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870A -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870A
KR20210095870A KR1020217015455A KR20217015455A KR20210095870A KR 20210095870 A KR20210095870 A KR 20210095870A KR 1020217015455 A KR1020217015455 A KR 1020217015455A KR 20217015455 A KR20217015455 A KR 20217015455A KR 20210095870 A KR20210095870 A KR 2021009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strip
heating element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블랙
앤드류 로버트 존 로건
올렉산드르 주르바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1009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1Making cigarettes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24C5/18Forming the rod
    • A24C5/1828Forming the rod by cutting tobacco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쉘(14)에 위치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 및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은,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적어도 10개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포함하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는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사이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신장형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물의 실시형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연소시키는 대신에 가열하는 장치가 소비자들에게 대중화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접근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그러한 접근 방식은 유도 가열 시스템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자에 의해 착탈식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유도 코일이 장치에 제공되며, 유도 가열식 발열체(susceptor)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전기 에너지가 유도 코일에 제공되어, 결과적으로 교번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발열체는 전자기장과 결합되고, 예를 들어 전도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재료로 전달되는 열을 발생시키며, 에어로졸 발생 재료가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특성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구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물품의 사용 동안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특성이 최적화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용이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필요하다.
본 개시물의 제1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공되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쉘(shell);
쉘에 위치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을 포함하며,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은,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적어도 10개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strip)을 포함하고,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사이에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신장형 부분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휘발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에어로졸을 형성하도록 냉각 및 응축되는 가열된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 내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표현으로, 증기는 이의 임계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기상(gas phase)의 물질이며, 이는 온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이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기가 액체로 응축될 수 있는 반면에, 에어로졸은 공기 또는 다른 가스 중의 액체 액적 또는 미세 고체 입자의 부유물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에어로졸" 및 "증기"라는 용어는 특히 사용자의 흡입을 위해 발생되는 흡입식 매체의 형태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물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쉘에 위치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비교적 용이하게 대량 생산될 수 있다. 쉘은 실질적으로 재료를 포함하며, 재료는 전자기장이 이를 통하여 통과될 수 있게 하고, 전자기 차폐부로 작용하지 않는다. 쉘은 예를 들어, 종이 포장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컵 또는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하는 균일한 공기 흐름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사이의 갭으로 제공되는 공기 흐름 경로에 의해 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2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가능하게는 적어도 4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가능하게는 적어도 5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또는 가능하게는 적어도 6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최대 10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가능하게는 최대 15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또는 가능하게는 최대 200개의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많은 수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사이에 더 많은 갭이 존재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하는 보다 균일한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적절한 치수를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스트립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폭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과도한 수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바람직하지 않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폭이 너무 작은 경우, 스트립의 강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대량 생산이 어려워질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스트립 형상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사용함으로써, 발열체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으로의 열 전달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를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가 원활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U자 형상일 수 있거나, I자 형상 또는 핀 형상일 수 있거나, 관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은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쉘은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를 포함할 수 있고, 막대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이의 형상으로 인해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형상은, 다수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저장/포장, 사용자에 의한 물품의 조작,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cavity) 내로의 물품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 막대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 및 관형 포장지 각각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는,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다발의 에지로부터만 공기가 들어와서 이의 다발의 대향 에지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하는 공기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쉘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 및 관형 포장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종방향으로 관형 포장지 또는 쉘 내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균일한 분포가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스트립의 밀도가 제1 방향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통하는 균일한 공기 흐름 및 균일한 가열이 달성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이 관형 포장지의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중 적어도 일부는, 쉘의 길이 미만인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중 적어도 일부는, 관형 포장지의 길이 미만인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배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에지가 쉘 내의 공기 흐름에 노출됨으로써, 에어로졸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를 사용함으로써,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가 쉘 내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보다 균일하고 효과적인 가열을 제공한다.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 각각의 주 면(major face)은,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제2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과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는 이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된다.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는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모든 열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최적의 가열, 및 이에 따른 최적의 에어로졸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특히 제1 방향으로 접힌 부분이 없을 수 있다(foldless). 특히 제1 방향으로 접힌 부분이 없으므로, 쉘 내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밀도가 극대화될 수 있고,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균일한 공기 흐름이 달성되도록 보장한다.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특히 제1 방향으로 접힌 부분이 없을 수 있다. 특히 제1 방향으로 접힌 부분이 없으므로, 균일한 스트립 저항으로 인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균일한 가열을 제공함으로써, 접힌 부분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열 집중(또는 과열점(hot spot))을 방지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물(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측 표면 상에 홈과 같은 리세스 또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조물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에 대하여 유도 가열식 발열체가 최적으로 위치되는 방향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원활하게 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증기 냉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기 냉각 영역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되는 가열된 증기가 냉각 및 응축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필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적합한 특성을 갖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다. 증기 냉각 영역은 중공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챔버는 열 흡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 흡수 재료는, 가열된 증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이를 냉각 및 응축시키도록 배치된다. 열 흡수 재료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4.0 mm 내지 10.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직경은 5.0 mm 내지 9.0 mm일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6.0 mm 내지 7.5 mm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0.2 mm 내지 10.0 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폭은 0.2 mm 내지 7.0 mm, 가능하게는 0.2 mm 내지 5.0 mm, 가능하게는 0.2 mm 내지 3.0 mm, 또는 가능하게는 0.2 mm 내지 2.0 mm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0.05 mm 내지 0.7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두께는 0.05 mm 내지 0.5 mm, 또는 가능하게는 0.05 mm 내지 0.3 mm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200 내지 900 N/m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인장 강도는 300 내지 800 N/m일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400 내지 700 N/m일 수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 동안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식물 유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섬유, 담배 줄기 섬유, 및 CaCO3와 같은 무기 충전제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담배를 포함하는 재생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압출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담배 또는 재생 담배와 같은 압출된 에어로졸 발생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제의 실시예는 다가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 예를 들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5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20%, 그리고 가능하게는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15%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는, 알루미늄, 철, 니켈, 스테인리스 강, 및 이들의 합금(예를 들어, 니켈 크롬 또는 니켈 구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체는, 이의 근처에 전자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와전류 및 자기 히스테리시스 손실로 인해 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자기로부터 열로 에너지를 변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도 코일은, 리츠선 또는 리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유도 코일은 실질적으로 나선형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위치되는 공동의 둘레로 연장될 수 있다.
나선형 유도 코일의 원형 단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로(예를 들어, 사용 시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되는 공동 내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균일한 가열을 보장할 수 있다.
유도 코일은 사용 시에, 약 20 mT 내지 약 2.0 T(최고 집속 지점에서)의 자속 밀도를 갖는 변동 전자기장으로 작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고주파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원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및 회로는, 약 80 kHz 내지 500 kHz, 가능하게는 약 150 kHz 내지 250 kHz, 그리고 가능하게는 약 200 kHz의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및 회로는, 사용되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유형에 따라, 예를 들어 MHz 범위의 더 높은 주파수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2 양태에 따라, 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i) 적어도 10개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포장 스테이션(wrapping station)에 공급하는 단계;
(ii)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포장 스테이션에 공급하는 단계;
(iii)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및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포장하여 연속 막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에 따른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를 원활하게 하고, 특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비교적 용이하게 대량 생산될 수 있게 한다.
방법은,
(iv) 연속 막대를 절단하여 복수의 개별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ii)는,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사이에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 사이에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효과적인 가열이 달성되도록 보장한다.
단계 (i)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의 단부를 단계 (iii)에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에 위치시키기 직전에 또는 위치시키는 동안에,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시트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이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다수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이 아닌 에어로졸 발생 시트의 조작으로 인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제조가 간소화된다.
단계 (ii)는, 예를 들어 발열체의 주 면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단부를 단계 (iii)에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에 위치시키는 동안, 유도 가열식 발열체를 홀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방향이 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의 경우, 각각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의 주 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확실하게 지향될 수 있으므로, 최적의 가열 및 공기 흐름 특성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ii)는,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를 포장 스테이션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 각각은, 상이한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 각각은, 공통의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스테이션으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의 공급이 간소화된다.
방법은, 단계 (iii) 후에, 연속 막대의 단면 포장재(cross-sectional envelope) 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연속 막대의 단면 포장재 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원하는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발열체 공급 장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또는 제조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속 막대의 단면 포장재 내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의 위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발열체 공급 장치의 위치 조정(repositioning)에 의해 조정 및 최적화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제1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제2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제3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제4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는 제5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제6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제7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A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개략도로서, 도 8a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c는 제8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개략도로서, 도 9a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측면도이다.
이제 본 개시물의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유도 코일을 포함하고 유도 가열 원리에 기초하여 작동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이 도시된다. 그러한 장치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신장형이며,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원형 단면은 사용자에 의한 물품(1)의 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또는 가열 격실 내로 물품(1)의 삽입을 원활하게 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쉘(14)에 위치되고 쉘(14)에 의해 밀봉되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그리고 제1 및 제2 단부(10a, 10b)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포함한다. 쉘(14)은, 실질적으로 비-도전성이고 비-자성으로 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쉘(14)은 관형 종이 포장지(16)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은 실질적으로 막대 형상이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종방향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적어도 10개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사이에 복수의 갭(도 1a 및 도 1b에서 보이지 않음)이 존재하며, 이들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을 통하는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공기 흐름 경로가 중단되지 않도록 그리고 물품(1)을 통하는 균일한 공기 흐름이 달성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접힌 부분이 없다.
유도 가열식 발열체(12)는,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과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종방향으로 이루어진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를 포함한다.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 내의 과열점을 방지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접힌 부분이 없다. 도 1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4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가 쉘(14)에 위치된다. 실제로, 가열 요건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수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가 쉘(14)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으로의 열 전달이 극대화되도록 보장하고,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추가로 보장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관형 포장지(16),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및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는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이고, 이들의 각각의 단부는, 이들이 동일한 높이이도록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의 하류에 위치된 중공 챔버(24) 형태의 증기 냉각 영역(22)을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은, 증기 냉각 영역(22)의 하류에 위치된,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포함하는 필터(26)를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물품(1)의 사용 동안 발생된 에어로졸 또는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 도 1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포장지(16)의 하류 단부, 증기 냉각 영역(22) 및 필터(26)는 재료의 시트(예를 들어, 티핑 종이 형태의 종이 포장지(28))로 포장됨으로써, 관형 포장지(16) 및 필터(26)를 회합하여 이들의 위치 관계를 유지시킨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전형적으로 담배와 같은 식물 유래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셀룰로오스 섬유, 담배 줄기 섬유, 및 CaCO3와 같은 무기 충전제 중 어느 하나 이상 및 담배를 포함하는 재생 담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50%의 에어로졸 형성제 함량을 포함한다. 가열 시에,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가능하게는 담배 향미제와 같은 향미 화합물 또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물품(1)의 사용 동안,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의 부근에 시변 전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와전류 및 자기 히스테리시스 손실로 인해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에서 열이 발생되고,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으로 열이 전달되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연소시키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가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필터(26)를 통해 흡입함에 따라, 가열된 증기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의 제1 단부(10a)로부터 필터(26)를 향하여 물품(1)을 통하는 하류 방향으로 흡입된다. 가열된 증기가 증기 냉각 영역(22)을 통하여 필터(26)를 향해 유동함에 따라, 가열된 증기는 냉각 및 응축되어, 필터(26)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기 위한 적합한 특성을 갖는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유도 코일에 대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공동 또는 가열 격실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이 최적으로 위치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도 1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1)은 이의 외측 표면 상에 돌출부(30)를 포함한다. 돌출부(30)는 사용 시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우징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의 리세스에 위치될 수 있으며,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가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과 최적으로 결합되도록 보장한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유사하고,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제2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20)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12)가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의 중앙에 위치된 단일 신장형 부분(32)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I자 형상 또는 핀 형상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자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12)는, 제1 단부(10a)로부터 제1 및 제2 단부(10a, 10b)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여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그러나, 유도 가열식 발열체(12)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과 동일한 길이일 수 있으므로, 제1 단부(10a)로부터 제2 단부(10b)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여 완전히 연장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유사하고,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제3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3)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12)가 관형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동일하다.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으로의 열 전달을 극대화함으로써,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관형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내부 및 외부 모두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관형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및 관형 포장지(16)는 동심이므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보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관형 유도 가열식 발열체(12)는, 제1 단부(10a)로부터 제1 및 제2 단부(10a, 10b)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여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그러나, 관형 유도 가열식 발열체(12)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과 동일한 길이일 수 있으므로, 제1 단부(10a)로부터 제2 단부(10b)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여 완전히 연장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유사하고,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제4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4)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4)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12)가 제1 단부(10a)로부터 제1 및 제2 단부(10a, 10b)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2개의 신장형 부분(12a, 12b), 및 2개의 신장형 부분(12a, 12b)을 연결하는, 제1 단부(10a)에 위치된 연결 부분(12c)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인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동일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12c)으로 이루어진 U자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상류 단부는,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의 제1 단부(10a)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에 내장됨으로써, 유도 가열식 발열체(12)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또한, U자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신장형 부분(12a, 12b)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과 동일한 길이일 수 있고, 제1 단부(10a)로부터 제2 단부(10b)로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여 완전히 연장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유사하고,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제5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5)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내열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관(34) 형태의 쉘(14)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관(34)은 양단부에서 개방되며, 물품(5)의 종방향으로 지향된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 및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밀봉한다.
이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5)과 유사하고,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제6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6)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6)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컵(36) 형태의 쉘(14)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컵(36)은, 물품(6)의 종방향으로 지향된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 및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밀봉한다.
플라스틱 컵(36)은 폐쇄 단부(38)를 가지며, 공기가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개구부(40)를 폐쇄 단부(38)에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6)의 사용 동안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통하는 균일한 공기 흐름이 달성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개구부(40)는 전형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5)과 유사하고, 대응하는 요소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제7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7)이 도시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7)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플라스틱 재료 또는 종이를 포함하는 관(42) 형태의 쉘(14)을 포함한다. 관(42)은 양단부에서 개방되며, 물품(7)의 종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밀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식 발열체(12)는 관형이며, 관(42)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이 지향되는 물품(7)의 종방향(즉,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발열체(12)의 주 면이 지향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장과의 최적의 결합을 보장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1)과 같은, 본 개시물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적합한 장치(50, 80) 및 방법이 이제 설명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50) 및 방법의 개략도가 도시된다.
장치(50)는, 연속 시트 형태의 에어로졸 발생 시트(52)를 이송하는 공급 릴(도시되지 않음); 절단 롤러(54a, 54b); 발열체 공급 롤러(56, 58) 형태의 발열체 공급 장치; 및 포장지의 시트(70)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롤러(60)를 포함한다. 장치는 포장 스테이션(62) 및 절단 스테이션(64)을 더 포함한다.
작동 시에, 에어로졸 발생 시트(52)가 공급 릴로부터 절단 롤러(54a, 54b)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절단 롤러(54a, 54b)는, 포장 스테이션(62)에 공급되는 복수의 연속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으로 에어로졸 발생 시트(52)를 절단하도록 연동되는 절단 구조물을 포함한다. 동시에, 발열체 공급 롤러(56, 58)는, 공급 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포장 스테이션(62)으로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제1 및 제2 연속 스트립(66, 68)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포장지의 연속 시트(70)는, 공급 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 롤러(60)에 의해 포장 스테이션(62)으로 공급된다. 포장지의 시트(70)가 포장 스테이션(62)을 통하여 이송 및 가이드됨에 따라, 이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제1 및 제2 연속 스트립(66, 68) 및 연속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둘러쌈으로써, 연속 막대(72)를 형성한다.
그 다음, 연속 막대(72)는 절단 스테이션(64)으로 이송되어, 적절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다수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을 형성한다. 연속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제1 및 제2 연속 스트립(66, 68), 및 연속 관형 포장지(16)는 모두 절단 스테이션(64)에서 동일한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개별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대량 생산을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장치(50)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을 형성하도록 절단되는 연속 막대(72)의 단면 포장재 내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74)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74)에 의해 검출된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의 위치가 최적이 아닌 경우,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가 최적으로 위치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발열체 공급 롤러(56, 58)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장치(50)는, 발열체 공급 롤러(56, 58)의 위치 조정이 수행되는 동안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의 제조를 중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장치(50)는, 발열체 공급 롤러(56, 58)의 위치 조정이 수행되는 동안 에어로졸 발생 물품(1)을 계속 제조할 수 있다.
장치(50) 및 방법의 변형예에서, 발열체 공급 롤러(56, 58)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연속 스트립(66, 68) 대신에, 별개의 사전 절단된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를 포장 스테이션(62)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체 공급 롤러(56, 58)는, 대향 단부가 포장 스테이션(62)에 적절하게 위치되는 동안 각각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의 일단부를 홀딩하도록 적응된다.
이제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도 9c에 도시된 제8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8)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80) 및 방법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장치(80) 및 방법의 특정 요소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전술한 장치(50) 및 방법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장치(80)는, 공급 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포장 스테이션(62)으로 포장지의 연속 시트(70)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롤러(60, 86)를 포함한다. 장치(80)는, 가능하게는 가변 길이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의 공급품을 수용하는 호퍼(82)를 더 포함한다. 작동 시에, 포장지의 연속 시트(70)가 공급 롤러(60, 86)에 의해 포장 스테이션(62)으로 이송됨에 따라, 호퍼(82)에 저장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포장지의 연속 시트(70)의 상부 표면 상에 무작위로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도 9a 내지 도 9c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이 이들의 종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발열체 공급 롤러(84) 형태의 발열체 공급 장치는, 공급 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포장 스테이션(62)으로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제1 및 제2 연속 스트립(66, 68)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포장지의 시트(70)가 포장 스테이션(62)을 통하여 이송 및 가이드됨에 따라, 이는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제1 및 제2 연속 스트립(66, 68) 및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둘러쌈으로써, 연속 막대(72)를 형성한다.
그 다음, 연속 막대(72)는 절단 스테이션(64)으로 이송되어, 적절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다수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8)을 형성한다. 개별 에어로졸 발생 물품(8)을 형성하기 위해,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제1 및 제2 연속 스트립(66, 68) 및 연속 관형 포장지(16)가 절단 스테이션(64)에서 동일한 길이로 절단되는 동안, 일부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연속 막대(72) 내의 이들의 위치에 따라 절단 스테이션(64)에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8)의 대량 생산을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장치(80) 및 방법의 변형예에서, 발열체 공급 롤러(84)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가열식 발열체(12)의 연속 스트립(66, 68) 대신에, 별개의 사전 절단된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를 포장 스테이션(62)에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체 공급 롤러(84)는, 대향 단부가 포장 스테이션(62)에 적절하게 위치되는 동안 각각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의 일단부를 홀딩하도록 적응된다.
장치(80) 및 방법의 추가적인 변형예에서, 장치(80)는, 호퍼(82)의 하류에 위치되어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의 공급품을 수용하는 추가적인 호퍼(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호퍼는,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20)를 포장지의 시트(70)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시키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퍼로부터 포장지의 시트(70)의 상부 표면 상에 침착된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상에 위치시키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체 공급 롤러(84)가 필요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전의 단락들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폭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서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는 문맥상 달리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이의 모든 가능한 변형예에서의 전술한 특징의 임의의 조합은 본 개시물에 의해 포함된다.
문맥상 달리 명확하게 요구되지 않는 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포함한다", "포함하는" 등의 단어는 배타적이거나 총망라한 의미가 아니라,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으로서,
    쉘(14);
    상기 쉘(14)에 위치된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 및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은, 실질적으로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적어도 10개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사이에 위치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된 신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는 스트립 형상이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은 막대 형상이며,
    상기 쉘(14)은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16)를 포함하고,
    상기 막대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 및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는 상기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16)에 의해 밀봉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 상기 막대 형상의 에어로졸 발생 재료 부분(10), 및 상기 관형 포장지(16) 각각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종방향으로 정렬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상기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 및 상기 관형 포장지(16)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인, 에어로졸 발생 물품.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형 포장지(16)의 길이 미만인 길이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12, 20) 각각의 주 면은,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실질적으로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12, 20)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12, 20)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에 의해 둘러싸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은 접힌 부분이 없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물(30)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 적어도 10개의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포장 스테이션(62)에 공급하는 단계;
    (ii)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를 상기 포장 스테이션(62)에 공급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및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를 포장하여 연속 막대(72)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 사이에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i)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의 단부를 단계 (iii)에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16)에 위치시키기 직전에 또는 위치시키는 동안에, 상기 에어로졸 발생 스트립(18)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시트(52)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의 단부를 단계 (iii)에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관형 포장지(16)에 위치시키는 동안,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를 홀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는,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12, 20)를 상기 포장 스테이션(62)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12, 20) 각각은 상이한 공급 장치(56, 58)에 의해 공급되거나; 또는
    (b) 상기 적어도 2개의 스트립 형상의 발열체(12, 20) 각각은 공통의 공급 장치(84)에 의해 공급되는, 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i) 후에, 상기 연속 막대(72)의 단면 포장재 내의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막대(72)의 단면 포장재 내의 상기 유도 가열식 발열체(12, 20)의 원하는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발열체 공급 장치(56, 58, 84)를 조정하는 단계 및/또는 제조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15455A 2018-11-29 2019-11-25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210095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9126.4 2018-11-29
EP18209147.0 2018-11-29
EP18209147 2018-11-29
EP18209126 2018-11-29
EP18211375.3 2018-12-10
EP18211375 2018-12-10
EP19158423 2019-02-21
EP19158423.4 2019-02-21
PCT/EP2019/082359 WO2020109203A1 (en) 2018-11-29 2019-11-25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870A true KR20210095870A (ko) 2021-08-03

Family

ID=6861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455A KR20210095870A (ko) 2018-11-29 2019-11-25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15413A1 (ko)
EP (1) EP3886621A1 (ko)
JP (1) JP2022509117A (ko)
KR (1) KR20210095870A (ko)
CN (1) CN113163863A (ko)
CA (1) CA3120915A1 (ko)
TW (1) TW202034792A (ko)
WO (1) WO2020109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07010A (ja) * 2019-12-19 2023-02-20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物品の構成要素の光学分析方法およびシステム
PL3949763T3 (pl) * 2020-08-04 2023-06-26 Jt International Sa Wyrób generujący aerozol
PL3949764T3 (pl) * 2020-08-04 2023-06-26 Jt International Sa Wyrób i układ generujący aerozol
JP2023537287A (ja) * 2020-08-04 2023-08-31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発生物品
EP3970520B1 (en) * 2020-09-21 2023-09-20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EP3970516A1 (en) * 2020-09-21 2022-03-23 JT International SA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s
EP3970517B1 (en) * 2020-09-21 2023-07-05 JT International SA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s
US20230337727A1 (en) * 2020-09-21 2023-10-26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EP3970515A1 (en) * 2020-09-21 2022-03-23 JT International SA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s
CN116194001A (zh) * 2020-09-21 2023-05-30 日本烟草国际股份有限公司 气溶胶产生制品
KR20230073247A (ko) * 2020-09-21 2023-05-25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에어로졸 생성 물품
US20230309609A1 (en) * 2020-09-21 2023-10-05 Jt International Sa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JP2024509765A (ja) * 2021-03-16 2024-03-05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エアロゾル生成物品、そのための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及びそれらの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EP4312601A1 (en) * 2021-03-29 2024-0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rod-shaped aerosol-generating articles
BR112023019741A2 (pt) * 2021-03-29 2023-10-31 Philip Morris Products Sa Aparelho e método para alinhamento de artigos em forma de coluna
GB202108810D0 (en) * 2021-06-18 2021-08-04 Nicoventures Trading Ltd A component for an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15958282U (zh) * 2021-09-02 2022-03-08 汉桦生物科技(海南洋浦)有限公司 可两用加热式气溶胶发生芯条、基材及装置
WO2023222429A1 (en) * 2022-05-16 2023-11-23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for evalu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a susceptor element for manufacturing defects
GB202215606D0 (en) * 2022-10-21 2022-12-07 Nicoventures Trading Ltd A consumab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31205T2 (en) * 2014-05-21 2017-07-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article with multi-material susceptor
KR20230156448A (ko) * 2014-05-21 2023-11-1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내부 서셉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WO2016120177A1 (en) * 2015-01-28 2016-08-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with integral heating element
EP3075266A1 (en) * 2015-04-02 2016-10-05 PT. Gudang Garam Tbk. Method of produc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ntaining reconstituted tobacco material,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ntaining reconstituted tobacco material and use of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containing reconstituted tobacco material
EP3364795B1 (en) * 2015-10-22 2020-12-02 Philip Morris Products S.a.s.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capsule for use i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TW201714534A (zh) * 2015-10-22 2017-05-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輸送系統及操作該氣溶膠輸送系統的方法
ES2742434T3 (es) * 2015-10-22 2020-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Método para suministrar una lámina continua de sustrato formador de aerosol desde una bobina y un artículo generador de aerosol
WO2018162514A1 (en) * 2017-03-08 2018-09-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ds of aerosol-forming substrate
EP3895559A3 (en) * 2017-08-09 2022-03-0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multiple susceptors
US11388930B2 (en) * 2017-08-09 2022-07-1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article having rod with multiple longitudinal elongate elements of non-tobacco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9203A1 (en) 2020-06-04
TW202034792A (zh) 2020-10-01
JP2022509117A (ja) 2022-01-20
EP3886621A1 (en) 2021-10-06
CN113163863A (zh) 2021-07-23
CA3120915A1 (en) 2020-06-04
US20220015413A1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5870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6875044B2 (ja) 喫煙材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
BR112019008710B1 (pt) Método e aparelho para produzir um componente de um artigo gerador de aerossol
KR20210018846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00101940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20220071273A1 (en) A Vapour Generating Artic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Vapour Generating System
UA128036C2 (uk) Структура, виконана з можливістю утворення аерозолю
KR102659010B1 (ko) 유도 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로드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210018842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WO2019224073A1 (en)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erosol generating article and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CN112135532B (zh) 气溶胶生成制品及其制造方法
CN112118749A (zh) 用于制造气溶胶生成制品的方法和设备
KR2023014249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EA043268B1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TWI834666B (zh) 氣溶膠產生物件及用於製造此氣溶膠產生物件的方法
JP2024515003A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KR20230073247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20230071778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KR20230071781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EA041863B1 (ru) Изделие,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KR20230071780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