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575A -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575A
KR20210096575A KR1020210011922A KR20210011922A KR20210096575A KR 20210096575 A KR20210096575 A KR 20210096575A KR 1020210011922 A KR1020210011922 A KR 1020210011922A KR 20210011922 A KR20210011922 A KR 20210011922A KR 20210096575 A KR20210096575 A KR 20210096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manium
organic
nano
selenium
cr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50B1 (ko
Inventor
강윤영
강화운
정구완
Original Assignee
강윤영
정구완
강화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윤영, 정구완, 강화운 filed Critical 강윤영
Priority to CN202180009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945272A/zh
Priority to EP21747143.2A priority patent/EP4098105A4/en
Priority to PCT/KR2021/001124 priority patent/WO2021154001A1/ko
Priority to US17/794,812 priority patent/US20230078468A1/en
Priority to JP2022545894A priority patent/JP7354457B2/ja
Publication of KR20210096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7Dispersions, e.g. suspensions or emul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 게르마늄과 유기 셀레늄을 물리적인 에너지(열 또는 압력)를 부가하는 방법, 전기적인 폭발에너지를 부가하는 방법, 및 화학적 결합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한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나노 크기의 유기셀레늄을 작물의 성장 발육이 가장 왕성하게 되는 싯점과 결실을 이루기 위하여 성숙해 가는 시기에 적어도 2회 이상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조된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나노 크기의 유기셀레늄은 나노 크기 상태에서 물을 용매로 수분산이 된 1액형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Functional Crops Cultivation Method Using Nano Organic Germanium And Nano Organic Selenium}
본 발명은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벼, 감자, 옥수수, 배추, 작물 등을 재배함에 있어 나노기술로 제조된 유기게르마늄/유기셀레늄을 1액형으로 관주 또는 엽면 시비를 하여 각각의 물질을 쌀, 감자, 옥수수, 배추 등 작물에 그 성분을 함유케 함은 물론, 각각의 해당 작물의 특성에 따른 저장 안정성을 늘리고 또는 당도를 향상시키고 또는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게르마늄은 암/당뇨/혈압 등의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임상 및 논문은 이미 많은 보고가 되어 있고 작물에 적용하는 경우도 많은 사례가 보고가 되어 있다.
셀레늄 역시 인체내에서 글루타치온-퍼옥시다제(Glutathione-Peroxidase)라는 효소를 생성케 하여 활성산소 즉 슈퍼옥사이드(Superoxide)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작용이 비타민C의 2,000배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작물에 대한 적용 사례도 많이 보고 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나노 크기를 갖는 유기게르마늄/유기셀레늄을 작물에 적용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물을 용매로 한 1액형의 상태에서 작물에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하여 그 해당 각각의 작물에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의 성분이 동시에 검출되고, 또한 나노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최소량(50ppm이하)을 사용하고도 작물의 저장 안정성을 늘리고 당도를 향상시키며 수확량을 늘리며 작물의 성장과정에 박테리아 /곰팡이류로부터 감염되는 병해를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작물 재배 방법은 아직까지 그 사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7074호(2015.04.27 등록)(발명의 명칭: 유기 게르마늄 및 유기 셀레늄 함유 콩나물의 재배 및 저장성과 편리성이 우수한 건조콩나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벼, 감자, 옥수수, 배추, 작물 등을 재배함에 있어 나노기술로 제조된 유기게르마늄/유기셀레늄을 1액형으로 관주 또는 엽면 시비를 하여 각각의 물질을 쌀, 감자, 옥수수, 배추 등 작물에 그 성분을 함유케 함은 물론, 각각의 해당 작물의 특성에 따른 저장 안정성을 늘리고 또는 당도를 향상시키고 또는 수확량을 늘릴 수 있는 재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유기 게르마늄과 유기 셀레늄을 물리적인 에너지(열 또는 압력)를 부가하는 방법, 전기적인 폭발에너지를 부가하는 방법, 및 화학적 결합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한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나노 크기의 유기셀레늄을 작물의 성장 발육이 가장 왕성하게 되는 싯점과 결실을 이루기 위하여 성숙해 가는 시기에 적어도 2회 이상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조된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나노 크기의 유기셀레늄은 나노 크기 상태에서 물을 용매로 수분산이 된 1액형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기게르마늄(Ge)은 그 입자크기가 1~100nm이고, 관주 또는 엽면 시비의 최종 사용 농도가 수 중량대비 0.00001~0.005wt%(0.1~50ppm)이며, 상기 셀레늄(Se)은 그 입자크기가 1~70nm이고 관주 또는 엽면시비의 최종 사용 농도가 수 중량대비 0.00001~0.004wt%(0.1~4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게르마늄은 그 순도가 99% 이상의 유기게르마늄(Organic Germanium)으로, 특히 {비스카르복시에틸게르마늄세스퀴옥싸이드, bis(2-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Ge(=O)CH2CH2CO2H]2}, 효모균주를 이용한 유기게르마늄, 게르마늄화합물을 각각 기본 원료로 하여 물리적인 에너지(열 또는 압력)를 부가하는 방법, 전기적인 폭발에너지를 부가하는 방법, 및 화학적 결합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한 나노유기게르마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르마늄 화합물은 [Germanium chloride ; GeCl4, Germanium chloride dioxane commlex ;C4H8Cl2GeO2, Gemanium fluoride ; GeF4, Germanium iodide ; GeI2, GeI4, Germanium isopropoxide ;Ge(OCH(CH3)2)3, Germanium methoxide ; Ge(OCH3)4, Germanium nitride ; Ge3N4, Germanium oxide ; GeO2,Germanium selenide ; GeSe, GeSe2, Germanium sulfide ; GeS]의 원료 물질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해리(解離)(dissociation)하고 이온을 환원(還元)(reduction)시켜 게르마늄(Ge)을 추출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셀레늄은 셀레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셀레늄 화합물은 (Selenium oxychloride ; SeOCl2, Selenium sulfide ; SeS2, Seleniumtetrachloride ; SeCl4, Selono-L-cystine ; C6H12N2O4Se2, Seleno-L-methionine ; CH3SeCH2CH2CH(NH2)CO2H,Selenophene ; C4H4Se, Selenous acid ; H2SeO3, Germanium selenide ; GeSe, GeSe2)의 원료 물질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해리(解離)(dissociation)하고 이온을 환원(還元)(reduction)시켜 셀레늄을 추출함으로써 얻은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사용되어지는 첨가제(혹은 환원제)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토코페놀(tocopherol), 유기산[organic acids(포름산; form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아세트산; acetic acid, 말레산; maleic acid, 탄소수 4이하인 유기산), 메틸에탄올아민(methylethanolamine; HOCH2CH2N(CH3)2)]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유기화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산 안정제를 평균 분자량이 4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tearate), 폴리비닐부틸알(polyvinyl Butylal), 폴리비닐알코올(polybinyl alcoh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L-아르지닌(L-Arginine), L-트레오닌(L-Threonine), L-알라닌(L-Alan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물질을 공통으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각각 제조 후 물을 용매로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도 안정성이 유지되면서 1액형으로 수분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나노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1액형으로 하여 작물의 성장 및 결실 과정에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하는 이유는 각각의 물질을 따로 사용할 경우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는 경우를 절약하는 의미도 있겠으나, 유기게르마늄만 단독으로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할 경우 게르마늄이 생명체의 세포를 튼튼하게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곰팡이의 세포 증식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유기셀레늄을 함께 사용하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은 물론 작물에 각각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게르마늄 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셀레늄 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기셀레늄의 FT-NMR(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분석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노유기게르마늄(Nano Organic Germanium)/ 나노유기셀레늄(Nano Organic Selenium)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질은 나노기술로 제조된 유기게르마늄, 유기셀레늄으로 이루어진 물질이며, 작물의 성장 및 생육 특성과 병해의 위험시기에 따라 각각의 물질이 혼합된 상태로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하여 병해를 예방/치료함은 물론 기능을 갖는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발명 기술이다.
관주시비(灌注施肥 , injected fertilization)는 비료를 물에 녹여 관을 통하여 압력을 가해 토양에 주입하는 시비 방법이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관주 시비 [灌注施肥, injected fertilization] (토양비료 용어사전, 2012. 12., 한국토양비료학회)
엽면시비( 葉面施肥 , foliar fertilization , foliar application)를 설명하면, 작물은 뿌리를 통해서만 아니라 엽면(葉面)을 통해서도 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할 경우 비료를 용액의 상태로 잎에 살포하는데, 이것을 비료의 엽면시비 또는 엽면살포라고 한다.
엽면시비는 토양시비보다 비료성분의 흡수가 쉽고 빠른 장점이 있으며, 토양시비가 곤란할 때에도 시비할 수 있으므로, 미량원소의 공급(노후화 논토양에서 벼의 Mn, Fe, 사과의 Mg, 감귤류의 Zn), 뿌리의 흡수력이 약해졌을 경우(노후화 논토양 벼, 습해받은 맥류), 급속한 영양 회복(동상해, 풍수해, 병충해), 품질향상(출아 전의 꽃; 수확 전의 목초), 비료분의 유실방지(pot의 꽃), 노동력 절약(농약과 비료 혼합살포), 토양시비가 곤란할 경우(과수원의 초생재배) 등에 한정되어 이용된다.
엽면시비는 일시에 다량의 비료를 시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토양시비를 모두 대체할 수는 없다. 질소는 요소로 주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잎이 타는 등의 부작용이 적다. 0.5~1.0%의 수용액으로 살포한다. 칼리는 K2SO4의 0.5~1.0%액, 마그네슘은 MgSO4의 0.5~1.0%액, 망간은 MnSO4의 0.2~0.5%액, 철은 FeSO4의 0.2~1.0%액, 아연은 ZnSO4의 0.2~0.5%액, 구리는 CuSO4의 1%액, 붕소는 붕사의 0.1~0.3%액, 몰리브덴은 몰리브덴산염의 0.0005~0.01%액으로 살포한다. 여러 가지 비료요소를 배합하거나 부성분을 제거하여 엽면살포용으로 만든 엽면살포제도 개발되어 있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엽면시비 [葉面施肥, foliar fertilization, foliar application] (토양사전, 2000. 10. 15., 류순호)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나노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으로 나노크기가 아닌 물질 또는 유기물질이 아닌 무기물질을 작물 재배에 적용한 사례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나노물질로서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작물 재배에 적용한 사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특히나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유기물질로서 물을 용매로 한 1액형(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동시에 투입함)으로 사용한 예는 찾아볼 수가 없다.
1 액형에 대하여 좀더 설명하면, 일반 물질들은 한 종류의 용매(물, 에탄올 등)에 2가지 이상의 물질(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크게 문제시 되지 않으나, 나노 기술의 영역에서는 한 종류의 용매에 2 종류 이상의 물질(예, 백금/금, 은/구리, 게르마늄/셀레늄 등)이 서로 안정화 된 상태에서 상호간 반응되지 않고 유지를 하는 것이 쉽지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나노유기게르마늄과 나노유기셀레늄을 1액형으로 만들고 저장 보관하고 희석 살포하는 것은 물질 자체로 1액형의 가치도 있는 것이며 농작물에 살포시 나노유기게르마늄과 나노유기셀레늄을 순차적으로 따로따로 엽면시비 또는 관주 하지 않고 한번에 처리하여 노동력을 절감하는 의미도 있으며, 나노유기게르마늄은 항균력이 없으며 미생물의 증식을 도와주는 기능을 하기에 특히 액상 상태에서는 반드시 항균제와 방부제가 필요한 바, 별도의 항균/방부제를 사용치 않고 나노유기셀레늄의 항균/방부력을 사용하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나노유기셀레늄은 항박테리아 미생물최저발육억제농도(MICs)가 1ppm부터 효능이 있고, 방부력은 5~10ppm부터 그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은 벼, 감자, 옥수수, 배추, 작물 등을 재배함에 있어 나노기술로 제조된 나노크기의 유기게르마늄/유기셀레늄을 작물의 성장 및 결실 과정에 관주 및 엽면 시비를 하여 각각의 유기게르마늄/유기셀레늄의 물질을 쌀, 감자, 옥수수, 배추 등 작물의 결과물에 함유케 함은 물론, 각각의 사용되는 물질이 그 고유의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작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내용이다.
본 발명은 약 15년 기간 동안 국내의 각지에서 수종의 작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차 하며 시행착오를 반복 수행을 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그 종합된 본 발명을 출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 게르마늄은 그 순도가 99% 이상의 유기게르마늄(Organic Germanium)으로, 특히 {비스카르복시에틸게르마늄세스퀴옥싸이드, bis(2-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Ge(=O)CH2CH2CO2H]2}, 효모균주를 이용한 유기게르마늄, 게르마늄화합물을 각각 기본 원료로 하여 물리적에너지, 전기적인 폭발에너지, 화학적 결합공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과정을 수행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한 나노유기게르마늄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과정은 유기화되어 덩어리로 되어있는 물질의 크기만 줄이는 것으로서, 분자량을 쪼개서 물질의 크기를 나노 크기로 줄이는 것이고, 여기서, 효모균주는 무기게르마늄을 먹고 배설하여 유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분자덩어리를 쪼개서 분산안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기 게르마늄(Ge)은 그 입자크기가 1~100nm이고, 그 최종 사용 농도가 관주 또는 엽면 시비수 중량대비 0.00001~0.005wt%(0.1~50ppm)이며, 게르마늄 화합물은 [Germanium chloride ; GeCl4, Germanium chloride dioxane commlex ;C4H8Cl2GeO2, Gemanium fluoride ; GeF4, Germanium iodide ; GeI2, GeI4, Germanium isopropoxide ;Ge(OCH(CH3)2)3, Germanium methoxide ; Ge(OCH3)4, Germanium nitride ; Ge3N4, Germanium oxide ; GeO2,Germanium selenide ; GeSe, GeSe2, Germanium sulfide ; GeS]의 원료 물질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물질을 해리(解離)(dissociation)하고 이온을 환원(還元)(reduction)시켜 게르마늄(Ge)을 추출함으로써 얻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유기 셀레늄(Se)은 그 입자크기가 1~70nm이고 그 최종 사용 농도가 관주 또는 엽면시비수 중량대비 0.00001~0.004wt%(0.1~40ppm)이며, 셀레늄 화합물은 (Selenium oxychloride ; SeOCl2, Selenium sulfide ; SeS2, Seleniumtetrachloride ; SeCl4, Selono-L-cystine ; C6H12N2O4Se2, Seleno-L-methionine ; CH3SeCH2CH2CH(NH2)CO2H,Selenophene ; C4H4Se, Selenous acid ; H2SeO3, Germanium selenide ; GeSe, GeSe2)의 원료 물질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해리하고 이온을 환원시켜 셀레늄을 추출함으로써 얻은 것이 포함되며;
나노크기의 유기물을 제조하는 공정에는 물리적인 에너지(열 또는 압력)를 부가하는 방법, 전기적인 폭발에너지를 부가하는 방법, 및 화학적 결합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조하는 공정 중에 사용되어지는 첨가제(또는 환원제)로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토코페놀(tocopherol), 유기산[organic acids(포름산; form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아세트산; acetic acid, 말레산; maleic acid, 탄소수 4이하인 유기산), 메틸에탄올아민(methylethanolamine; HOCH2CH2N(CH3)2)]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적으로 포함되고(포름알데히드,토코페놀,유기산 모두 포함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적으로 포함됨),
또한, 상기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은 나노크기 상태에서 물을 용매로 수분산이 된 1액형의 물질로 한다. 통상의 경우 하나의 용매에서 2개 이상의 나노 물질이 서로 에너지 충돌이 되지 않고 산화나 침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용성 있게 안정성을 갖추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산 안정제를 평균 분자량이 4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tearate), 폴리비닐부틸알(polyvinyl Butylal), 폴리비닐알코올(polybinyl alcoh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L-아르지닌(L-Arginine), L-트레오닌(L-Threonine), L-알라닌(L-Alanin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물질을 공통으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각각 제조 후 물을 용매로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도 안정성이 유지되고,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이 1액형으로 수분산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물질은 관주 또는 엽면 시비의 횟수를 최소화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목적하는 바, 기능성 작물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물질이 나노입자 크기(1~100nm)의 물질이어야 하며, 물을 용매로 하여 수분산 된 1액형으로 한다. 아울러 무기물질이 갖는 독성을 최소화하고 작물로 흡수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유기물질(有機物質)(organic material)이어야 한다. 또한, 1회에 사용하는 각각 물질의 농도는 그 최대치를 50ppm으로 한다. 여기서, 50ppm 이상의 농도를 사용하여도 작물에는 영향이 없으나 작물의 성장과 당도 증가, 면역성 향상에 따른 병충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수준 정도와 그 경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최대 효율치는 나노유기게르마늄의 농도는 50ppm, 나노유기셀레늄의 농도는 40ppm정도이면 충분한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필요시 그 사용 상한값은 증가할 수는 있다.
일반적인 자연상태의 유기게르마늄은 미생물이 먹고 배출한 정도로 존재하며 아주 적은농도(0.000000345wt%: 3.45㎍/㎏)이다.
따라서 무기게르마늄은 미생물이 먹고 배출해야만 식물이 흡수할 수 있으며, 그 효과와 농도가 아주 적어 식물에서 검출을 할 수 없다. 곧 실제 적용이 어렵다.
또한, 우리나라의 토양은 셀레늄이 부족한 토양이기에 작물에서 유기셀레늄을 충분히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노기술로 제조한 유기나노게르마늄(Organic nano Germanium)과 유기나노 셀레늄(Organic nano Selenium)으로 작물에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하도록 하며, 사용하는 농도와 그 사용 싯점은 작물에 따라 상이하나, 성장 발육이 가장 왕성하게 되는 싯점과 결실을 이루기 위하여 작물이 성숙해 가는 시기를 중점적으로 하여 관주 및 엽면시비를 하도록 하며, 엽채류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농도를 낮추어 수시로 엽면시비를 하여 기능성 작물을 재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벼의 경우 벼꽃이 지고나서 1번, 벼 수확 되는 시점에서 1번 각각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하는 나노입자의 크기의 유기게르마늄(Organic Germanium), 유기셀레늄(Organic Selenium)은 (도 1)의 전자현미경(TEM)이미지 관찰 및 (도 2)의 FT-NMR 측정으로 나노 물질임을 확인하며, 아래 도표와 같이 사용량을 최소로 하며 그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유기게르마늄은 그 순도 99%, 입자크기 1-100nm, 원료물질 농도는 100ppm에서 5,000ppm 농도의 것으로 하며, 작물에 1회 사용하는 최종 사용 농도는 0.1-50ppm로 하며, 유기셀레늄은 순도 98% 이상, 입자크기 1-70nm, 원료물질 농도는 100ppm에서 5,0000ppm 농도의 것으로 하며, 작물에 1회에 사용하는 최종 사용 농도는 0.1-40ppm으로 한다(아래 표1 참조). 그러나, 각각의 농도 및 최종 사용 농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 내에서의 변경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은 나노 크기 상태에서 물을 용매로 수분산이 된 1액형의 물질로 한다. 통상의 경우 하나의 용매에서 2개 이상의 나노 물질이 서로 에너지 충돌이 되지 않고 산화나 침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용성 있게 안정성을 갖추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과 셀레늄을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산 안정제를 평균 분자량이 4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tearate), 폴리비닐부틸알(polyvinyl Butylal), 폴리비닐알코올(polybinyl alcoh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L-아르지닌(L-Arginine), L-트레오닌(L-Threonine), L-알라닌(L-Alan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을 물질을 공통으로 혼합 사용함으로써, 각각 제조 후 물을 용매로 일정비율로 혼합하여도 안정성이 유지되며,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은 1액형으로 수분산 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작(水稻作)(Rice-cultivation)은 그 수확량이 평균치의 30% 증대되는 효과를 입증했고, 옥수수의 당도를 19브릭스(Brix)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감자, 배추, 무, 대추를 시범포로 하여 재배한 결과 세포 조직이 단단하여지고 저장 안정성이 50% 이상 늘어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아래 표 2는 수도작에서 수확량이 증산되는 결과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아래 표3은 작물에서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검출된 결과를 공인기관 연구소에서 발행한 성적서를 근거로 결과치를 정리한 것이다.
Figure pat00003
무기물은 이온화가 되기 전에는 식물이 흡수할 수가 없다. 게르마늄은 미생물에 의해 유기화된 자연상태에서의 농도가 3.45ppb(3.45㎍/kg)이기에 이를 식물이 흡수를 하여 작물에 기능을 부여하거나 작물의 결과물에서 검출을 하기에는 너무 적은 농도이다. 상기 도표의 자료에서 보면 쌀에서 131ppb의 농도가 검출되나 관주 또는 엽면시비의 농도는 70배 이상의 농도로 하여야 한다.
당도 증가의 경우에는 옥수수 종류 중 생(날것)으로 먹는 옥수수(품종: 초당옥수수)를 시험한 결과 평균 16브릭스(Brix) 수준이었으나 본 발병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관주 및 엽면시비를 한 결과 21브릭스가 검출되어 약 30% 정도 당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왕대추와 참외의 경우 저장 및 유통 기간이 극히 짧은 작물이나, 대추의 경우 5일 정도 수분을 함유하는 기간이 늘어나 상품성이 유지되었으며, 참외의 경우에도 약 7일 정도 더 저장 및 유통 기간이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나노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이 1액형의 상태에서 작물에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하였을 경우 그 효과는 수확량이 증대되거나 당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저장성이 향상되어 유통기간이 늘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작물에서 게르마늄과 셀레늄 성분이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게르마늄 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균 20n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유기물이라 분산 안전성이 낮아 균질한 호모지니어스(Homogeneous) 상태로 관찰은 되지 않으나 나노 물질 임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셀레늄 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기물이라 윤곽 형태의 이미지가 명확하지 않지만 약 15nm의 평균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3은 유기셀레늄의 FT-NMR(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4~5ppm의 시그널 중 가운데 피크는 수용성 상태의 용매로서 OH를 가지고 있으며, 좌/우측 피크는 수소(H)를 가지고 있으며 이 수소는 탄소(C)와 결합되어 있을 가능성이 아주 높으며, 이 탄소(C)가 유기물임을 추정하게 하는 근거의 한 특징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나노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1액형으로 하여 작물의 성장 및 결실 과정에 관주 및 엽면시비를 하는 이유는 각각의 물질을 따로 사용할 경우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는 경우를 절약하는 의미도 있겠으나, 유기게르마늄만 단독으로 관주 및 엽면시비를 할 경우 게르마늄이 생명체의 세포를 튼튼하게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곰팡이의 세포 증식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유기셀레늄을 함께 사용하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은 물론 작물에 각각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7)

  1.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유기 게르마늄과 유기 셀레늄을 물리적인 에너지(열 또는 압력)를 부가하는 방법, 전기적인 폭발에너지를 부가하는 방법, 및 화학적 결합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을 수행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한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나노 크기의 유기셀레늄을 작물의 성장 발육이 가장 왕성하게 되는 싯점과 결실을 이루기 위하여 성숙해 가는 시기에 적어도 2회 이상 관주 또는 엽면시비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조된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나노 크기의 유기셀레늄은 나노 크기 상태에서 물을 용매로 수분산이 된 1액형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게르마늄(Ge)은 그 입자크기가 1~100nm이고, 관주 또는 엽면시비의 최종 사용 농도가 수 중량대비 0.00001~0.005wt%(0.1~50ppm)이며, 상기 유기 셀레늄(Se)은 그 입자크기가 1~70nm이고, 관주 또는 엽면시비의 최종 사용 농도가 수 중량대비 0.00001~0.004wt%(0.1~4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게르마늄은 그 순도가 99% 이상의 유기게르마늄(Organic Germanium)으로, 특히 {비스카르복시에틸게르마늄세스퀴옥싸이드, bis(2-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Ge(=O)CH2CH2CO2H]2}, 효모균주를 이용한 유기게르마늄, 게르마늄화합물을 각각 기본 원료로 하여 물리적인 에너지(열 또는 압력)를 부가하는 공정, 전기적인 폭발에너지를 부가하는 공정, 및 화학적 결합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한 나노유기게르마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르마늄 화합물은 [Germanium chloride ; GeCl4, Germanium chloride dioxane commlex ;C4H8Cl2GeO2, Gemanium fluoride ; GeF4, Germanium iodide ; GeI2, GeI4, Germanium isopropoxide ;Ge(OCH(CH3)2)3, Germanium methoxide ; Ge(OCH3)4, Germanium nitride ; Ge3N4, Germanium oxide ; GeO2,Germanium selenide ; GeSe, GeSe2, Germanium sulfide ; GeS]의 원료 물질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해리(解離)(dissociation)하고 이온을 환원(還元)(reduction)시켜 게르마늄(Ge)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셀레늄은 셀레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셀레늄 화합물은 (Selenium oxychloride ; SeOCl2, Selenium sulfide ; SeS2, Seleniumtetrachloride ; SeCl4, Selono-L-cystine ; C6H12N2O4Se2, Seleno-L-methionine ; CH3SeCH2CH2CH(NH2)CO2H,Selenophene ; C4H4Se, Selenous acid ; H2SeO3, Germanium selenide ; GeSe, GeSe2)의 원료 물질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해리(解離)(dissociation)하고 이온을 환원(還元)(reduction)시켜 셀레늄을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사용되어지는 첨가제(또는 환원제)로는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토코페놀(tocopherol), 유기산[organic acids(포름산; form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아세트산; acetic acid, 말레산; maleic acid, 탄소수 4이하인 유기산), 메틸에탄올아민(methylethanolamine; HOCH2CH2N(CH3)2)]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유기화하여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산 안정제를 평균 분자량이 40,000인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tearate), 폴리비닐부틸알(polyvinyl Butylal), 폴리비닐알코올(polybinyl alcoh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L-아르지닌(L-Arginine), L-트레오닌(L-Threonine), L-알라닌(L-Alan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물질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나노 크기의 유기게르마늄과 유기셀레늄을 각각 제조 후 물을 용매로 일정비율로 혼합하여도 안정성이 유지되면서 1액형으로 수분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KR1020210011922A 2020-01-28 2021-01-27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KR10233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09394.5A CN114945272A (zh) 2020-01-28 2021-01-28 利用纳米有机锗及纳米有机硒的功能作物栽培方法
EP21747143.2A EP4098105A4 (en) 2020-01-28 2021-01-28 METHOD FOR CULTIVATING FUNCTIONAL CROPS USING NANO-ORGANIC GERMANIUM AND NANO-ORGANIC SELENIUM
PCT/KR2021/001124 WO2021154001A1 (ko) 2020-01-28 2021-01-28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US17/794,812 US20230078468A1 (en) 2020-01-28 2021-01-28 Method for cultivating functional crops using nano organic germanium and nano organic selenium
JP2022545894A JP7354457B2 (ja) 2020-01-28 2021-01-28 ナノ有機ゲルマニウム及びナノ有機セレンを用いた機能性作物の栽培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064 2020-01-28
KR20200010064 2020-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75A true KR20210096575A (ko) 2021-08-05
KR102332750B1 KR102332750B1 (ko) 2021-12-01

Family

ID=7731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22A KR102332750B1 (ko) 2020-01-28 2021-01-27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6963A (zh) * 2021-08-31 2022-01-11 贵州蔚源中药材产业开发有限公司 一种富硒鱼腥草的规模化种植方法
KR20230031098A (ko) * 2021-08-26 2023-03-07 박상진 액상 킬레이트 복합 유기 게르마늄의 제조방법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1891A1 (en) * 1994-10-31 1997-10-22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Hydroponic method for plants and apparatus used therefor
KR20040071086A (ko) * 2004-06-09 2004-08-11 김현채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동시에 함유된 식용, 약용, 식물류의재배방법
KR100451397B1 (ko) * 2003-10-15 2004-10-08 고대영 유기셀레늄이 함유된 콩나물
KR20050010990A (ko) * 2005-01-06 2005-01-28 김현채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함유된 발아현미의 제조방법
KR20050080374A (ko) * 2004-02-09 2005-08-12 (주)대 유 셀레늄 복합비료
KR100612641B1 (ko) * 2005-08-18 2006-08-14 이봉규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KR20060122034A (ko) * 2005-05-25 2006-11-30 정정철 기능성 유기질비료 제조방법
KR20070102200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한국애그로바이오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이로부터제조된 액상비료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CN102150538A (zh) * 2010-12-09 2011-08-17 苏州硒谷科技有限公司 富硒水稻秧苗、其培育方法及生产的富有机硒大米
KR20110103090A (ko) *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신광나노기술연구소 액상복합비료
KR20160135085A (ko) * 2015-05-16 2016-11-24 김인상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농작물용 액비(液肥)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358732A (zh) * 2018-05-28 2018-08-03 张森森 一种富锗富硒保健有机肥料
CN109089736A (zh) * 2018-09-20 2018-12-28 南通蛇类治疗研究所 工农业废矿渣秸秆培育富硒锗草菇
CN109180264A (zh) * 2018-09-20 2019-01-11 南通蛇类治疗研究所 发酵培养富硒锗腐熟菌微肥
CN109305838A (zh) * 2018-09-14 2019-02-0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提高苹果果实内有机锗含量的方法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1891A1 (en) * 1994-10-31 1997-10-22 Nippon Carbide Kogyo Kabushiki Kaisha Hydroponic method for plants and apparatus used therefor
KR100451397B1 (ko) * 2003-10-15 2004-10-08 고대영 유기셀레늄이 함유된 콩나물
KR20050080374A (ko) * 2004-02-09 2005-08-12 (주)대 유 셀레늄 복합비료
KR20040071086A (ko) * 2004-06-09 2004-08-11 김현채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동시에 함유된 식용, 약용, 식물류의재배방법
KR20050010990A (ko) * 2005-01-06 2005-01-28 김현채 게르마늄과 셀레늄이 함유된 발아현미의 제조방법
KR20060122034A (ko) * 2005-05-25 2006-11-30 정정철 기능성 유기질비료 제조방법
KR100612641B1 (ko) * 2005-08-18 2006-08-14 이봉규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KR20070102200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한국애그로바이오 게르마늄 및 셀레늄 함유 액상비료의 제조방법, 이로부터제조된 액상비료 및 이를 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KR20110103090A (ko) *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신광나노기술연구소 액상복합비료
CN102150538A (zh) * 2010-12-09 2011-08-17 苏州硒谷科技有限公司 富硒水稻秧苗、其培育方法及生产的富有机硒大米
KR20160135085A (ko) * 2015-05-16 2016-11-24 김인상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농작물용 액비(液肥)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358732A (zh) * 2018-05-28 2018-08-03 张森森 一种富锗富硒保健有机肥料
CN109305838A (zh) * 2018-09-14 2019-02-0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提高苹果果实内有机锗含量的方法
CN109089736A (zh) * 2018-09-20 2018-12-28 南通蛇类治疗研究所 工农业废矿渣秸秆培育富硒锗草菇
CN109180264A (zh) * 2018-09-20 2019-01-11 南通蛇类治疗研究所 发酵培养富硒锗腐熟菌微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098A (ko) * 2021-08-26 2023-03-07 박상진 액상 킬레이트 복합 유기 게르마늄의 제조방법
CN113906963A (zh) * 2021-08-31 2022-01-11 贵州蔚源中药材产业开发有限公司 一种富硒鱼腥草的规模化种植方法
CN113906963B (zh) * 2021-08-31 2023-08-29 南京吉才汇科技有限公司 一种富硒鱼腥草的规模化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50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750B1 (ko)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US4846870A (en) Fertilizer and/or soil amendment
CN112703849B (zh) 一种茶叶种植土壤改良的方法
KR101764260B1 (ko) 수분산 나노 유황이 함유된 액체비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3639456B2 (ja) 植物生長促進剤及び該植物生長促進剤を使用した肥料
RU2601578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всхожести семян пшеницы
RU2675485C1 (ru) Получ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агрохимической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полидисперсного хитозана
Huq et al. Bioremediation of arsenic toxicity by algae in rice culture
RU2279802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сельском хозяйстве и садоводстве
CN104488893B (zh) 一种含甲磺酰菌唑和植物生长调节剂的复配组合物及制剂
Gammon Jr et al. Soil factors affecting molybdenum uptake by cauliflower
JPH10218707A (ja) 土壌・植物散布液組成物
US6548288B2 (en) Method for producing high density antagonistic microbe base material and high density antagonistic microbes produced by the same
CN112296329B (zh) 具有核壳结构的纳米粉体材料在促进作物生长、提高作物产量和提升作物品质中的应用
CN111592405B (zh) 一种抗小麦干热风和白粉病的有机水溶肥及其制备与应用
WO2021154001A4 (ko) 나노유기게르마늄 및 나노유기셀레늄을 이용한 기능성 작물의 재배방법
Byczyńska et al. Colloidal silver nanoparticles enhance bulb yield and alleviate the adverse effect of saline stress on lily plants
RU2792886C1 (ru)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CN114833189B (zh) 一种净化剂及其制备工艺和应用
RU2751117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яровой пшеницы
DE2156676C3 (de) Mittel zur Wachstumsförderung von Pflanzen und Tieren
WO2001052869A2 (de) Präparat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clerotinia-infektionen
RU2108707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иса
Shahzad et al.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ilver nanoparticles trigger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L.) fruits
AKANBI-GADA EFFECTS OF COPPER AND ZINC-OXIDE NANOPARTICLES ON GROWTH AND PRODUCTIVITY OF Solanum lycopersicum L. and Phaseolus vulgaris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