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101A - 시트 포장체 - Google Patents

시트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101A
KR20210096101A KR1020217016052A KR20217016052A KR20210096101A KR 20210096101 A KR20210096101 A KR 20210096101A KR 1020217016052 A KR1020217016052 A KR 1020217016052A KR 20217016052 A KR20217016052 A KR 20217016052A KR 20210096101 A KR20210096101 A KR 20210096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lit
opening
packaging bag
e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헤이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적층된 복수 장의 시트와, 상기 시트가 수용된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인출되는 취출구를 갖고, 상기 취출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 시트 포장체.

Description

시트 포장체
본 발명은, 시트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티슈 페이퍼 등의 위생 박엽지는, 카톤 (두꺼운 종이의 박스) 에 수용된 것이 보급되어 있다. 그런데, 카톤 타입의 위생 박엽지는, 운반이나 보관시에 부피가 커지는 것이나, 사용 후의 폐기, 환경 부하, 비용 등의 문제가 있는 점에서, 최근, 위생 박엽지 등의 시트가 가요성의 필름 포장백에 수용된 시트 포장체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위생 용지가 수용된 가요성 필름의 포장백에, 위생 용지를 취출하기 위한 슬릿 (절취선) 이 형성된 필름 포장체가 개시되어 있다 (도 8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88092호
그러나, 종래의 시트 포장체는, 절취선 등의 슬릿으로 형성된 취출구가 좁아, 포장백 내로부터 박엽지 (시트) 를 취출할 때에, 취출구가 잘 열리지 않는다. 또, 시트를 취출할 때에, 시트가 취출구에 걸리거나 시트가 찢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도 8 참조). 또, 필름 포장백에 슬릿으로 형성된 취출구에서는, 사용 중에 시트의 유지력이 저하되어, 시트가 포장백 내로 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필름 포장백은 카톤에 비해 경량이기 때문에, 사용 중에 남은 시트가 적어지면, 시트를 취출할 때에 필름 포장백째 들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트 포장체는, 시트의 취출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의 취출이 우수한 시트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양태는, 적층된 복수 장의 시트와, 상기 시트가 수용된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인출되는 취출구를 갖고, 상기 취출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 시트 포장체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시트의 취출이 우수한 시트 포장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 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높이 방향의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취출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취출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높이 방향의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취출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은, 종래의 시트 포장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설명에서는,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도면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축척은 실제와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높이 방향의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취출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 (좌우 방향) 을 X 방향으로 하고, 안길이 방향 (전후 방향) 을 Y 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 (상하 방향) 을 Z 방향으로 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ST), 포장백 (10), 및 취출구 (20) 를 갖는다. 시트 포장체 (100)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의 일례이다. 또, 시트 (ST), 포장백 (10), 및 취출구 (20)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를 각각 구성하는 시트, 포장백, 및 취출구의 각 일례이다.
시트 (ST) 는, 복수 장의 시트 (ST) 가 적층된 적층체 (SL) 로서 포장백 (10) 에 수용되어 있다. 시트 (ST) 의 적층체 (SL) 는, 시트 (ST) 의 적층 방향 (SD 방향) 이 높이 방향 (Z 방향) 이 되도록, 포장백 (10) 에 수용되어 있다. 시트 적층체 (SL) 는, 포장백 (10) 에 형성된 취출구 (20) (OP) 를 통해 시트 (ST) 가 1 세트씩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참조).
시트 (ST) 의 적층체 (SL) 는, 복수 장의 시트 (ST) 가 단순히 적층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시트 (ST) 가 접힌 상태로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각 시트 (ST) 가 끼워넣어진 상태로 엇갈리게 적층된 것 (이른바 팝업식의 시트 적층체 (SL)) 이어도 된다. 또한, 시트 (ST) 의 적층체 (SL) 는, 시트 (ST) 를 1 세트씩 인출하는 관점에서, 팝업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적층체 (SL)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트 (ST) 의 적층체 (SL) 의 치수는, 시트 포장체 (100) 의 길이 방향 (X 방향) 의 길이가 80 ∼ 250 ㎜ 정도, 상면에서 봤을 때 시트 포장체 (100) 의 길이 방향 (X 방향) 에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Y 방향) 의 길이가 50 ∼ 130 ㎜ 정도, 높이 방향 (Z 방향) 이 10 ∼ 90 ㎜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엽지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로터리식 또는 멀티스탠드식 인터폴더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시트 (ST) 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티슈 페이퍼, 토일렛 페이퍼, 키친 페이퍼, 페이퍼 타올 등의 위생 박엽지에 적용 가능하다. 이들의 위생 박엽지에는, 보습 성분을 포함한 위생 박엽지 (예를 들어, 로션 티슈 등) 도 포함된다. 또, 시트 (ST) 를 구성하는 위생 박엽지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산업용, 가정용, 휴대용 중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는, 이들 중에서도, 가정용 티슈 페이퍼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시트 (ST) 의 플라이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 플라이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플라이 (2 장 중첩) 이다. 또, 시트 (ST)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플라이의 시트가 접힌 상태로 윤곽 형상이 장방형인 것임이 바람직하다.
시트 (ST) 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종이, 부직포 또는 천 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종이 시트이다. 또한, 시트 (ST) 가 종이 시트인 경우, 펄프를 주원료로 하는 원지가 사용된다. 펄프 조성은, 종이 시트에 있어서의 공지된 조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펄프의 배합 비율을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로 할 수 있다.
또, 시트 (ST) (종이 시트) 에 있어서의 펄프 조성은, 예를 들어, NBKP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나 NUKP (침엽수 미표백 펄프) 등의 침엽수 펄프와, LBKP (광엽수 크라프트 펄프) 나 LUKP (광엽수 미표백 펄프) 등의 광엽수 펄프를 임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엽수 펄프에 대해 침엽수 펄프의 비율이 보다 많은 펄프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침엽수 펄프와 광엽수 펄프의 비는, 10 : 90 ∼ 80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ST) (종이 시트) 의 펄프 조성에 포함되는 펄프에는, 리사이클 페이퍼 펄프를 사용해도 된다.
시트 (ST) 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라이수에 따라, 종이의 경우에는 10 g/㎡ 이상 80 g/㎡ 이하, 부직포의 경우에는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량은, JIS P 8124 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또, 시트 (ST) (종이 시트)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JIS P 8111 (1998) 의 환경하에서 측정된 종이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ST) 를 구성하는 종이 시트의 종이 두께는, 2 플라이당,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5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330 ㎛ 이하이다.
또한, 종이 두께의 측정 방법은, 시험편을 JIS P 8111 (1998) 의 조건하에서 충분히 조습한 후, 동조건하에서 다이얼 식크니스 게이지 (두께 측정기) 「PEACOCK G 형」 (오자키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2 플라이 상태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와 측정대 사이에 먼지, 티끌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플런저를 측정대 위에 놓고, 그 다이얼 식크니스 게이지의 메모리를 이동시켜 제로점을 맞춘다. 이어서, 플런저를 올려 시료를 시험대 위에 놓고, 플런저를 천천히 내렸을 때의 게이지를 판독한다. 이 때, 플런저는 얹는 것만으로 한다. 플런저의 단자는 금속제이며 직경 10 ㎜ 의 원형의 평면이 종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닿도록 한다. 또, 종이 두께 측정시의 하중은, 약 70 gf 이다. 또한, 종이 두께는, 측정을 10 회 실시하여 얻어지는 평균값으로 한다.
또, 시트 (ST) 를 구성하는 종이 시트에는,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엠보스 가공은, 공지된 컨택트 엠보스 부여 방법, 에지 엠보스 부여 방법 등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엠보스를 종이 시트 양단에 대고 눌러, 복수 장의 종이 시트를 적층하는 것, 공지된 핀 엠보스 부여 방법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핀을 종이 시트에 찔러, 종이 시트의 일방의 면 상에 핀 엠보스를 형성하는 것, 공지된 엠보스 부여 방법에 의해, 수용성의 접착제 (전분 등) 를 가열 융해하여, 적층된 종이 시트 (도시하지 않음) 를 접착함으로써 엠보스를 형성하는 것 등이 있다.
시트 포장체 (100) 를 구성하는 포장백 (10) 은,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포장백 (10) 은, 캐러멜 포장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筒狀) 의 가요성 필름의 양 단부가, 접혀 접착 (봉지) 된 시일부 (30, 40)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포장체 (100) 의 포장 형태는, 이와 같은 캐러멜 포장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가요성 필름의 양 단부 또는 어느 일방의 단부가 히트시일로 거싯상으로 봉지된 것 (이른바 필로우 포장으로 봉지된 것) 이어도 된다.
또, 포장백 (10) 을 형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스티렌 (PS), 폴리염화비닐 (PVC),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폴리아미드 (PA)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가요성 필름 중에서도, 유연하고 취급성이 우수하고, 히트시일한 경우의 시일성도 높은 것, 저렴한 것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 무취이고, 내수성·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관점에서,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견뢰하고, 성형하기 쉬우며, 인쇄시의 발색이 양호하고, 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는 것 등의 관점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포장백 (10) 을 형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술한 수지가 단층으로 형성된 단층 필름, 상기 서술한 수지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필름, 상기 서술한 2 종류 이상의 수지의 혼합물로 형성된 혼합 필름이어도 된다.
포장백 (10) 을 형성하는 가요성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70 ㎛ 이하이다. 가요성 필름의 두께를 2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시트 (ST) 가 수용되는 포장백 (10) 으로서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가요성 필름의 두께를 100 ㎛ 이하로 함으로써, 포장백 (10) 의 유연성 및 경량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장백 (10) 을 형성하는 재질은, 상기 서술한 가요성 필름 등의 수지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종이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또, 포장백 (10) 을 형성하는 재질에는, 생분해성 재료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분해성 종이 등), 바이오매스 재료 (바이오매스 필름 등의 재생 가능한 생물 유래의 유기성 자원으로 화석 자원을 제외한 것)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 (10) 은, 상면 (11), 하면 (12), 정면 (13), 배면 (14), 측면 (15), 측면 (16) 을 갖고, 시트 (ST) 의 적층체 (SL) 가 수납된다. 또한,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11) 과 하면 (12) 이 상하 방향 (Z 방향) 에 대향하고, 정면 (13) 과 배면 (14) 이 전후 방향 (Y 방향) 에 대향하고, 측면 (15) 과 측면 (16) 이 좌우 방향 (X 방향) 에 대향한다.
포장백 (10) 에 있어서, 상면 (11) 은 상하 방향 (Z 방향) 의 상방에 형성되고, 하면 (12) 은 상하 방향 (Z 방향) 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정면 (13) 은 전후 방향 (Y 방향) 의 전방에 형성되고, 배면 (14) 은 전후 방향 (Y 방향) 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 (15) 은 좌우 방향 (Y 방향) 의 좌방에 형성되고, 측면 (16) 은, 좌우 방향 (Y 방향) 의 우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 (15) 및 측면 (16) 은, 상면 (11), 하면 (12), 정면 (13), 및 배면 (14) 중 어느 것에도 연속한다 (도 1 참조).
또, 취출구 (20) 는,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 (20) 는, 시트 포장체 (100) 의 길이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포장백 (10) 의 상면 (11) 의 중앙 (11a) 에 배치되고,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가 연장되는 제 1 방향 (X 방향) 은, 시트 포장체 (100) 의 길이 방향 (X 방향) 에 대응한다.
취출구 (20) 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절취선 (M) 을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절취선 (M) 으로 형성된 취출구 (20) 를 찢음으로써, 포장백 (10) 의 상면 (11) 이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개봉되고, 찢어진 (개봉된) 취출구 (20) 가 시트 (ST) 의 취출구 (OP) 를 구성한다 (도 4 참조).
또한,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 취출구 (20) (절취선 (M)) 의 치수 (길이 (L2)) 는, 취출되는 시트 (ST) 의 치수 (길이 (L1)) 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취출구 (OP) 의 길이 (L2) 와 시트 (ST) 의 폭 치수 (길이 (L1)) 의 차는, -100 ㎜ 이상 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10 ㎜ 이하이다. 이들을, 좌우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시트 (ST) 의 폭 치수 (길이 (L1)) 에 대한 취출구 (OP) 의 길이 (L2) 의 비율로 환산하면, 10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75 %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취출구 (20) 가, 슬릿 (21) 과 개구부 (22) 를 갖는다. 슬릿 (21) 과 개구부 (22) 가 연속하는 절취선 (M) 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속하는 절취선 (M) 은, 절취선 (M) 을 구성하는 컷부 (C) 와 타이부 (T) 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컷부 (C) 는, 포장백 (10) 의 상면 (11) 이 단속적으로 컷된 부분을 나타내고, 타이부 (T) 는, 이웃하는 2 개의 컷부 (C) 사이의 컷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도 3 참조).
또한, 절취선 (M) 에 있어서, 컷부 (C) 의 길이, 및 타이부 (T) 의 길이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각 컷부 (C) 의 길이는, 0.8 ㎜ 이상 5 ㎜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4.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3.5 ㎜ 이하이다. 또, 각 타이부 (T) 의 길이는, 0.3 ㎜ 이상 5 ㎜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 2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1.5 ㎜ 이하이다.
슬릿 (21) 은,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 (21) 의 형상은,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가늘고 긴 장방형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슬릿 (21) 이 직선인 경우에는, 1 개의 절취선을 찢음으로써 형성되고, 슬릿 (21) 이 가늘고 긴 장방형인 경우에는, 제 2 방향 (Y 방향) 으로 나열된 2 개의 절취선을 찢음으로써 형성된다. 또, 슬릿 (21) 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있어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슬릿 (21) 의 길이 (L3) 는, 시트 (ST) 의 치수 (길이 (L1)) 의 3 분의 1 정도를 차지하는 길이를 나타낸다.
개구부 (22) 는, 슬릿 (21) 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 (21a) 와 연속 (또는 연통)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22) 가 슬릿 (21) 의 양 단부 (21a, 21a) 에 형성되어 각 단부 (21a) 와 연속하고 있다. 또한, 슬릿 (21) 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 (21a) 와 연속하는 개구부 (22) 는,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개구부 (22) 가 슬릿 (21) 의 양 단부 (21a, 21a) 중 어느 일방의 단부 (21a) 에 형성되어 그 일방의 단부 (21a) 와 연속하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개구부 (2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형, 부채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방향 (X 방향) 과 교차하는 제 2 방향 (Y 방향) 에 있어서, 개구부 (22) 의 폭 (W3) 이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크다. 여기서, 제 2 방향 (Y 방향) 은, 시트 포장체 (100) 의 안길이 방향 (Y 방향) 에 대응한다 (도 1, 도 2 참조). 또, 취출구 (20) 를 구성하는 슬릿 (21) 및 개구부 (22) 의 각 폭 (W2, W3) 은, 모두 제 1 방향 (X 방향) 과 교차하는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을 나타낸다.
또한, 슬릿 (21) 의 폭 (W2) 및 개구부 (22) 의 폭 (W3) 은, 개구부 (22) 의 폭 (W3) 이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큰 것인 한 임의이다. 예를 들어, 슬릿 (21) 의 폭 (W2) 은, 시트 (ST) 의 치수 (폭 (W1)) 의 7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또, 개구부 (22) 의 폭 (W3) 은, 시트 (ST) 의 치수 (폭 (W1)) 의 8 % 이상 3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29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 이상 28 % 이하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는,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20) 에 있어서, 개구부 (22) 의 폭 (W3) 이,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슬릿 (21)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진다. 즉,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취출구 (20) 는,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슬릿 (21)) 측으로부터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개구부 (22)) 측을 향하여 서서히 광폭으로 되어 있다 (도 2, 도 3 참조). 구체적으로는, 개구부 (22) 가, 2 개의 경사부 (22a) 를 갖고, 2 개의 경사부 (22a) 의 제 2 방향 (Y 방향) 의 간격이,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측으로부터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측을 향하여 커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20) 의 개구부 (22) 가,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 슬릿 (21)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부 (22b) 를 갖는다. 즉,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취출구 (20) 에 있어서, 개구부 (22) 가 형성된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가,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슬릿 (21)) 측으로부터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개구부 (22)) 측을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 2, 도 3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는, 개구부 (22) 의 일부가 볼록상으로 만곡되어 있지만, 개구부 (22) 의 전부가 볼록상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는, 연속하는 절입 (CC) 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는, 컷부만으로 형성되고, 타이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3 참조).
제 1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취출구 (20) 에, 슬릿 (21) 의 양 단부 (21a, 21a) 와 연속하는 개구부 (22, 22) 가,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큰 폭 (W3) 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10) 내로부터 박엽지 (시트 (ST)) 를 인출할 때에, 시트 (ST) 가 취출구 (20) 에 잘 걸리지 않고, 또 시트 (ST) 가 잘 찢어지지 않는다 (도 4 참조).
구체적으로는, 취출구 (20) 가 슬릿 (21) 만으로 구성된 종래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취출구 (20) 가 좁기 때문에, 시트 (ST) 가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에 막히거나, 시트 (ST) 가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와 마찰되는 경향이 있다 (도 8 참조).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슬릿 (21)) 에 대해 단부 (20b) (개구부 (22)) 가 광폭이 된다 (도 1 ∼ 도 3 참조).
이로써, 취출구 (20) 가 좁아도, 시트 (ST) 가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에 잘 막히지 않아,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와 시트 (ST) 의 마찰을 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 의하면, 시트 (ST) 를 인출할 때에,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에 시트 (ST) 가 걸리거나, 시트 (ST) 가 찢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 (21) 의 단부 (21a, 21a) 와 연속하는 개구부 (22) 가, 취출구 (20) 에 있어서의 완충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개봉된 취출구 (20) 의 슬릿 (21) 을 손끝으로 열 때에, 취출구 (20) 및 그 주변에 가해지는 응력을 개구부 (22) (완충부) 로 빠져나가게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개봉된 슬릿 (21) 을 손끝으로 열기 쉬워져, 포장백 (10) 내로부터의 시트 (ST) 의 취출 (포장백 (10) 에 수용된 시트 (ST) 의 최초의 1 장째를 취출하는 것 등) 이 용이해진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슬릿 (21) 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 (21a) 와 연속하는 개구부 (22) (완충부) 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사용시에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슬릿 (21)) 에 유지된 시트 (ST) 의 자중에 대해, 슬릿 (21) 의 주변이 휠 (또는 시트 (ST) 의 자중에 추종하여 슬릿 (21) 이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의 시트 (ST) 의 유지력이 유지되어, 사용 중에 시트 (ST) 가 포장백 (10) 내로 빠지는 것 (이하, 시트 (ST) 의 빠짐이라고 한다) 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와 시트 (ST) 의 마찰이 완화됨으로써, 사용시에 시트 포장체 (100) 의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가 잘 찢어지지 않게 된다. 이로써, 취출구 (20) 에 있어서의 시트 (ST) 의 유지력의 저하가 억제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시트 (ST) 가 포장백 (10) 내로 빠지는 것 (이하, 시트 (ST) 의 빠짐이라고 한다) 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포장체 (100) 의 사용시에 취출구 (20) 의 슬릿 (21) 으로부터 시트 (ST) 를 취출할 (또는 인출할) 때에 슬릿 (21) 에 가해지는 마찰력 (또는 저항력) 을, 개구부 (22) (완충부) 로 빠져나가게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 중에 남은 시트 (ST) 가 적어져도 (즉 시트 포장체 (100) 의 중량이 가벼워져도), 시트 (ST) 를 취출할 때에 포장백 (10) 째 들리는 것 (이하, 포장백 (10) 의 들림이라고 한다) 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 (21) 의 양 단부 (21a, 21a) 에, 제 2 방향 (Y 방향) 에 있어서 슬릿 (21) 보다 광폭의 개구부 (22)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취출구 (20) 의 길이 (L2) (취출구의 형성 에어리어) 를 짧게 해도, 포장백의 들림을 방지하면서, 또한 시트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큰 폭 (W3) 을 갖는 개구부 (22)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취출구 (20) 로부터 시트 포장체 (100) 의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시트 포장체 (100) 와 같이 시트 (ST) 가 포장백 (10) 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시트 (ST) 의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슬릿 (21)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개구부 (22) 의 폭 (W3) 이 커짐으로써,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슬릿 (21)) 및 그 주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충부가 되는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개구부 (22)) 로 서서히 빠져나가게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슬릿 (21)) 등에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 슬릿 (21) 의 주변이 적당히 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시트 (ST) 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시트 (ST) 의 빠짐과, 포장백 (10) 의 들림을 양호한 밸런스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출구 (20) 에 형성된 개구부 (22) 가 만곡부 (22b) 를 가짐으로써,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에서 시트 (ST) 가 더욱 잘 막히지 않게 되어, 취출구 (20) 의 단부 (20b) 와 시트 (ST) 의 마찰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이와 같은 만곡부 (22b) 를 갖는 개구부 (22) 가 형성된 부분이 그래빙 마진을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슬릿 (21) 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 (21a) 에 개구부 (22) 를 형성해도, 그 개구부 (22) 에 대응하는 그래빙 마진에 의해 취출구 (20) 의 개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개구부 (22) 가 형성된 부분이 그래빙 마진을 구성하는 경우,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에 대응하여, 그래빙 마진에도 만곡부 (22b) 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 참조). 이로써, 취출구 (20) 를 개봉할 때에,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를 집음으로써, 그래빙 마진을 집기 쉬워진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슬릿 (21) 의 단부 (21a) 와 연속하는 개구부 (22) 를 형성한 경우에, 취출구 (20) 의 개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가 연속하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구 (20) 를 개봉할 때에,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에 손가락이 걸리기 쉬워진다 (도 3 참조).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슬릿 (21) 의 단부 (21a) 와 연속하는 개구부 (22) 를 형성한 경우에, 취출구 (20) 의 개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출구 (20) 를 구성하는 슬릿 (21) 과 개구부 (22) 가, 연속하는 절취선 (M) 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연속하는 절취선 (M) 을 찢음으로써, 슬릿 (21) 과 개구부 (22) 가 연속하는 취출구 (20) 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도 1 ∼ 도 4 참조).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가, 타이부 (22c) 를 갖는 절입 (TC)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타이부 (22c) 를 갖는 절입 (TC) 은, 절입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가, 그래빙 마진 이외의 포장체의 상면 (11) 과 타이부 (22c) 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5 참조).
또,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취출구 (20) 의 개구부 (22) 에 있어서, 만곡부 (22b) 의 타이부 (22c) 가,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슬릿 (21) 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부 (22b) 의 타이부 (22c) 가,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를 구성하는 절입 (TC) 에 있어서 제 1 방향 (X 방향) 과 중첩되는 부분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의 정부 (頂部)) 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가 연속하는 절입 (CC) 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가 말려 올라가, 시트 포장체 (100) 의 제조시나 사용 전에 취출구 (20) 가 개봉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도 3 참조). 이에 반하여,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만곡부 (22b) 를 구성하는 절입 (TC) 이 타이부 (22c) 를 갖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만곡부 (22b) 의 말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참조).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에서는, 제 1 방향 (X 방향) 과 중첩되는 부분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의 정부) 이 가장 말리기 쉽다. 이에 반하여,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만곡부 (22b) 를 구성하는 절입 (TC) 의 타이부 (22c) 가,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슬릿 (21) 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의 말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입 (TC) 의 타이부 (22c) 는,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슬릿 (21) 의 연장선 상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 (슬릿 (21) 의 연장선 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 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에 손가락이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절입 (TC) 이 타이부 (22c) 를 갖는 경우에도, 취출구 (20) 의 개봉성이 향상된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를, 높이 방향의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시트 포장체에 있어서, 취출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의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를 구성하는 슬릿 (21) 과 개구부 (22) 가 절취선 (M) 으로 둘러싸여 있다. 즉, 취출구 (20) 는, 연속하는 절취선 (M) 으로 폐쇄된 범위에 형성되고, 이 범위에 슬릿 (21) 과 개구부 (22) 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 (22) 와 함께 절취선 (M) 으로 둘러싸인 슬릿 (21) 이, 제 2 방향 (Y 방향) 으로 폭 (W2) 을 갖는다 (도 6 참조). 또한, 슬릿 (21) 의 폭 (W2) 은, 시트 (ST) 의 치수 (폭 (W1)) 의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릿 (21) 과 함께 절취선 (M) 으로 둘러싸인 개구부 (22) 는, 폭 (W2) 보다 큰 폭 (W3) 을 가지고 슬릿 (21) 의 단부 (21a) 와 연속하고 있다 (도 7 참조).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취출구 (20) 를 구성하는 슬릿 (21) 과 개구부 (22) 가, 연속하는 절취선 (M) 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절취선 (M) 을 찢음으로써, 취출구 (20) 에 대해 1 개의 그래빙 마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의 개봉 후에 복수의 파단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취출구 (20) 에 대해 1 개의 그래빙 마진을 집는 것만으로 취출구 (20) 를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구 (20) 의 개봉이 용이하다 (도 6, 도 7 참조).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슬릿 (21) 이 이와 같은 제 2 방향 (Y 방향) 으로 폭 (W2) 의 치수를 갖는 취출구 (20) 의 일부를 구성함으로써, 개봉된 취출구 (20) (OP) 를 더욱 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취출구 (OP) 로부터의 시트 (ST) 의 취출 (포장백 (10) 에 수용된 시트 (ST) (시트 적층체 (SL)) 의 최초의 1 장째를 취출하는 것 등) 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시에 취출구 (20) (OP) 로부터 시트 (ST) 를 취출할 (또는 인발할) 때에 취출구 (20) 의 (슬릿 (21)) 에 가해지는 마찰력 (또는 저항력) 이 저감한다. 이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 중에 남은 시트 (ST) 가 적어져도, 포장백 (10) 의 들림을 높은 정밀도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출구 (20) 에 있어서의 개구부 (22) 의 폭 (W3) 이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크다. 즉, 취출구 (20) 에 있어서 개구부 (22) 가 형성되는 부분에, 취출구 (20) 의 중앙부 (20a) 에 대해 단부 (20b) 가 광폭이 되는 그래빙 마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취출구 (20) 에 있어서 슬릿 (21) 의 단부 (21a) 에 개구부 (22) 를 형성해도, 개구부 (22) 에 대응하는 그래빙 마진을 집어 취출구 (20) 를 개봉함으로써, 취출구 (20) 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실시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비교예의 평가는, 이하의 시험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트 포장체 (시험체)]
시험체로서, 복수 장의 시트 (ST) 가 적층된 시트 적층체 (SL) 가 포장백 (10) 에 포장된 시트 포장체 (100) 를 준비하였다 (도 1, 도 8 참조). 시트 적층체 (SL) 는, 시트 (ST) 가 교대로 접혀 팝업식으로 1 세트씩 인출할 수 있도록 적층된 티슈 페이퍼 (평량 : 10.7 g/㎡, 종이 두께 : 110 ㎛, 플라이수 : 2 플라이, 세트수 : 150 세트 (300 장), 치수 : 부피 (높이) 약 40 ㎜, 폭 (L1) (가로) 약 179 ㎜, 폭 (W1) (세로) 약 101 ㎜) 를 사용하였다. 또, 시트 적층체 (SL) 는, 적층 방향 (SD 방향) 이 시트 포장체 (100) 의 높이 방향 (Z 방향) 이 되도록 포장백 (10) 에 수용하였다 (도 1, 도 8 참조). 또, 포장백 (10) 의 재질은, 두께 50 ㎛ 의 폴리에틸렌 (PE) 을 사용하였다. 포장백 (10) 의 포장 형태는, 시트 포장체 (100) 의 양 측면 (15, 16) 을 캐러멜 포장으로 봉지하였다 (시일부 (30, 40) 를 형성하였다). 시트 포장체 (100) 를 구성하는 포장백 (10) 의 치수는, 길이 방향 (X 방향) 으로 약 181 ㎜, 안길이 방향 (Y 방향) 으로 약 101 ㎜, 높이 방향 (Z 방향) 으로 약 40 ㎜ 로 하였다. 또,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연장되는 취출구 (20) (절취선 (M)) 를 형성하였다.
[인출 저항값]
시트 포장체 (100) 의 인출 저항값을 확인하였다. 인출 저항값의 확인으로는, 상기 서술한 시험체 (시트 포장체 (100)) 를 평탄한 재치면 (載置面) 상에 두고, 포장백 (10) 의 취출구 (20) (OP) 로부터 1 세트째의 티슈 페이퍼 (시트 (ST)) 를 절반 정도 인출하고, 인출한 시트 (ST) 의 상방측의 선단 (시트 포장체 (100) 의 길이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 을 불독 클립 (고쿠요 주식회사 제조,「클리-17」) 으로 협지하였다. 불독 클립의 손잡이 부분의 일방의 구멍에 푸시풀 게이지 (주식회사 이마다 제조, 형번: Z2-20) 의 훅을 통과시키고, 0.4 ∼ 0.6 초의 시간에 걸쳐 일정 속도로,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대해 수직 방향 (Z 방향) 으로 티슈 페이퍼를 인출했을 때의 저항력 (단위: gf) 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출 저항값의 평가 기준은, 인출했을 때의 저항력이 200 gf 이하인 경우에는 양호한 (시트 (ST) 가 취출되기 쉽다) 것으로 하고, 200 gf 를 초과한 경우에는 양호하지 않은 (시트 (ST) 가 취출되기 어렵다) 것으로 하였다.
[취출성 (초기)]
시트 포장체 (100) 의 초기의 취출성을 확인하였다. 취출성 (초기) 의 확인으로는, 시트 포장체 (100) 의 포장백 (10) 에 수용된 시트 적층체 (SL) 로부터, 포장백 (10) 의 개봉된 취출구 (20) (OP) 를 통해 시트 적층체 (SL) 의 최초의 1 장째의 시트 (ST) 를 취출할 때 취출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취출성 (초기) 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취출성 (초기) 의 평가가 3 이상인 경우에는 양호한 (시트 (ST) 가 취출되기 쉽다) 것으로 하고, 3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하지 않은 (시트 (ST) 가 취출되기 어렵다) 것으로 하였다.
5 : 최초의 1 세트째가 매우 집기 쉽다
4 : 최초의 1 세트째가 집기 쉽다
3 : 최초의 1 세트째를 집을 수 있다
2 : 최초의 1 세트째를 집을 수 있지만 집기 어렵다
1 : 최초의 1 세트째를 집을 수 있지만 매우 집기 어렵다
[비빠짐성]
시트 포장체 (100) 의 포장백 (10) 에 수용된 시트 (ST) 의 비빠짐성을 확인하였다. 비빠짐성의 확인으로는, 포장백 (10) 의 취출구 (20) 를 통해 시트 적층체 (SL) 로부터 시트 (ST) 를 인출했을 때에, 시트 (ST) 가 포장백 (10) 내로 빠지지 않는지 (비빠짐성) 를 평가하였다. 비빠짐성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비빠짐성의 평가가 3 이상인 경우에는 양호한 (시트 (ST) 가 빠지기 어렵다) 것으로 하고, 3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하지 않은 (시트 (ST) 가 빠지기 쉽다) 것으로 하였다.
5 : 시트 (ST) 의 빠짐이 없다
4 : 시트 (ST) 의 빠짐이 1 회 이상 3 회 이하
3 : 시트 (ST) 의 빠짐이 4 회 이상 6 회 이하
2 : 시트 (ST) 의 빠짐이 7 회 이상 9 회 이하
1 : 시트 (ST) 의 빠짐이 10 회 이상
[비들림성]
시트 포장체 (100) 의 시트 (ST) 가 수용된 포장백 (10) 의 비들림성을 확인하였다. 비들림성의 확인으로는, 시트 포장체 (100) 의 취출구 (20) 를 통해 시트 적층체 (SL) 로부터 시트 (ST) 를 인출했을 때에, 포장백 (10) 이 들리지 않는지 (비들림성) 를 평가하였다. 비들림성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비들림성의 평가가 3 이상인 경우에는 양호한 (시트 (ST) 가 들리기 어렵다) 것으로 하고, 3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하지 않은 (시트 (ST) 가 들리기 쉽다) 것으로 하였다.
5 : 포장백 (10) 의 들림이 없다
4 : 시트 (ST) 가 남은 것이 1 세트 이상 3 세트 이하에서 포장백 (10) 의 들림이 있다
3 : 시트 (ST) 가 남은 것이 4 세트 이상 6 세트 이하에서 포장백 (10) 의 들림이 있다
2 : 시트 (ST) 가 남은 것이 7 세트 이상 9 세트 이하에서 포장백 (10) 의 들림이 있다
1 : 시트 (ST) 가 남은 것이 10 세트 이상에서 포장백 (10) 의 들림이 있다
[개봉성]
시트 포장체 (100) 의 포장백 (10) 의 개봉성을 확인하였다. 개봉성의 확인으로는,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그래빙 마진) 를 잡아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절취선 (M) 을 찢었을 때의, 개봉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개봉성의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개봉성의 평가가 3 이상인 경우에는 양호한 (취출구 (20) 를 개봉하기 쉽다) 것으로 하고, 3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하지 않은 (취출구 (20) 를 개봉하기 어렵다) 것으로 하였다.
5 :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그래빙 마진) 에 손가락이 간단히 걸리고, 개봉 후의 파단편이 1 개이다
4 :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그래빙 마진) 에 손가락이 걸리고, 개봉 후의 파단편이 1 개이다
3 :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그래빙 마진) 에 손가락이 걸리지만, 개봉 후의 파단편이 2 개이다
2 :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그래빙 마진) 에 손가락을 걸기 어렵다
1 : 취출구 (20) 의 단부 (20b) (그래빙 마진) 에 손가락을 걸 수 없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에, 제 1 방향 (X 방향) 으로 연장되는 슬릿 (21) 과, 슬릿 (21) 의 양 단부 (21a) (양 단) 와 각각 연속하는 개구부 (22) (개구) 를 형성한다. 제 2 방향 (Y 방향) 에 있어서, 개구부 (22) 의 폭 (W3) 은,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크게 하였다. 취출구 (20) 의 슬릿 (21) 의 형상을 직선으로 하고, 개구부 (22) 의 형상을 각각 부채형으로 하였다. 취출구 (20) 의 치수는,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2) 를 약 134 ㎜ 로 하였다. 또, 슬릿 (21) 의 치수는,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3) 를 약 114 ㎜ 로 하고,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 (W2) 을 약 0.5 ㎜ 로 하였다. 또한 개구부 (22) 의 치수는, 각각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를 10 ㎜ 로 하고,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 (W3) 을 최대로 약 15.5 ㎜ 로 하였다. 또한, 시트 (ST) 의 길이 (L1) 에 대한 취출구 (20) 의 길이 (L2) 의 비율은 약 75 % 이다 (도 1, 도 2 참조). 이 시험체에 대하여, 인출 저항, 취출성 (초기), 비빠짐성, 및 비들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의 치수로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2) 를 약 116 ㎜ 로 하고, 슬릿 (21) 의 치수로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3) 를 약 96 ㎜ 로 하고, 시트 (ST) 의 길이 (L1) 에 대한 취출구 (20) 의 길이 (L2) 의 비율을 약 6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 (20) 의 슬릿 (21) 의 형상을 가늘고 긴 장방형으로 하고, 개구부 (22) 를 부채형으로 하고, 슬릿 (21) 의 치수로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3) 를 약 67 ㎜ 로 하고,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 (W2) 을 약 5 ㎜ 로 하고, 개구부 (22) 의 치수로서 각각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를 약 67 ㎜ 로 하고,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 (W3) 을 최대로 약 15.5 ㎜ 로 하고,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를 연속하는 절입 (CC) 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의 치수로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2) 를 약 116 ㎜ 로 하고, 슬릿 (21) 의 치수로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 (L3) 를 약 49 ㎜ 로 하고, 시트 (ST) 의 길이 (L1) 에 대한 취출구 (20) 의 길이 (L2) 의 비율을 약 6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를, 타이부 (22c) 를 갖는 절입 (TC) 으로 형성하고, 약 0.5 ㎜ 의 타이부 (22c) (만곡부 타이) 를 제 1 방향 (X 방향) 과 중첩되는 부분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 (22b) 의 정부) 에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상의 취출구 (20) 에 슬릿 (21) 만 형성하고 (개구부 (22) 를 형성하지 않고), 취출구 (20) (슬릿 (21)) 의 치수로서 제 1 방향 (X 방향) 의 길이를 약 134 ㎜ 로 하고,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을 약 0.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참고예 1]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슬릿 (21)) 의 치수로서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을 약 5 ㎜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 로부터, 포장백 (10) 의 상면 (11) 에 형성된 취출구 (20) 가, 슬릿 (21) 의 양 단부 (21a) 와 각각 연속하는 개구부 (22) 를 갖고, 제 2 방향 (Y 방향) 에 있어서의 개구부 (22) 의 폭 (W3) 이 슬릿 (21) 의 폭 (W2) 보다 큰 시트 포장체 (100) 는, 인출 저항, 취출성 (초기), 비빠짐성, 비들림성, 및 개봉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실시예 1 ∼ 5).
한편,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에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이 약 0.5 ㎜ 인 슬릿 (21) 만 형성한 (개구부 (22) 를 형성하지 않은)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인출 저항, 취출성 (초기), 비빠짐성, 비들림성, 개봉성이 모두 양호하지 않았다 (비교예 1).
또, 시트 포장체 (100) 에 있어서, 취출구 (20) 에 제 2 방향 (Y 방향) 의 폭이 약 5 ㎜ 인 슬릿 (21) 만 형성한 (슬릿 (21) 의 단부 (21a) 에 슬릿 (21) 보다 광폭의 개구부 (22) 를 형성하지 않은) 시트 포장체 (100) 에서는, 개봉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참고예 1).
또, 슬릿 (21) 의 단부 (21a) 에 슬릿 (21) 보다 광폭의 개구부 (22)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취출구 (20) 의 길이 (L2) (취출구 (20) 의 형성 에어리어) 를 짧게 해도 (제 1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포장백 (10) 의 길이 (L1) 에 대한 취출구 (20) 의 길이 (L2) 의 비율이 약 75 % 에서 약 65 % 가 되어도), 비들림성을 거의 유지하면서, 비빠짐성이 향상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4).
또한 개구부 (22) 의 만곡부 (22b) 를, 타이부 (22c) 를 갖는 절입 (TC) 으로 형성함으로써, 만곡부 (22b) 의 말려 올라감 (시트 포장체 (100) 의 제조시나 사용 전에 취출구 (20) 가 개봉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들의 결과로부터,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과,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갖고,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이 슬릿의 폭보다 큰 시트 포장체는, 시트의 취출 및 취출구의 개봉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부가 기재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1 양태는, 적층된 복수 장의 시트와, 상기 시트가 수용된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인출되는 취출구를 갖고, 상기 취출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란, 개구부가 슬릿의 양 단부 중 어느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그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경우, 또는 개구부가 슬릿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각 단부와 연속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 취출구를 구성하는 슬릿 및 개구부의 각 폭은, 모두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폭을 나타낸다.
제 1 양태에서는,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에,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가, 슬릿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내로부터 박엽지 (시트) 를 취출할 때에, 시트가 취출구에 잘 걸리지 않고, 또 시트가 잘 찢어지지 않는다.
특히, 취출구가 슬릿만으로 구성된 종래의 시트 포장체에서는, 취출구가 좁기 때문에, 시트가 취출구의 단부에 막히거나, 시트가 취출구의 단부와 마찰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하여, 제 1 양태에서는,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의 중앙부 (슬릿) 에 대해 적어도 일방의 단부 (개구부) 가 광폭이 되기 때문에, 취출구가 좁아도, 시트가 취출구의 단부에 잘 막히지 않아, 취출구의 단부와 시트의 마찰을 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양태에서는, 시트를 취출할 때에, 취출구의 단부에 시트가 걸리거나 시트가 찢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가, 취출구에 있어서의 완충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개봉된 취출구의 슬릿을 손끝으로 열 때에, 취출구 및 그 주변에 가해지는 응력을 개구부 (완충부) 로 빠져나가게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양태에서는, 개봉된 슬릿을 손끝으로 열기 쉬워져, 포장백 내로부터의 시트의 취출 (포장백에 수용된 시트의 최초의 1 장째를 취출하는 것 등) 이 용이해진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 (완충부) 가 존재함으로써, 사용시에 취출구의 중앙부 (슬릿) 에 유지된 시트의 자중에 대해, 슬릿의 주변이 휠 (또는 시트의 자중에 추종하여 슬릿이 변형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의 시트의 유지력이 유지되어, 사용 중에 시트가 포장백 내로 빠지는 것 (이하, 시트의 빠짐이라고 한다) 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출구의 단부와 시트의 마찰이 완화됨으로써, 사용시에 시트 포장체의 취출구의 단부가 잘 찢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도, 취출구에 있어서의 시트의 유지력의 저하가 억제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시트가 포장백 내로 빠지는 것 (이하, 시트의 빠짐이라고 한다) 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사용시에 취출구의 슬릿으로부터 시트를 취출할 (또는 인출할) 때에 슬릿에 가해지는 마찰력 (또는 저항력) 을, 개구부 (완충부) 로 빠져나가게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양태에서는, 사용 중에 남은 시트가 적어져도 (즉 시트 포장체의 중량이 가벼워져도), 시트를 취출할 때에 포장백째 들리는 것 (이하, 포장백의 들림이라고 한다) 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양태에서는,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슬릿보다 광폭의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취출구의 길이 (취출구의 형성 에어리어) 를 짧게 해도, 포장백의 들림을 방지하면서, 또한 시트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슬릿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로부터 시트 포장체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시트 포장체와 같이 시트가 포장백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도, 시트의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2 양태는,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슬릿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슬릿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개구부의 폭이 커지는 것은,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가, 취출구의 중앙부 (슬릿) 측으로부터 취출구의 단부 (개구부) 측을 향하여 서서히 광폭이 되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양태에서는, 제 1 방향으로 슬릿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개구부의 폭이 커짐으로써, 취출구의 중앙부 (슬릿) 및 그 주변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충부가 되는 취출구의 단부 (개구부) 로 서서히 빠져나가게 (또는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또, 취출구의 중앙부 (슬릿) 등에 가해지는 응력에 대해, 슬릿의 주변이 적당히 휠 수 있다. 이로써, 제 2 양태에서는, 시트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면서, 시트의 빠짐과, 포장백의 들림을 양호한 밸런스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3 양태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부를 갖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슬릿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부는,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된 취출구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취출구의 단부가, 취출구의 중앙부 (슬릿) 측으로부터 취출구의 단부 (개구부) 측을 향하여 볼록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3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형성된 개구부가 이와 같은 만곡부를 가짐으로써, 취출구의 단부에서 시트가 보다 잘 막히지 않게 되어, 취출구의 단부와 시트의 마찰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또, 제 3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이와 같은 만곡부를 갖는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이 그래빙 마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3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해도, 그 개구부에 대응하는 그래빙 마진에 의해 취출구의 개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3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이 그래빙 마진을 구성하는 경우, 개구부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그래빙 마진에도 만곡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취출구를 개봉할 때에,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를 집음으로써, 그래빙 마진을 집기 쉬워진다. 이로써, 제 3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경우에, 취출구의 개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4 양태는, 상기 만곡부는, 연속하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속하는 절입이란, 만곡부가 컷부만으로 형성되어 타이부가 없는 것을 나타낸다.
제 4 양태에서는, 개구부의 만곡부가 연속하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출구를 개봉할 때에, 개구부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에 손가락이 걸리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제 4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형성한 경우에, 취출구의 개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5 양태는, 상기 만곡부는, 타이부를 갖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타이부를 갖는 절입이란, 절입이 연속하여 형성되지 않고, 개구부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가, 그래빙 마진 이외의 포장체의 상면과 타이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제 4 양태와 같이, 개구부의 만곡부가 연속하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개구부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가 말려 올라가, 시트 포장체의 제조시나 사용 전에 취출구가 개봉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5 양태에서는, 만곡부를 구성하는 절입이 타이부를 갖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만곡부의 말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6 양태는, 상기 타이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연장선 상이란, 개구부의 만곡부를 구성하는 절입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중첩되는 부분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의 정부) 과 중첩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개구부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에서는, 제 1 방향과 중첩되는 부분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의 정부) 이 가장 말려 올라가기 쉽다. 이에 반하여, 제 6 양태에서는, 만곡부를 구성하는 절입의 타이부가,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만곡부의 말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입의 타이부는,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슬릿의 연장선 상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 (슬릿의 연장선 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 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개구부의 만곡부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그래빙 마진의 만곡부에 손가락이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절입이 타이부를 갖는 경우에도, 취출구의 개봉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7 양태는, 상기 슬릿과 상기 개구부가 연속하는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속하는 절취선이란, 절취선을 구성하는 컷부와 타이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 7 양태에서는, 취출구를 구성하는 슬릿과 개구부가, 연속하는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절취선을 찢음으로써 슬릿과 개구부가 연속하는 취출구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 8 양태는, 상기 슬릿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절취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시트 포장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절취선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은, 연속하는 절취선으로 폐쇄된 범위에 취출구의 슬릿과 개구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8 양태에서는, 취출구를 구성하는 슬릿과 개구부가, 연속하는 절취선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절취선을 찢음으로써, 취출구에 대해 1 개의 그래빙 마진을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 8 양태에서는, 취출구의 개봉 후에 복수의 파단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취출구에 대해 1 개의 그래빙 마진을 집는 것만으로 취출구를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구의 개봉이 용이하다.
또, 제 8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의 개구부의 폭이 슬릿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취출구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되는 부분에, 취출구의 중앙부에 대해 적어도 일방의 단부가 광폭이 되는 그래빙 마진을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8 양태에서는, 취출구에 있어서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해도, 개구부에 대응하는 그래빙 마진을 집어 취출구를 개봉함으로써 취출구의 개봉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8년 11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223499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100 : 시트 포장체
ST : 시트 (위생 박엽지)
SL : 시트 적층체
10 : 포장백
11 : 상면
11a : 중앙
11b : 단부
12 : 하면
13 : 정면
14 : 배면
15 : 측면
16 : 측면
20 : 취출구
21 : 슬릿
21a : 단부
22 : 개구부
22a : 경사부
22b : 만곡부
22c : 타이부
30 : 시일부
40 : 시일부

Claims (8)

  1. 적층된 복수 장의 시트와,
    상기 시트가 수용된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트가 인출되는 취출구를 갖고,
    상기 취출구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와 연속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 시트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슬릿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커지는, 시트 포장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슬릿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만곡부를 갖는, 시트 포장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연속하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타이부를 갖는 절입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상기 개구부가 연속하는 절취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 포장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과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절취선으로 둘러싸여 있는, 시트 포장체.
KR1020217016052A 2018-11-29 2019-11-19 시트 포장체 KR20210096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3499 2018-11-29
JPJP-P-2018-223499 2018-11-29
PCT/JP2019/045313 WO2020110835A1 (ja) 2018-11-29 2019-11-19 シート包装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101A true KR20210096101A (ko) 2021-08-04

Family

ID=7085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052A KR20210096101A (ko) 2018-11-29 2019-11-19 시트 포장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00323A1 (ko)
EP (1) EP3889070A4 (ko)
JP (1) JPWO2020110835A1 (ko)
KR (1) KR20210096101A (ko)
CN (1) CN113165793A (ko)
BR (1) BR112021010183A2 (ko)
TW (1) TW202026212A (ko)
WO (1) WO2020110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02038B2 (ja) * 2020-01-31 2024-06-18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包装体
JP7317775B2 (ja) * 2020-08-26 2023-07-31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
JP2022086406A (ja) * 2020-11-30 2022-06-09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の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54667A (ja) * 2021-03-30 2022-10-13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体
JP2022156859A (ja) * 2021-03-31 2022-10-14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体
JP2022156860A (ja) * 2021-03-31 2022-10-14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体
JP2022190792A (ja) * 2021-06-15 2022-12-27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体
USD988025S1 (en) * 2022-11-29 2023-06-06 Valhaden, LLC Waste bag dispen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8092A (ja) 2015-03-30 2016-11-04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6634U (ko) * 1977-09-07 1979-03-31
JPS58143370U (ja) * 1982-03-20 1983-09-27 重広 愛子 ペ−パ−ケ−ス
JPS58171815U (ja) * 1982-05-12 1983-11-16 東山 徳雄 テイシユペ−パ−カバ−
JPS59172182U (ja) * 1983-04-30 1984-11-17 株式会社ネピア テイシユペ−パ−入り箱
JPH0364593U (ko) * 1989-10-27 1991-06-24
US5884804A (en) * 1996-05-20 1999-03-23 Kimberly-Clark Corporation Folded sheet dispenser
JP3511870B2 (ja) * 1997-10-29 2004-03-29 王子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収納箱
CN1128602C (zh) * 2000-02-01 2003-11-26 王子制纸株式会社 放在盒子中的薄纸制品
US6758368B2 (en) * 2002-02-06 2004-07-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sheet dispenser
WO2005108238A1 (ja) * 2004-05-07 2005-11-17 Daio Paper Corporation 家庭用衛生薄葉紙の収納箱
JP2005119751A (ja) * 2005-01-17 2005-05-12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2007112503A (ja) * 2005-10-24 2007-05-10 Oji Nepia Kk 衛生用紙収納用カートン
JP6767298B2 (ja) * 2017-03-31 2020-10-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
CN206954898U (zh) * 2017-05-16 2018-02-02 唐成 一种内含柔性袋的抽取式纸巾包装袋
CN207860945U (zh) * 2018-01-17 2018-09-14 福建泰盛实业有限公司 一种抽取式纸包的撕口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8092A (ja) 2015-03-30 2016-11-04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フィルム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9070A4 (en) 2022-08-31
TW202026212A (zh) 2020-07-16
EP3889070A1 (en) 2021-10-06
US20220000323A1 (en) 2022-01-06
BR112021010183A2 (pt) 2021-08-17
JPWO2020110835A1 (ja) 2021-10-14
WO2020110835A1 (ja) 2020-06-04
CN113165793A (zh)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6101A (ko) 시트 포장체
WO2018061308A1 (ja) 薄葉紙包装製品
JP6771000B2 (ja) 衛生薄葉紙包装体
JP2019063089A (ja) 収容体、及び薄葉紙製品
JP637676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6477963B1 (ja) キッチンペーパーパッケージおよびキッチンペーパー束
WO2020066720A1 (ja) シート包装体
JP7195394B2 (ja) 収容体、及び薄葉紙製品
JP7329990B2 (ja) シート包装体及びシート包装体の製造方法
JP7227793B2 (ja) シート包装体
JP7187245B2 (ja) フィルム包装ティシュー製品
JP7271229B2 (ja) シート包装体
JP7403278B2 (ja) シート包装体
JP7221730B2 (ja) シート包装体
JP7438724B2 (ja) シート包装体
WO2019187347A1 (ja) シート包装体
WO2020066717A1 (ja) シート包装体
JP7325992B2 (ja) シート包装体
JP2022024199A5 (ko)
JP7015803B2 (ja) シート包装体
WO2022209718A1 (ja) 包装体
JP7237652B2 (ja) シートロール包装体
WO2022209909A1 (ja) 包装体
WO2021153424A1 (ja) シート収納箱
JP2021123335A (ja) シート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