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446A -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 Google Patents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446A
KR20210101446A KR1020200015453A KR20200015453A KR20210101446A KR 20210101446 A KR20210101446 A KR 20210101446A KR 1020200015453 A KR1020200015453 A KR 1020200015453A KR 20200015453 A KR20200015453 A KR 20200015453A KR 20210101446 A KR20210101446 A KR 2021010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pecimen
welding
fatigue strength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묘정
옥민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446A/ko
Publication of KR2021010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7Welded or soldered joints; Solder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는 겹이음 용접된 한쌍의 시편들(10)의 일단부의 용접부(1)를 고정하는 용접부 지그(100),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시편들(1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시편 지그(200), 상기 시편 지그(200)와 상기 용접부 지그(100)를 연결하는 연결 지그(300),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상기 연결 지그(300)를 결합하는 용접부 결합 부재(700), 그리고 상기 시편 지그(200)와 상기 연결 지그(300)를 결합하는 시편 결합 부재(8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JIG FOR FATIGUE TESTING OF LAP JOINT WELDING}
본 발명은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피로 강도 테스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겹이음 용접(Lap Joint Welding)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어느 하나의 시편은 용접부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시편은 용접부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피로 강도 테스트 시, 힘의 작용점이 서로 달라서 겹이음 용접된 시편들에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시편들에 부정확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피로 강도 테스트의 실험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게 되며, 정확한 설계를 진행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는 겹이음 용접된 한쌍의 시편들(10)의 일단부의 용접부(1)를 고정하는 용접부 지그(100),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시편들(10)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시편 지그(200), 상기 시편 지그(200)와 상기 용접부 지그(100)를 연결하는 연결 지그(300),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상기 연결 지그(300)를 결합하는 용접부 결합 부재(700), 그리고 상기 시편 지그(200)와 상기 연결 지그(300)를 결합하는 시편 결합 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시편들은 상기 용접부(1)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시편(11), 그리고 상기 용접부(1)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시편(12)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부 지그(100)는 상기 제1 시편(11)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을 가지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 그리고 상기 제2 시편(12)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가지는 하부 용접부 지그(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상기 하부 용접부 지그(120)가 서로 중첩하여 상기 제1 시편(11) 및 상기 제2 시편(12)의 용접부(1)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시편 지그(200)는 상기 제1 시편(11)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1 시편 지그(210), 그리고 상기 제2 시편(12)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시편 지그(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편 지그(21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편 지그(22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 중 일부는 돌출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 중 일부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그(300)는 상기 시편 지그(200)의 하면 및 상기 용접부 지그(100)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연결 지그(300)는 상기 제1 시편 지그(21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지그(310), 그리고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상기 제2 시편 지그(220)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지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 결합 부재(700)는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상기 하부 용접부 지그(1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 그리고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 상기 하부 용접부 지그(120) 및 상기 제2 연결 지그(320)를 통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편 결합 부재(800)는 상기 제1 시편 지그(210)와 상기 제1 연결 지그(31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 시편 결합 부재(810), 그리고 상기 제2 시편 지그(220)와 상기 제2 연결 지그(3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시편 결합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 결합 부재(700) 또는 상기 시편 결합 부재(800)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지그(320)의 폭은 상기 제1 연결 지그(3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지그(310)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와 평면상 중첩하지 않고, 상기 제2 연결 지그(320)는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와 평면상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홈(110a)에 설치되는 계측 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측 센서(400)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선 홈(53)에 설치되는 센서 연결선(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는 겹이음 용접된 한 쌍의 시편들의 일단부의 용접부를 고정하는 용접부 지그를 이용하여 용접부를 고정하고, 테스트 장치와 연결되며 한 쌍의 시편들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시편 지그, 시편 지그와 용접부 지그를 연결하는 연결 지그를 이용하여 시편들의 떨림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정확한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상부 용접부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저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는 용접부 지그(100), 시편 지그(200), 연결 지그(300), 용접부 결합 부재(700), 시편 결합 부재(800), 계측 센서(400), 그리고 센서 연결선(500)을 포함한다.
용접부 지그(100)는 겹이음 용접된 한 쌍의 시편들(10)의 일단부(11a, 12a)의 용접부(1)를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시편들(10)은 용접부(1)를 기준으로 제3 방향(Z)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시편(11), 그리고 용접부(1)를 기준으로 제3 방향(Z)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시편(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편(11)의 일단부(11a)와 제2 시편(12)의 일단부(12a) 사이에 용접부(1)가 형성되어 제1 시편(11)과 제2 시편(12)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용접부 지그(100)는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 그리고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중첩하며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용접부 지그(120)를 포함한다.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하부 용접부 지그(120) 사이에 제1 시편(11)의 일단부(11a) 및 제2 시편(12)의 일단부(12a)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용접부 지그(110)는 제1 시편(11)의 일단부(11a)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110a)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용접부 지그(120)는 제2 시편(12)의 일단부(12a)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120a)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하부 용접부 지그(120)가 서로 중첩하여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용접부(1)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접부 지그(100)는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용접부(1)를 직접 누르고 있으므로, 용접부(1)의 굽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접부 지그(100)는 우드(Wood)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시편들(10)의 용접부(1)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시편 지그(200)는 용접부 지그(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한 쌍의 시편들의 타단부(11b, 12b)를 고정할 수 있다.
시편 지그(200)는 제1 시편 지그(210) 및 제2 시편 지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편 지그(210)와 제2 시편 지그(220)는 용접부 지그(10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시편 지그(210)는 제1 시편(11)의 타단부(11b)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시편 지그(21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211, 212, 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211, 212, 213)는 제1 시편(11)의 타단부(11b)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제1 시편 지그(211), 제1 시편(11)의 타단부(11b)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제1 시편 지그(212), 하부 제1 시편 지그(212)와 연결 지그(30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1 적층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제1 시편 지그(211)와 하부 제1 시편 지그(212)는 서로 중첩하며 그 사이에 제1 시편(11)의 타단부(11b)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적층 부재(213)는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제1 적층 부재(213)를 적절히 적층함으로써, 하부 용접부 지그(120)의 일측의 두께(T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용접부 지그(120)의 일측의 두께(T1)가 10t일 경우, 각각 5t, 3t, 그리고 2t의 두께를 가지는 3개의 제1 적층 부재들(213)을 적층함으로써, 제1 시편(11)이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도출하게 할 수 있다.
제2 시편 지그(220)는 제2 시편(12)의 타단부(12b)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시편 지그(22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221, 222, 2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221, 222, 223)는 제2 시편(12)의 타단부(12b)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제2 시편 지그(221), 제2 시편(12)의 타단부(12b)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제2 시편 지그(222), 하부 제2 시편 지그(222)와 연결 지그(30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제2 적층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제2 시편 지그(221)와 하부 제2 시편 지그(222)는 서로 중첩하며 그 사이에 제2 시편(12)의 타단부(12b)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적층 부재(223)는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제2 적층 부재(223)를 적절히 적층함으로써, 하부 용접부 지그(120)의 타측의 두께(T2)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용접부 지그(120)의 타측의 두께(T2)가 8t일 경우, 각각 4t 및 4t의 두께를 가지는 2개의 제2 적층 부재들(223)을 적층함으로써, 제2 시편(12)이 평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도출하게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 중 상부 제1 시편 지그(211)와 하부 제1 시편 지그(212)는 복수개의 제1 적층 부재(213)보다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제1 시편 지그(211)와 하부 제1 시편 지그(212)가 외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테스트기의 제1 홀딩부(HL1)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동일하게,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 중 상부 제2 시편 지그(221)와 하부 제2 시편 지그(222)는 복수개의 제2 적층 부재(223)보다 외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제2 시편 지그(221)와 하부 제2 시편 지그(222)가 외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테스트기의 제2 홀딩부(HL2)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기의 제1 홀딩부(HL1)는 제1 시편 지그(210)를 인장하고 풀어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용접부(1)에 반복적인 인장 하중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겹이음 용접된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용접부(1)의 피로 강도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때, 용접부 지그(100)는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용접부(1)를 직접 누르고 있으므로, 용접부(1)의 굽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시편 지그(200)는 스틸(Steel)로 형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시편들(10)의 타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시편 지그(210)의 상부면과 제2 시편 지그(220)의 상부면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제1 시편 지그(211)의 상부면과 상부 제2 시편 지그(221)의 상부면은 동일한 선상(H)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제1 시편 지그(211)의 두께(t1)와 상부 제2 시편 지그(221)의 두께(t2)는 조절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제2 시편 지그(221)의 두께(t2)가 상부 제1 시편 지그(211)의 두께(t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시편 지그(210)의 상부면과 제2 시편 지그(220)의 상부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므로, 테스트기의 제1 홀딩부(HL1)와 제2 홀딩부(HL2)의 높이가 동일하게 위치하게 되어, 피로 강도 테스트를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연결 지그(300)는 시편 지그(200)의 하면 및 용접부 지그(10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연결 지그(3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연결 지그(310) 및 제2 연결 지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지그(310) 및 제2 연결 지그(320)는 용접부 지그(10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연결 지그(310)는 제1 시편 지그(210)와 연결되며, 제2 연결 지그(320)는 용접부 지그(100)와 제2 시편 지그(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지그(300)는 용접부 지그(100)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용접부 결합 부재(700)는 용접부 지그(100)와 연결 지그(300)를 결합할 수 있다.
용접부 결합 부재(700)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 및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는 서로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는 서로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하부 용접부 지그(120)를 관통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 지그(310)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와 평면상 중첩하지 않으므로,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는 제1 연결 지그(310)를 관통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연결 지그(320)는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와 평면상 중첩하므로,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 하부 용접부 지그(120) 및 제2 연결 지그(320)를 관통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2 연결 지그(320)의 폭(D2)은 제1 연결 지그(310)의 폭(D1)보다 클 수 있다.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 및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에 의해 용접부 지그(100)는 보다 강하게 제1 시편(11) 및 제2 시편(12)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용접부(1)의 굽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하부 용접부 지그(120)만을 관통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하고,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 하부 용접부 지그(120) 및 제2 연결 지그(320)를 관통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용접부 지그(100)에는 반복적인 인장 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한 쌍의 시편(10)에만 제1 시편 방향(X1)으로 반복적인 인장 하중이 안정적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 및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을 위한 구조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시편 결합 부재(800)는 복수개의 제1 시편 결합 부재(810)와 복수개의 제2 시편 결합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시편 결합 부재(810)는 제1 시편 지그(210)와 제1 연결 지그(310)를 관통하여 제1 시편 지그(210)와 제1 연결 지그(3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시편 결합 부재(810)는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거나, 제2 방향(Y) 및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복수개의 제1 시편 결합 부재(810)가 회전하지 않아 제1 시편 지그(210)와 제1 연결 지그(31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시편 결합 부재(820)는 제2 시편 지그(220)와 제2 연결 지그(320)를 관통하여 제2 시편 지그(220)와 제2 연결 지그(3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시편 결합 부재(820)는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배치되거나, 제2 방향(Y) 및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 시, 복수개의 제2 시편 결합 부재(820)가 회전하지 않아 제2 시편 지그(220)와 제2 연결 지그(320)를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테스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계측 센서(400)는 용접부(1)에 인접하여 제1 안착홈(110a)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부 지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계측 센서(400)는 용접부 지그(100) 내부에 위치하는 용접부(1)의 파단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용접부 지그(100) 내부에 위치하는 계측 센서(400)와 용접부 지그(100) 외부에 위치하는 계측기(600)를 연결하는 센서 연결선(500)은 상부 용접부 지그(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선 홈(53)에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의 상부 용접부 지그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V-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용접부 지그(110)는 한 쌍의 제1 결합 홀(51)과 한 쌍의 제2 결합 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 홀(51)에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가 체결되며, 한 쌍의 제2 결합 홀(52)에는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가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 홀(51) 사이와 한 쌍의 제2 결합 홀(52) 사이로 제1 방향(X)을 따라 배선 홈(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선 홈(53)에 센서 연결선(500)이 배치되어 외부의 계측기(6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부 지그(100)의 내부에 계측 센서(400)를 설치하고 계측 센서(400)를 센서 연결선(500)을 이용하여 계측기(600)와 연결함으로써, 용접부 지그(100) 내부에 위치하는 용접부(1)의 파단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접부 지그 110: 상부 용접부 지그
120: 하부 용접부 지그 200: 시편 지그
210: 제1 시편 지그 220: 제2 시편 지그
300: 연결 지그 400: 계측 센서
500: 센서 연결선 600: 계측기
700: 용접부 결합 부재 710: 제1 용접부 결합 부재
720: 제2 용접부 결합 부재 800: 시편 결합 부재
810: 제1 시편 결합 부재 820: 제2 시편 결합 부재

Claims (12)

  1. 겹이음 용접된 한 쌍의 시편들의 일단부의 용접부(1)를 고정하는 용접부 지그(100),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시편들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시편 지그(200),
    상기 시편 지그(200)와 상기 용접부 지그(100)를 연결하는 연결 지그(300),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상기 연결 지그(300)를 결합하는 용접부 결합 부재(700), 그리고
    상기 시편 지그(200)와 상기 연결 지그(300)를 결합하는 시편 결합 부재(800)
    를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시편들은 상기 용접부(1)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시편(11), 그리고 상기 용접부(1)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시편(12)을 포함하고,
    상기 용접부 지그(100)는 상기 제1 시편(11)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을 가지는 상부 용접부 지그(110), 그리고 상기 제2 시편(12)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가지는 하부 용접부 지그(1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상기 하부 용접부 지그(120)가 서로 중첩하여 상기 제1 시편(11) 및 상기 제2 시편(12)의 용접부(1)를 고정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지그(200)는
    상기 제1 시편(11)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1 시편 지그(210), 그리고
    상기 제2 시편(12)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제2 시편 지그(2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편 지그(21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편 지그(22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를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제1 시편 지그 중 일부는 돌출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제2 시편 지그 중 일부는 돌출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그(300)는 상기 시편 지그(200)의 하면 및 상기 용접부 지그(100)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연결 지그(300)는
    상기 제1 시편 지그(210)와 연결되는 제1 연결 지그(310), 그리고
    상기 용접부 지그(100)와 상기 제2 시편 지그(220)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지그(320)를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 결합 부재(700)는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와 상기 하부 용접부 지그(1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 그리고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 상기 하부 용접부 지그(120) 및 상기 제2 연결 지그(320)를 통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
    를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결합 부재(800)는 
    상기 제1 시편 지그(210)와 상기 제1 연결 지그(31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1 시편 결합 부재(810), 그리고
    상기 제2 시편 지그(220)와 상기 제2 연결 지그(3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복수개의 제2 시편 결합 부재(820)를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 결합 부재(700) 또는 상기 시편 결합 부재(800)는 볼트를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지그(320)의 폭은 상기 제1 연결 지그(310)의 폭보다 큰,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지그(310)는 한 쌍의 제1 용접부 결합 부재(710)와 평면상 중첩하지 않고, 상기 제2 연결 지그(320)는 한 쌍의 제2 용접부 결합 부재(720)와 평면상 중첩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110a)에 설치되는 계측 센서(400)를 더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강도 테스트용 지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센서(400)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 용접부 지그(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배선 홈(53)에 설치되는 센서 연결선(500)
    을 더 포함하는,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KR1020200015453A 2020-02-10 2020-02-10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KR20210101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53A KR20210101446A (ko) 2020-02-10 2020-02-10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453A KR20210101446A (ko) 2020-02-10 2020-02-10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446A true KR20210101446A (ko) 2021-08-19

Family

ID=7749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453A KR20210101446A (ko) 2020-02-10 2020-02-10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4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3227A1 (en) Testing apparatus
JP2014088689A (ja) 複合補強地盤の載荷試験方法及び載荷試験装置
JP6445090B2 (ja) 加力試験装置
JP6317862B2 (ja) 柱状構造物の補強構造
KR20210101446A (ko)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JP2019174210A (ja) 接合強度試験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試験治具
KR20210100424A (ko) 겹이음 용접의 피로 강도 테스트용 지그
KR102064238B1 (ko) 4방향 버팀대용 인장 및 압축 시험기
CN106769564A (zh) 一种拉索疲劳试验机
KR102305259B1 (ko) 제진벽
KR101186497B1 (ko) 하중시험 계측장치
JP2003003568A (ja) 鋼管柱の管壁補強構造
CN114942188A (zh) 一种正交异性桥面板疲劳试验装置及疲劳性能评估方法
JP2003130771A (ja) 接合強度測定方法
Dubina et al. Influence of loading asymmetry on the cyclic behaviour of beam-to-column joints
KR19990028099A (ko) 융착부 스터드의 전단시험 지그장치
JP2002071322A (ja) 線状センサ部材の敷設具及び線状センサ部材の敷設方法及び構造物の変位検出装置
JP4249403B2 (ja) 多軸応力負荷試験装置
JPS6350737A (ja) 拘束継手試験方法
JP4464005B2 (ja) 高剛性荷重変換器
JP2005326357A (ja) 超小型試験片用疲労試験治具
CN216955480U (zh) 一种对接接头焊接拉伸试验件
CN114397182B (zh) 一种用于y型吊环拉力试验装置及其测验方法
WO2022153848A1 (ja) 耐力パネルおよび躯体構造
CN110411746B (zh) 一种剪切销承载分配测试装置及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