하우징(200)과, 상기 원통형하우징(20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0)에 연결되는 로드(140)와, 상기 로드(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다중로드연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는 4개의 축(151, 152, 153, 154)을 가지고,
상기 축(151)은 로드(140)과 연결되며,
상기 축(152, 153, 154)은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에 연결되며,
상기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은 2차 동력전달로드(170)들의 축연결부(171, 172, 173)에 연결되고,
상기 2차 동력전달로드(170)의 타단은 피스톤의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축(1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는 삼각형 형상으로 제조되며 각 변의 꼭지점 및 일변의 중앙에 4개의 축(151, 152, 153, 154)이 설치된다. 상기 축에 로드(140) 및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이 연결되며, 상기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은 2차동력전달로드(170)들의 축으로된 관절에 연결된다. 즉,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는 2차원적인 다중의 관절을 형성시키는 중심적인 구심점의 역할을 한다.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에 연결된 각 동력전달로드들은 다수의 2차원 평면상의 관절을 가지게 되며 이로써 급작스런 힘이 가해질 경우 로드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회전하던 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원통형하우징(200)의 왕복운동은 회전운동으로 바뀌어 회전축(130)으로 전달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피스톤
110. 피스톤실린더
120. 피스톤로드
130. 회전축
140. 로드
150. 다중로드연결구
160. 1차동력전달로드
170. 2차동력전달로드
180. 축
200. 원통형하우징

Claims (1)

  1.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110)와 피스톤로드(120)로 구성되는 피스톤(100)과,
    상기 피스톤로드(120)의 말단에 설치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회전축에(130) 설치되는 원통형하우징(200)과, 상기 원통형하우징(200)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0)에 연결되는 로드(140)와, 상기 로드(140)의 타단에 연결되는 다중로드연결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로드연결구(150)는 4개의 축(151, 152, 153, 154)을 가지고,
    상기 축(151)은 로드(140)과 연결되며,
    상기 축(152, 153, 154)은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에 연결되며,
    상기 1차동력전달로드(160)들은 2차 동력전달로드(170)들의 축연결부(171, 172, 173)에 연결되고,
    상기 2차 동력전달로드(170)의 타단은 피스톤의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축(18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20170043555A 2017-04-04 2017-04-04 동력전달장치 KR20180112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55A KR20180112455A (ko) 2017-04-04 2017-04-04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55A KR20180112455A (ko) 2017-04-04 2017-04-04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55A true KR20180112455A (ko) 2018-10-12

Family

ID=6387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555A KR20180112455A (ko) 2017-04-04 2017-04-04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478A (ko) 2020-02-10 2021-08-19 김학진 해양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KR20210101575A (ko) 2020-02-10 2021-08-19 김학진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478A (ko) 2020-02-10 2021-08-19 김학진 해양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KR20210101575A (ko) 2020-02-10 2021-08-19 김학진 선박용 미세 플라스틱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4949B2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robot arm using the same
CN203440844U (zh) 提升系统、工业机械、提升驱动系统和采掘铲车
US8955582B2 (en) Beamless mechanic-reversing long stroke pumping unit
KR20180112455A (ko) 동력전달장치
CN104802183A (zh) 一种自锁式机器人关节
CN204041448U (zh) 互不串油的三联齿轮马达泵
KR102133065B1 (ko) 선박의 구동부용 동력 전달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구동부
KR20110139957A (ko) 풍력발전장치용 동력전달 유닛
CN105217380B (zh) 一种用于输电线路的张力机
KR20150124842A (ko) 매니퓰레이터
CN212536477U (zh) 一种防反转联轴器
CN104067716A (zh) 水田作业机械自脱困装置及其脱困方法
CN105508802A (zh) 轮式管道检测机器人异步原点位移转弯机构
CN103718675A (zh) 一种连接旋具的轴传动结构
CN204021240U (zh) 一种带多种类型输出的离合分动齿轮箱
KR101961697B1 (ko) 동력전달 기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러닝보드 구동용 엑추에이터 유닛
KR19990084233A (ko) 동력전달용 마그네틱 커플링장치
CN106870551A (zh) 万向浮动肘关节支撑机构
KR20130064852A (ko) 에너지 세이빙용 고속 고토크의 수명 및 성능시험장치
KR20100034066A (ko) 무단변속장치
CN219564775U (zh) 行走机构及机器人
CN107237870A (zh) 一种直线往复运动机构
CN102838039B (zh) 集装箱吊具的转销驱动装置
CN211940761U (zh) 一种机械工程用便携扳手
CN204435970U (zh) 一种适用于停车设备的闭式驱动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