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624B1 -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 Google Patents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624B1
KR102502624B1 KR1020207015891A KR20207015891A KR102502624B1 KR 102502624 B1 KR102502624 B1 KR 102502624B1 KR 1020207015891 A KR1020207015891 A KR 1020207015891A KR 20207015891 A KR20207015891 A KR 20207015891A KR 102502624 B1 KR102502624 B1 KR 102502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film
component
thermoplastic
film according
layer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303A (ko
Inventor
하인츠 푸들라이너
게오르기오스 치오파라스
클라우스 마이어
키라 플랑켄
슈테판 얀케
크리스토퍼 쿠퍼
Original Assignee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코베스트로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코베스트로 엘엘씨 filed Critical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7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7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공압출된 필름 형태의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의 특정한 실시양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층 구조체, 및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본 발명은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공압출된 필름 형태의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의 특정한 실시양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층 구조체, 및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층 구조체는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층 구조체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원료의 라미네이션을 통한 열가소성 제조 공정으로 인해 특정한 형광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소위 배경(background) 형광은 특히 보안 문서, 특히 식별 문서에 불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형광은 안정화제, 예컨대, 예를 들어 트리페닐포스핀 유도체의 첨가를 통해 최소로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정화제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일부 간섭 형광이 여전히 관찰될 수 있는데, 이는 보안 문서 분야, 특히 식별 문서 분야에서 불리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형광은 UV 활성 보안 특징부의 인쇄 동안에 특히 불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는 인쇄된 이미지의 콘트라스트의 저감을 초래함으로써, 인쇄된 요소, 즉 보안 특징부의 인식성의 저감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형광으로 인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층 구조체는 소위 가장자리 광채를 나타낸다. 이는 가장자리에서의 형광이, 특히 층 화합물의 가장자리에서 관찰 시, 가장자리 표면 상에서의 전반사를 통해 반사되고 투과되어 (광 과이드 또는 광 파이프라고도 함),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자리 광채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층 구조체를 보안 문서 분야, 특히 식별 문서 분야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레이저 조각(laser engraving)을 통해 플라스틱 필름에 각인하는 것이 또한 필름 복합체의 제조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이러한 필름 복합체는 예를 들어 보안 문서, 특히 식별 문서, 예컨대 여권, 통행증, ID 카드 또는 신용 카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레이저 조각에 의한 카드의 흑백 개인화(personalisation), 예컨대 흑백 사진과 같은 이미지 또는 문자의 적용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레이저 조각에 의한 개인화는 일반적으로 특히 위조에 대한 높은 보안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텍스트) 이미지가 카드 내부에 형성되므로, (텍스트) 이미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로만 만들어진 카드의 경우에, 레이저 층에 도달하기 위해 카드를 그의 개별적인 층으로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매우 낮은 배경 형광을 가지면서 그로 인해 필름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쳐지지 않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기재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이 요구되었다. 또한 부정적인 영향 없이 레이저 조각을 통해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을 인쇄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낮은 형광을 갖고, 즉 254 nm 내지 365 nm의 UV 파장 범위 내에서 여기 시 400 내지 800 nm 파장 범위에서의 낮은 방사선을 갖고, 보안 문서, 특히 식별 문서의 제조에 적합하며,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쳐지지 않게 하면서도 여전히 레이저 조각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층이 적어도 하나의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비-제1철(non-ferrous) 금속 군의 금속을 제외한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및/또는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고 낮은 형광, 즉 낮은 UV 활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이며,
상기 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
a1)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a2) 가용성 안료의 군으로부터의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a3)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가용성 안료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a4)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CI 분류에 따른 솔벤트 오렌지(Solvent Orange) 60, 솔벤트 레드(Solvent Red) 52, 솔벤트 그린(Solvent Green) 3 및/또는 솔벤트 블루(Solvent Blue) 97의 안료 혼합물,
성분 b)
b1) 비-제1철 금속 군의 금속을 제외한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b2) 스칸듐, 이트륨,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탄탈럼, 크로뮴, 텅스텐,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 니켈, 철, 코발트,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아연, 카드뮴, 주석, 납, 백금,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텅스텐, 철, 니켈, 티타늄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및/또는
성분 c)
c1) 220 nm 내지 400 n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40 nm 내지 390 nm의 범위 내에서 흡수 효과를 갖는 UV 흡수제, 바람직하게는 c2)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놀,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트리아진,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벤조트리아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
개별적인 성분 a) 내지 c)는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하기 정량 범위로 플라스틱 필름에 함유될 수 있고, 여기서 모든 정량 정보는 전체 필름에 대한 것이다:
0.001 내지 0.01 wt%,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008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5 내지 0.006 wt%의 양의 성분 a),
≥ 0.002 wt% 내지 ≤ 0.03 wt%, 바람직하게는 ≥ 0.004 wt% 내지 ≤ 0.02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 0.0045 wt% 내지 ≤ 0.015 wt%의 양의 성분 b),
및/또는
0.20 wt% 내지 0.80 wt%, 바람직하게는 0.25 wt% 내지 0.7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wt% 내지 0.70 wt%의 양의 성분 c).
용어 플라스틱 필름 및 필름은 본 발명의 일부로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개별적인 성분은 이제 하기에 더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성분 a)
원칙적으로 모든 가능한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a1)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함유될 수 있다. 가용성 안료의 군으로부터의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a2)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보안 문서, 특히 식별 문서의 분야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필름은 가능하다면 무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한 실시양태에서,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가용성 안료 혼합물 (a3)이 성분 a)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 내에서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CI 분류에 따른 솔벤트 오렌지 60, 솔벤트 레드 52, 솔벤트 그린 3 및/또는 솔벤트 블루 97의 가용성 안료 혼합물 (a4)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사용되는 성분 a)의 양은 0.001 내지 0.01 wt%, 바람직하게는 0.002 내지 0.008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5 내지 0.006 wt%의 범위 내에 있고, 여기서 이러한 정량 정보는 전체 필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가용성 안료는 예를 들어 란세스 도이치란트 아게(Lanxess Deutschland AG)로부터 상품명 마크로렉스(Macrolex)™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가용성 안료는 영국염색채색협회(British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및 미국섬유화학채색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 Chemists and Colorists)에 의해 공표된 색지수 (CI)에 따라 그렇게 분류된 것들이다.
성분 b)
비-제1철 금속 군의 금속을 제외한, 원칙적으로 모든 금속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b1)이 성분 b)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바람직하게는 스칸듐, 이트륨,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탄탈럼, 크로뮴, 텅스텐,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 니켈, 철, 코발트,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아연, 카드뮴, 주석, 납, 백금,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b2), 보다 바람직하게는 텅스텐, 철, 니켈, 티타늄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b3)이다. 성분 b)는 ≥ 0.002 wt% 내지 ≤ 0.03 wt%, 바람직하게는 ≥ 0.004 wt% 내지 ≤ 0.02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 0.045 wt% 내지 ≤ 0.015 wt%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함유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정보는 전체 필름에 대한 것이다.
한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성분 b)는 ≥ 0.05 μm 내지 ≤ 50 μm, 바람직하게는 ≥ 0.1 μm 내지 ≤ 4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 0.5 μm 내지 ≤ 30 μ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성분 c)
원칙적으로, 220 내지 400 n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40 nm 내지 390 nm의 범위 내에서 탁월한 흡수 효과를 갖는 모든 UV 흡수제 (c1)가 성분 c)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놀,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벤조트리아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진 및/또는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트리아진 부류의 발색단은 예를 들어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또는 비페닐 치환된 트리아진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상품명 티누빈(Tinuvin)TM 또는 호스타빈(Hostavin)TM B-CAP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류의 발색단은 예를 들어 디페닐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것들은 상품명 우비눌(Uvinul)TM 3030 또는 우비눌TM 3035로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성분 c)는 0.20 wt% 내지 0.80 wt%, 바람직하게는 0.25 wt% 내지 0.7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wt% 내지 0.70 wt%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함유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정보는 전체 필름에 대한 것이다.
성분 a) 내지 c)는 그 자체로 또는 그것들의 혼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에 함유될 수 있다. 성분 a) 내지 c)의 혼합물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에 함유되는 경우에, 개별적인 성분 a) 내지 c)의 정량 정보는 상기 언급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1), b1) 및/또는 c1)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1), b2) 및/또는 c2)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1), b3) 및/또는 c3)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2), b1) 및/또는 c1)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2), b2) 및/또는 c2)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2), b3) 및/또는 c3)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3), b1) 및/또는 c1)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3), b2) 및/또는 c2)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3), b3) 및/또는 c3)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4), b1) 및/또는 c1)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4), b2) 및/또는 c2)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a4), b3) 및/또는 c3)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및 성분 a1), 바람직하게는 a2), 보다 바람직하게는 a3), 가장 바람직하게는 a4) 및/또는 b1), 바람직하게는 b2),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1), 및 성분 a1) 및/또는 b1)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1), 및 성분 a2) 및/또는 b2)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1), 및 성분 a3) 및/또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1), 및 성분 a4) 및/또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2), 및 성분 a1) 및/또는 b1)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2), 및 성분 a2) 및/또는 b2)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2), 및 성분 a3) 및/또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2), 및 성분 a4) 및/또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3), 및 성분 a1) 및/또는 b1)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3), 및 성분 a2) 및/또는 b2)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3), 및 성분 a3) 및/또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적어도 성분 c3), 및 성분 a4) 및/또는 b3)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레이저 조각에 의한 플라스틱 필름의 각인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및 또한 이하에서 줄여서 레이저 각인이라고 지칭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표현 "레이저-각인된"은 레이저 조각에 의해 각인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레이저 조각 공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레이저 인쇄에 의한 인쇄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그것은 또한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적합한 레이저-감수성 첨가제는, 예를 들어, 소위 레이저 마킹 첨가제, 즉 사용될 레이저의 파장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ND:YAG 레이저 (네오디뮴-도핑된 이트륨-알루미늄-가넷 레이저)의 파장 범위에서의 흡수제를 포함하는 첨가제이다. 이러한 레이저 마킹 첨가제 및 성형 조성물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는, 예를 들어, WO-A 2004/50766 및 WO-A 2004/50767에 기술되어 있고 DSM에 의해 상품명 미캅스(Micabs)TM으로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레이저-감수성 첨가제로서 적합한 추가의 흡수제는, 예를 들어, WO-A 2006/042714에 기술된 바와 같은 카본 블랙 및 인-함유 주석/구리 혼합 산화물이다.
어두운 부분을 밝은 배경에 레이저 조각함으로써 각인하기 위해 레이저-감수성 첨가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특히 바람직한 레이저-감수성 첨가제는 흑색 안료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레이저-감수성 첨가제는 카본 블랙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또한 레이저 조각에 의해 각인되는 경우에, 카본 블랙의 존재가 특히 유리하다. 여기서 카본 블랙은 첫째로 레이저-감수성 첨가제로서 작용하여 레이저 조각에 의한 각인을 가능하게 하며, 카본 블랙의 존재는 둘째로 필름의 형광 저감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은 ≥ 0.0001 wt% 내지 ≤ 0.015 wt%, 바람직하게는 ≥ 0.0002 wt% 내지 ≤ 0.0125 wt%의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정보는 전체 필름의 총량에 대한 것이다.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은 ≥ 0.05 μm 내지 ≤ 50 μm, 바람직하게는 ≥ 0.1 μm 내지 ≤ 45 μ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층 두께는 20 μm 내지 375 μm, 바람직하게는 30 μm 내지 25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200 μm일 수 있다.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흑색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은 성분 a), b) 및/또는 c)를 포함하는,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에 함유될 수 있고/거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추가의 부가적인 층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은 성분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성분 a), b) 및/또는 c)는 특정 정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고, 여기서 바람직한 범위 및 실시양태는 상기에 이미 언급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카본 블랙 및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카본 블랙 및 적어도 하나의 성분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b1), 바람직하게는 b2),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및/또는 a1), 바람직하게는 a2), 보다 바람직하게는 a3), 가장 바람직하게는 a4)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및 적어도 하나의 성분 b1), 바람직하게는 b2),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및/또는 a1), 바람직하게는 a2), 보다 바람직하게는 a3), 가장 바람직하게는 a4)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카본 블랙 및 적어도 하나의 성분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성분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및 적어도 하나의 성분 b1), 바람직하게는 b2),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및/또는 a1), 바람직하게는 a2), 보다 바람직하게는 a3), 가장 바람직하게는 a4)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카본 블랙 및 적어도 하나의 성분 c1), 바람직하게는 c2),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및 적어도 하나의 성분 b1), 바람직하게는 b2),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및/또는 a1), 바람직하게는 a2), 보다 바람직하게는 a3), 가장 바람직하게는 a4)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상기에 이미 언급된 성분 a) 내지 c)에 대한 정량 정보가 또한 사용되어야 한다.
레이저-감수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추가의 층은 5 내지 100 μ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μm의 층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총 층 두께는 20 μm 내지 375 μm, 바람직하게는 30 μm 내지 250 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200 μm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 및/또는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축합 생성물 및/또는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부가 생성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일 수 있다. 일부 용도의 경우에, 투명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상응하게 바람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추가의 층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에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추가의 층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스티렌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티렌 (PS) 또는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SA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유형 또는 시클릭 올레핀을 기재로 하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토파스(TOPAS)TM, 훽스트(Hoechst)), 테레프탈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 또는 코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CoPET), 글리콜-개질된 PET (PETG),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CTG) 또는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또는 CoPBT),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프탈레이트 (PEN), 적어도 하나의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들),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폴리시클로헥산디메탄올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PCCD), 폴리술폰 (PSU), 또는 상기 언급된 것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블렌드이다.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테레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의 적어도 하나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을 함유하는 블렌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5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8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40,000의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그것과, 10,000 내지 200,000, 바람직하게는 26,000 내지 120,000의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의 블렌드가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가 테레프탈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로서 적합하다. 적합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와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아르지방족 디올의 반응 생성물 및 이러한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2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Kunststoff-Handbuch, Vol. VIII, p. 695 ff, Karl-Hanser-Verlag, Munich 1973).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준으로 적어도 80 mol%, 바람직하게는 90 mol%의 테레프탈산 라디칼, 및 디올 성분을 기준으로 적어도 80 m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mol%의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1,4-부탄디올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라디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라디칼 외에도, 최대 20 mol%의, 8 내지 1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4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라디칼, 예를 들어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에틸렌 및 1,4-부탄디올 글리콜 라디칼 외에도,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최대 80 mol%의, 3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3-메틸-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및 2-에틸-1,6-헥산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5-헥산디올, 1,4-디-([베타]-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3-[베타]-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DE-OS 24 07 674, 24 07 776, 27 15 932를 참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OS 19 00 270 및 US-PS 3 692 744에 기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소량의 3가 또는 4가 알콜 또는 3염기성 또는 4염기성 카르복실산을 혼입시킴으로써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및 -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다.
바람직하게는, 산 성분을 기준으로 1 mol% 이하의 분지화제가 사용된다.
오로지 테레프탈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1,4-부탄디올 및/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라디칼로부터만 제조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러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또한 상기 언급된 산 성분 중 적어도 둘 및/또는 상기 언급된 알콜 성분 중 적어도 둘로부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이며,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1,4-부탄디올) 테레프탈레이트이다.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 (1:1 중량부)에서 측정 시, 약 0.4 내지 1.5 dl/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 dl/g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테레프탈산의 적어도 하나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의 블렌드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이러한 블렌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 wt%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99 내지 10 wt%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 wt%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99 내지 10 wt%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블렌드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양의 합은 100 wt%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이러한 블렌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 wt%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80 내지 15 wt%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 wt%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80 내지 15 wt%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블렌드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양의 합은 100 wt%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이러한 블렌드는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 wt%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65 내지 20 wt%의 폴리- 또는 코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 또는 코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80 wt%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65 내지 20 wt%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블렌드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양의 합은 100 wt%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블렌드는 상기 언급된 조성의 폴리카르보네이트와 글리콜-개질된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합한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특히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디페놀, 탄산 유도체, 임의로 사슬 종결제 및 임의로 분지화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약 40년에 걸쳐 많은 특허 명세서에 기록되어 왔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단지 문헌(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ume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문헌(D. Freitag, U. Grigo, P. R. Mueller, H.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ume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끝으로 문헌(Dres. U. Grigo, K. Kirchner and P. 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만이 참조된다.
적합한 디페놀은,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일 수 있다:
HO-Z-OH (I)
상기 식에서, Z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핵을 함유할 수 있는 6 내지 3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라디칼, 및 가교 요소로서의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또는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원자이다.
적합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의 예는 디히드록시벤젠,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아릴,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피드,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1,1'-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그의 고리 상에서 알킬화되고 할로겐화된 화합물이다.
이러한 및 추가의 적합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DE-A 3 832 396, FR-A 1 561 518, 문헌(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 p. 28 ff; p.102 ff) 및 문헌(D.G. Legrand, J.T. Bendler, Handbook of Polycarbonate Science and Technology, Marcel Dekker New York 2000, p. 72 ff)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레조르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1-나프틸)-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2-나프틸)-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4-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2-(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1,1'-비스-(4-히드록시페닐)-3-디이소프로필-벤젠, 1,1'-비스-(4-히드록시페닐)-4-디이소프로필-벤젠, 1,3-비스-[2-(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비스-(4-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 술피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및 2,2',3,3'-테트라히드로-3,3,3',3'-테트라메틸-1,1'-스피로비-[1H-인덴]-5,5'-디올 또는 화학식 (Ia)의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이다.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로민, C1-C8-알킬, C5-C6-시클로알킬, C6-C10-아릴, 바람직하게는 페닐, 및 C7-C12-아르알킬, 바람직하게는 페닐-C1-C4-알킬, 특히 벤질을 나타내고,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나타내고,
R3 및 R4는 각각의 X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을 나타내고,
X는 탄소를 나타내고,
단 적어도 하나의 원자 X 상에서 R3 R4는 동시에 알킬을 나타낸다. 화학식 (Ia)에서, R3 R4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원자(들) X, 특히 단지 하나의 원자 X 상에서 동시에 알킬이다.
화학식 (Ia)에서 라디칼 R3 R4을 위한 바람직한 알킬 라디칼은 메틸이다. 디페닐-치환된 탄소 원자 (C-1)에 대해 알파-위치에 있는 X 원자는 바람직하게는 디알킬-치환되지 않지만, C-1에 대해 베타-위치에서의 알킬 이치환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a)의 특히 바람직한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은 시클로지방족 라디칼에 5 및 6 개의 고리 탄소 원자 X를 갖는 것들 (화학식 (Ia)에서 m = 4 또는 5), 예를 들어 화학식 (Ia-1) 내지 (Ia-3)의 디페놀이다.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2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3
화학식 (Ia)의 가장 특히 바람직한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은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R1 R2가 H인 화학식 (Ia-1))이다.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EP-A 359 953에 따른 화학식 (Ia)의 디히드록시디페닐시클로알칸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레조르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1-(1-나프틸)-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1-(2-나프틸)-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디이소프로필-벤젠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4-디이소프로필-벤젠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형성의 경우에 하나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형성의 경우에 다양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둘 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형성의 경우에 화학식 (I) 또는 (Ia)의 하나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형성의 경우에 화학식 (I) 및/또는 (Ia)의 복수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둘 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이 무작위적으로 및 블록 단위 둘 다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화학식 (I) 및 (Ia)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에, 화학식 (Ia)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 대 임의로 사용되는 화학식 (I)의 다른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99 mol%의 (Ia) 대 1 mol%의 (I) 내지 2 mol%의 (Ia) 대 98 mol%의 (I), 바람직하게는 99 mol%의 (Ia) 대 1 mol%의 (I) 내지 10 mol%의 (Ia) 대 90 mol%의 (I), 특히 99 mol%의 (Ia) 대 1 mol%의 (I) 내지 30 mol%의 (Ia) 대 70 mol%의 (I)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화학식 (Ia) 및 (I)의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탄산 유도체는, 예를 들어, 화학식 (II)의 디아릴 카르보네이트일 수 있다: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4
상기 식에서,
R, R' 및 R"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내고, R은 추가로 또한 -COO-R"'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R"'은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디아릴 카르보네이트는,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메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및 디-(메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에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에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n-프로필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n-프로필페닐) 카르보네이트, 4-이소프로필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이소프로필페닐) 카르보네이트, 4-n-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n-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이소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이소-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tert-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tert-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n-펜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n-펜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n-헥실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n-헥실페닐) 카르보네이트, 4-이소옥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이소옥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n-노닐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n-노닐페닐) 카르보네이트, 4-시클로헥실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시클로헥실페닐) 카르보네이트, 4-(1-메틸-1-페닐에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1-메틸-1-페닐에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비페닐-4-일-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비페닐-4-일) 카르보네이트, 4-(1-나프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4-(2-나프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1-나프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2-나프틸)페닐] 카르보네이트, 4-페녹시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페녹시페닐) 카르보네이트, 3-펜타데실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3-펜타데실페닐) 카르보네이트, 4-트리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트리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메틸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메틸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에틸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에틸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n-프로필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n-프로필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이소프로필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n-부틸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n-부틸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이소부틸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이소-부틸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tert-부틸살리실레이트-페닐 카르보네이트, 디-(tert-부틸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디-(페닐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및 디-(벤질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아릴 화합물은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4-tert-부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tert-부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비페닐-4-일-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비페닐-4-일) 카르보네이트, 4-(1-메틸-1-페닐에틸)-페닐-페닐 카르보네이트, 디-[4-(1-메틸-1-페닐에틸)-페닐] 카르보네이트 및 디-(메틸살리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이다.
디페닐 카르보네이트가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하나의 디아릴 카르보네이트 및 다양한 디아릴 카르보네이트 둘 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말단 기를 제어 또는 개질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사슬 종결제로서, 예를 들어, 사용된 디아릴 카르보네이트(들)의 제조에 이용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모노히드록시아릴 화합물(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화학식 (III)의 것들일 수 있다.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5
상기 식에서,
RA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C6-C34-아릴 또는 -COO-RD를 나타내고, 여기서 RD는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내고,
RB, RC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34-알킬, C7-C34-알킬아릴 또는 C6-C34-아릴을 나타낸다.
이러한 모노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1-, 2- 또는 3-메틸페놀, 2,4-디메틸페놀, 4-에틸페놀, 4-n-프로필페놀, 4-이소프로필페놀, 4-n-부틸페놀, 4-이소부틸페놀, 4-tert-부틸페놀, 4-n-펜틸페놀, 4-n-헥실페놀, 4-이소옥틸페놀, 4-n-노닐페놀, 3-펜타데실페놀, 4-시클로헥실페놀, 4-(1-메틸-1-페닐에틸)-페놀, 4-페닐페놀, 4-페녹시페놀, 4-(1-나프틸)-페놀, 4-(2-나프틸)-페놀, 4-트리틸페놀, 메틸 살리실레이트, 에틸 살리실레이트, n-프로필 살리실레이트, 이소프로필 살리실레이트, n-부틸 살리실레이트, 이소부틸 살리실레이트, tert-부틸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이다. 4-tert-부틸페놀, 4-이소옥틸페놀 및 3-펜타데실페놀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분지화제는 세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세 개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것들일 수 있다.
세 개 이상의 페놀계 히드록실 기를 갖는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및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이다.
세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른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트리클로라이드), 시아누르산 트리클로라이드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및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착색 안료 및/또는 충전된 층의 반투명성을 유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충전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타늄, 이산화지르코늄 또는 황산바륨,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이산화티타늄이다. 충전제는 부가적으로, a), b) 및/또는 c)를 포함할 수 있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에 존재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추가의 층에 함유될 수 있다.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며, 여기서 이러한 층은 명백히 화합물 a), b) 및/또는 c)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층에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충전제를 충전하면, 포함된 각인 또는 이미지(들)의 가시성이 개선되며, 그 결과 개선된 선예도 및 해상도 인식이 또한 추가로 증진된다.
언급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의 성형 전에, 충전제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45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wt%의 양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그것은 단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이 적어도 두 개의 층을 함유하는 경우에, 그것은 예를 들어 중합체 용액의 코팅,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층의 공압출, 존재하는 층의 라미네이션,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 즉 예비제작된 층 상에의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a), b) 및/또는 c)를 함유하는 층(들)의 압출 코팅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공압출 및 압출 코팅이 적어도 2층의 필름의 제조에 바람직하다. 공압출에 의한 제조가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압출에 의해 제조된 이러한 필름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며,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함유하는 압출된 필름을 제공하며, 상기 층은 적어도 하나의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분 a)
a1)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a2) 가용성 안료의 군으로부터의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a3)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가용성 안료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a4)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CI 분류에 따른 솔벤트 오렌지 60, 솔벤트 레드 52, 솔벤트 그린 3 및/또는 솔벤트 블루 97의 안료 혼합물,
성분 b)
b1) 비-제1철 금속 군의 금속을 제외한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b2) 스칸듐, 이트륨,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탄탈럼, 크로뮴, 텅스텐,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 니켈, 철, 코발트,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아연, 카드뮴, 주석, 납, 백금,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b3) 텅스텐, 철, 니켈, 티타늄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및/또는 성분 c)
c1) 200 nm 내지 400 n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240 nm 내지 390 nm의 범위 내에서 흡수 효과를 갖는 UV 흡수제, 바람직하게는 c2)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놀,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c3) 트리아진,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벤조트리아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
이미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범위가 압출 필름의 경우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추가의 실시양태는 a), b) 및/또는 c)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 및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의 공압출된 필름이다. 추가의 층은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고, 또한 a), b) 및/또는 c)를 함유할 수 있다.
언급된 층 두께, 구성성분 및 바람직한 범위를 포함하여, 상기에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과 관련하여 주어진 언급은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된 필름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및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된 필름은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투명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 및 따라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된 필름은 또한, 레이저 조각에 의해 각인될 수 있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의 성분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공압출 필름은 그것이 매우 낮은 UV 활성을 가지므로 필름의 보안 요소뿐만 아니라 공압출 필름 내로의 광범위한 삽입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이저 조각의 질 및 플라스틱 필름 또는 공압출 필름의 투명성은 또한 불리한 방식으로 영향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카드, 예를 들어 신분증, 여권, 운전면허증, 신용 카드, 은행 카드, 출입 통제용 카드 또는 다른 식별 문서 등의 형태의 결합 또는 라미네이팅된 복합체 형태의 식별 문서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바람직한 식별 문서는 보안 특징부, 예컨대 칩, 사진, 생체측정 데이터 등을 갖는 다층 시트형 문서이다. 이러한 보안 특징부는 외부로부터 가시성일 수 있거나 적어도 식별 가능하다. 이러한 식별 문서는 바람직하게는 은행 카드의 크기와 여권의 크기 사이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식별 문서는 또한 여러 부분을 갖는 문서의 일부, 예컨대, 예를 들어 또한 종이 또는 카드로 만들어진 부분을 함유하는 여권 내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식별 문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 및/또는 공압출 필름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는 예를 들어 추가의 정보가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해 주는 부가적인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정보는, 예를 들어, 임의의 유전자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식별 문서에 동일한 형태로 함유된, 예를 들어, 개인화 초상 또는 비-개인화 일반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층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인쇄 공정, 바람직하게는 잉크-젯 또는 레이저 인쇄, 보다 바람직하게는 잉크-젯 인쇄에 의해 정보가 미리 제공된 필름으로부터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에 포함될 수 있다.
잉크-젯 인쇄 공정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필름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상기에 기술된 충전제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함유하는 상기에 기술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이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등과 같은 충전제를 사용한 반투명 또는 백색 색상의 플라스틱 필름이 인쇄된 정보의 더 우수한 가시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인쇄에 의해, 특히 컬러 레이저 인쇄에 의해 인쇄되는 필름의 경우에, 107 내지 1013 Ω,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012 Ω의 비표면저항을 갖는 상기 언급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이 특히 적합하다. Ω 단위의 비표면저항은 DIN IEC 93에 따라 결정된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비표면저항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플루오린화된 또는 과플루오린화된 유기 산의 3급 또는 4급, 바람직하게는 4급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염,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플루오린화된 또는 과플루오린화된 알킬술폰산의,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알킬술폰산의 4급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로부터 선택된 첨가제가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첨가된 것인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4급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염은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펜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펜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헥실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헥실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트리메틸네오펜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트리메틸네오펜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디메틸디네오펜틸암모늄 염,
-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디메틸디네오펜틸암모늄 염,
- N-메틸-트리프로필암모늄 퍼플루오로부틸술포네이트,
- N-에틸-트리프로필암모늄 퍼플루오로부틸술포네이트,
-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플루오로부틸술포네이트,
- 디이소프로필디메틸암모늄 퍼플루오로부틸술포네이트,
- 디이소프로필디메틸암모늄 퍼플루오로옥틸술포네이트,
- N-메틸-트리부틸암모늄 퍼플루오로옥틸술포네이트,
- 시클로헥실디에틸메틸암모늄 퍼플루오로옥틸술포네이트,
- 시클로헥실트리메틸암모늄 퍼플루오로옥틸술포네이트,
및 상응하는 포스포늄 염이다. 암모늄 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4급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염 중 하나 이상, 즉 또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프로필암모늄 염,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부틸암모늄 염,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펜틸암모늄 염,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테트라헥실암모늄 염 및 퍼플루오로옥탄술폰산 디메틸디이소프로필암모늄 염, 및 상응하는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염이 가장 특히 적합하다.
가장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퍼플루오로부탄술폰산 디메틸디이소프로필암모늄 염 (디이소프로필디메틸암모늄 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이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언급된 염은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술폰산의 염은, 예를 들어, 실온에서 동몰량의 유리 술폰산과 히드록시 형태의 상응하는 양이온을 수중에서 배합하고 용액을 농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제조 공정은, 예를 들어, DE-A 1 966 931 및 NL-A 7 802 830에 기술되어 있다.
언급된 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플라스틱 필름의 성형 전에, 0.001 내지 2 wt%,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wt%의 양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는 또한 UV 방사선에 대한 보호, 기계적 손상에 대한 보호, 예를 들어 긁힘-방지 코팅 등을 제공하는 추가의 부가적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는, 예를 들어, 보안 문서의 제조를 위한 다양한 필름으로부터 필름 스택을 형성하고, 라미네이팅하여 복합체를 형성한 후에, 보안 문서, 바람직하게는 식별 문서의 적합한 형태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추가의 층이 임의로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추가의 필름의 접착 결합 및/또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또는 래커 조성물에 의한 코팅에 의해 복합 라미네이트에 적층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마크롤론(Makrolon)TM 3108 550115
300℃ 및 1.2 kg에서 ISO 1133에 따른 6.0 cm3/10min의 MVR을 갖는 무색 고점성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마크롤론TM 3108 000000
300℃ 및 1.2 kg에서 ISO 1133에 따른 6.0 cm3/10min의 MVR을 갖는 자연 색상의 고점성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크로노스(Kronos)TM 2230 (산화티타늄)
크로노스 월드와이드 인크.(Kronos Worldwide Inc.)로부터의 폴리실록산 및 알루미늄 표면-처리된 산화티타늄
마크로렉스TM 바이올렛 B GR, 마크로렉스TM 오렌지 3G, 마크로렉스TM 레드 5B, 마크로렉스TM 그린 5B, 마크로렉스TM 블루 RR
란세스 아게로부터의 가용성 안료
티누빈TM 360
바스프(BASF)로부터의 비-휘발성 벤조트리아졸 UV 흡수제
페놀,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
티누빈TM 1600
최적화된 UV 흡수성을 갖는 비-휘발성 2-히드록시페닐-s-트리아진 UV 흡수제
베이페록스(Bayferrox)TM 303T
란세스로부터의 흑색 산화제1철 분말 (아철산망가니즈)
이퓨마그(iPumag)TM 철 분말
약 890% 철, 17% 크로뮴, 약 1% 망가니즈, 약 1% 알루미늄 및 약 1% 규소 함량을 갖는 아이퓨텍 게엠베하(iPutec GmbH)로부터의 철 금속 분말
텅스텐 분말 99+
> 99%의 순도 및 < 10 μm의 입자 직경을 갖는, 머크(Merck)로부터의 미립 텅스텐 분말
불칸(Vulcan)TM XC 72
95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캐보트(Cabot)로부터의 전도성 카본 블랙
실시예 1: 배합
레이저-각인성 마스터배치의 제조: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한, 레이저-각인성 화합물의 제조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99.994 wt%의 양의,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마크롤론™ 3108 550115 폴리카르보네이트
· 0.006 wt% (60 ppm)의 양의, 95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불칸TM XC 72 (캐보트로부터의 카본 블랙)
실시예 2: 배합
티누빈TM 360 UV 화합물의 제조:
티누빈TM 360 UV 화합물 (과립)의 제조를 275 내지 30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95 wt%의 양의,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마크롤론™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 5 wt%의 양의, 무색 분말로서의 티누빈TM 360
마크롤론TM 3108 그릿 5 kg (평균 입자 직경 약 0.8 mm) 및 티누빈TM 360 5 kg (5 wt%에 해당함)으로 이루어진 10 kg/h 분말 화합물을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 내의 마크롤론TM 3108 000000 90 kg에 175 min-1의 회전 속도에서 50kg/h의 처리량으로 첨가하였다. 물질 온도는 306℃였고 생성된 과립은 깨끗하고 투명하였다.
실시예 3: 배합
티누빈TM 1600 UV 보호 화합물의 제조:
티누빈TM 1600 UV 보호 화합물 (과립)의 제조를 275 내지 300℃의 통상적인 마크롤론TM 3108 000000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95 wt%의 양의,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마크롤론™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 3 wt%의 양의, 무색 분말로서의 바스프 에스이 (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ity Chemicals))로부터의 티누빈TM 1600
마크롤론TM 3108 000000 그릿 (평균 입자 직경 약 0.8 mm) 및 티누빈TM 1600 3 kg (3 wt%에 해당함)으로 이루어진 15 kg/h 분말 화합물을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 내의 마크롤론TM 3108 000000 85 kg에 190 min-1의 회전 속도에서 50kg/h의 처리량으로 첨가하였다. 물질 온도는 278℃였고 생성된 과립은 깨끗하고 투명하였다.
실시예 4: 배합
백색 마스터배치의 제조
백색으로 착색된 화합물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압출을 통해 제조하였다:
· 85 wt%의 양의,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마크롤론™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 15 wt%의 양의 이산화티타늄 (크로노스 인크.(Kronos Inc.)로부터의 크로노스TM 2230).
실시예 5: 배합
회색-색상의 마스터배치의 제조: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95.0 wt% 마크롤론™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 하기로 이루어진 5 wt%의 분말 혼합물
o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분쇄된, 4.374 wt% 마크롤론TM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o 0.226 wt% 마크로렉스TM 오렌지 3G
o 0.181 wt% 마크로렉스TM 레드 5B
o 0.121 wt% 마크로렉스TM 그린 5B
o 0.098 wt% 마크로렉스TM 블루 RR
마크롤론TM 3108 그릿 4.374 kg (과립을 분쇄함으로써 수득한 것) (ISO 13320-1 (레이저 회절 방법)에 따라 측정된 평균 입자 직경 약 0.8 mm) 및 4 마크로렉스TM 안료의 혼합물 0.626 kg으로 이루어진 5 kg/h 분말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 내의 마크롤론TM 3108 000000 95 kg에 175 min-1의 회전 속도에서 첨가하였다. 물질 온도는 306℃였고 생성된 과립은 흑색이었다.
실시예 6: 배합
흑색 산화제1철 마스터배치의 제조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95.0 wt% 마크롤론™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 하기로 이루어진 5 wt%의 분말 혼합물
o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분쇄된, 4.95 wt% 마크롤론TM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o 0.05 wt% 베이페록스TM 303T
마크롤론TM 3108 그릿 4.95 kg (과립을 분쇄함으로써 수득한 것) (ISO 13320-1 (레이저 회절 방법)에 따라 측정된 평균 입자 직경 약 0.8 mm) 및 흑색 산화제1철 0.05 kg으로 이루어진 5 kg/h 분말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 내의 마크롤론TM 3108 000000 95 kg에 175 min-1의 회전 속도에서 첨가하였다. 물질 온도는 306℃였고 생성된 과립은 흑색이었다.
실시예 7: 배합
텅스텐 금속 분말 마스터배치의 제조: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95.0 wt% 마크롤론TM 3108 550115 폴리카르보네이트
· 하기로 이루어진 5 wt%의 분말 혼합물
o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분쇄된, 4.95 wt% 마크롤론TM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o 0.05 wt% 미세한 텅스텐 분말 99+
마크롤론TM 3108 그릿 4.95 kg (과립을 분쇄함으로써 수득한 것) (ISO 13320-1 (레이저 회절 방법)에 따라 측정된 평균 입자 직경 약 0.8 mm) 및 미세한 텅스텐 분말 99+ 0.05 kg으로 이루어진 5 kg/h 분말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 내의 마크롤론TM 3108 000000 95 kg에 175 min-1의 회전 속도에서 첨가하였다. 물질 온도는 305℃였고 생성된 과립은 흑색이었다.
실시예 8: 배합
철 금속 분말 마스터배치의 제조:
마스터배치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95.0 wt% 마크롤론TM 폴리카르보네이트 3108 550115
· 하기로 이루어진 5 wt%의 분말 혼합물
o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분쇄된, 4.95 wt% 마크롤론TM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o 0.05 wt% 이퓨마그TM 철 분말
마크롤론TM 3108 그릿 4.95 kg (과립을 분쇄함으로써 수득한 것) (ISO 13320-1 (레이저 회절 방법)에 따라 측정된 평균 입자 직경 약 0.8 mm) 및 이퓨마그TM 철 분말 0.05 kg으로 이루어진 5 kg/h 분말 혼합물을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ZSK 32) 내의 마크롤론TM 3108 000000 95 kg에 175 min-1의 회전 속도에서 첨가하였다. 물질 온도는 307℃였고 생성된 과립은 흑색이었다.
실시예 9: 배합
방진 마스터배치의 제조:
백색으로 착색된 화합물의 제조를 250 내지 330℃의 통상적인 폴리카르보네이트 가공 온도에서 통상적인 트윈-스크류 배합 압출기 (예를 들어 ZSK 32)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하기 조성을 갖는 마스터배치를 압출을 통해 제조하였다:
· 98 wt%의 양의,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마크롤론™ 3108 000000 폴리카르보네이트
· 2 wt%의 양의, 무색 분말로서의 디이소프로필 디메틸암모늄 퍼플루오로부틸술포네이트
실시예 10: 필름 제조
공압출된 필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 및 장치는
- 60 mm의 직경 (D) 및 33xD의 길이의 스크류가 장착된 압출기. 스크류는 탈기 구역을 가짐;
- 임의로, 공압출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25D의 길이 및 35 mm의 직경의 스크류를 갖는, 피복층을 적층하기 위한 공압출기;
- 제련 펌프;
- 크로스헤드 다이;
- 450 mm 너비의 특수 공압출 피쉬테일(fishtail) 노즐;
- 수평 실린더 배열을 갖는 3-실린더 연마 스택이며 세 번째 실린더가 수평선에 대해 +/- 45°만큼 회전 가능한 것;
- 롤러 트랙;
- 두께 측정기;
- 보호 필름의 양면 적층을 위한 수단;
- 제거 수단;
- 되감기 스테이션
을 포함한다.
관련된 과립을 압출기의 충전 깔때기에 공급하였다. 물질의 제련 및 운반을 압출기의 가소화 시스템 실린더/스크류에서 수행하였다. 제련된 물질을, 표 1에 열거된 온도를 갖는 실린더를 갖는 연마 스택에 공급하였다. 필름의 최종 성형 및 냉각을 연마 스택 (세 개의 실린더로 이루어짐)에서 수행하였다. 임의로 고무 실린더 (표면의 4x), 연마된 크롬 실린더 (1x 표면) 또는 구조화된 강철 실린더 (2x 및 6x 표면)를 필름 표면의 구조화를 위해 사용하였다. 필름 표면의 구조화에 사용된 고무 실린더는 나우타 롤 코포레이션(Nauta Roll Corporation)사의 US-4 368 240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공정 파라미터가 선택되었다.
<표 1>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6
단층 및 이층 필름을 예시된 공정에 따라 압출하였다:
<표 2> 단층 필름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7
M. = 마크롤론™ 3108 550115; Ex. = 실시예
<표 3> 이층 공압출 필름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8
M. = 마크롤론™ 3108 550115; Comp. = 비교 실시예; Ex. = 실시예
실시예 11: 형광 측정을 위한 라미네이트의 제조
하기 필름의 라미네이트를 형광 측정을 위해 압축하였다.
백색 충전된 필름:
실시예 4의 화합물 (코베스트로 도이치란트 아게로부터의 마크롤론™ 3108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산화티타늄 (크로노스 티탄으로부터의 크로노스® 2230))을 기재로 하는 두께 100 μm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약 280℃의 물질 온도에서 압출을 통해 85 wt% 마크롤론™ 3108 및 15 wt% 산화티타늄의 조성을 갖는 백색 안료 충전제로서 제조하였다.
검사할 필름 층 여러 개를 상기 언급된 백색 충전된 필름 층 2개 (총 기본 층 두께 200 μm) 상에 총 300 μm의 투명 층과 합쳐서 라미네이팅함으로써 500 μm 두께의 라미네이트를 형성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 상기 언급된 순서로 된 스택을 필름으로부터 형성하였고 라미네이션을 하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뷔클(Buerkle)로부터의 라미네이션 프레스 상에서 수행하였다:
- 프레스를 170-180℃로 예열함
- 15 N/cm2의 압력에서 8분 동안 누름
- 200 N/cm2의 압력에서 2분 동안 누름
- 프레스를 38℃로 냉각시키고 프레스를 개방함.
실시예 12: 가장자리 광채의 강도의 측정을 위한 라미네이트의 제조
연구할 필름의 층 여러 개를 합침으로써 총 두께 800 μm의 투명 라미네이트를 라미네이팅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 상기 언급된 순서로 된 스택을 필름으로부터 형성하고 라미네이션을 하기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뷔클로부터의 라미네이션 프레스 상에서 수행하였다:
- 프레스를 170-180℃로 예열함
- 15 N/cm2의 압력에서 8분 동안 누름
- 200 N/cm2의 압력에서 2분 동안 누름
- 프레스를 38℃로 냉각시키고 프레스를 개방함.
실시예 13: 형광 측정
실시예 11로부터의 라미네이트 11-1) 내지 11-14)의 형광을 반사 시 퍼킨 엘머(Perkin Elmer)로부터의 LS 55 유형의 형광 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여기 파장 365 nm.
<표 4> 단층 필름의 형광 측정
Figure 112020056974849-pct00009
M. = 마크롤론™ 3108 550115; Ex. = 실시예
<표 5> 이층 공압출 필름의 형광 측정
Figure 112020056974849-pct00010
M. = 마크롤론™ 3108 550115; Ex. = 실시예
실시예 14 : 광 밀도 측정에 의한 가장자리 광채의 강도의 결정
실시예 12로부터의 800 μm 두께의 라미네이트 세 개를 엑스-라이트(X-Rite)로부터의 블랙 라이트 챔버에서 삼각대를 사용하여 쌓고 조립하였다. 이어서 3x 라미네이트 스택의 가장자리의 광 밀도를 미놀타(Minolta)로부터의 광 밀도 카메라 "미놀타 LS 100"을 사용하여 핀홀 개구를 통해 측정하였다. 각각 총 5회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입자-함유 필름
<표 6> 단층-필름의 가장자리 광채 측정
Figure 112020056974849-pct00011
M. = 마크롤론™ 3108 550115; Ex. = 실시예
<표 7> 공압출 필름의 가장자리 광채 측정
Figure 112020056974849-pct00012
M. = 마크롤론™ 3108 550115; Ex. = 실시예
상기 실시예는 철 또는 텅스텐 금속 분말 또는 흑색 산화제1철의 혼합에 의해 형광 (표 4 및 5)이 저감되었음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UV 흡수제의 혼합에 의해 필름의 형광은 매우 명확하게 저감되었다.
필름의 가장자리 광채 (표 6 및 7)는 UV 흡수제뿐만 아니라 제1철 또는 텅스텐 금속 분말 또는 산화제1철의 혼합에 의해 매우 명확하게 저감되었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필름이며,
    상기 층은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성분 a)
    a3)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가용성 안료 혼합물,
    성분 b)
    b3) 텅스텐, 철, 니켈, 티타늄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및
    성분 c)
    c1) 220 nm 내지 400 nm의 범위 내, 또는 240 nm 내지 390 nm의 범위 내에서 흡수 효과를 갖는 UV 흡수제, 또는
    c2)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놀,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
  2. 제1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성분 a) 내지 c)가 개별적으로 및/또는 함께 하기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모든 정량 정보는 전체 필름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성분 a) 0.001 내지 0.01 wt%, 0.002 내지 0.008 wt%, 또는 0.0025 내지 0.006 wt%의 양,
    성분 b) ≥ 0.002 wt% 내지 ≤ 0.03 wt%, ≥ 0.004 wt% 내지 ≤ 0.02 wt%, 또는 ≥ 0.0045 wt% 내지 ≤ 0.015 wt%의 양, 및/또는
    성분 c) 0.20 wt% 내지 0.80 wt%, 0.25 wt% 내지 0.75 wt%, 또는 0.30 wt% 내지 0.70 wt%의 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흑색 안료, 또는 카본 블랙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 0.0001 wt% 내지 ≤ 0.015 wt%, 또는 ≥ 0.0002 wt% 내지 ≤ 0.0125 wt%의 양의 카본 블랙이 포함되며,
    여기서 이러한 정보는 전체 필름의 총량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추가의 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이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또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이
    레이저-감수성 첨가제, 또는 카본 블랙, 및
    하기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성분 a)
    a1)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a2) 가용성 안료의 군으로부터의 안료 및/또는 안료 혼합물,
    a3)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가용성 안료 혼합물, 또는
    a4) 500 μm의 필름 두께에 대하여 400 nm 내지 650 nm의 전체 스펙트럼 범위에 걸쳐 ≤ 55%의 광 투과가 달성되도록 조절된 농도 및 혼합비를 갖는, CI 분류에 따른 솔벤트 오렌지(Solvent Orange) 60, 솔벤트 레드(Solvent Red) 52, 솔벤트 그린(Solvent Green) 3 및/또는 솔벤트 블루(Solvent Blue) 97의 안료 혼합물,
    성분 b)
    b2) 스칸듐, 이트륨, 지르코늄, 하프늄, 바나듐, 니오븀, 탄탈럼, 크로뮴, 텅스텐,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 니켈, 철, 코발트,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아연, 카드뮴, 주석, 납, 백금 및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금속 분말, 그의 합금 및/또는 금속 산화물, 및/또는
    성분 c)
    c1) 220 nm 내지 400 nm의 범위 내, 또는 240 nm 내지 390 nm의 범위 내에서 흡수 효과를 갖는 UV 흡수제, 또는
    c2) 트리아진,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놀, 벤질리덴말로네이트 및/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부류의 발색단을 기재로 하는 UV 흡수제.
  8.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층(들)이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물 및/또는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의 중축합 생성물, 또는
    디페놀을 기재로 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들) 또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들), 폴리- 또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들) 및 폴리- 또는 코폴리-메타크릴레이트(들), 스티렌과의 중합체(들) 또는 공중합체(들), 폴리우레탄(들), 및 폴리올레핀(들), 테레프탈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들),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 적어도 하나의 시클로알킬디카르복실산의 중축합 또는 공중축합 생성물(들), 폴리술폰 또는 그의 혼합물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20 μm 내지 375 μm, 30 μm 내지 250 μm, 또는 50 μm 내지 200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필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층 구조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는, 보안 문서 또는 식별 문서로부터 선택된 문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15891A 2017-11-06 2017-11-06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KR102502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60106 WO2019089048A1 (en) 2017-11-06 2017-11-06 Plastic films with reduced uv a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303A KR20200079303A (ko) 2020-07-02
KR102502624B1 true KR102502624B1 (ko) 2023-02-24

Family

ID=6048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91A KR102502624B1 (ko) 2017-11-06 2017-11-06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71609A1 (ko)
EP (1) EP3707198B1 (ko)
KR (1) KR102502624B1 (ko)
CN (1) CN111542565B (ko)
BR (1) BR112020008960B1 (ko)
CA (1) CA3081784A1 (ko)
MY (1) MY194427A (ko)
PL (1) PL3707198T3 (ko)
WO (1) WO201908904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0345A1 (en) 2009-03-18 2012-01-12 Gerhard Edler Pigment for laser marking
US20120231240A1 (en) * 2009-12-18 2012-09-13 Agfa-Gevaert N.V. Laser Markable Security Fil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52889B (nl) 1967-03-10 1977-04-15 Gen Electric Werkwijze ter bereiding van een lineair polycarbonaatcopolymeer, alsmede orienteerbare textielvezel van dit copolymeer.
FR1580834A (ko) 1968-01-04 1969-09-12
DE1966931C3 (de) 1969-06-11 1978-11-02 Bayer Ag, 5090 Leverkusen Perfluoralkylsubstituierte, quartäre Ammoniumsalze
JPS5039599B2 (ko) 1973-03-30 1975-12-18
DE2407776A1 (de) 1974-02-19 1975-09-04 Licentia Gmbh Schaltung zur regelung der betriebsspannung fuer die transistor-zeilenendstufe eines fernsehempfaengers
DE2715932A1 (de) 1977-04-09 1978-10-19 Bayer Ag Schnellkristallisierende poly(aethylen/alkylen)-terephthalate
NL189707C (nl) 1978-03-15 1993-07-01 Bayer Ag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tetra-ethylammoniumperfluoralkylsulfonaat.
US4368240A (en) 1981-07-27 1983-01-11 Nauta Roll Corporation High gloss rubber roll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ES2279183T3 (es) 2002-12-04 2007-08-16 Dsm Ip Assets B.V. Aditivo absorbedor de luz laser.
DE102004050557B4 (de) 2004-10-15 2010-08-12 Ticona Gmbh Lasermarkierbare Formmassen und daraus erhältliche Produkte und Verfahren zur Lasermarkierung
EP1852269A4 (en) * 2005-02-21 2009-04-01 Techno Polymer Co Ltd LAMINATE FOR LASER MARKING
DE102005057474A1 (de) * 2005-11-30 2007-05-31 Merck Patent Gmbh Lasertransfer von Sicherheitsmerkmalen
US7727418B2 (en) * 2006-06-19 2010-06-0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Infrared transmissive thermoplastic composition,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DE102006045495A1 (de) * 2006-09-27 2008-04-03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Laser-markierbare Folie
DE102008036406A1 (de) * 2008-08-05 2010-02-11 Bayer Materialscience Ag Modifizierte Polycarbonate mit verbesserten Oberflächeneigenschaften
EP2725063A4 (en) * 2011-06-21 2014-12-31 Japan Coloring Co Ltd FOIL FOR ONE CARD
US9662833B2 (en) * 2012-06-04 2017-05-3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ark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0345A1 (en) 2009-03-18 2012-01-12 Gerhard Edler Pigment for laser marking
US20120231240A1 (en) * 2009-12-18 2012-09-13 Agfa-Gevaert N.V. Laser Markable Security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08960A2 (pt) 2020-10-13
CN111542565B (zh) 2023-08-22
WO2019089048A1 (en) 2019-05-09
CN111542565A (zh) 2020-08-14
EP3707198B1 (en) 2021-10-27
PL3707198T3 (pl) 2022-01-31
EP3707198A1 (en) 2020-09-16
KR20200079303A (ko) 2020-07-02
US20210371609A1 (en) 2021-12-02
BR112020008960B1 (pt) 2023-03-28
CA3081784A1 (en) 2019-05-09
MY194427A (en) 202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1178B2 (en) Layered structure and films for ID documents having improved properties for laser engraving
KR20110074558A (ko) 레이저 조각 기록가능성이 차단된 id 카드
EP2172336A1 (de) Fälschungssichere Sicherheitsmerkmale in Sicherheits- oder Wertdokumenten
CA2752100A1 (en) Improved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d layer composite
KR20210099555A (ko) 층상 구조물에서의 높은 비캣 연화 온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KR102631144B1 (ko) 보다 우수한 밝기의 엠보싱 홀로그램을 갖는 id 문서용 플라스틱 필름
KR20210101204A (ko) 투명 창을 갖는 id 문서용 높은 불투명도 및 낮은 투명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KR102507562B1 (ko) 개선된 레이저 각인 특성 및 개선된 내화학성을 갖는 id-문서를 위한 플라스틱 필름
KR102502624B1 (ko) 저감된 uv 활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