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673A -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 Google Patents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673A
KR20210097673A KR1020210100875A KR20210100875A KR20210097673A KR 20210097673 A KR20210097673 A KR 20210097673A KR 1020210100875 A KR1020210100875 A KR 1020210100875A KR 20210100875 A KR20210100875 A KR 20210100875A KR 20210097673 A KR20210097673 A KR 2021009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uplink
interference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052B1 (ko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04B15/02Reducing interference from electric apparatus by means located at or near the interfer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 즉 단말 측에서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하,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FULL DUPLEX TRANSMISSION}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무선 트래픽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처럼 증가하는 무선 트래픽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두 개의 노드에서 하나의 주파수/시간 자원을 사용해서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이중전송(FD: Full Duplex)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반이중전송(HD: Half Duplex)은 각 노드에서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주파수 및/또는 시간 자원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식인데, 반해, FD의 경우, 두 개의 노드가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FD의 경우,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통해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수행되기 때문에, 노드 자신이 송신한 신호는 상대 노드로부터 송신된 신호 수신 시 간섭(이하, 자가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노드 측에서는, 자신이 송신한 신호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신호 수신 시 송신 신호로 인한 자가간섭을 아날로그영역/디지털영역의 간섭 제거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FD에서는, 자가간섭 제거가 완벽할 경우 2개의 노드의 관점에서, 자원 사용률을 HD와 비교하여 최대 2배까지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FD를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이용)하게 되면, 단말 측에서 하향링크 시 같은 기지국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이하, 동일 셀 단말)로부터 받은 상향링크간섭 및 다른 기지국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이하,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향링크 시 단말 측에서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하, FD에 의한 추가간섭)은 전송용량의 저하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FD 이용 시 자원 사용률을 최대 2배까지 높여 전송용량을 증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FD에 의한 추가간섭으로 인해 총 전송용량 측면에서 HD 이용 대비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전이중전송(FD: Full Duplex)을 이용하는 단말 중에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을 단말확인부; 상기 특정 단말에 상기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특정 단말에 미치는 상기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별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을 확인하는 간섭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단말 중에서 상기 확인한 상향링크간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단말을 상기 특정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단말 중에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이 있으면, 상기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한 단말을 상기 특정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이중전송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상기 단말 별로 측정되는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non-interference)의 신호수신품질값을 확인하는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확인부는, 상기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상기 단말 별로 측정되는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수집하고, 상기 단말 별로, 상기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 및 상기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간섭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부 무선자원은, 기 설정된 확인주기 마다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상기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의 전대역(Channel Bandwidth) 또는 상기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의 전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한 다수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 중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섭 단말은, 상기 기지국장치 또는 상기 기지국장치와 인접한 인접기지국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상기 특정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선택되는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를 블랭킹(blanking)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며,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에도 상기 특정 단말의 상향링크간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에 의하면,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전이중전송(FD)에 의한 추가간섭이 발생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확인하기 위해 제안하는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이동통신 환경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두 개의 기지국과, 두 개의 기지국 각각에 두 개의 단말이 접속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더 많은 수의 기지국 및 여러 단말이 존재하는 이동통신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 사용자 노드를 통칭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기지국은, NodeB, eNodeB, Base Station, 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통칭한다.
반이중전송(HD) 기술은, 각 노드에서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주파수 및/또는 시간 자원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환경에서 기지국1에 단말10만 접속되고 기지국2에 단말30만 접속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면, HD를 적용(이용)하는 경우, 주파수 및/또는 시간 자원을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로 구분하여, 기지국1 및 기지국2 각각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하향링크자원을 통해 단말10 및 단말30 각각에 수신되고, 단말10 및 단말30 각각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상향링크자원을 통해 기지국1 및 기지국2 각각에 수신된다.
반면, 전이중전송(FD) 기술은, 각 노드에서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환경에서 기지국1에 단말10만 접속되고 기지국2에 단말30만 접속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면, FD를 적용(이용)하는 경우, 기지국1 및 단말10 각각이 상호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며, 기지국2 및 단말30 각각이 상호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한다.
이때, FD의 경우,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통해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수행되기 때문에, 노드(기지국, 단말) 자신이 송신한 신호는 상대 노드(단말, 기지국)로부터 송신된 신호 수신 시 간섭(이하, 자가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노드(기지국, 단말) 측에서는, 자신이 송신한 신호를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신호 수신 시 송신 신호로 인한 자가간섭을 아날로그영역/디지털영역의 간섭 제거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FD의 경우, 자가간섭 제거가 완벽할 경우 상호 접속된 노드(기지국, 단말)의 관점에서, 자원 사용률을 HD와 비교하여 최대 2배까지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FD를 하나의 기지국에 여러 단말이 접속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이용)하게 되면, 단말 측에서 하향링크 시 같은 기지국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이하, 동일 셀 단말)로부터 받은 상향링크간섭 및 다른 기지국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이하,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환경에서 기지국1에 단말10,20이 접속되고 기지국2에 단말30,40이 접속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면, FD를 적용(이용)하는 경우, 하향링크 시 단말10에는 같은 기지국1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20으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점선)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고, 단말20에는 같은 기지국1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10으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점선)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환경에서 기지국1에 단말10,20이 접속되고 기지국2에 단말30,40이 접속된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면, FD를 적용(이용)하는 경우, 하향링크 시 단말20에는 다른 기지국2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30으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점선)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고, 단말30에는 다른 기지국1의 셀 내에 위치한 단말20으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점선)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향링크 시 단말 측에서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하, FD에 의한 추가간섭)은 전송용량의 저하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FD 이용 시 자원 사용률을 최대 2배까지 높여 전송용량을 증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FD에 의한 추가간섭으로 인해 총 전송용량 측면에서 HD 이용 대비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전이중전송 제어 시스템을 기지국1 및 2 중 기지국1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전이중전송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기지국1의 하향링크신호를 측정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 및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기지국1의 하향링크신호를 측정한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보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즉 단말10,20과, 적어도 하나의 단말 즉 단말10,20과 관련된 상기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 및 상기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기반으로 단말10,20 중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예: 20)이 확인되면, 특정 단말(예: 20)에 상기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한 후 특정 단말(예: 20)에 미치는 상기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기지국1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실현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이중전송(FD: Full Duplex)을 이용하는 단말 중에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을 단말확인부(120)와, 상기 특정 단말에 상기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하는 선택부(140)와, 상기 특정 단말에 미치는 상기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환경에 위치하는 기지국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1의 기지국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전이중전송(FD)을 위한 자가간섭 제거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물론 도 1에 도시된 단말들 역시 전이중전송(FD)을 위한 자가간섭 제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단말확인부(120)는, 전이중전송(FD)을 이용하는 단말 중에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을 확인한다.
이때,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확인부(110) 및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간섭확인부(110) 및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간섭확인부(110)는, 전이중전송(FD)을 이용하는 단말 별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을 확인한다.
이때, 전술한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를 도 1의 기지국1로 가정한다면, 간섭확인부(110)는,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되어 FD를 이용하는 단말10,20 별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을 확인할 것이다.
여기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FD를 이용함에 따라 하향링크 시 단말 측에서 받게 되는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의 추가적인 간섭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 및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동일한 의미로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하겠다.
이에, 간섭확인부(110)는, 전이중전송(FD)를 이용하는 단말10,20 별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확인한다.
단말10,20 별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확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장치(100)에는,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과 관련된 임계치(a) 및 후술할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non-interference)의 신호수신품질값 확인을 위한 확인주기(T)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 확인을 위한 구성으로서,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는, 전이중전송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단말 별로 측정되는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확인한다.
이때, 일부 무선자원은,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의 전대역(Channel Bandwidth) 또는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의 전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한 다수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 중 일부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3의 제1실시예와 같이,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이하, FD 무선자원) 중,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일정 시간(t) 동안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에서 상향링크자원을 미할당하고 하향링크자원 만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하향링크자원 만이 할당된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이, FD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 해당할 것이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일정 시간(t) 동안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을 일정 간격을 갖는 서브캐리어로 구분하고, 구분한 다수개의 서브캐리어 중 일부(예: N개)에서 상향링크자원을 미할당하고 하향링크자원 만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하향링크자원 만이 할당된 FD 무선자원의 전대역 중 일부(예: N개) 서브캐리어가, FD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확인주기(T)를 단말10,20 각각에 알려, 단말10,20 각각으로 하여금 확인주기(T) 마다 후술할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FD 이용 중 상향링크신호가 없기 때문에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도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의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FD 무선자원 중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 및 보고되는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이라 하겠다.
따라서,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는, 확인주기(T) 마다 FD 무선자원 중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되는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보고받음으로써, 단말10,20 별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간섭확인부(110)는,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되는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FD 무선자원을, 각 단말10,20에 할당한다.
이에,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있는 FD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의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 및 보고되는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FD 상황의 SINR이라 하겠다.
따라서, 간섭확인부(110)는,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되는 FD 상황의 SINR를 보고받음으로써, 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간섭확인부(110)는, 단말10,20 별로, FD 상황의 SINR 및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에 기초하여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섭확인부(110)는, 단말10,20 별로 수집한 FD 상황의 SINR에서 단말10,20 별로 확인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을 뺀 값(c)를, 각 단말10,20이 FD로 인해 추가로 받게 되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간섭확인부(110)는, 단말10,20 별로, 다른 요인에 의한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FD로 인해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추가로 받게 되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 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단말10,20 중에서 전술의 확인한 상향링크간섭(c)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기 설정된 임계치(a) 이상인 단말을 특정 단말로 확인한다.
이처럼,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과정을 주도하는 주체는 기지국장치(100)이다.
한편,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간섭확인부(110) 및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간섭확인부(110) 및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130)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이 경우 단말확인부(120)는,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되어 FD를 이용하는 단말10,20 중에서 FD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이 있으면,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한 단말을 특정 단말로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확인주기(T) 및 임계치(a)를 단말10,20 각각에 알려, 단말10,20 각각으로 하여금 확인주기(T) 마다 후술할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측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단말10,20 각각으로 하여금 자신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이,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FD 이용 중 상향링크신호가 없기 때문에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도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의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신호수신품질값 즉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을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단말10,20 각각은, 확인주기(T) 마다 FD 무선자원 중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20 각각은, FD 무선자원에서 전이중전송 상황의 SINR을 측정한다.
즉, 단말10,20 각각은,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있는 FD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의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신호수신품질값 즉 FD 상황의 SINR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단말10,20 각각은, 자신이 측정한 FD 상황의 SINR 및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에 기초하여,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20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단말20은 단말20 자신이 측정한 FD 상황의 SINR에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을 뺀 값(c)를, 단말20 자신이 FD로 인해 추가로 받게 되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20 각각은, 전술의 확인한 상향링크간섭(c)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러한 자가판단정보를 기지국장치(100)로 보고한다.
예를 들어, 단말20은 자신이 확인한 상향링크간섭(c)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러한 자가판단정보를 기지국장치(100)로 보고할 것이다.
이에, 단말확인부(120)는, 단말10,20 중에서 전술과 같이 단말20으로부터 자가판단정보가 보고되면,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한 단말20을 특정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과정을 주도하는 주체는 각 단말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가정하여, 특정 단말로서 단말2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선택부(140)는, 특정 단말 예컨대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한다.
여기서, 간섭 단말은, 기지국장치(1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인접기지국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특정 단말(예: 20)과의 거리에 따라 선택되는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서 측정되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신호 측정세기를 기준으로 볼 때,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거리에 있는 단말 즉 기지국장치(1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인접기지국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측정세기가 가장 큰 단말이 단말20와 가장 가깝고 측정세기가 가장 작은 단말이 단말20와 가장 먼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선택부(14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서 측정된 다른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신호 측정세기를 상호 비교하여, 기지국장치(1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인접기지국(도 2의 기지국2)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가장 큰 측정세기의 단말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할 수 있고, 또는 가장 큰 측정세기의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한 N개의 단말을 간섭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선택부(14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서 측정된 다른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신호 측정세기를 기준으로, 기지국장치(1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인접기지국(도 2의 기지국2)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측정세기가 기 설정된 간섭단말선택치 이상인 단말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선택부(140)에서, 도 1에 도시된 단말10,30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제어부(15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간섭 단말 즉 단말10,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거나 또는 단말10,3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blanking)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 중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한 동일 셀 단말인 단말10에 대해서는,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 중 다른 기지국2에 접속한 다른 셀 단말인 단말30에 대해서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간접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섭 단말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단말10을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어부(15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자원할당위치,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 등을 먼저 확인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단말 즉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의 자원할당위치(d)를 확인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제어부(15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기 설정된 단위세기 만큼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한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도 단위세기 만큼 한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가 기 정의된 최소송신세기 이하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도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 다시 확인되는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지 확인한 결과에 따라,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경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또 한번 하향 제어하고,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이 아닌 경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 하향 제어를 그만하는 방식으로,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를 즉시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도 즉시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고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에도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경우 단말10,3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전술의 예시와 같이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하는 과정 중, 최소송신세기 한도 때문에 하향 제어가 불가능한 간섭 단말(예: 10)이 있으면 해당 간섭 단말(예: 1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단말20으로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10,20의 FD 무선자원을 제어하게 되면, 간섭 단말10,20 입장에서는 상향링크자원을 다소 손해 볼 수 있지만, 단말20에 미치는 FD에 의한 추가간섭 즉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 즉 단말 측에서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하,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해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이중전송(FD)의 전송용량 증대 이점을 최대한 취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기지국장치(100, 도 1의 기지국1)를 언급하고, 도 1 내지 도 4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장치(100)는,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전이중전송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단말 별로 측정되는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을 확인한다(S100).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3의 제1실시예와 같이,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이하, FD 무선자원) 중,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일정 시간(t) 동안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에서 상향링크자원을 미할당하고 하향링크자원 만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하향링크자원 만이 할당된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이, FD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 해당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일정 시간(t) 동안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을 일정 간격을 갖는 서브캐리어로 구분하고, 구분한 다수개의 서브캐리어 중 일부(예: N개)에서 상향링크자원을 미할당하고 하향링크자원 만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하향링크자원 만이 할당된 FD 무선자원의 전대역 중 일부(예: N개) 서브캐리어가, FD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 해당할 것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FD 이용 중 상향링크신호가 없기 때문에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도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의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FD 무선자원 중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 및 보고되는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이라 하겠다.
따라서, 기지국장치(100)는, 확인주기(T) 마다 FD 무선자원 중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되는 SINR 즉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보고받음으로써, 단말10,20 별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S100).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단말10,20 별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확인하는 S100단계를 확인주기(T) 마다 주기적으로 반복할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되는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FD 무선자원을, 각 단말10,20에 할당한다(S110).
이에,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있는 FD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으로부터의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 및 보고되는 신호수신품질값(예: SINR)을, FD 상황의 SINR이라 하겠다.
따라서, 기지국장치(100)는,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20 별로 측정되는 FD 상황의 SINR를 보고받음으로써, 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S120).
이에,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20 별로, FD 상황의 SINR 및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에 기초하여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확인할 수 있다(S130).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20 별로 수집한 FD 상황의 SINR에서 단말10,20 별로 확인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을 뺀 값(c)를, 각 단말10,20이 FD로 인해 추가로 받게 되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20 중에서 전술의 확인한 상향링크간섭(c)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기 설정된 임계치(a) 이상인 특정 단말이 있는지 확인한다(S140).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20 중에서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특정 단말이 없는 경우(S140 No), 기지국장치(100)의 동작이 off되지 않는 한(S170 No) 주기적으로 확인한 단말 별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기반으로 S110단계 이후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가정하여(S140 Yes), 특정 단말로서 단말2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 예컨대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한다(S150).
예를 들어,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서 측정된 다른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신호 측정세기를 상호 비교하여, 기지국장치(1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인접기지국(도 2의 기지국2)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가장 큰 측정세기의 단말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할 수 있고, 또는 가장 큰 측정세기의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한 N개의 단말을 간섭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서 측정된 다른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신호 측정세기를 기준으로, 기지국장치(100) 또는 기지국장치(100)와 인접한 인접기지국(도 2의 기지국2)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측정세기가 기 설정된 간섭단말선택치 이상인 단말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S150단계에서 도 1에 도시된 단말10,30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간섭 단말 즉 단말10,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제어한다(S160).
구체적으로,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거나 또는 단말10,3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blanking)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 중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한 동일 셀 단말인 단말10에 대해서는,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 중 다른 기지국2에 접속한 다른 셀 단말인 단말30에 대해서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간접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섭 단말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단말10을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자원할당위치,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 등을 먼저 확인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단말 즉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의 자원할당위치(d)를 확인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기 설정된 단위세기 만큼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한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도 단위세기 만큼 한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가 기 정의된 최소송신세기 이하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도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 다시 확인되는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지 확인한 결과에 따라,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경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또 한번 하향 제어하고,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이 아닌 경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 하향 제어를 그만하는 방식으로,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를 즉시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도 즉시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고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에도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경우 단말10,3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예시와 같이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하는 과정 중, 최소송신세기 한도 때문에 하향 제어가 불가능한 간섭 단말(예: 10)이 있으면 해당 간섭 단말(예: 1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단말20으로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10,20의 FD 무선자원을 제어하게 되면, 간섭 단말10,20 입장에서는 상향링크자원을 다소 손해 볼 수 있지만, 단말20에 미치는 FD에 의한 추가간섭 즉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간섭 단말의 FD 무선자원을 제어한 후(S160), 기지국장치(100)의 동작이 off되지 않는 한(S170 No) 주기적으로 확인한 단말 별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기반으로 S110단계 이후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 주체의 동작은 실선으로 단말 주체의 동작은 점선으로 도시하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같이,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이하, FD 무선자원) 중, 기 설정된 확인주기(T) 마다 일정 시간(t) 동안 FD 무선자원의 전대역에서 상향링크자원을 미할당하고 하향링크자원 만을 할당한다(S200).
이에,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확인주기(T) 마다, FD 무선자원 중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없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의 하향링크신호를 측정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를 측정할 수 있다(S210).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S200단계를 확인주기(T) 마다 주기적으로 반복할 것이고, 따라서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 역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S210단계를 확인주기(T) 마다 주기적으로 반복할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및 수신을 위해 같은 주파수/시간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FD 무선자원을, 각 단말10,20에 할당한다(S220).
이에, 기지국장치(100)에 접속된 단말10,20 각각은,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있는 FD 무선자원에서 기지국장치(100)의 하향링크신호를 측정한 신호수신품질값 즉 FD 상황의 SINR을 측정할 수 있다(S230).
이에, 단말10,20 각각은, 자신이 측정한 FD 상황의 SINR 및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에 기초하여,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확인할 수 있다(S240).
단말20을 언급하여 설명하면, 단말20은 단말20 자신이 측정한 FD 상황의 SINR에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SINR(b)을 뺀 값(c)를, 단말20 자신이 FD로 인해 추가로 받게 되는 상향링크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20 각각은, 전술의 확인한 상향링크간섭(c)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50),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러한 자가판단정보를 기지국장치(100)로 보고한다(S26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은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S250 No), 단말20은 FD에 의한 추가간섭(c)이 임계치(a)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S250 Yes)하여 자가판단정보를 기지국장치(100)에 보고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20 중에서 전술과 같이 단말20으로부터 자가판단정보가 보고되면,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한 단말20을 특정 단말로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확인한 특정 단말 예컨대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한다(S270).
이때, S270단계는 전술의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단말10,30을 단말20에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로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특정 단말 즉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간섭 단말 즉 단말10,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제어한다(S280).
구체적으로,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거나 또는 단말10,3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blanking)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 중 기지국장치(100)에 접속한 동일 셀 단말인 단말10에 대해서는,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30 중 다른 기지국2에 접속한 다른 셀 단말인 단말30에 대해서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20에 미치는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간접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섭 단말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과정을, 단말10을 언급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 즉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 예컨대 자원할당위치,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 등을 먼저 확인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 단말 즉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의 자원할당위치(d)를 확인한 것으로 가정하겠다.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기 설정된 단위세기 만큼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한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도 단위세기 만큼 한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가 기 정의된 최소송신세기 이하가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도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장치(100)는,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 다시 확인되는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지 확인한 결과에 따라,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경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또 한번 하향 제어하고,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이 아닌 경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 하향 제어를 그만하는 방식으로,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를 즉시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장치(100)는,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도 즉시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단말1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d)에서 단말1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고 기지국2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30에 할당한 FD 무선자원에서 단말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며,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에도 단말20의 상향링크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 경우 단말10,3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는, 전술의 예시와 같이 최소송신세기 한도 내에서 간섭 단말10,30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단위세기 만큼 여러 번 하향 제어하는 과정 중, 최소송신세기 한도 때문에 하향 제어가 불가능한 간섭 단말(예: 10)이 있으면 해당 간섭 단말(예: 10)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단말20으로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10,20의 FD 무선자원을 제어하게 되면, 간섭 단말10,20 입장에서는 상향링크자원을 다소 손해 볼 수 있지만, 단말20에 미치는 FD에 의한 추가간섭 즉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그리고, 기지국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간섭 단말의 FD 무선자원을 제어한 후(S280), 기지국장치(100)의 동작이 off되지 않는 한(S290 No) 각 단말이 자신의 상향링크 간섭 즉 FD에 의한 추가간섭이 임계치(a)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S220단계 이후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은,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 즉 단말 측에서 동일 셀 단말 및 다른 셀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하, FD에 의한 추가간섭)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여러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실제 이동통신 환경에서, 전이중전송(FD) 이용 시 FD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간섭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2 : 기지국 10,20,30,40: 단말
100 : 기지국장치
110 : 간섭확인부 120 : 단말확인부
130 :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 140 : 선택부
150 : 제어부

Claims (9)

  1.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전이중전송(FD: Full Duplex)을 이용하는 단말 중에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해 상기 기지국장치에 접속한 다른 단말, 및 상기 기지국장치와 인접한 인접기지국에 접속한 다른 단말로부터 받는 상향링크간섭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특정 단말을 확인하는 단말확인부;
    상기 특정 단말에 상기 상향링크간섭을 미치는 간섭 단말을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특정 단말에 미치는 상기 상향링크간섭이 감소되도록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별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을 확인하는 간섭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단말 중에서 상기 확인한 상향링크간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단말을 상기 특정 단말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확인부는,
    상기 단말 중에서 상기 전이중전송에 의한 상향링크간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이 있으면, 상기 자가판단정보를 보고한 단말을 상기 특정 단말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별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 중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일부 무선자원에서 하향링크신호 기반으로 측정된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non-interference)의 신호수신품질값을 보고 받아 확인하는 신호수신품질값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확인부는,
    상기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상기 단말 별로 측정되는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을 수집하고,
    상기 단말 별로, 상기 전이중전송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 및 상기 상향링크간섭 프리 상황의 신호수신품질값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간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무선자원은,
    기 설정된 확인주기 마다 하향링크신호 만을 전송하는, 상기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의 전대역(Channel Bandwidth) 또는 상기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의 전대역을 일정 간격으로 구분한 다수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 중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단말은,
    상기 기지국장치 또는 상기 인접기지국에 접속된 단말 중에서, 상기 특정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선택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를 블랭킹(blanking)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섭 단말에 할당한 전이중전송 무선자원에서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하며,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세기를 하향 제어한 후에도 상기 특정 단말의 상향링크간섭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간섭 단말의 상향링크를 블랭킹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KR1020210100875A 2015-05-14 2021-07-30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KR102487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75A KR102487052B1 (ko) 2015-05-14 2021-07-30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30A KR102287526B1 (ko) 2015-05-14 2015-05-14 기지국장치,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00875A KR102487052B1 (ko) 2015-05-14 2021-07-30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30A Division KR102287526B1 (ko) 2015-05-14 2015-05-14 기지국장치,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673A true KR20210097673A (ko) 2021-08-09
KR102487052B1 KR102487052B1 (ko) 2023-01-09

Family

ID=572482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30A KR102287526B1 (ko) 2015-05-14 2015-05-14 기지국장치,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210100875A KR102487052B1 (ko) 2015-05-14 2021-07-30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30A KR102287526B1 (ko) 2015-05-14 2015-05-14 기지국장치,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20115B2 (ko)
EP (1) EP3297186B1 (ko)
JP (1) JP6480016B2 (ko)
KR (2) KR102287526B1 (ko)
CN (1) CN107431543B (ko)
ES (1) ES2962834T3 (ko)
WO (1) WO20161821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8403B2 (en) * 2015-12-30 2020-04-28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cell barring in a mobile cellular network
WO2017195305A1 (ja) * 2016-05-11 2017-11-1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無線端末
US10742334B2 (en) * 2016-10-23 2020-08-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ter-RU interference in order to perform spac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WO2019134088A1 (zh) * 2018-01-04 2019-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全双工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KR102078261B1 (ko) * 2018-10-19 2020-04-07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내 기지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US11910422B2 (en) * 2018-10-30 2024-02-2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f-interference processing
US11240802B2 (en) 2019-02-14 2022-02-01 Nokia Technologies Oy Full uplink blanking to avoid RF impairments for devices with multiple connections
WO2024058002A1 (ja) * 2022-09-13 2024-03-2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0503A1 (en) * 2007-09-21 2009-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plink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94984A1 (en) * 2012-01-16 2013-08-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ull-duplex interference
KR20140123485A (ko) * 2011-12-22 201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049624A1 (en) * 2012-03-13 2015-02-1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adio Interferences
US20150078177A1 (en) * 2013-09-13 2015-03-19 Blackberry Limited Mitigating interference in full duplex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5184A1 (en) * 1998-07-20 2000-01-26 Motorola,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and allocation scheme therefor
US9072060B2 (en) * 2008-06-03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US8908571B2 (en) * 2010-10-01 2014-12-09 Clearwire Ip Holdings Llc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CN102469465B (zh) * 2010-11-05 2014-12-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Tdm设备内共存干扰协调的控制方法和设备
CN102143521B (zh) * 2011-03-24 2016-07-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设备内共存干扰协调的方法、系统和设备
US9398585B2 (en) * 2011-11-07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ximity detection
EP2853129A1 (en) * 2012-05-22 2015-04-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terference mitigation
JP5781016B2 (ja) * 2012-06-04 2015-09-1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9590772B2 (en) * 2012-07-02 2017-03-07 Intel Corporation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CN103781181B (zh) * 2012-10-22 2017-05-2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tdd系统用户调度方法、装置、系统和基站
GB2509935B (en) * 2013-01-17 2015-06-17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elf-interference
US9179404B2 (en) * 2013-03-25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E-only discontinuous-TX smart blanking
WO2014172863A1 (zh) * 2013-04-25 2014-10-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干扰抑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0110264B2 (en) 2013-09-13 2018-10-23 Blackberry Limited Full duplex resource reuse enablement
WO2015147570A1 (ko) * 2014-03-26 2015-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Fdr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6664712B (zh) * 2014-05-11 2020-03-03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fdr传输的无线接入系统中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US20170245160A1 (en) * 2014-05-28 2017-08-24 Nec Europe Ltd.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a wireless network and a base s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0503A1 (en) * 2007-09-21 2009-03-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plink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40123485A (ko) * 2011-12-22 2014-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상태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30194984A1 (en) * 2012-01-16 2013-08-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full-duplex interference
US20150049624A1 (en) * 2012-03-13 2015-02-1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adio Interferences
US20150078177A1 (en) * 2013-09-13 2015-03-19 Blackberry Limited Mitigating interference in full duplex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7186B1 (en) 2023-09-06
CN107431543A (zh) 2017-12-01
JP6480016B2 (ja) 2019-03-06
KR102287526B1 (ko) 2021-08-06
CN107431543B (zh) 2020-05-08
US20180213538A1 (en) 2018-07-26
WO2016182182A1 (ko) 2016-11-17
EP3297186A4 (en) 2018-11-14
EP3297186A1 (en) 2018-03-21
KR102487052B1 (ko) 2023-01-09
JP2018520554A (ja) 2018-07-26
US10420115B2 (en) 2019-09-17
ES2962834T3 (es) 2024-03-21
KR20160133898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052B1 (ko) 전이중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장치
EP3536005B1 (en) Cooperation between nodes operating in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for channel access in unlicensed spectrum
KR101274458B1 (ko) 중계 이용자를 선택하고 다운링크 리소스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CN102026307B (zh) 下一代移动通信异构网络中的频谱切换方法
KR102278519B1 (ko) 비인가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5261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tigation/removal of interference between macro-cell and femto-cell
JP6564521B2 (ja) 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動作方法
EP3542579A1 (en) Conditional resource utiliz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N106851660B (zh) 一种信号干扰测量方法、基站及用户设备
JP5831458B2 (ja)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2191085B1 (ko) 셀제어장치 및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EP3836714B1 (en) Fbe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6664577B (zh) 基站装置、其操作方法和终端装置
KR20160037767A (ko) 면허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의 간섭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896584B1 (ko) 간섭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섭 제어 방법
KR20130029323A (ko) 빔형성에 의한 간섭잡음 회피 장치 및 방법
WO2016113472A1 (en) A solu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30071321A (ko) 무선 통신 기지국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