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555A -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 Google Patents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555A
KR20210099555A KR1020217011506A KR20217011506A KR20210099555A KR 20210099555 A KR20210099555 A KR 20210099555A KR 1020217011506 A KR1020217011506 A KR 1020217011506A KR 20217011506 A KR20217011506 A KR 20217011506A KR 20210099555 A KR20210099555 A KR 2021009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carbonate
particularly preferably
copolycarbonate
i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기오스 치오파라스
하인츠 푸트라이너
키라 플랑켄
슈테판 얀케
크리스토프 쾰러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1009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5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51Translucent or partly translucent parts, e.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08G64/08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12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nitro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52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1/0256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having specific function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7Ceramic
    • B32B2264/108Carbon, e.g. graphi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2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25/00Cards, e.g. identity cards, credit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층 a)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층 b)를 포함하는 층 복합체로서, 여기서 층 a)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은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이고, 여기서 층 a)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은 층 b)의 것보다 더 높은 것인 층 복합체, 이러한 층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신분확인 문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층 a) 및 적어도 하나의 투명 층 b)를 포함하는 층 복합체로서, 여기서 층 a)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은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이고, 여기서 층 a)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은 층 b)의 열가소성 물질의 것보다 더 높은 것인 층 복합체, 이러한 층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러한 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신분확인 문서에 관한 것이다.
보안 문서, 특히 신분확인 문서에는, 통상적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필름의 형태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점점 더 많이 포함되고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에 기반한 문서는 일반적으로 매우 내구적이며, 이들 문서의 고도의 위조-방지 보안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보안 문서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시험 방법으로 식별가능한 다양한 보안 특색을 함유하며, 그에 따라 원본 또는 위조물로서 식별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문서는 예를 들어 DSA (문서 보안 협의회(Document Security Alliance))의 보안 요소 목록에 열거되어 있는 매우 광범위한 보안 요소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하나의 문서에 5 내지 최대 10종의 보안 요소를 통합하는 것이 합리적인데, 이는 예를 들어 여권을 통한 개인 신원 확인에 검사관이 짧은 기간,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20초의 시간만을 소비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기구 없이도 신속하게 낮은 오류율로 식별가능한 보안 특색이 특히 바람직하다.
대중적인 보안 특색은, 예를 들어, 신분확인 카드 또는 여권의 데이터 페이지에서의 투명 구역이다. 이들 투명 영역은 또한 "창"이라고도 한다. 시각적 검사에 의해 원본 또는 위조물로서 식별가능한 홀로그램, 보안 마크 및 다른 요소가 이들 창에 도입될 수 있다. 보안 특색의 기능은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높은 투명도에 기반한다. 창에서의 문서의 투명도가 손상되면, 상기 문서는 위조물일 수 있다. 그 이유는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위조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의 투명 필름을 문서 위에 붙이면, 창에서의 변화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를 통해 보면 창이 덜 선명해 보인다. 창의 선명도는 또한 문서를 뜯고 다시 붙이려는 시도에 의해서도 방해된다.
보안 문서에서의 창의 제작은, 예를 들어 문헌 [ID & Secure Document News Vol. 4, July 20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보안 및/또는 신분확인 문서의 불투명 백색 코어 내로 하나 이상의 개구를 스탬핑함으로써 수행된다. 보안 및/또는 신분확인 문서의 이러한 백색 불투명 코어는 가시적인 보안 특색 예컨대 홀로그램 (엠보스 및 볼륨 홀로그램), 보안 인쇄 또는 다른 요소 뿐만 아니라, 상부 백색 층 때문에 보는 사람에게 가시적이지 않은 추가의 보안 특색, 예를 들어 안테나 및 IC 칩과 같은 전자 소자를 포함한다. 개구는 임의의 목적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우세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이들 개구는 상응하는 필름 조각으로부터 별도로 스탬핑된, 동일한 형상 및 두께의 투명 필름 조각으로 충전된다. 추가의 투명 필름이 코어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 상에 추가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층 구조물의 라미네이션은 단일체 층 복합체를 제공한다.
추가의 보안 특색은 전자 소자 예컨대 예를 들어 안테나, IC 칩, 볼륨 홀로그램, 엠보스 홀로그램 등의 내장이다. 이들 소자는 전형적으로 층 복합체로 라미네이팅된다. WO2010/091796 A1에 라미네이팅된 층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들 사이에 배열된 소자를 가지며 상이한 비캣 연화 온도 B/120을 갖는 2종의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이 2-스테이지 라미네이션에 적용되어 층 복합체를 제공한다. 베이스 층의 비캣 연화 온도 B/120은 추가의 층보다 더 높은 비캣 연화 온도 B/120을 갖는다. 상기 방법의 단점은 첫번째로 복잡한 2-스테이지 라미네이션 공정을 요구하는 것이고, 두번째로 이 방법이 안테나-보유 층의 유동을 초래하여, 그에 따라 안테나의 직각을 이루고 있는 레그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안 특색으로서의 창의 구현은 매우 복잡하며, 스탬핑하고 창을 개별 층의 재료 이외에 추가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투명 재료로 충전하는 것과 관련하여 복수의 작업 단계를 요구한다. 추가의 단점은 라미네이팅된 층 복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개별 층의 라미네이션 동안 스탬핑된 창의 기하구조가 왜곡되는 것이다. 전자 소자 및/또는 볼륨 홀로그램을 설치할 때 라미네이션의 경우에 라미네이션 동안 열가소성 재료의 유동으로 인해 전자 소자의 기하구조가 왜곡되고, 경계 층이 파형이 되며, 그로 인해 소자가 가시적이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파형은 그에 인쇄된 이미지의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단일체 층 복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라미네이션 후에, 창의 기하구조의 왜곡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그 결과로서의 라미네이팅된 층 복합체에서의 전자 소자 및/또는 추가의 보안 특색의 내장을 가능하게 하며, 인쇄된 이미지의 간섭을 야기하지 않는 층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의 목적으로 한다.
놀랍게도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물로서:
a)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들),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들)를 함유하는 하나의 불투명 층 a)이며, 여기서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0.1% 및 ≤ 85%, 바람직하게는 ≥ 1% 및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및 ≤ 50%의 광 투과율을 갖는 층 a), 및
b)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하나의 추가의 투명 층 b)이며, 여기서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85% 및 ≤ 98%, 바람직하게는 ≥ 87% 및 ≤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 88% 및 ≤ 92%의 광 투과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b),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이고, 층 a)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층 b)의 열가소성 물질의 것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물에 의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 b)는 ISO 306 (50N; 50°/h)에 따라 결정된 ≥ 135℃ 내지 ≤ 155℃, 바람직하게는 ≥ 140℃ 내지 ≤ 151℃ 범위의 비캣 연화 온도 B/120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한다.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적어도 1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5000 g/mol 내지 30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00 내지 36000 g/mol,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00 내지 34000 g/mol의 Mw (폴리카르보네이트 보정 물질을 사용한 선행 보정 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에 의해 결정된 중량-평균 분자량)를 갖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들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화학식 (I-1)의 적어도 1개의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로민, C1-C8-알킬, C5-C6-시클로알킬, C6-C10-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및 C7-C12-아르알킬, 바람직하게는 페닐-C1-C4-알킬, 특히 벤질을 나타내고,
m은 4 내지 7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이고,
각각의 X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가능한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을 나타내고,
X는 탄소 및/또는 질소를 나타내며,
단, 적어도 1개의 X 원자에 대해, R3 및 R4는 둘 다 알킬을 나타낸다.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대안적으로 하기 제시된 화학식 (I-2), (I-3) 및/또는 (I-4)의 적어도 1개의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들일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R5는 C1- 내지 C4-알킬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화학식 (I-1)의 적어도 1개의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 탄산 유도체, 임의적으로 쇄 종결제 및 임의적으로 분지화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관한 상세내용은 대략 지난 40년에 걸쳐 많은 특허 문헌에서 개시되었다. 여기서 단지 예로서 문헌 [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ume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D. Freitag, U. Grigo, P. R. Mueller, H.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ume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마지막으로 [Dres. U. Grigo, K. Kirchner and P. 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이 언급된다.
화학식 (I-1)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의 구현을 위한 출발 생성물은 화학식 (I-1a)의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이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X, R1, R2, R3, R4 및 m은 화학식 (I-1)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I-2), (I-3) 및/또는 (I-4)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의 구현을 위한 출발 생성물은 화학식 (I-2a), (I-3a) 및/또는 (I-4a)의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이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R5는 C1- 내지 C4-알킬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낸다.
화학식 (I-1a)에서 라디칼 R1 및 R2는 수소인 경우에 바람직하다.
화학식 (I-1a)에서 1-2개의 X 원자에 대해, 특히 단지 1개의 X 원자에 대해, R3 및 R4가 둘 다 알킬을 나타내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화학식 (I-1a)에서 R3, R4를 위한 바람직한 알킬 라디칼은 메틸이고; 디페닐-치환된 탄소 원자 (C-1)에 대해 알파에서의 X 원자는 바람직하게는 디알킬-치환되지 않고, C-1에 대해 베타에서의 적어도 1개의 X 원자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이치환된다.
화학식 (I-1a)에서 시클로지방족 라디칼에 5개 및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 (화학식 (I-1a)에서 m = 4 또는 5), 예를 들어 화학식 (I-1b) 내지 (I-1d)의 디페놀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R1 및 R2 = H인 화학식 (I-1b))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EP 0359953 A1에 따라 화학식 (I-1a)의 디페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1a)의 1종의 디페놀을 사용하여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화학식 (I-1a)의 2종 이상의 디페놀을 사용하여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화학식 (I-1a)의 디페놀은 또한 다른 디페놀, 예를 들어 화학식 (I-1e)의 것들과의 혼합물로 이용되어:
Figure pct00006
고분자량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1e)의 적합한 다른 디페놀은, Z가 6 내지 3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치환될 수 있으며, 가교 요소로서 지방족 라디칼 또는 화학식 (I-1a)의 것들과는 상이한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또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는 방향족 라디칼인 것들이다.
화학식 (I-1e)의 디페놀의 예는 하기이다: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벤젠,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아릴,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1,1'-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그의 고리-알킬화 및 고리-할로겐화된 화합물.
이들 및 추가의 적합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US-A 3 028 365, 2 999 835, 3 148 172, 3 275 601, 2 991 273, 3 271 367, 3 062 781, 2 970 131 및 2 999 846, DE-A 1 570 703, 2 063 050, 2 063 052, 2 211 956, Fr-A 1 561 518 및 문헌 [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 page 28 ff.; page 102 ff.] 및 [D.G. Legrand, J.T. Bendler, Handbook of Polycarbonate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New York 2000, page 72 ff.]에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I-1e)의 바람직한 다른 디페놀은 예를 들어 하기이다:
레조르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2,2-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화학식 (Ie)의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하기이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디페닐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 화학식 (I-1e)의 디페놀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디페놀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디페놀, 특히 화학식 (I-1e)의 것들로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조성은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특성, 특히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유리한 방식으로 달라질 수 있도록 한다.
코폴리카르보네이트 중 화학식 (I-1), (I-2), (I-3) 및 (I-4)의 카르보네이트 단위의 총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1 - 88 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86 mol%,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84 mol%, 특히 10 - 82 mol% (이용된 디페놀의 mol의 합계를 기준으로 하여)이다.
화학식 (I-1)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단위는 상기 기재된 화학식 (I-1a) 및 (I-1e)의 디페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1b), (I-1c) 및/또는 (I-1d)의 디페놀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또는 4,4'-디히드록시디페닐,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1b)의 디페놀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부터 유래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단위는 화학식 (I-1e) 및 (I-2a), (I-3a) 및/또는 (I-4a)의 디페놀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17 중량% 내지 62 중량%의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 83 중량% 내지 38 중량%의 화학식 (I-2a), (I-3a) 및/또는 (I-4a)의 공단량체로 구성되며, 여기서 비스페놀 A 및 화학식 (I-2a), (I-3a) 및/또는 (I-4a)의 공단량체의 양은 그 합계가 100 중량%이다.
화학식 (I-1a)의 디페놀 대 임의적으로 공동-사용가능한 화학식 (I-1e)의 다른 디페놀의 몰비는 100 mol%의 (I-1a) 대 0 mol%의 (I-1e) 내지 2 mol%의 (I-1a) 대 98 mol%의 (I-1e), 바람직하게는 100 mol%의 (I-1a) 대 0 mol%의 (I-1e) 내지 10 mol%의 (I-1a) 대 90 mol%의 (I-1e), 특히 100 mol%의 (I-1a) 대 0 mol%의 (I-1e) 내지 30 mol%의 (I-1a) 대 70 mol%의 (I-1e)일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 중 화학식 (I-1a),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1b)의 디페놀의 비율은 10 중량% 내지 9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4 - 85 중량%이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및/또는 4,4'-디히드록시디페닐이 화학식 (I-1e)의 바람직한 디페놀로서 이용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5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화학식 (I-1b)의 디페놀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임의적으로 다른 디페놀과 조합되어, 화학식 (I-1a)의 디페놀로 구성된 고분자량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디페놀이 랜덤 또는 블록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분지화가 바람직한 경우에, 이는 공지된 방식으로 소량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mol% (이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하여)의 양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화합물, 특히 3개 또는 3개 초과의 페놀성 히드록실 기를 갖는 것들의 축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3개 또는 3개 초과의 페놀성 히드록실 기를 갖는 일부 분지화제는 하기를 포함한다: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헥사-[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닐]오르토테레프탈레이트,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및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
일부 다른 삼관능성 화합물은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누릴 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말단 기의 제어 또는 변경을 위해, 예를 들어 사용되는 디아릴 카르보네이트(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지 않은 1종 이상의 모노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을 쇄 종결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들은 화학식 (III)의 것들일 수 있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RA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C6-C34-아릴 또는 -COO-RD를 나타내며, 여기서 RD는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내고,
RB, RC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노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2- 또는 3-메틸페놀, 2,4-디메틸페놀, 4-에틸페놀, 4-n-프로필페놀, 4-이소프로필페놀, 4-n-부틸페놀, 4-이소부틸페놀, 4-tert-부틸페놀, 4-n-펜틸페놀, 4-n-헥실페놀, 4-이소옥틸페놀, 4-n-노닐페놀, 3-펜타데실페놀, 4-시클로헥실페놀, 4-(1-메틸-1-페닐에틸)페놀, 4-페닐페놀, 4-페녹시페놀, 4-(1-나프틸)페놀, 4-(2-나프틸)페놀, 4-트리틸페놀, 메틸 살리실레이트, 에틸 살리실레이트, n-프로필 살리실레이트, 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n-부틸 살리실레이트, 이소부틸 살리실레이트, tert-부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이다.
4-tert-부틸페놀, 4-이소옥틸페놀 및 3-펜타데실페놀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분지화제는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페놀성 히드록실 기를 갖는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및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이다.
3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른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트리메소일 트리클로라이드, 시아누르산 트리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및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이다.
화학식 (I-1a)의 디페놀의 혼입은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며, 이는 또한 다른 측면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이는 특히 m이 4 또는 5인 화학식 (I-1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매우 특히 R1 및 R2가 서로 독립적으로 화학식 (I-1a)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인 디페놀 (I-1b)를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에 해당된다.
특히 R1 및 R2가 수소인 화학식 (I-1b)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이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높은 열적 안정성, 우수한 UV 안정성 및 용융물의 우수한 유동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층 a)는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0.1% 및 ≤ 85%, 바람직하게는 ≥ 1% 및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및 ≤ 50%의 광 투과율을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층 a)는 적어도 1종의 충전제를 포함한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종의 착색 안료 및/또는 충전된 층의 반투명을 초래하기 위한 적어도 1종의 다른 충전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 이산화지르코늄 및/또는 황산바륨,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이산화티타늄이다.
언급된 충전제는, 예를 들어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충전제를 함유하는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층 a)는 ≥ 10 내지 ≤ 300 μm, 바람직하게는 ≥ 20 내지 ≤ 2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 25 내지 ≤ 150 μm 범위의 층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투명 층 b)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고,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85% 및 ≤ 98%, 바람직하게는 ≥ 87% 및 ≤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 88% 및 ≤ 92%의 광 투과율을 가지며, 층 b)의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것보다 더 낮다. 층 b)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은 ISO 306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 135℃ 내지 ≤ 155℃, 바람직하게는 ≥ 140℃ 내지 ≤ 151℃ 범위의 비캣 연화 온도 B/120을 갖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층 b)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 및/또는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축합물 및/또는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부가 생성물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플라스틱일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열가소성 물질은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스티렌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PS) 또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SA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유형 또는 시클릭 올레핀을 기재로 하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토파스(TOPAS)™),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2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또는 아르지방족 디올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T), 글리콜-개질된 PET (PETG),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G) 또는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CoPBT),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프탈레이트 (PEN), 적어도 1종의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물(들) 또는 공중축합물(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시클로헥산디메탄올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PCCD), 폴리술폰 (PSU), 폴리비닐 할라이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또는 상기 언급된 것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열가소성 물질은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들), 또는 적어도 1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블렌드이다. 적어도 1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의 적어도 1종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을 함유하는 블렌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500 g/mol 내지 1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 g/mol 내지 8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0 g/mol 내지 40000 g/mol의 평균 분자량 Mw (폴리카르보네이트 보정 물질을 사용한 선행 보정 후 ISO 16014-1:2012에 따른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에 의해 결정됨)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이들과 10000 g/mol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1000 g/mol 내지 120000 g/mol의 평균 분자량 Mw (폴리카르보네이트 보정 물질을 사용한 선행 보정 후 ISO 16014-1:2012에 따른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에 의해 결정됨)를 갖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1종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의 블렌드가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테레프탈산의 적합한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적합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및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아르지방족 디올의 반응 생성물 및 이들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공지된 방법 (Kunststoff-Handbuch, vol. VIII, p. 695 ff, Karl-Hanser-Verlag, Munich 1973)에 의해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카르복실산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80 mol%, 바람직하게는 90 mol%의 테레프탈산 라디칼, 및 디올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80 m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mol%의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탄-1,4-디올 및/또는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라디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라디칼 이외에도, 최대 20 mol%의 8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예컨대 예를 들어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 및/또는 부탄-1,4-디올 글리콜 라디칼 이외에도, 최대 80 mol%의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프로판-1,3-디올, 2-에틸프로판-1,3-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펜탄-1,5-디올, 헥산-1,6-디올,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3-메틸펜탄-2,4-디올, 2-메틸펜탄-2,4-디올, 2,2,4-트리메틸펜탄-1,3-디올 및 2-에틸헥산-1,6-디올, 2,2-디에틸프로판-1,3-디올, 헥산-2,5-디올, 1,4-디([베타]-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3-[베타]-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DE-OS 24 07 674, 24 07 776, 27 15 932 참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OS 19 00 270 및 US-PS 3 692 7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소량의 3가 또는 4가 알콜 또는 3염기성 또는 4염기성 카르복실산의 혼입에 의해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다.
산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1 mol% 이하의 분지화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단독으로 테레프탈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부탄-1,4-디올 및/또는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라디칼로부터 제조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또한 상기 언급된 산 구성요소 중 적어도 2종 및/또는 상기 언급된 알콜 구성요소 중 적어도 2종으로부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이고;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부탄-1,4-디올) 테레프탈레이트이다.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 (1:1 중량부) 중에서 측정된 약 0.4 내지 1.5 dl/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 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1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1종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의 블렌드는 적어도 1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이러한 블렌드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9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99 중량% 내지 10 중량%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9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99 중량% 내지 1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비율은 그 합계가 100 중량%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이러한 블렌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85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80 중량% 내지 15 중량%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85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80 중량% 내지 15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비율은 그 합계가 100 중량%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이러한 블렌드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내지 8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6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내지 8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65 중량% 내지 20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여기서 비율은 그 합계가 100 중량%이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언급된 조성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특히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방향족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선형이거나 또는 공지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규명, 제조 및 바람직한 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층 a)에 대해 상기 언급된 바를 참조로 한다. 층 b)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e)의 디페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4'-디히드록시디페닐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이용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층 b)는 ≥ 30 내지 ≤ 800 μm, 바람직하게는 ≥ 35 내지 ≤ 7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 50 내지 ≤ 600 μm의 층 두께를 갖는다.
적어도 층 a) 및 b)는 1 내지 1000 cm2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00 cm2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0 cm2 범위의 표면적을 갖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층 구조물의 2개의 층 a) 및 b)는 동일한 표면 치수를 갖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2개의 층 a) 및 b)는 층 구조물에서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층 복합체는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 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들 하나 이상의 층 c)는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85% 내지 ≤ 98%, 바람직하게는 ≥ 87% 및 ≤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 88% 및 ≤ 92%의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층 c)는 층 a) 및 b)와 동일한 표면적을 갖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층 a), b) 및 c)는 층 구조물에서 완전히 중첩되는 경우에 추가로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층 c)의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은 독립적으로 층 b)와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층 b)에 관한 규명 및 바람직한 범위를 참조로 한다.
층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구조물은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c)를 포함한다. 층 구조물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a) 및 c)는 바람직하게는 구성이 동일하지만, 적용에 따라 두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c) 중 하나가 층 구조물에서 층 b)보다 층 a)와 관련하여 다른 쪽에 배열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층 구조물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구조물은 층 b)가 층 a)와 c) 사이에 배열된 층의 배열을 갖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추가의 층 c)는 층 a)와 b) 사이 및 층 a)와 c)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들 추가의 층 c)는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층 c)는 서로 독립적으로 재료 및 두께와 관련하여 층 b)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층 c)는, 적어도 층 순서 c), a), b) 또는 a), b), c) 또는 c), a), b), c)가 초래되도록 층 복합체에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 및 층 두께와 관련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추가의 층 c)를 상기 언급된 층 순서에 추가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층 c)는 ≥ 10 내지 ≤ 300 μm, 바람직하게는 ≥ 20 내지 ≤ 2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 25 내지 ≤ 150 μ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 a), 적어도 하나의 층 b) 및/또는 하나 이상의 층 c)는 적어도 1종의 레이저-감응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양태는 특히 레이저 그라비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레이저 그라비어에 의한 플라스틱 필름의 마킹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하기에서도 축약하여 레이저 마킹이라 지칭된다. 따라서, 하기에서 용어 "레이저 마킹된"은 레이저 그라비어에 의해 마킹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레이저 그라비어 공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레이저 프린터를 사용하는 인쇄와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레이저-감응성 첨가제는 ≥ 3 내지 ≤ 200 ppm, 바람직하게는 ≥ 4 내지 ≤ 18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 5 내지 ≤ 160 ppm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존재할 수 있다.
레이저-감응성 첨가제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0 μm의 범위, 특히 유리하게는 50 nm 내지 2 μm의 범위에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층 a)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층 a)에서의 개구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층 a)에서의 개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층 a)에서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적합한 도구를 사용한 스탬핑에 의해 층 a)에 도입될 수 있다.
층 a)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양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층 a)는 ≥ 10 내지 ≤ 150 μm, 바람직하게는 ≥ 20 내지 ≤ 1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 25 내지 ≤ 75 μm의 층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층 a)에서의 개구는 열가소성 재료로 추가적으로 충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의 전자 소자, 볼륨 홀로그램 및/또는 엠보스 홀로그램은 층 a)와 층 b)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소자는 마이크로칩 또는 안테나일 수 있다.
층 복합체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물질의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층 a), b), c) 및/또는 임의적으로 추가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가능하며 상기 언급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필름, 특히 단일층 및/또는 다층 필름이다. 층 a), b) 및/또는 c)는 바람직하게는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가능한 모노필름이다.
개별 층 a), b) 및/또는 c)의 층 두께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응하는 층 두께의 상응하는 단일층 및/또는 다층 필름의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층 a), b) 및/또는 c)의 층 두께는 또한 서로 독립적으로 상응하는 이들 층의 얇은 필름을 겹쳐놓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1종 이상의 보안 특색은 본 발명에 따른 층 복합체에 임의의 목적하는 위치에서 도입될 수 있다. 보안 특색은 전자 소자, 예를 들어 안테나 및 마이크로칩, 홀로그램 및/또는 보안 마크로서 층 복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1종 이상의 보안 특색은, 이들이 층 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복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층 구조물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층 a)와 b) 사이에 1종 이상의 보안 특색을 배치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층 a)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층 a)에서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층 b)에서의 창이 가시적이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의 보안 특색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 복합체의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1종의 보안 특색이 창을 통해 가시적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특히 볼륨 및/또는 엠보스 홀로그램이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추가의 층 c)가 층 구조물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러한 층 c)는 바람직하게는 층의 표면적과 관련하여 층 a)와 동일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층 a)에서의 개구와 동일한 크기의 개구를 마찬가지로 갖는다. 이상적으로 층 c)에서의 개구는, 층 b)에서의 창 및 층 a)에서의 개구에 대해 적어도 1종의 보안 특색이 보안 요소의 양쪽에서 가시적이게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특히 볼륨 및/또는 엠보스 홀로그램이 상기 언급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안테나가 층 a)와 b) 또는 층 b)와 c) 사이에 배열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안테나는 바람직하게는 층 a) 또는 c)에서의 개구에서도, 상응하게 층 b)에서의 창에서도 가시적이지 않도록 배열된다.
층 구조물의 개별 층은 열 및 압력의 작용 하에 라미네이팅 프레스를 사용하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특정한 지속기간 동안 압축되어, 소위 라미네이트라고 하는 개별 층의 단일체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 작업 동안의 압력 및 온도는 개별 층 및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보안 특색이 손상되지 않지만, 그러나 개별 층이 후속적으로 그의 개별 층으로 분리되지 않는 튼튼한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층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층 구조물로서:
a)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하나의 불투명 층 a)이며, 여기서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0.1% 및 ≤ 85%, 바람직하게는 ≥ 1% 및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및 ≤ 50%의 광 투과율을 갖는 층 a), 및
b)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추가의 투명 층 b)이며, 여기서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85% 및 ≤ 98%, 바람직하게는 ≥ 87% 및 ≤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 88% 및 ≤ 92%의 광 투과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b),
층 a)의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이고,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층 b)의 것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1종 이상의 전자 소자, 1종 이상의 볼륨 홀로그램 및/또는 1종 이상의 엠보스 홀로그램을 층 a)와 b)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층 a)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스탬핑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 c)를 제공하는 단계,
- 층 구조물을 12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5℃, 특히 바람직하게는 165℃ 내지 200℃의 온도, 및 10 N/cm2 내지 400 N/cm2, 바람직하게는 30 N/cm2 내지 300 N/cm2,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N/cm2 내지 250 N/cm2의 압력에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반복을 피하기 위해, 개별 층의 실시양태 및 바람직한 범위와 관련하여서는 상기 언급된 바를 참조로 한다.
층 c)/층들 c)가 존재하는 경우에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개구가 스탬핑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층 a) 및 c)에서의 개구는 층 b)에서의 창이 층 구조물의 양쪽에서 개구를 통해 가시적이도록 중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층 구조물은 라미네이션 전 및/또는 후에 레이저 방사선에 의해 각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신분확인 문서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신분확인 문서에 창을 생성하기 위한,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며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0.1% 및 ≤ 85%, 바람직하게는 ≥ 1% 및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및 ≤ 50%의 광 투과율을 갖는 불투명 층 a)로서, 층 a)의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명 층 a)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실시예
사용된 원료
마크롤론(Makrolon)™ 3108: ISO 1133-1:2011에 따라 300℃ 및 1.2 kg의 하중에서 6.5 g/10min의 MVR 및 ISO 306:2004 방법 B120에 따라 50 N; 120℃/h에서 150℃의 비캣 연화 온도 (VST) 및 ISO 11357-1,-2에 따라 149℃의 유리 전이 온도 Tg를 갖는, 코베스트로 아게(Covestro AG)로부터의 고점도 무정형 열가소성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크로노스(KRONOS)™ 2230: ≥ 96%의 TiO2 함량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다른 산업용 열가소성 물질을 위한 크로노스로부터의 이산화티타늄
폴리카르보네이트 PC 1:
149.0 g (0.65 mol)의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07.9 g (0.35 mol)의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336.6 g (6 mol)의 KOH 및 2700 g의 물을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이어서, 2500 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중 1.88 g의 페놀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198 g (2 mol)의 포스겐을 pH 13 내지 14 및 21℃ 내지 25℃에서 잘 교반된 용액에 도입하였다. 이어서, 1 ml의 에틸피페리딘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5 min 동안 교반하였다. 비스페녹시드-무함유 수성 상을 제거하고, 유기 상을 인산으로 산성화시키고, 물로 세척함으로써 중화시킨 다음에, 용매를 제거하였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DIN EN ISO 1628-1:2009에 따라 결정된 1.255의 상대 용액 점도를 제시하였다. 중합체의 비캣 연화 온도는 ISO 306:2004 방법 B120에 따라 50 N; 120℃/h에서 183℃로 결정되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PC 2:
PC 1과 유사하게 91.6 g (0.40 mol)의 비스페놀 A 및 185.9 g (0.60 mol)의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의 혼합물을 상응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2로 전환시켰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DIN EN ISO 1628-1:2009에 따라 결정된 1.251의 상대 용액 점도를 제시하였다.
중합체의 비캣 연화 온도는 ISO 306:2004 방법 B120에 따라 50 N; 120℃/h에서 204℃로 결정되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PC 3:
PC 1과 유사하게 44.2 g (0.19 mol)의 비스페놀 A 및 250.4 g (0.81 mol)의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의 혼합물을 상응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로 전환시켰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DIN EN ISO 1628-1:2009에 따라 결정된 1.248의 상대 용액 점도를 제시하였다.
중합체의 비캣 연화 온도는 ISO 306:2004 방법 B120에 따라 50 N; 120℃/h에서 216℃로 결정되었다.
열가소성 물질 및 충전제로서의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층의 제조를 위한 배치의 배합:
백색 층의 제조를 위한 배치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폴리카르보네이트에 대해 통상적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이축-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표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배치를 배합하고, 후속적으로 펠릿화하였다:
표 1: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의 제조를 위한 배합물의 조성
Figure pct00008
압출 필름의 일반적 제조 절차
이용된 장치는 하기로 이루어져 있다:
Figure pct00009
직경 (D)이 105 mm이고 길이가 41xD인 스크류를 갖는 압출기. 스크류는 탈휘발화 구역을 가짐;
Figure pct00010
크로스헤드;
Figure pct00011
폭이 1500 mm인 슬롯 다이;
Figure pct00012
수평의 롤러 배향을 갖는 3-롤 평활화 캘린더로서, 여기서 제3 롤러는 수평에 대해 +/- 45° 선회할 수 있음;
Figure pct00013
롤러 컨베이어;
Figure pct00014
보호 필름의 양면 적용을 위한 장치;
Figure pct00015
인취 장치;
Figure pct00016
권취 스테이션.
펠릿 재료를 압출기 호퍼에 공급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용융시키고, 각각의 배럴/스크류 가소화 시스템에 이송하였다. 재료 용융물을 노즐에 공급하였다. 용융물이 노즐로부터 평활화 캘린더로 보내어졌다. 평활화 캘린더 상에서 재료가 최종 성형에 적용되고 냉각되었다. 필름 표면의 구조화를 매트가공된 스틸 롤러 (no. 4 표면) 및 매트가공된 고무 롤러 (no. 4 표면)를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후속적으로, 필름을 인취기를 통해 통과시킨 다음에, 필름을 권취하였다. 상응하는 백색 불투명 압출 필름을 이러한 방식으로 표 2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2: 백색 불투명 압출 필름
Figure pct00017
*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것
투명 창을 갖는 신분확인 문서 (ID 카드)의 제조:
필름 5 (카드 구성의 투명 오버레이 필름):
두께가 100 μm인 투명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100% 마크롤론™ 3108 폴리카르보네이트로부터 약 280℃의 용융 온도에서 압출에 의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필름 표면의 구조화를 매트가공된 스틸 롤러 (no. 6 표면) 및 매트가공된 고무 롤러 (no. 2 표면)를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필름 6 (카드 구성의 코어):
필름을 필름 5에 따라 제조하지만, 두께가 540 μm였다.
창의 제공:
각각의 백색 불투명 필름 1 내지 4a에 직경이 10 mm인 구멍을 스탬핑하고, 그 다음에 직경이 20 mm인 제2 구멍을 스탬핑하였다.
ID 카드의 층 구조물의 제공
표 3에 따라 층 구조물을 제조하였다. 카드의 만곡을 피하기 위해 대칭적인 층 구조물의 카드가 선택되었다. 이를 위해, 각각의 경우에 표 3에 제시된 순서의 필름으로부터 하나의 적층체를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뷔르클(Buerkle) 라미네이션 프레스 상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조건
- 프레스를 170-180℃로 예열함
- 15 N/cm2의 압력에서 8분 동안 프레싱함
- 200 N/cm2의 압력에서 2분 동안 프레싱함
- 프레스를 38℃로 냉각시키고, 프레스를 개방함.
표 3: 창을 갖는 ID 카드의 층 구조물
Figure pct00018
*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것
라미네이션 전후의 ID 카드의 창 직경
필름 1 내지 4a에서의 개구의 직경을 라미네이션 전후에 결정하였다. 라미네이션 전에 필름 1 내지 4a에서의 개구를 측정하고, 라미네이션 후에 라미네이트에서의 개구를 측정하였다.
표 4: 라미네이션 전후의 투명 창의 직경
Figure pct00019
*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것
본 발명에 따른 백색 필름 1-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카드 (실시예 1 내지 3)는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직경에서의 보다 작은 변화를 제시하며, 따라서 스탬핑된 패턴의 보다 우수한 윤곽 안정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투명 창을 위해 보다 복잡한 기하구조가 사용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안테나가 설치된 신분확인 문서 (ID 카드)의 제조:
필름 7:
두께가 100 μm인 투명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99.9994% 마크롤론™ 3108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0.0006% (6 ppm) 불칸(Vulcan) XC 72 (캐보트(Cabot))로부터 약 280℃의 용융 온도에서 압출에 의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필름 표면의 구조화를 매트가공된 스틸 롤러 (no. 6 표면) 및 매트가공된 고무 롤러 (no. 2 표면)를 사용하여 달성하였다.
표 5에 따라 층 구조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경우에 표 5에 제시된 순서의 필름으로부터 하나의 적층체를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뷔르클 라미네이션 프레스 상에서 하기 파라미터로 수행하였다.
250 μm 두께의 층 4를 위해서는 필름 4b 및 필름 4c를 겹쳐놓았다. 와이어 안테나를 이 와이어 안테나가 층 3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필름 4b 상에 배치하였다.
라미네이션 조건
- 프레스를 170-180℃로 예열함
- 15 N/cm2의 압력에서 8분 동안 프레싱함
- 200 N/cm2의 압력에서 2분 동안 프레싱함
- 프레스를 38℃로 냉각시키고, 프레스를 개방함.
표 5: 층 3과 4 사이에 안테나가 설치된 ID 문서
Figure pct00020
*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것
본 발명에 따른 필름 1b가 필름 4b를 포함하는 층에 인접해 있고, 상기 층 위에 와이어 안테나가 배치된 카드는 시각적 검사 후에 본 발명에 따른 필름 1b와 와이어 사이에 곧은 표면을 나타냈다 (실시예 5). 필름 4b (층 3)가 필름 4b의 층에 인접해 있는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것)에서는 안테나 와이어가 밀려나고, 즉, 상기 층의 왜곡이 있으며, 따라서 카드에서의 와이어 안테나가 가시적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기를 포함하는 층 구조물로서:
    a)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하나의 불투명 층 a)이며, 여기서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0.1% 및 ≤ 85%, 바람직하게는 ≥ 1% 및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및 ≤ 50%의 광 투과율을 갖는 층 a), 및
    b)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하나의 추가의 투명 층 b)이며, 여기서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85% 및 ≤ 98%, 바람직하게는 ≥ 87% 및 ≤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 88% 및 ≤ 92%의 광 투과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b),
    층 a)의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이고,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층 b)의 열가소성 물질의 것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 b)가 ISO 306 (50N; 50°/h)에 따라 결정된 ≥ 135℃ 내지 ≤ 155℃, 바람직하게는 ≥ 140℃ 내지 ≤ 151℃ 범위의 비캣 연화 온도 B/120을 갖는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화학식 (I-1), (I-2), (I-3) 및/또는 (I-4)의 적어도 1개의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Figure pct00021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로민, C1-C8-알킬, C5-C6-시클로알킬, C6-C10-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및 C7-C12-아르알킬, 바람직하게는 페닐-C1-C4-알킬, 특히 벤질을 나타내고,
    m은 4 내지 7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이고,
    각각의 X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가능한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을 나타내고,
    X는 탄소를 나타내며,
    단, 적어도 1개의 X 원자에 대해, R3 및 R4는 둘 다 알킬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22

    여기서 R5는 C1- 내지 C4-알킬 라디칼, 아르알킬 라디칼 또는 아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 라디칼을 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층 a)의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화학식 (I-1)의 적어도 1개의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 a)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 a)가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 이산화지르코늄 및/또는 황산바륨,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 a)가 ≥ 10 내지 ≤ 300 μm, 바람직하게는 ≥ 20 내지 ≤ 200 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 25 내지 ≤ 150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인 층 구조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 b)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 및/또는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축합물,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우레탄(들) 및 폴리올레핀(들), 테레프탈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적어도 1종의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물 또는 공중축합물, 폴리술폰 또는 그의 혼합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적어도 1종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블렌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 c)를 함유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 c)가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85% 내지 ≤ 98%, 바람직하게는 ≥ 87% 및 ≤ 95%, 특히 바람직하게는 ≥ 88% 및 ≤ 92%의 광 투과율을 갖는 것인 층 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층 구조물이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추가의 층 c)를 포함하는 것인 층 구조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층 a), 적어도 하나의 층 b) 및/또는 하나 이상의 층 c)가 적어도 1종의 레이저-감응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 특히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것인 층 구조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전자 소자, 볼륨 홀로그램 및/또는 엠보스 홀로그램이 층 a)와 층 b) 사이에 배열되는 것인 층 구조물.
  13.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층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층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1종 이상의 전자 소자, 1종 이상의 볼륨 홀로그램 및/또는 1종 이상의 엠보스 홀로그램을 층 a)와 b)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층 a)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스탬핑하는 단계,
    - 임의적으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층 c)를 제공하는 단계,
    - 층 구조물을 12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5℃, 특히 바람직하게는 165℃ 내지 200℃의 온도, 및 10 N/cm2 내지 400 N/cm2, 바람직하게는 30 N/cm2 내지 300 N/cm2,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N/cm2 내지 250 N/cm2의 압력에서 라미네이팅하는 단계.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층 구조물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신분확인 문서.
  15.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신분확인 문서에 창을 생성하기 위한,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며 ISO 13468-2:2006-07에 따라 결정된 ≥ 0.1% 및 ≤ 85%, 바람직하게는 ≥ 1% 및 ≤ 65%,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및 ≤ 50%의 광 투과율을 갖는 불투명 층 a)로서, 층 a)의 1종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ISO 306:2004 (방법 B120 50N; 120℃/h)에 따라 결정된 비캣 연화 온도 B/120이 ≥ 156℃,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6℃ 내지 ≤ 2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투명 층 a)의 용도.
KR1020217011506A 2018-12-03 2019-11-26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KR20210099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9747.7 2018-12-03
EP18209747 2018-12-03
PCT/EP2019/082559 WO2020114834A1 (de) 2018-12-03 2019-11-26 Kunststofffolien mit hoher vicat-erweichungstemperatur in schichtaufbau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555A true KR20210099555A (ko) 2021-08-12

Family

ID=6465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506A KR20210099555A (ko) 2018-12-03 2019-11-26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403661A1 (ko)
EP (1) EP3890971A1 (ko)
KR (1) KR20210099555A (ko)
CN (1) CN113226757B (ko)
WO (1) WO2020114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2553A1 (en) * 2019-12-12 2023-01-05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Films having special properties
WO2023285358A1 (de) * 2021-07-14 2023-01-19 Covestro Deutschland Ag Folienaufbau geeignet zur schnellen lamination
EP4119344A1 (de) * 2021-07-14 2023-01-18 Covestro Deutschland AG Spezielle polymerschichten zur schnelleren laminierbarkeit von mehrschichtaufbauten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0131A (en) 1961-01-31 polycarbonate process
NL104015C (ko) 1953-10-16
DE1007996B (de) 1955-03-26 1957-05-09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US3275601A (en) 1956-01-04 1966-09-27 Bayer Ag Manufacture of polycarbonates using tertiary amines, quaternary amines and salts thereof as catalysts
US2991273A (en) 1956-07-07 1961-07-04 Bayer Ag Process for manufacture of vacuum moulded parts of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US3148172A (en) 1956-07-19 1964-09-08 Gen Electric Polycarbonates of dihydroxyaryl ethers
US2999846A (en) 1956-11-30 1961-09-12 Schnell Hermann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aromatic sulfoxy polycarbonates
US3062781A (en) 1958-07-02 1962-11-06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carbonates
US2999835A (en) 1959-01-02 1961-09-12 Gen Electric Resinous mixture comprising organo-polysiloxane and polymer of a carbonate of a dihydric phenol,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GB1122003A (en) 1964-10-07 1968-07-31 Gen Electric Improvements in aromatic polycarbonates
FR1580834A (ko) 1968-01-04 1969-09-12
DE2063052A1 (de) 1970-12-22 1972-07-13 Bayer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DE2063050C3 (de) 1970-12-22 1983-12-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211956A1 (de) 1972-03-11 1973-10-2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seifungsstabiler blockcopolycarbonate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US7101644B2 (en) * 2000-06-23 2006-09-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Hologram transfer foil
KR100876482B1 (ko) * 2000-10-17 2008-12-31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반투명 및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열가소성 수지합금 및 그제조방법
WO2002074532A1 (fr) * 2001-03-15 2002-09-26 Mitsui Chemicals Inc. Corps lamine et dispositif d'affichage utilisant ce corps lamine
US6949599B2 (en) * 2003-08-28 2005-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US7718733B2 (en) * 2004-12-20 2010-05-1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Optically clear polycarbonate polyester compositions
CN100567017C (zh) * 2005-02-21 2009-12-09 大科能树脂有限公司 激光标记用叠层体
JP2010506977A (ja) * 2006-10-12 2010-03-04 サンカラ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マー組成物
US20080103267A1 (en) * 2006-10-31 2008-05-01 General Electric Company Infrared transmissiv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9062196B2 (en) * 2007-09-28 2015-06-2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igh heat polycarbonate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EP2172336A1 (de) * 2008-09-24 2010-04-07 Bayer MaterialScience AG Fälschungssichere Sicherheitsmerkmale in Sicherheits- oder Wertdokumenten
EP2218579A1 (de) * 2009-02-13 2010-08-18 Bayer MaterialScience AG Verbessert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aminierten Schichtverbundes
EP2322356A1 (en) * 2009-11-13 2011-05-18 Gemalto SA Identification document and a method of producing
US8586183B2 (en) * 2011-01-13 2013-11-1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RU2014133802A (ru) * 2012-01-19 2016-03-20 Байер Интеллектчуал Проперти Гмбх Синтетическая плен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ечати с помощью печати сублимационного термопереноса
EP2634208A1 (en) * 2012-02-28 2013-09-04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ow stress and optical quality film for use in opto-electronic devices
US20130313493A1 (en) * 2012-05-24 2013-11-2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KR20140085260A (ko) * 2012-12-27 2014-07-07 제일모직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5216410B (zh) * 2014-07-02 2018-05-22 中国人民银行印制科学技术研究所 一种用于制作安全文件的塑料基材及其制备方法
WO2016085790A1 (en) * 2014-11-25 2016-06-0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Weather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from
US20170362431A1 (en) * 2014-12-01 2017-12-21 Covestro Deutschland Ag Co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rheological and optical properties containing diglycerolesters
KR101795136B1 (ko) * 2015-05-29 2017-11-0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GB2543050A (en) * 2015-10-05 2017-04-12 De La Rue Int Lt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urity sheet and a security sheet
WO2017187428A1 (en) * 2016-04-28 2017-11-0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Laser weldable compositions, articles form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3380563B1 (en) * 2016-05-27 2019-08-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articles form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26757A (zh) 2021-08-06
CN113226757B (zh) 2023-10-24
WO2020114834A1 (de) 2020-06-11
EP3890971A1 (de) 2021-10-13
US20210403661A1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42B1 (ko) 레이저 각인에 대한 개선된 성질을 갖는 신분 증명서용 적층 구조체 및 필름
KR20210099555A (ko)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US9446619B2 (en) Plastic film for printing by 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CA2752100A1 (en)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d layer composite
US11731411B2 (en) Plastic films for ID documents with better lightness of embossed holograms
KR20210101204A (ko) 투명 창을 갖는 id 문서용 높은 불투명도 및 낮은 투명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US11198769B2 (en) Plastic films for ID documents having improved properties for laser engraving and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US9375968B2 (en) Plastic film for printing by 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KR102502624B1 (ko)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CN117642290A (zh) 适合于快速层压的膜结构
CN117677499A (zh) 可用于多层结构的更快层压的特定聚合物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