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697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697A
KR20210100697A KR1020217021557A KR20217021557A KR20210100697A KR 20210100697 A KR20210100697 A KR 20210100697A KR 1020217021557 A KR1020217021557 A KR 1020217021557A KR 20217021557 A KR20217021557 A KR 20217021557A KR 20210100697 A KR20210100697 A KR 2021010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electric
power
switch eleme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894B1 (ko
Inventor
요스케 이마이
마코토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0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3Drives or 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5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hybri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5Control of electric,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ventilators, electro-driven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작업 차량은, 기동 스위치와, 제1 전기 기기와, 제2 전기 기기를 구비한다. 기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 및 전력 공급 지령에 기초하여, 제1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된다. 기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기 기기(機器)가 통전 상태와 비통전 상태로 전환되는 유압 셔블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6-196759호 공보
가동(稼動) 작업을 행하는 경우, 기동 스위치를 키 온 상태로 하면 전기 기기가 통전 상태로 되고, 기동 스위치를 키 오프 상태로 되면 전기 기기가 비통전 상태로 된다. 배터리의 충전 작업을 행하는 경우, 키 온 상태 및 키 오프 상태의 어딘가에 있어서도, 전기 기기가 통전 상태로 된다.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에 머물 필요가 없어, 배터리의 충전 작업을 무인의 작업 현장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작업이 무인의 작업 현장에 있어서 실시되는 경우, 전기 기기가 통전 상태에 있으면, 제삼자가 그 전기 기기를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장난 목적으로 하는 제삼자가, 전기 기기를 함부로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제삼자에 의한 전기 기기의 조작이 억제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태양(態樣)은, 제삼자에 의한 전기 기기의 조작이 억제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작업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기동 스위치와, 제1 전기 기기와, 제2 전기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기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 및 전력 공급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기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는, 작업 차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삼자에 의한 전기 기기의 조작이 억제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력의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는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작업 차량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 차량(1)이 소형 유압 셔블인 것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작업 차량(1)을 적절히, 유압 셔블(1)이라고 한다.
유압 셔블(1)은, 주행체(2)와, 선회체(旋回體)(3)와, 블레이드(blade)(4)와, 작업기(5)를 구비한다. 주행체(2)는, 한 쌍의 크롤러(crawler)를 가진다. 선회체(3)는, 주행체(2)의 위쪽에서 선회(旋回)한다. 블레이드(4)는, 주행체(2)의 전방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작업기(5)는, 선회체(3)의 전부(前部)에 연결된다. 작업기(5)는, 붐(boom)(5A)와, 암(arm)(5B)와, 버킷(bucket)(5C)을 가진다. 작업기(5)는, 작업기 실린더(26)가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작업기 실린더(26)는, 붐(5A)을 구동시키는 붐 실린더(26A)와, 암(5B)을 구동시키는 암 실린더(26B)와, 버킷(5C)을 구동시키는 버킷 실린더(26C)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은, 블레이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선회체(3)는, 조종석(6)과, 작업기 레버(7)와, 주행 레버(8)와, 표시 장치(9)와, 지주(支柱)(11)와, 캐노피(12)를 가진다.
조종석(6)은, 오퍼레이터가 착석(着座)한다. 작업기 레버(7)은, 조종석(6)의 좌측 및 우측의 각각에 배치된다. 주행 레버(8) 및 표시 장치(9)는, 조종석(6)의 전방에 배치된다. 표시 장치(9)는, 지지암(10)에 지지된다. 지지암(10)은, 선회체(3)의 플로어(floor)의 전부(前部)에 고정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종석(6)에 착석한 상태로, 작업기 레버(7) 및 주행 레버(8)를 조작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조종석(6)에 착석한 상태에서, 표시 장치(9)를 확인할 수 있다.
지주(support column)(11)은, 선회체(3)의 후부(後部)에 고정된다. 캐노피(12)는, 지주(11)에 지지된다. 캐노피(12)는, 조종석(6)의 위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조종석(6)의 주위의 공간이 개방되어 있는 캐노피 사양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유압(油壓) 시스템(20)과, 전기 시스템(30)을 구비한다.
<유압 시스템>
유압 시스템(20)은, 주행체(2), 선회체(3), 및 작업기(5)의 각각을 구동한다. 유압 시스템(20)은, 메인 펌프(21)와, 유로(流路; flowpath)를 통해 메인 펌프(21)와 접속되는 메인 밸브(22)와, 메인 펌프(2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주행 모터(23) 및 주행 모터(24)와, 메인 펌프(2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선회 모터(25)와, 메인 펌프(2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작업기 실린더(26)를 가진다.
메인 펌프(21)는, 작동유를 토출(吐出)하는 유압 펌프이다. 메인 펌프(21)는, 주행 모터(23), 주행 모터(24), 선회 모터(25), 및 작업기 실린더(26)의 각각의 동력원이다.
주행 모터(23) 및 주행 모터(24)의 각각은, 유압 셔블(1)을 주행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이다. 주행 모터(23)는, 주행체(2)의 한쪽의 크롤러를 구동한다. 주행 모터(24)는, 주행체(2)의 다른 쪽의 크롤러를 구동한다. 주행 모터(23) 및 주행 모터(24)가 구동함으로써, 유압 셔블(1)이 주행한다.
선회 모터(25)는, 선회체(3)를 선회시키기 위한 유압 모터이다. 선회 모터(25)가 구동함으로써, 선회체(3)가 선회한다.
작업기 실린더(26)는, 작업기(5)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이다. 작업기 실린더(26)는, 작동유의 유량(流量)에 기초하여 신축된다. 작업기 실린더(26)가 신축시킴으로써, 작업기(5)가 구동한다.
<전기 시스템>
전기 시스템(30)은, 컨트롤러(60)와, 전원 분배 유닛(40)과, 구동 배터리(31)와, 전동 모터(32)와, 인버터(33)와, 키 스위치(34)와, 보조 기기 배터리(35)와, 제1 전기 기기(70)와, 제2 전기 기기(80)와, 제1 스위치 소자(91)와, 제2 스위치 소자(92)와, 제3 스위치 소자(93)를 가진다.
구동 배터리(31)는, 유압 셔블(1)의 구동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출력한다. 구동 배터리(31)는, 유압 셔블(1)의 전원이다. 구동 배터리(31)는, 전동 모터(32)에 전력을 공급한다. 유압 셔블(1)은, 구동 배터리(3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배터리식 유압 셔블이다.
전동 모터(32)는, 메인 펌프(21)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한다. 전동 모터(32)는, 구동 배터리(3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한다. 메인 펌프(21)는, 전동 모터(32)의 출력축과 접속되고, 전동 모터(32)가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한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컨트롤러(60)로부터 출력되는 지령에 기초하여, 구동 배터리(31)의 전력을 분배한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보통 충전기(41)와, DC/DC 컨버터(42)를 가진다. 충전 시에, 전원 분배 유닛(40)은, 보통 충전기(41) 또는 급속 충전기(111)로부터의 충전 전력을 구동 배터리(31)에 공급한다. 가동 시에, 전원 분배 유닛(40)에 의해 구동 배터리(31)가 방전되면, 인버터(33)를 통해 전동 모터(32)에 전력이 공급된다.
인버터(33)는, 전원 분배 유닛(40)으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전동 모터(32)에 공급한다. 인버터(33)는, 전원 분배 유닛(40)으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로 변환하여 전동 모터(32)에 출력한다. 전동 모터(32)는, 인버터(33)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한다.
구동 배터리(31)는, 충전식의 축전 장치인 축전지, 예를 들면, 배터리이다. 구동 배터리(31)는, 보통 충전기(41) 또는 급속 충전기(111)에 의해 충전된다. 보통 충전기(41)를 포함하는 전원 분배 유닛(40)은, 선회체(3)에 설치된다. 그리고, 보통 충전기(41)는, 유압 셔블(1)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급속 충전기(111)는, 유압 셔블(1)의 외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급속 충전기(111)는, 유압 셔블(1)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보통 충전기(41)는, 구동 배터리(31)를 보통 충전한다. 보통 충전기(41)는, 도시하지 않은 보통 충전 인렛(inlet)에, 보통 충전 케이블(102)의 도시하지 않은 보통 충전 커넥터가 접속되면, 배전반(101)과 상용(商用) 전원(100)에 접속된다. 배전반(101)은, 상용 전원(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단상(單相)(200V)의 교류 전력을, 보통 충전 케이블(102)을 통해 보통 충전기(41)에 공급한다. 보통 충전기(41)는, 단상(200V)의 교류 전력을 보통 충전에 적절한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보통 충전기(41)는, 구동 배터리(31)를 충전한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도시하지 않은 보통 충전 인렛에, 보통 충전 케이블(102)의 도시하지 않은 보통 충전 커넥터가 접속되어, 보통 충전기(41)가 배전반(101)과 상용 전원(100)에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 보통 충전기(41)를 기동하여, 구동 배터리(31)의 보통 충전을 개시한다. 컨트롤러(60)는 보통 충전 케이블(102)과 보통 충전기(41)와의 접속이 해제된 것을 검출한 경우, 구동 배터리(31)가 만충전(滿充電)으로 된 경우, 또는 충전 중에 이상(異常)이 발생한 경우, 구동 배터리(31)의 보통 충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보통 충전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도 된다.
급속 충전기(111)는, 구동 배터리(31)를 급속 충전한다. 급속 충전기(111)는, 급속 충전에 관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스위치를 가진다. 조작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급속 충전이 개시 또는 정지한다. 급속 충전기(111)는, 급속 충전 케이블(113) 및 배전반(112)을 통해, 상용 전원(110)에 접속된다. 유압 셔블(1)에는, 급속 충전 케이블(113)이 접속되는 급속 충전 인렛이 설치된다. 배전반(112)은, 상용 전원(110)으로부터 공급되는 3상(200V)의 교류 전력을, 급속 충전 케이블(113)을 통해 급속 충전기(111)에 공급한다. 급속 충전기(111)는, 3상(200V)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급속 충전기(111)는, 구동 배터리(31)를 충전한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급속 충전 케이블(113)과 유압 셔블(1)의 도시하지 않은 급속 충전 인렛이 접속된 상태에서, 급속 충전기(111)로부터의 급속 충전의 개시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검출한 경우, 구동 배터리(31)의 급속 충전을 개시하게 한다. 급속 충전기(111)에 의한 급속 충전은, 컨트롤러(6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행해진다. 컨트롤러(60)는 급속 충전의 종료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급속 충전기(111)로부터 취득한 경우, 소정의 충전 시간이 완료된 경우, 또는 충전 중에 이상을 검출한 경우, 구동 배터리(31)의 급속 충전을 정지한다.
컨트롤러(60)는 유압 셔블(1)을 제어한다. 컨트롤러(60)는 전동 모터(32)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회전수 다이얼에서의 다이얼 위치, 도시하지 않은 가동 모드 설정 장치에 있어서의 선택 상태, 및, 작업기 레버(7)의 조작 상태 및 주행 레버(8)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32)를 제어하는 토크 지령이나 속도 지령을 인버터(33)에 출력한다. 전동 모터(32)가 구동함으로써, 메인 펌프(21)로부터 작동유가 토출되고, 주행체(2), 선회체(3), 및 작업기(5)가 구동한다.
컨트롤러(60)는 보통 충전에서는 보통 충전에 적절한 전원 분배, 급속 충전에서는 급속 충전에 적절한 전원 분배, 가동 상태에서는 가동에 적절한 전원 분배로 되도록 전원 분배 유닛(40)에 지령을 출력한다. 컨트롤러(60)는 보통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에, 보통 충전기(41)에 지령을 출력한다. 컨트롤러(60)는 급속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에, 급속 충전기(111)에 지령을 출력한다. 컨트롤러(60)는 전동 모터(32)를 구동시키는 경우에, 인버터(33)에 지령을 출력한다.
키 스위치(34)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된다. 키 스위치(34)는, 전동 모터(32)를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 스위치이며,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오퍼레이터는, 전동 모터(32)를 기동하는 경우에, 키 스위치(34)의 키 실린더에 키를 꽂아서, 제1 홈 포지션(home position)까지 회전시킨다. 키가 제1 홈 포지션까지 회전하면, 전동 모터(32)가 기동한다. 오퍼레이터는, 전동 모터(32)를 기동시키지 않고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키 스위치(34)의 키 실린더에 키를 꽂아서, 제1 홈 포지션의 바로 앞의 제2 홈 포지션까지 회전시킨다. 키가 제2 홈 포지션까지 회전하면,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제2 홈 포지션까지 키를 회전시킨 후에 키로부터 손을 놓아도 키는 제2 홈 포지션에 머물지만, 제1 홈 포지션까지 키를 회전시킨 후에 키로부터 손을 멀리하면, 키는 제2 홈 포지션까지 회전하고, 제2 홈 포지션에 머문다.
보조 기기 배터리(35)는,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기기 배터리(35)는, 구동 배터리(31)과는 다른 배터리이다. 보조 기기 배터리(35)는, 구동 배터리(31)보다도 저압의 12 V 또는 24 V의 배터리이다.
제1 전기 기기(70)는,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한다. 제1 전기 기기(70)는, 전동 모터(32)와는 다른 전기 기기이다. 제1 전기 기기(70)는,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구동하는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제1 전기 기기(70)로서, 보통 충전기(41)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보통 충전기(41)를 수냉하기 위한 워터 펌프, 및 보통 충전기(41)를 수냉하는 냉각액을 차게 하기 위한 냉각용 팬(fan)이 예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전기 기기(70)에 컨트롤러(60) 및 표시 장치(9)가 포함되는 개념인 것으로 한다. 즉, 컨트롤러(60) 및 표시 장치(9)는, 제1 전기 기기(70)의 일종인 것으로 한다.
제2 전기 기기(80)는,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한다. 제2 전기 기기(80)는, 전동 모터(32)와는 다른 전기 기기이다. 제2 전기 기기(80)는, 조종석(6)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 조종석(6)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 또는 조종석(6)에 있어서 조작 가능한 조작 스위치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제2 전기 기기(80)로서, 경고음을 발생하는 혼(horn), 및 유압 셔블(1)의 전방을 조명하는 작업등이 예시된다.
즉, 제2 전기 기기(80)는, 오퍼레이터 또는 제삼자가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이다. 제1 전기 기기(70)는, 오퍼레이터 또는 제삼자가 간단하게 조작할 수 없는 전기 기기이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제1 전기 기기(70)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停止)를 전환한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보조 기기 배터리(35)와 제1 전기 기기(7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2 스위치 소자(92)는, 제2 전기 기기(80)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전환한다. 제2 스위치 소자(92)는, 보조 기기 배터리(35)와 제2 전기 기기(80)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3 스위치 소자(93)는, 제1 스위치 소자(91)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전환한다. 제3 스위치 소자(93)는, 보조 기기 배터리(35)와 제1 스위치 소자(9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는, 제3 스위치 소자(93)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온 상태로 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제3 스위치 소자(93)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오프 상태로 된다. 즉,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오프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는,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전환한다. 키 스위치(34)는, 보조 기기 배터리(35)와 제1 스위치 소자(91) 및 보조 기기 배터리(35)와 제2 스위치 소자(92)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키 스위치(34)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34)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는, 키 스위치(3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온 상태로 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는, 키 스위치(3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 오프 상태로 된다. 즉, 키 스위치(34)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오프 상태로 된다.
그리고, 가동 상태란, 실제로 작업기(5)가 동작하고 있거나 전동 모터(32)가 구동하고 있거나 하는 상태뿐아니라, 아이들링 스톱 등으로 전동 모터(32)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가동 상태는, 키 스위치가 온 상태이며, 또한, 실제로 구동 배터리(31)를 충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가동 상태는, 키 스위치(34)를 오프 상태로 하여 유압 셔블(1)의 전기 시스템(30)이 셧다운(shutdown)할 때까지의 시간도 포함해도 된다. 즉, 가동 상태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의 구동 배터리(31)를 충전하는 작업 이외의 시간 전체를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가동 상태와 충전 상태의 양쪽 상태를 겸한 상태로 되지 않는다. 또한, 가동 상태는, 유압 셔블(1)의 전기 시스템(30)이 셧다운하고 있는 상태는 포함하지 않는다.
그리고, 충전 상태란, 실제로 구동 배터리(31)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뿐아니라, 충전 커넥터가 충전 인렛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충전 상태는, 충전 커넥터를 충전 인렛으로부터 뽑아 충전을 종료하고나서 유압 셔블(1)의 전기 시스템(30)이 셧다운할 때까지 상태도 포함해도 된다. 즉, 충전 상태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의 작업기(5) 등을 가동시켜 작업하는 이외의 상태 전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충전 상태는, 유압 셔블(1)의 전기 시스템(30)이 셧다운하고 있는 상태는 포함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적절히, 통전 상태라고 하고,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적절히, 비통전 상태라고 한다.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적절히, 통전 상태라고 하고,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적절히, 비통전 상태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 및 전력 공급 지령에 기초하여,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는, 키 오프 상태, 키 온 상태, 및 개시 상태를 포함한다. 키가 키 실린더에 꽂힌 상태로, 오퍼레이터에 의해 회전되면, 키 스위치(34)는, 「오프」, 「온」, 및 「개시」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한다. 「오프」의 위치로 회전하면, 키 스위치(34)는 키 오프 상태로 된다. 「온」의 위치로 회전하면, 키 스위치(34)는 키 온 상태로 된다. 「개시」의 위치로 회전하면, 키 스위치(34)는 개시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에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전동 모터(32)는 구동하지 않는다.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에 있어서, 전동 모터(32)는 구동을 개시할 수 없지만, 구동 상태를 계속할 수 있다.
키 스위치(34)가 개시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된다. 키 스위치(34)가 개시 상태에 있어서, 충전 상태가 아니면, 전동 모터(32)는 구동을 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공급 지령은, 구동 배터리(31)가 소정 상태일 때 전원 분배 유닛(40)으로부터 출력된다. 구동 배터리(31)가 소정 상태인 것은,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인 것을 포함한다.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일 때, 전원 분배 유닛(40)으로부터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된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고 경우, 전력 공급 지령을 출력한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구동 배터리(31)가 가동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고 경우, 전력 공급 지령을 출력하지 않는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보통 충전 케이블(102)과 보통 충전기(41)가 접속된 것을 검출한 경우, 전력 공급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급속 충전 케이블(113)과 유압 셔블(1)의 급속 충전 인렛이 접속된 상태에서, 급속 충전의 개시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검출한 경우, 전력 공급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보통 충전 케이블(102)과 보통 충전기(41)와의 접속이 해제된 것을 검출한 경우, 전력 공급 지령의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 전원 분배 유닛(40)은, 급속 충전의 종료를 나타내는 조작 신호를 취득한 경우, 소정의 충전 시간이 완료된 경우, 또는 충전 중에 이상을 검출한 경우, 전력 공급 지령의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 및 전력 공급 지령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일 때 오프 상태로 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 또는 키 스타트 상태 중 어느 하나일 때 온 상태로 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는,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라도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 상태일 때 온 상태로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키 온 상태에는, 키 스타트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2 스위치 소자(92)는,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제2 스위치 소자(92)는,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일 때 오프 상태로 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는,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일 때 온 상태로 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제3 스위치 소자(93)는, 전력 공급 지령에 기초하여 작동한다. 제3 스위치 소자(93)는,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 상태일 때 온 상태로 된다. 전력 공급 지령이 비출력 상태일 때 오프 상태로 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오프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오프 상태로 된다.
도 3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력의 공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되고,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되고 제1 전기 기기(70)가 통전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오프 상태로 되고 제2 전기 기기(80)가 비통전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 상태에 있어서,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로부터 키 온 상태로 천이했을 때,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된다. 즉,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로부터 키 온 상태로 천이했을 때,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로 되고,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이 통전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전기 기기(70)는,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 상태로 되는 일만으로, 제3 스위치 소자(93)를 통해 통전 상태로 되어 있다.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된다. 즉, 키 스위치(34)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되고 제1 전기 기기(70)가 통전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온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로 되고 제2 전기 기기(80)가 통전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전력 공급 지령이 비출력 상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가 아닌 상태, 즉 가동 상태라도 충전 상태라도 없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의 각각이 오프 상태로 되고,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이 비통전 상태로 된다.
<전기 시스템의 동작>
도 4 및 도 5의 각각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시스템(3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인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인 예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제1 스위치 소자(91), 제2 스위치 소자(92), 및 제3 스위치 소자(93)의 각각은, 릴레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라도, 구동 배터리(31)의 충전이 개시되고, 전원 분배 유닛(40)으로부터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된 경우, 제3 스위치 소자(93)가 온 상태로 되고,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인 경우, 제2 스위치 소자(92)는 오프 상태로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3 스위치 소자(93)는, 구동 배터리(31)가 보통 충전될 때 온 상태로 되는 제3 스위치 소자(93A)와, 구동 배터리(31)가 급속 충전될 때 온 상태로 되는 제3 스위치 소자(93B)를 포함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 구동 배터리(31)의 보통 충전이 개시된 경우, 제3 스위치 소자(93A)가 온 상태로 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A)가 온 상태로 되면,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은, 제3 스위치 소자(93A)를 통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전자부(EM)에 공급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의 전자부(EM)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가 접속되고,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 구동 배터리(31)의 급속 충전이 개시된 경우, 제3 스위치 소자(93B)가 온 상태로 된다. 제3 스위치 소자(93B)가 온 상태로 되면,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은, 제3 스위치 소자(93B)를 통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전자부(EM)에 공급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의 전자부(EM)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가 접속되고,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에 있어서,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일부는, 도 4의 화살표 R1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를 경유하여, 컨트롤러(60)에 공급된다. 또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에 있어서,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일부는, 도 4의 화살표 R1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를 경유하여, 제1 전기 기기(70)에 공급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라도, 제2 스위치 소자(92)는 오프 상태이다.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트롤러(60)는 복수의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60)는 제1 컨트롤러(61)와, 제2 컨 트롤러(62)와, 제3 컨트롤러(63)를 포함한다. 제1 전기 기기(70)는, 복수의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기 기기(70)로서, 센서, 냉각용 팬, 및 워터 펌프가 예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인 경우, 제1 스위치 소자(91) 및 제2 스위치 소자(92)의 각각이 온 상태로 된다. 도 5의 화살표 Rem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일부는, 키 스위치(34)를 통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전자부(EM) 및 제2 스위치 소자(92)의 전자부(EM)의 각각에 공급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의 전자부(EM)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가 접속되고,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로 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의 전자부(EM)에 전력이 공급되면, 제2 스위치 소자(92)의 스위치부(SW)가 접속되고,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로 된다.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에 있어서,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일부는, 도 5의 화살표 R1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를 경유하여, 컨트롤러(60)에 공급된다. 또한, 제1 스위치 소자(91)가 온 상태에 있어서,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일부는, 도 5의 화살표 R1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소자(91)의 스위치부(SW)를 경유하여, 제1 전기 기기(70)에 공급된다.
제2 스위치 소자(92)가 온 상태에 있어서,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일부는, 도 5의 화살표 R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스위치 소자(92)의 스위치부(SW)를 경유하여, 제2 전기 기기(80)에 공급된다.
제2 전기 기기(80)는, 복수의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기 기기(80)로서, 혼, 및 작업등이 예시된다.
<컴퓨터 시스템>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컴퓨터 시스템(1000)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전술한 컨트롤러(60)는 컴퓨터 시스템(1000)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프로세서(1001)와, ROM(Read Only Memory)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인 메모리(1002)와, 스토리지(storage)(1003)와, 입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1004)를 가진다. 전술한 컨트롤러(60)의 기능은, 프로그램으로서 스토리지(1003)에 기억되어 있다.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을 스토리지(1003)로부터 판독하여 메인 메모리(1002)에 전개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1000)에 배신(配信; dilivery)되어도 된다.
프로그램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 및 전력 공급 지령에 기초하여,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을 공급하고, 키 스위치(34)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로 되면,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이 통전 상태로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로 되면,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이 비통전 상태로 된다.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은,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 및 키 오프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에 머물러 있을 필요가 없어,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을 무인의 작업 현장에 있어서 실시할 수 있다.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이 무인의 작업 현장에 있어서 실시되는 경우, 조종석(6) 또는 조종석(6)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전기 기기(80), 또는 제2 전기 기기(80)의 조작 스위치가 제삼자에 의해 조작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장난 목적으로 하는 제삼자가, 제2 전기 기기(80)의 혼을 울리거나 작업등을 점등시키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유압 셔블(1)이 캐노피 사양인 경우, 제삼자는, 제2 전기 기기(80)를 간단하게 손대거나 조작하거나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 또한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에 필요한 컨트롤러(60)를 포함하는 제1 전기 기기(70)에 전력이 공급된다.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라도 키 스위치(34)가 키 오프 상태인 경우, 제2 전기 기기(80)에 전력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구동 배터리(31)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키 실린더로부터 키를 분리하여 두면, 제삼자는 제2 전기 기기(80)를 조작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에 필요한 컨트롤러(60)를 포함하는 제1 전기 기기(70)에는 전력이 공급되고,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에 불필요한 제2 전기 기기(80)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삼자에 의한 제2 전기 기기(80)의 조작이 억제된 상태에서, 제1 전기 기기(70)를 구동하면서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 배터리(31)의 충전 작업에 있어서 표시 장치(9)의 표시부를, 가동 시에 비해 어둡게 하도록 해도 된다.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인 것은,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의 주변에 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즉, 키 스위치(34)가 키 온 상태인 것은, 유압 셔블(1)이 오퍼레이터의 관리 하에 놓여져 있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오퍼레이터는, 키 스위치(34)를 키 온 상태로 하여,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의 각각을 구동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출력된 전력이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다. 구동 배터리(31)로부터 출력된 전력이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공급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60)는 구동 배터리(31)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DC/DC 컨버터(42)에 의해 조정한 후, 제1 전기 기기(70) 및 제2 전기 기기(80)에 공급해도 된다. 또한, 제1 전기 기기(70)는 DC/DC 컨버터(42)로부터 공급하고, 제2 전기 기기(80)는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공급해도 된다. 또는, 제1 전기 기기(70) 중에서 일부의 기기는 DC/DC 컨버터(42)로부터 공급하고, 나머지는 보조 기기 배터리(35)로부터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개개의 전기 기기 각각에 적합한 전원을 공급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력 공급 지령을 전원 분배 유닛(40)으로부터 출력하고 있었지만, 컨트롤러(60)가 충전 상태인가 가동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제3 스위치 소자(9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 지령을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60)는 제1 전기 기기에도 제2 전기 기기에도 해당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70)는, 센서, 냉각용 팬, 및 워터 펌프와 같은, 구동 배터리(31)의 충전에 있어서 구동하는 전기 기기인 것으로 하였다. 제1 전기 기기(70)는, 구동 배터리(31)의 충전에 있어서 구동하는 전기 기기가 아니라도 된다. 제1 전기 기기(70)는, 임의의 전기 기기로 설정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전기 기기(80)는, 혼 및 작업등과 같은, 조종석(6)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 조종석(6)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 또는 조종석(6)에 있어서 조작 가능한 조작 스위치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기기인 것으로 하였다. 제2 전기 기기(80)는, 조종석(6)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 조종석(6)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기 기기, 또는 조종석(6)에 있어서 조작 가능한 조작 스위치에 의해 구동하는 전기 기기가 아니라도 된다. 제2 전기 기기(80)는, 악세사리 소켓과 같은 조작 스위치는 없고, 보조 기기 배터리 전압 등을 제공하는 전원 소켓이라도 된다. 제2 전기 기기(80)는, 임의의 전기 기기로 설정되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은, 캐노피 사양이 아니라도 된다. 유압 셔블(1)은, 조종석(6)의 주위의 공간이 폐쇄되어 있는 캐빈 사양이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차량(1)은 유압 셔블(1)이 아니라도 된다. 작업 차량(1)은, 예를 들면, 휠 로더(wheel loader)라도 되고, 불도저(bulldozer)라도 되고, 포크리프트(forklift)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차량(1)은, 유압 시스템(20) 대신에, 작업기 5, 주행 모터 23, 선회 모터(25)가 전동 액추에이터로 구동되는 작업 차량이라도 된다. 이 경우, 구동 배터리(31)보다도 전력이 공급된다. 작업 차량은 전동 작업 차량이다.
그리고, 충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전술에서는 보통 충전과 급속 충전의 2종류의 충전 방식이 가능한 것이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개의 충전 방식, 또는 1개의 충전 인렛만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원에 대해도, 전술에서는 보통 충전에서는 단상 200V, 급속 충전에서는 3상 200V라고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동 스위치인 키 스위치(34)는 키를 키 실린더에 꽂은 상태로 돌림으로써 온할 수 있는 것을 상정(想定)한 기재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가 소지하는 기기가 전자 칩(chip)을 내장하고,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오퍼레이터에 의한 소정 조작에 의해, 온으로 판단하도록 한 장치라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스위치 소자(91)는, 제3 스위치 소자(93)에 의해, 제1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전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스위치 소자(93) 대신에, 컨트롤러(60)로부터의 온 상태, 오프 상태의 전환 신호에 의해 제1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공급 정지를 실시해도 된다.
1: 유압 셔블(작업 차량), 2: 주행체, 3: 선회체, 4: 블레이드, 5: 작업기, 5A: 붐, 5B: 암, 5C: 버킷, 6: 조종석, 7: 작업기 레버, 8: 주행 레버, 9: 표시 장치, 10: 지지암, 11: 지주, 12: 캐노피, 20: 유압 시스템, 21: 메인 펌프, 22: 메인 밸브, 23: 주행 모터, 24: 주행 모터, 25: 선회 모터, 26: 작업기 실린더, 26A: 붐 실린더, 26B: 암 실린더, 26C: 버킷 실린더, 30: 전기 시스템, 31: 구동 배터리, 32: 전동 모터, 33: 인버터, 34: 키 스위치(기동 스위치), 35: 보조 기기 배터리, 40: 전원 분배 유닛, 41: 보통 충전기, 42: DC/DC: 컨버터, 60: 컨트롤러, 61: 제1: 컨트롤러, 62: 제2 컨 트롤러, 63: 제3 컨트롤러, 70: 제1: 전기 기기, 80: 제2 전기 기기, 91: 제1: 스위치 소자, 92: 제2 스위치 소자, 93: 제3 스위치 소자, 93A: 제3 스위치 소자, 93B: 제3 스위치 소자, 100: 상용 전원, 101: 배전반, 102: 보통 충전 케이블, 110: 상용 전원(3상 200V), 111: 급속 충전기, 112: 배전반, 113: 급속 충전 케이블.

Claims (8)

  1. 기동 스위치;
    제1 전기 기기; 및
    제2 전기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기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 및 전력 공급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기 기기(機器)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기동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는,
    작업 차량(work vehicl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상태는, 키 오프 상태 및 키 온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키 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 및 상기 제2 전기 기기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키 오프 상태 또한 상기 전력 공급 지령이 비출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 및 상기 제2 전기 기기의 각각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키 오프 상태 또한 상기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작업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원이 소정 상태일 때 상기 전력 공급 지령이 출력되는, 작업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이 소정 상태인 것은, 상기 구동 배터리가 충전 상태인 것을 포함하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상태 및 상기 전력 공급 지령의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제1 스위치 소자; 및
    상기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제2 스위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소자가 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2 스위치 소자가 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기기에 전력이 공급되는, 작업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터리가 충전 상태일 때 온 상태로 되는 제3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스위치 소자가 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소자가 온 상태로 되는, 작업 차량.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상기 구동 배터리가 충전 상태에 있어서 구동하는, 작업 차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종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상기 조종석에 배치되는, 상기 조종석의 주위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조종석에서 조작 가능한, 작업 차량.
KR1020217021557A 2019-02-28 2020-02-25 작업 차량 KR102565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6972 2019-02-28
JP2019036972A JP7267775B2 (ja) 2019-02-28 2019-02-28 作業車両
PCT/JP2020/007524 WO2020175489A1 (ja) 2019-02-28 2020-02-25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697A true KR20210100697A (ko) 2021-08-17
KR102565894B1 KR102565894B1 (ko) 2023-08-09

Family

ID=722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557A KR102565894B1 (ko) 2019-02-28 2020-02-25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90356A1 (ko)
JP (1) JP7267775B2 (ko)
KR (1) KR102565894B1 (ko)
CN (1) CN113227505B (ko)
DE (1) DE112020000260T5 (ko)
WO (1) WO2020175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67249A1 (en) 2021-02-24 2024-05-23 Yanmar Holdings Co., Ltd. Electric Work Machine
JP2024061184A (ja) * 2022-10-21 2024-05-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164A (ja) * 2008-07-14 2010-01-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バッテリ駆動式建設機械
JP2013129976A (ja) * 2011-12-21 2013-07-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建設機械
KR20140009279A (ko) * 2011-02-21 2014-01-22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식 건설 기계
JP2016196759A (ja) 2015-04-03 2016-11-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8084099A (ja) * 2016-11-25 2018-05-31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9169A1 (ja) * 2006-06-01 2007-12-06 Takeuchi Mfg. Co., Ltd. 作業用車両
US20130253781A1 (en) * 2010-12-15 2013-09-26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hovel
JP5662900B2 (ja) * 2011-08-08 2015-02-04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JP5247899B1 (ja) * 2012-02-15 2013-07-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蓄電器の充放電制御装置、蓄電器の充放電制御方法、および蓄電器の充放電制御装置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JP2016069963A (ja) * 2014-09-30 2016-05-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419063B2 (ja) * 2015-12-24 2018-11-07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作業機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164A (ja) * 2008-07-14 2010-01-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バッテリ駆動式建設機械
KR20140009279A (ko) * 2011-02-21 2014-01-22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전동식 건설 기계
JP2013129976A (ja) * 2011-12-21 2013-07-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建設機械
JP2016196759A (ja) 2015-04-03 2016-11-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8084099A (ja) * 2016-11-25 2018-05-31 日立建機株式会社 電動式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27505A (zh) 2021-08-06
KR102565894B1 (ko) 2023-08-09
WO2020175489A1 (ja) 2020-09-03
CN113227505B (zh) 2023-04-11
DE112020000260T5 (de) 2021-09-09
JP7267775B2 (ja) 2023-05-02
JP2020139350A (ja) 2020-09-03
US20220090356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0898B2 (ja) 動力伝達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
CN102639791B (zh) 工程机械
JP6259380B2 (ja)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EP2690225A1 (en) Hybrid construction machinery and auxiliary control device used therein
EP2631373A1 (en) Electric construction machine
KR20140046008A (ko) 전동식 건설 기계
CN105804146A (zh) 作业机械
EP2700755A1 (en) Electromotive drive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KR20140009279A (ko) 전동식 건설 기계
KR102240562B1 (ko) 건설 기계
KR102565894B1 (ko) 작업 차량
CN113056590B (zh) 作业车辆的控制装置及作业车辆
KR20180104698A (ko) 건설 기계
JP6038934B2 (ja) 建設機械
KR20140002720A (ko) 건설 기계
CN114128132B (zh) 作业机械
CN106605028B (zh) 混合动力式工程机械
JP2023075953A (ja) 作業車両
JP7430068B2 (ja) 作業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作業車両
JP2016217087A (ja) 建設機械
JP2023151377A (ja) 電動式作業機械の電動駆動システム
JP2023031434A (ja) 電動式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