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684A - 로드 포트 모듈 - Google Patents

로드 포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684A
KR20210095684A KR1020217020142A KR20217020142A KR20210095684A KR 20210095684 A KR20210095684 A KR 20210095684A KR 1020217020142 A KR1020217020142 A KR 1020217020142A KR 20217020142 A KR20217020142 A KR 20217020142A KR 20210095684 A KR20210095684 A KR 20210095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determined
differential pressure
substrate
continuous stea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168B1 (ko
Inventor
래디크 수누가토브
로버트 칼슨
마이클 크롤락
Original Assignee
브룩스 오토메이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룩스 오토메이션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룩스 오토메이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23703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662A/ko
Publication of KR2021009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5Do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7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kinematic members, handles or elements to be externally gripp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 H01L21/6739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atmosphe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atmosphere modifying elements inside or attached to the closed carrier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기판 로딩 장치는,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기판 로딩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에서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갖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된 카세트 지지부로서,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 접근되도록 된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가져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상기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한다.

Description

로드 포트 모듈
본 정규 출원은 2018년 11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772,376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판 처리 장치를 위한 개선된 로드 포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환경("팹"(FAB)이라고도 함)에서, 일부 반도체 제조 공정 동안 로드 포트는 부식성 가스(예: 브롬화 수소 가스, 염산 가스 등)에 노출된다. 로드 포트의 노출된 구성 요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로드 포트의 노출된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부식성 가스에 대한 노출을 완화하기 위해 부식 방지 코팅으로 코팅된다.
다른 부식성 가스 완화를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예: 로드 포트의 퍼지 벤트(purge vent) 또는 기타 가스 소스로부터의) 예측할 수 없는 가스 유동의 특성으로 인해, 예를 들어 로드 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 개방 통합 포드("FOUPS" 로 지칭됨)의의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FOUP 내 구성 요소의 가스 배출량은 FOUP마다 다를 수 있으며, FOUP가 보유하는 웨이퍼 또는 기판의 수도 FOUP마다 다를 수 있다. 부식성 가스에 노출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로드 포트 구성 요소 상에 코팅을 제공하는 것은 로드 포트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코팅을 수용하고 부식성 가스를 재배치하기 위해 로드 포트를 수정하면 비용이 증가하고 로드 포트의 복잡성이 증가하며 로드 포트의 제조 리드 타임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를 위한 개선된 로드 포트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로딩 장치가 제공된다. 기판 로딩 장치는,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기판 로딩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에서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갖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된 카세트 지지부로서,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 접근되도록 구성되며, 카세트 지지부는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가져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컨테이너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로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로딩 장치는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가지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되고,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지지부로부터 액세스되도록 구성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유체 질량 유동의 경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가져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fluid mass flow)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이 생성되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상태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기판 로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판 로딩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되며,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사이에서 기판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송 개구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액세스되도록 구성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와 상기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 지지부 상에 배치된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인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다른 소정의 섹션을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다른 소정의 섹션을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출로부터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위한 가이드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된 기판 로딩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사이로 기판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송 개구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연결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부는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지지부로부터 액세스되도록 구성된,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으로써,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유체 질량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의 탈출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해 양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분위기에 대해 음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다음 설명에서 설명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프로세싱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 내지 도 1c의 임의의 기판 처리 장치의 로드 포트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4a-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6a 및 6b는 기판 이송 컨테이너의 개략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1c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처리 장치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판 처리 장치에 컨테이너를 결합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판 처리 장치로 컨테이너를 디커플링 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도 2의 로드 포트 모듈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 내용의 특징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특징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의 특징으로 구체화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또한 적절한 크기, 모양 또는 유형의 요소 또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a에 예시된 특징에서, 장치(10)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일반적인 기판 배치 프로세싱 툴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판 처리 장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되어 있고, 2006년 5월 26일에 출원된 "선형 분산 반도체 공작물 처리 도구"라는 명칭으로 되며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편입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1/442,51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개별 기판 처리 및/도는 선형 툴 스테이션에 대한 도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판 처리 툴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200mm 또는 300mm 반도체 웨이퍼, 반도체 패키징 기판(예: 고밀도 상호 연결), 반도체 제조 공정 이미징 플레이트(예: 마스크 또는 레티클) 및 평판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판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유형의 평판 또는 기판을 취급하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전방 섹션(12) 및 후방 섹션(1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섹션(12)(전방이라는 용어는 예시적인 기준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해 편의를 위해 여기서 사용되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장치의 전방은 장치의 임의의 원하는 측면에 설정될 수 있다). 전방 섹션(12)은 팹에서 장치(10)의 내부로 기판을 가져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을 갖는다. 전방 섹션(12)은 또한 일반적으로 하우징(16) 및 후방 섹션(14)과 외부에 대한 전방 섹션 인터페이스 사이의 하우징 핸들링 기판에 위치된 자동화 구성 요소를 갖는다. 후방 섹션(14)은 전방 섹션의 하우징(16)에 연결된다. 상기 장치의 후방 섹션(14)은 제어된 분위기(예를 들어, 진공, 불활성 가스)를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기판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후방 섹션은 일반적으로 기판 이송 장치가 있는 중앙 이송 챔버 및 장치 내의 기판에 원하는 제조 공정(예: 에칭, 재료 증착, 세척, 베이킹,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주변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팹 내에서 용기(T)(캐리어라고도 함)에 있는 처리 장치(10)로 이송될 수 있다. 용기(T)는 전방 섹션 인터페이스 상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용기로부터, 상기 기판은 전방 섹션의 자동화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BOLTS(Box Opener/Loader to Tool Standard)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방 섹션(12)으로 이송될 수 있다. 기판은 하나 이상의 처리 모듈에서 처리하기 위해 로드 록(load locks)을 통해 대기 제어 후방 섹션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 다음, 처리된 기판은 실질적으로 반전된 방식으로 전방 섹션(12)으로 반환된 다음, 제거를 위해 이송 용기(T)로 반환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환경 프런트 단부 모듈 또는 EFEM으로 지칭될 수 있는 전방 섹션(12)은 팹 내에서 기판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송 용기(T) 및 후방 처리 섹션(14)에서 제어된 대기에 대한 유입을 제공하는 로드 록(14L) 간의 잠재적 오염 가능성을 가지면서 기판이 접근되거나 처리되는 보호된 환경 또는 최소 환경을 정의하는 쉘 또는 케이싱을 가진다. 로드 포트 또는 로드 포트 모듈(24)(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하나 이상)은 전방 섹션과 FAB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방 섹션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위치한다. 로드 포트 모듈은 2014 년 9 월 2 일에 발행되었고 '로트 포트 모듈'이라는 명칭으로 되며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편입되는 미국 특허 번호 8,821,099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로드 포트 모듈(24)은 EFEM 내부와 외부 사이에 BOLTS 인터페이스와 같은 폐쇄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폐쇄 가능한 포트(30P)를 가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모듈은 기판 이송 용기(T)를 위한 지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송 컨테이너가 일시적으로 완충될 수 있는 지지 구역 아래에 보조 보관 구역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은 그 위에 지지된 이송 컨테이너(T)를 최종 위치 또는 도킹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로드 포트 모듈의 포트 도어는 이송 컨테이너를 열기 위해 도킹된 위치에 있을 때 이송 컨테이너와 맞물릴 수 있으면서 로드 포트 프레임에서 액세스 포트(30P)를 개방하여, 이송 컨테이너 내의 기판에 대한 접근 및 컨테이너와 EFEM 내부 사이에서 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접근도 제공하게 된다. 포트 도어와 이송 컨테이너 사이의 결합은 미국 특허 번호 8,821,099에 설명된 대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키(key)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로드 포트 모듈(24)은 로드 포트(24)의 셔틀(52) 상에 또는 그에 인접한 차압 플레넘 공간 또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압 플레넘은 컨테이너 도어 밀봉부 및/또는 로드 포트(24)에 의해 기판 이송 컨테이너(T)의 퍼징/배기의 실질적인 시작(및/또는 실질적인 끝)을 통하여 로드 포트와 인터페이싱하고 셔틀 상에 배치되는 기판 이송 컨테이너(T)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예를 들어, 배출되는 가스) 임의의 부식성 가스를 실질적으로 포함 및/또는 배출한다. 차압 플레넘은 또한 로드 포트(24)에 의해 기판 이송 컨테이너(T) 도어의 개구에서 실질적으로 배출되거나 배출되는 부식성 가스를 실질적으로 포함 및/또는 배출할 수 있다. 차압 플레넘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74)(도 5), 선형 베어링(283), 모터(예를 들어, 도 4d의 모터(53)), 센서(도 4b의 센서(T12-T20), 센서(680)(도 5), 스위치(68)(도 5), 센서(92)(도 4C)), 와이어 하니스(72)(도 4D), 검출 시스템(110)(도 2), 및/또는 로드 포트(24)에 배치된 컨테이너(T)에 근접한 로드 포트(24)의 다른 적절한 로드 포트(24)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제 도 1b를 참조하면, 도구 인터페이스 섹션(2012)이 전달 챔버 모듈(3018)에 장착되어 인터페이스 섹션(2012)이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내부를 향하지만 이송 챔버(3018)의 종축(X)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선형 기판 처리 시스템(2010)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송 챔버 모듈(3018)은 본원에 참고로 편입되는 미국 특허 출원 11/442,51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이송 챔버 모듈(3018A, 3018I, 3018J)을 인터페이스(2050, 2060, 2070)에 부착함으로써 임의의 적절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챔버 모듈(3018, 3019A, 3018I, 3018J)은 프로세싱 시스템(2010) 전체에 걸쳐 예를 들어 처리 모듈(PM)의 내외부로 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기판 이송부(2080)를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챔버 모듈은 격리, 제어 또는 밀폐된 대기(예: N2, 세정 공기, 진공)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선형 이송 챔버(416)의 종축(X)을 따라 취해질 수 있는 예시적인 처리 도구(410)의 개략적인 입면도가 도시된다. 일 특징에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 인터페이스 섹션(12)은 대표적으로 이송 챔버(416)에 연결될 수 있다. 이 특징에서, 인터페이스 섹션(12)은 도구 이송 챔버(416)의 일 단부를 정의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챔버(416)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섹션(12)의 반대쪽 단부에 또 다른 작업물 진입/출구 스테이션(412)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특징에서, 공구 이송 챔버(416)의 단부 사이에서와 같이, 이송 챔버로부터 작업물을 삽입/제거하기 위한 다른 진입/출구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서, 인터페이스 섹션(12) 및 진입/출구 스테이션(412)은 도구로부터 작업물의 로딩 및 언로딩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공작물은 한쪽 끝에서 도구에 로드되고 다른 쪽 끝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 특징에서, 이송 챔버(416)는 하나 이상의 이송 챔버 모듈(18B, 18i)을 가질 수 있다. 각 챔버 모듈은 격리, 제어 또는 밀폐된 대기(예: N2, 세정 공기, 진공)를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c에 도시된 이송 챔버(416)를 형성하는 이송 챔버 모듈(18B, 18i), 로드 락 모듈(56A, 56B) 및 공작물 스테이션의 구성/배열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른 측면에서 이송 챔버는 임의의 원하는 모듈식 배열로 배치된 더 많거나 적은 모듈을 포함한다. 일 특징에서, 스테이션(412)은 로드 락일 수 있다. 다른 특징들에서, 로드 락 모듈은(스테이션(412)과 유사한) 단부 입구/출구 스테이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거나, 인접한 이송 챔버 모듈(모듈(18i)과 유사함)이 로드 락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챔버 모듈(18B, 18i)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이송 장치(26B, 26i)를 구비한다. 각각의 이송 챔버 모듈(18B, 18i)의 이송 장치(26B, 26i)는 협력하여 이송 챔버에 선형으로 분포된 공작물 이송 시스템(420)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서, 이송 챔버 모듈(18B)은 임의의 적절한 이송 카트(미도시)가 선형 이송 챔버(416)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이송 챔버 모듈(18B)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 카트(900)는 여기에 장착된 임의의 적합한 이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설명된 이송 장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특징에서, 이송 장치(26B)의 아암은 또한 다음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송 장치가 픽/플레이스 위치로부터 웨이퍼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속 교환 배열로 지칭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송 아암(26B)은 종래의 구동 시스템과 비교하여 단순화된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3 자유도(예를 들어, Z 축 운동을 갖는 어깨 및 팔꿈치 관절에 대한 독립적 회전)를 각 암에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구동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특징에서, 구동 섹션은 3 자유도보다 많거나 적은 자유도를 가진 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특징에서, 상기 모듈(56A, 56, 30i)은 이송 챔버 모듈(18B, 18i)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적절한 처리 모듈, 로드 락, 버퍼 스테이션, 계측 스테이션 또는 다른 원하는 스테이션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록(56A, 56) 및 공작물 스테이션(30i)과 같은 틈새 모듈은 이송 챔버의 선형 축(X)을 따라 이송 챔버의 길이를 통하여 이송을 하게 할 이송 암 또는 작업물과 함께 작동하게 되는 고정 작업물 지지체/선반((56S, 56S1, 56S2, 30S1, 30S2)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물은 인터페이스 섹션(12)에 의해 이송 챔버(416)로 로딩 될 수 있다. 작업물은 인터페이스 섹션의 이송 암(15)과 함께 로드 락 모듈(56A)의 지지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로드 락 모듈(56A)의 작업물은 모듈(18B)의 이송 암(26B)에 의해 로드 락 모듈(56A)과 로드 락 모듈(56) 사이에서, 그리고 로드 락(56)과(모듈(18i) 내의) 아암(26i)을 구비한 작업물 스테이션(30i) 사이에서, 그리고 스테이션(30i)과 모듈(18i)의 아암(26i)을 구비한 스테이션(412) 사이에서 유사하고 연속적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전체 또는 일부를 역전시켜 작업물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일 특징에서, 작업물은 축(X)를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그리고 이송 챔버를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송 챔버와 연통하는 임의의 원하는 모듈(가공 또는 기타)에 로딩 및 언로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적 공작물 지지체 또는 선반을 갖는 간극 이송 챔버 모듈은 이송 챔버 모듈(18B, 18i) 사이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접한 이송 챔버 모듈의 이송 암은 엔드 이펙터 또는 하나의 이송 암에서 다른 이송 암의 엔드 이펙터로 직접(또는 버퍼 스테이션의 사용을 통해) 작업물을 통과시켜 이송 챔버를 통하여 작업물을 움직이게 된다. 처리 스테이션 모듈은 기판 상에 전기 회로 또는 다른 원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증착, 에칭, 또는 다른 유형의 프로세스를 통해 기판상에서 작동할 수 있다. 처리스테이션 모듈은 이송 챔버 모듈에 연결되어 기판이 이송 챔버에서 처리 스테이션으로 또는 그 반대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c에 도시된 처리 장치와 유사한 일반적인 특징을 가진 처리 도구의 적절한 예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편입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1/442,511에 설명되고 있다.
도 1a 및 도 2(본 발명의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처리 장치의 로드 포트 모듈(24)의 사시도)를 참고하면, 로드 포트 모듈(24)은 일반적으로(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송 컨테이너 보유 또는 지지 영역(28) 및 기판이 전방 섹션 하우징(16)의 내측에서 미니 환경 안팎으로 이송되는 폐쇄 가능한 포트(30P)를 정의 할 수 있는 프레임(29)을 갖는다. 로드 포트 모듈(24)은 "로드 포트 모듈"이라는 제목으로 2014년 9월 2일에 발행된 미국 특허 번호 8,821,099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편입된다. EFEM의 하우징(16) 및 로드 포트 모듈(24)은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실질적으로 폐쇄된 챔버 또는 공간(25)을 형성하고,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전방 섹션(12)(EFEM으로 지칭됨) 내부에 제어된 또는 미니 환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방 섹션은 미립자 오염물이 전방 섹션(12)의 미니 환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풍구, 루버, 층류 시스템과 같은 제어 된 공기 유동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모듈(24)의 이송 컨테이너 고정 영역(28)은 주 또는 제 1 스테이션(36) 및 보조 스테이션(34)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서, 보관 영역(28)의 각 스테이션(36, 34)은 이송 컨테이너(T)를 보관할 수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송 컨테이너 보관 영역은 더 많거나 적은 보관 스테이션을 가질 수 있으며, 각 보관 스테이션은 원하는 수의 기판 이송 컨테이너를 지원할 수 있다. 지지 스테이션(36, 34)에 안착된 이송 컨테이너(T)(도 1a)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FOUP(전방 개방 통합 포트: front opening uniform pods) 스타일 컨테이너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 지지 영역의 지지 스테이션은 SMIF 컨테이너와 같은 원하는 유형의 이송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섹션(12)은 예시를 위해 전방 섹션(12)의 전 방면(12F) 상에 위치된 로드 포트 모듈(24)을 갖는다. 이 위치에서, 로드 포트 모듈(24)은 임의의 적절한 자동화된 자재 취급 시스템(AMHS)을 사용하여 로드 포트 모듈 지지 영역(28)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스테이션(34, 36)에 이송 컨테이너(T)의 배치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미도시).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모듈 지지 영역(28)은 전방 섹션의 면(12F)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AMHS를 사용하여 고정 영역(28)으로의 이송 컨테이너(T)를 제거/배치하기 위한 접근이 상단 또는 전방에서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 모듈은 원하는 대로 전면 섹션의 다른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 모듈은 전방 섹션(12)의 2 개 이상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로드 포트 모듈(24)은 로드 포트 모듈(24)의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 구역(38)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a-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모듈(24)의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28)은 상부 지지 스테이션(36) 및 하부 지지 스테이션(34)을 모두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지지 스테이션(36, 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테이너(T)를 홀딩하거나 지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부 스테이션(34)은 일반적으로 상부 스테이션(36) 아래에 위치된다. 하부 스테이션(34)은, 하부 스테이션(34)에 배치될 때, 이송 컨테이너가 부재(34L)로부터 지지되도록, 이송 컨테이너(T)의 구조체에 부합하여 맞물릴 수 있는 대향 부재(34L)(도 3에서 하나만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b는 각각 예시적인 기판 이송 컨테이너(T)의 정면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6a-6b의 컨테이너(T)는 FOUP 유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판 컨테이너는 도 6a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임의의 다른 원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송 컨테이너(T)는 일반적으로 케이싱(T2) 및 케이싱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된 케이싱 커버 또는 도어(T4)를 갖는다. 케이싱(T4)은 그로부터 돌출된 고정구(T8)를 갖는 상부 표면(T6)을 구비한다. 고정구(T8)는 케이싱의 상부 표면(T6)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오프셋되는 측면 플랜지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 표면(T1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 표면(T10)은 SEMI; E47.1-1001를 준수하는 핸들링 플랜지의 일부일 수 있다. 안착 표면(T10)은 자동화된 자재 취급 시스템의 컨테이너 이송기의 결합 부분(미도시)과 결합하여 이송기로부터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3에서, 로드 포트 모듈 지지 영역(28) 상의 하부 스테이션(34)의 지지 부재(34L)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도 또는 일반적인 L 자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부재(34L)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돌출 플랜지(34F)를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34L)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34L)는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일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프레임(29)의 지지 구조(296)에 연결될 수 있다. 안쪽으로 향하는 플랜지(34F)는 이송 컨테이너 상의 안착 표면(T10)(도 6a 참조)과 컨테이너의 상부 표면(T6)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이다. 대향 부재(34L)의 플랜지(34F)는 대응하는 플랜지(34F)에(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 외측 돌출 안착 표면(T10)을 갖는 플랜지 사이에 컨테이너(T)의 지지 고정구(T8)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분리된다. 따라서, 하부 스테이션(34)에 로딩 될 때, 이송 컨테이너(T)는 플랜지(34F)에 안착 된 안착면(T10)에 의해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송 컨테이너(T)는 고정구(T8)가 플랜지(34F) 사이로 이동되도록 컨테이너를 삽입함으로써(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하부 스테이션(34) 상에 수동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스테이션의 지지 부재는 이송 컨테이너가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위치될 수 있도록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스테이션(34)으로부터 이송 컨테이너(T)를 제거하는 것은 사용자가 설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컨테이너를 수동으로 인출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반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하부 지지 스테이션(34)은 상부 지지 스테이션(36)이 이송 컨테이너(T)가 상부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이송 컨테이너에 의해 점유되거나 어떤 상태(테스트와 같은)에 있을 때, 사용자가 이송 컨테이너(T)를 배치할 수 있는 다른 컨테이너 적재 위치를 로드 포트 모듈에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 모듈은 이송 컨테이너 보관 영역(28)에 하부 지지 스테이션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로드 포트 모듈(24) 상의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28)의 상부 지지 스테이션(36)은 일반적으로 베이스 지지대 또는 선반(50) 및 선반(5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 또는 셔틀(52)을 포함한다. 셔틀 구동 시스템(54)은 셔틀(52)을 선반(5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선반(50) 상에서 셔틀(52)을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시스템(54)은 셔틀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도 2에서 화살표 M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셔틀(52)은 그 위에 이송 컨테이너(T)의 배치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셔틀 위치는 이송 컨테이너(T)가 자동화된 자재 취급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캐리지 상에 자동으로 위치(또는 픽업)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셔틀(52)이 이동될 수 있는 제 2 위치는 셔틀상의 이송 컨테이너(T)가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어(30D)(도 1a 참조)에 도킹 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셔틀이 이러한 제 2 위치에 있을 때, 그 위에 있는 이송 컨테이너(T)는 편의를 위해 도킹된 위치로 언급되는 곳에 위치한다. 제어기(400)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셔틀 및 구동 시스템의 센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테이너(T)는 컨테이너의 바닥면이 셔틀에 안착된 상태로 셔틀(52)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셔틀(52)은 이송 컨테이너(T)의 바닥에 부합하여 맞물리도록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6b는 예시적인 기판 이송 컨테이너(T)의 바닥(T3)의 특징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송 컨테이너의 바닥(T3)은 일반적으로 SEMI E47.1의 사양을 따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판 이송 컨테이너의 바닥은 임의의 다른 원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닥(T3)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감지 패드(T12), FEOL(라인이 전방 단부: front end of line) 및 BEOL(라인의 후방 단부: back end of line) 정보 패드(T14, T16), 컨테이너 용량(즉, 기판 지지 위치 수) 정보 패드(T18) 및 상자 또는 카세트 정보 패드(T2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바닥(T3)은 셔틀(52) 상에 위치/운동 학적 결합 핀(66)에 의한 결합을 위한 슬롯(T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표면으로의 제 1 리세스(T24)는 제 1 보유 특징부로서 제공된다. 용기의 바닥에는 또한 내부에 형성된 제 2 보유 특징부(T26)가 있다. 제 2 보유 특징부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사각 오프 에지(T34)(결합 립(T36)를 형성함)를 갖는 외부 개구(T32)를 구비하는 바닥에 형성된 대체로 원형의 리세스(T30)를 포함한다.
도 4a-4d는 각각 셔틀(52) 및 셔틀이 놓이는 지지 선반 구조(지지 선반 구조(50)는 도 4c-4d에서만 볼 수 있다)의 일부의 개략적인 투시도, 평면도, 정면 및 측면 입면도이다. 셔틀(52)은 일반적으로 섀시 또는 프레임(55) 및 섀시 위에 위치된 커버(56)를 포함한다. 셔틀(52)은 또한 일반적으로 컨테이너(T)를 셔틀 상에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돕는 위치 설정 특징부(58), 안착된 컨테이너(T)를 셔틀에 확실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특징부(60), 및 셔틀(52) 상에서 컨테이너의 존재 및 정확한 배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시스템(62)을 가질 수 있다. 이제 셔틀(52)의 부분절개도를 도시하는 도 5를 참조하면, 섀시(55)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셔틀 상에서 이송 컨테이너(T)를 배치하고 제거하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컨테이너와 셔틀의 움직임에 관련된 정적이고 동적인 로드를 지지할 수 있다. 섀시(55)는 로드 포트 모듈 프레임의 지지 선반(50)에 대해 셔틀(52)(도 2에서 화살표 M으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이동을 허용하는 롤러 또는 슬라이드와 같은 운동 시스템(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지지 선반(50)(도 2 참조)은 프레임(29)의 지지 구조체(296)(도 3 참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반(50)은 섀시(55)의 운동 시스템이 타는 프레임 구조(296)(예를 들어, 상부 플레이트(296H) 또는 측면 플레이트(296E)) 상에 또는 그로부터 형성된 트랙 또는 레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위치 설정 특징부(58), 결합 특징부(60), 검출 시스템(62) 및 커버(56)는 섀시(55)에 장착된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셔틀(52)상의 컨테이너 위치 설정 특징부(58)는 돌출 결합 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64)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의 바닥(T3)에 위치하는 리세스(T24)(도 6b 참조)의 형상과 부합하는 일반적인 절두형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부재(64)는 섀시(5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T)가 셔틀(52)에 안착될 때 컨테이너의 위치 결정 리세스(T24)와 맞물리도록 커버의 상부 표면(56U) 위로 충분히 커버(56)의 적절한 개구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맞물림 부재(64)는 컨테이너(T)의 셔틀 상으로의 적절한 자동 위치 설정을 돕기 위해 컨테이너 위치 결정 특징부의 에지와 협력하기 위한 캠 표면(64C)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셔틀은 부재(64)와 같은 결합 부재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셔틀(52)은 위치 결정 포스트(운동학적 결합 핀이라고도 함)(66)를 가질 수 있다. 포스트(66)는 셔틀(52)상의 컨테이너(T)의 정확한 위치 설정을 돕고, 컨테이너(T)를 셔틀(52)에 포지티브 커플링(즉, 운동학적 커플링) 수단을 제공하는 것 둘 모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도 4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66)는 컨테이너 바닥(T3)의 슬롯(T22)과 협력하도록 셔틀(52) 상에 위치된다.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포스트(6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의 섀시(54)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포스트(66)는 슬롯(T22)(도 6B 참조)에서 컨테이너의 바닥과 맞물리도록 커버(56)(의 적절한 구멍)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포스트(66)는 셔틀 상의 이송 컨테이너(T)를 위한 지지 평면을 정의할 수 있다. 포스트(66)의 단부 또는 팁(66T)은 도 4d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추형 또는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셔틀 상의 컨테이너에 대한 지지 평면의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정의를 위해 셔틀(52)과 컨테이너의 바닥 사이에 원하는 3 개의 접촉 지점을 제공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스트(66)는 컨테이너(T)의 중량을 지지하므로, 컨테이너 중량을 섀시에 분배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방사상 플랜지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포스트(66)의 원추형 상부(66T)는 셔틀 상의 컨테이너의 원하는 위치(슬롯(T22) 및 상부(66T)의 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될 때까지 지지 평면을 따라 컨테이너를 기계적으로 안내하는 컨테이너 바닥의 슬롯(T22)의 경사면에 대한 캠 표면으로서 작동할 수 있다.
셔틀(52)의 검출 시스템(62)은 일반적으로 셔틀 영역에 분포된 다수의 스위치(68)를 포함한다. 스위치(68)는 컨테이너의 바닥에 있는 컨테이너 감지 패드(T12), FEOL 및 BEOL 정보 패드(T14, T16), 컨테이너 용량 및 카세트 정보 패드(T18, T20)와 협력하기 위해 셔틀(5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b는 커버(56) 및 셔틀(52)의 스위치(68) 상에 포개져서 놓인 컨테이너(T)의 바닥상의 패드(T12-T20)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위치(68)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유형이고 서로 유사하며 대표적인 스위치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의 상이한 정보 패드(T16-T20)에 의해 주어진 스위치에 중계될 수 있는 상이한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셔틀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종류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스위치(68)의 구조는 도 5에서 가장 잘 도시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위치(68)는 일반적으로 베이스 또는 센서부(68O) 및 작동부(68I)를 포함하는 전기 광학 스위치일 수 있다. 작동부(68I)는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용기 바닥상의 대응하는 패드와 접촉하여 작동된다. 센서부(68O)는 제어 시스템에 신호를 보내는 작동부의 작동을 감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68O)는 셔틀의 섀시(55) 상에 위치된 PCB(7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PCB(74)는 전력 및 신호 전송 모두를 위해 내부에 형성된 트레이스(68E)를 가질 수 있다. 트레이스(68E)는 전자 부품의 접점 단자가 원하는대로 연결될 수 있는 적절한 표면 접점(미도시)까지 이어질 수 있다(플러시 웨이브 솔더링을 포함하여 전자 부품을 PCB에 장착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 사용). 센서부(68O)의 접촉 단자(전력 및 신호 모두)는 유사한 방식으로 PCB(74)의 트레이스(68E)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68)의 센서부(68O)과 같은 전자 부품을 통합 트레이스를 사용하여 PCB(PCB 74와 같은)에 장착하면, 제거하지 않았으면 전원공급부 및 제어 시스템에 구성요소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섀시 상에 설치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개별 도체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PCB의 트레이스(68E)는 예를 들어 가요성 와이어 하니스(72)(도 4d 참조)의 커넥터화 된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단자 커넥터(미도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 하니스는 PCB(74)의 트레이스(68E)를 링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검출기 스위치(68)의 센서부와 같은 전자 부품을 제어 시스템(400)(도 2 참조) 및 전원(미도시)에 연결할 수 있다. 센서부(68O)는 예를 들어 LED와 같은 적절한 광원 및 포토 셀과 같은 광 검출기를 가질 수 있다. 스위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광원은 예를 들어 스위치(68)의 비활성화 상태로 인하여 제어 시스템에 이해 해석되는 제어 시스템(400)에 트레이스(68E)를 통하여 센서부(68O)가 신호를 전송하게하는 포토 셀을 비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의 작동부(68I)의 일부에 의해 광원이 차단되면, 포토 셀로부터의 신호가 변경되고, 스위치가 현재 작동 상태에 있을 때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다시 판독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센서부(68O)는 스위치(68)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광원이 차단되고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광 검출기를 조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68)의 작동 부(68I)는 셔틀(52)의 커버(56)에 통합된다. 작동부(68I)를 편향시키는 스프링은 이 실시예에서 커버(56)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다. 셔틀(52)의 커버(56)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판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56)는 일체형 부재(즉, 단일 구조의) 일 수 있다. 커버(56)가 플라스틱 인 경우,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버(56)는 상부 표면(56U) 및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주변 벽(56W)을 갖는 일반적인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셔틀 커버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섀시(55)에 장착될 때, 커버(56)는 섀시 내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역할을 하지만, 커버 둘레 벽(56W)의 하부 에지와 선반(50) 사이에 약간의 틈이 제공되어 셔틀의 상대적인 자유로운 움직임을 촉진하면서 셔틀 시스템에 먼지 또는 기타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커버의 상부 표면(56U)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에 형성된 관통 구멍(56H)을 갖는다. 구멍(56H)은 포스트(66)가 도 5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커버(56)를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멍(56H)은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 섀시(55)에 커버(56)를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구멍 에지와 대응하는 포스트(66)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작아서 포스트(66)가 섀시(55)에 대하여 커버를 정확하게 위치시킨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구멍(56H)의 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66)의 칼라(66C)에 안착되어, 포스트로부터 커버(56)를 지지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커버는 커버 및 섀시를 부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원하는 장착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의 상부 표면(56U)은 그 안에 형성된 다수의 탄성적으로 가요성을 가지는 탭 또는 핑거(70)를 구비한다. 탭(70)은 커버(56)의 상부 표면(56U)을 절단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탭(70)의 수는 검출 시스템(62)의 스위치(68)의 수와 일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의 상부 표면에 8 개의 탭(70)이 형성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커버는 그 안에 형성된 임의의 다른 원하는 수의 가요성 탭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요성 탭이 커버의 임의의 다른 원하는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70)은 서로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따라서 탭(70)은 유사한 탄성적으로 가요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이한 탭의 형상(즉, 길이, 단면)은 상이한 유연성 특성을 갖는 상이한 탭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탭(70)의 팁(70E)은 커버가 섀시에 장착될 때 각각의 팁(70E)이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스위치(68)의 센서부(68O) 위에 위치하도록 커버 상에 위치된다(도 5 참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탭의 임의의 다른 원하는 부분(즉, 탭 중간 섹션)이 대응하는 스위치의 센서부 위에 위치하도록 탭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의 상부 표면(56U)상의 탭 배향은 탭에 제한되지 않은 캔틸레버의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원하는 대로 선택될 수 있다. 도 4a-4b에 도시된 탭(70)의 방향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탭은 임의의 다른 원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스위치(68)의 작동부(68I)는 대응하는 탭(70)의 팁(70E) 상에 장착되거나 위치된다. 작동부(68I)는 탭(70)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커버 상부 표면의 몰딩 프로세스 동안 형성됨)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결합 수단으로 탭(70)에 장착될 수 있다. 작동부(68I)는 덮개의 상부 표면(56U)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되어 포스트(66)에 배치된 컨테이너의 대응하는 패드(T12-T20)와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스위치(68)의 작동을 일으키도록 작동부의 차단기 플래그부(68F)를 이동시키도록(예를 들어 광원을 차단하도록) 탭(70)을 충분히 편향(deflection) 시키게 된다. 컨테이너(T)가 셔틀(52)로부터 제거될 때, 가요성 탭(70)은 비-편향 위치로 회복되어 스위치를 비-활성화 상태로 되돌린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T)가 셔틀 상에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으면, 컨테이너의 패드(T12-T20)와 스위치(68)의 작동부(68I)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약간의 정렬 불량이 있을 수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스위치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활성화된 일부 스위치와 그렇지 않은 스위치의 신호 조합은 제어 시스템(400)에 의해 셔틀상의 컨테이너(T)의 부적절한 배치의 표시로 해석될 수 있다. 그 후 제어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셔틀(52)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셔틀로부터 컨테이너의 배치 또는 제거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 조치를 명령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셔틀(52)은 이송 컨테이너(T)를 셔틀에 확실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특징부(6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포스트(66)는 셔틀 모션 동안 셔틀과 컨테이너 사이의 운동학적 결합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셔틀 결합 특징부(60)는 또한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이전에 포함된 미국 특허 번호 8,821,099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컨테이너 클램핑 시스템(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a-4d에서, 셔틀(52)은 구동 시스템(54)에 의해 셔틀의 제 1 또는 로딩 위치와 도킹 위치 사이에서(도 2에서 화살표 M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c-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셔틀 구동 시스템(54)은 일반적으로 리드 스크류(57)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53)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셔틀은 공압 또는 유압 구동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구동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이 측면에서 전기 모터(53)는 AC 또는 DC 모터,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모터일 수 있다. 모터(53)는 선반 구조물(5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57)는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다. 모터는 리드 스크류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리드 스크류(57)는 또한 선형 베어링(283)(도 3)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52)의 섀시(55)에 구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리드 스크류와 섀시 사이의 결합은 예를 들어 섀시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 부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모터(53)에 의한 리드 스크류(57)의 회전은 리드 스크류 위의 부싱, 따라서 모터(53)가 고정되는 선반(50)에 대한 섀시 및 셔틀(52)의 축 방향 운동을 야기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3)는 적절한 회로(91)에 의해 제어기(40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기(400)는 회로(91)를 통해 모터(53)에 명령 신호 및(적절한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54)는 위치 표시 데이터를 제어기에 전송하기 위한 모터 인코더(58E)(도 4d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400)는 로드 포트상의 셔틀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모터 인코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선형 인코더는 이동 중에 셔틀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셔틀과 지지 선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회로(91)는 또한 셔틀 모션에 대한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는 핀치 보호 회로(90)를 포함할 수 있다. 핀치 보호 회로는 모터(53)에 대한 전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 및 원하는 감도의 전류 센서(9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센서(92)는 회로(91)를 통해 모터(53)에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도록 원하는 대로 구성된다. 센서(92)로부터의 측정 신호는 회로(90)에 의해 제어기(400)로 전송된다. 핀치 보호 회로(90)는 필요에 따라 폐쇄 루프 또는 개방 루프 시스템일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틀이 구동 모터(53)에 의해 전진되고 장애물에 직면할 때, (회로(91)를 통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는 일반적으로 장애물에 의해 제공되는 셔틀 운동에 대한 저항 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과잉" 전류는 센서(92)에 의해 검출되고 정보는 회로(90)를 통해 제어기(400)에 릴레이 된다. 센서(92)는 미가공 또는 미처리 센서 데이터를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노이즈로부터, 초과 전류, 충분한 레벨 및 장애물을 표시하기에 충분한 지속 시간이 모터(53)에 공급되고 있는지 식별하도록(적절한 알고리즘과 같이)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제어기(400)는 자동 역방향 프로그램(402)(도 1A 참조)을 가지며, 과전류(따라서 셔틀 모션에 대한 방해)가 확인되면, 제어기는 명령 신호를 모터(53)에 전송하여 이전에 명령된 작동을 중지하고 모터 방향을 역전시킨다. 따라서 셔틀(52)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리드 스크류(57)의 회전은 또한 역전되어 셔틀의 이동이 장애물로부터 멀어지도록 역전되게 한다. 셔틀은 인코더(53E) 정보로부터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반전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류 센서(92)는 초과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원하는 세트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 센서는 프로그래밍된 설정 포인트를 초과하는 레벨과 지속 시간을 갖는 과잉 전류가 감지되면 적절한 신호를 제어 장치에 보낼 수 있다. 전류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기는 제어기 메모리의 자동 반전 프로그램(402)에 액세스한다. 이는 편향 가능한(즉, 핀치) 바를 사용하는 기존 시스템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장애물 감지 및 복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예의 로드 포트 모듈은 이송 컨테이너 전진 검출 시스템(110)(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 됨)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 전진 검출 시스템(110)은 셔틀(52)에 장착되어 전진되는 컨테이너(T)의 특징부 검출하고, 셔틀을 정지시켜서, 컨테이너가 도킹 위치에 있을 때 컨테이너의 전면이 서로 다른 컨테이너들 간의 공차 변동에 관계없이 원하는 반복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컨테이너와 로드 포트 프레임(29) 사이에 실제 접촉없이 최소한의 간격이 있도록 로드 포트 셔틀 전진 동작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 치수는 특히 제조업체마다 다르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셔틀 이동이 "최악의 경우"에 맞게 조정되어 대부분의 경우 지나치게 큰 간격을 허용한다. 로드 포트 모듈(24)의 컨테이너 전진 감지 시스템(110)은 최소 간극을 제공하는 위치(L1)에서 전면으로 상이한 컨테이너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종래 시스템의 문제를 극복한다. 이 실시예에서 검출 시스템(110)은 방사 에너지의 방사기 또는 소스 및 방사기로부터 방사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를 갖는 "스루 빔" 센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검출 시스템(110)은 적절한 원격 광원에 연결된 광섬유의 말단부에 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112)을 가질 수 있다. 시스템(110)은 또한 광원(112)으로부터의 광 빔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 셀과 같은 적절한 광 감지 부분(114)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2) 및 센서(114)는 셔틀(52)의 반대편에 그리고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여 셔틀(52)에 의해 장착되고 이송되는 컨테이너(T)가 광원(112)에 의해 방출되고 센서(114)의 적어도 센서부를 조사하는 광선(B)을 차단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원(112) 및 센서(114)는 접촉 및 미립자 보호를 위해 그리고 셔틀(52)에 의해 이송되는 컨테이너 이외의 물체에 의한 빔의 부주의 한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커버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12, 114)는, 셔틀에 의해 도킹 된 위치로 이동했을 때, 광 빔(B)이 컨테이너(T)의 전방면의 위치(L1)로부터 원하는 거리 d만큼 이격되도록 셔틀 이동 방향(도 2에서 화살표 M으로 표시됨)으로 오프셋 거리에 위치한다. 알 수 있듯이, 셔틀에 의해 전진하는 컨테이너(T)의 전면은 도킹된 위치 위치(L1)로부터 거리 d에 있을 때 빔(B)을 차단한다. 제어기(400)는 거리 d로 프로그래밍된다. 제어기(400)는 또한 모터 인코더(53E)(도 4d 참조)에 의해 제어기에 제공될 수 있는 셔틀 이동 정보 및 셔틀 상의 컨테이너(T)의 전방면이 위치(L1)에 있게 하도록 셔틀 전진 움직임이 정지될 때를 결정하는 거리(d)를 사용하는 알고리즘(도 1a의 프로그램 모듈(401))로 프로그래밍된다. 따라서, 전진 컨테이너(T)의 전방 표면이 빔(B)을 차단할 때, 센서(114)는 적절한 신호를 제어기(400)에 전송하여 컨테이너 전방 표면의 검출을 제어기에 알린다. 그 다음, 제어기(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셔틀 전진에 언제 정지를 명령할지를 결정할 수 있고, 정확한 시간에 셔틀 구동 섹션(54)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셔틀에 의해 이송되는 각 컨테이너(T)는 컨테이너 간의 치수 변화에 관계없이 위치(L1)에 컨테이너 전면을 갖도록 도킹된 위치에 적절하게 위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T)가 도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도어(T4)는 로드 포트 모듈 액세스 포트(30P)의 도어(30D)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T)의 전면에 있는 도어(T4)는 도 6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어(T4)는 결합될 때 컨테이너 박스에 도어(T4)를 유지하는 래치 시스템(T40, T42)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도어용 래치 시스템의 예는 1998 년 6 월 30 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5,772,386호에 설명되고 있으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편입된다. 도어 래치 시스템(T40, T42)은 래치 탭(T46)이 관절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허브(T4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T44)의 회전은 래치 탭(T46)의 작동으로 인해 컨테이너 하우징에 결합 및 분리시키게 된다. 래치 허브(T44)는 도어(T4)의 래치 키 액세스 구멍(T50)을 통해 액세스 할 수 있다. 컨테이너 도어(T4)는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케이터 핀 홀(T52)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드 포트 모듈의 액세스 포트 도어(30D)는 컨테이너의 도어(T4)에 있는 로케이터 핀 구멍(T52) 및 래치 키 액세스 구멍(T50)과 상보적이거나 일치하는 구성으로 로케이터 핀(120) 및 래치 키(122)를 갖는다. 포트 도어(30D)의 로케이터 핀(120) 및 래치 키(122)는 앞서 본 발명에 편입된 미국 특허 제5,772,386호의 로케이터 핀 및 래치 키와 유사하다. 포트 도어(30D)의 래치 키(122)는 컨테이너 도어의 키 액세스 구멍(T50) 및 래칭 시스템의 허브(T44)의 키 구멍의 형상을 따른다. 포트 도어(30D)가 컨테이너 도어(T4)에 맞물리면, 액세스 도어(30D)의 래치 키(122)가 키 액세스 구멍(T50)을 통해 컨테이너의 허브(T44)에 형성된 키 구멍으로 들어간다. 래치 키(122)의 회전은 허브(T44)의 회전 및 래치 시스템의 작동이 래치 탭을 결합/해제함으로써, 컨테이너로부터 컨테이너 도어(T4)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도록 한다. 래치 키(122)는 액세스 도어 구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미국 특허 제 8,821,099호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되며, 그 개시 내용은 이전에 그 전체가 참조로 여기에 편입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판 처리 장치 또는 도구(1002) 및 그에 연결된 컨테이너(T)의 개략적인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처리 장치(1002)는 일반적으로 도 1a, 1b, 1c에 도시된 기판 처리 도구와 유사하다. 처리 도구(process tool: 1002)는 일반적으로 처리 섹션(1006) 및 EFEM(1004)을 가질 수 있다(설명을 위해 웨이퍼가 정면에서 툴에 로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참조 번호가 계속 사용됨).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처리 섹션(1006) 및 EFEM(1004)은 공통 제어 환경 또는 분위기(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N2, Ar) 또는 매우 깨끗한 건조 공기)를 공유할 수 있다. 처리 섹션(1006)은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EFEM(1004)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처리 섹션 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도 7a에 도시된 배열은 단지 예시적이며 EFEM 및 처리 섹션 모듈은 다른 실시예에서 임의의 원하는 배열로 서로 연결됨). 처리 섹션 또는 모듈(1006)은 폐쇄 가능한 개구(예를 들어, 게이트 밸브)와 같이 EFEM(1004)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섹션은 또한 EFEM 분위기와 다른 처리 분위기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처리 섹션(1006)은 상이한 분위기를 갖는 처리 모듈을 허용하거나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EFEM에 연결되도록 진공을 유지하는 로드 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EFEM(1004)은 달리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EFEM(1004)은 기판이 처리 섹션(1006)으로 및 그로부터 이송될 때 EFEM에서 원하는 제어 된 환경 또는 분위기를 유지하기위한 적절한 환경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FEM(1004)는 제어기(31000)(위에 설명된 제어기(4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음), 하나 이상의 유체 제어 밸브(31010, 31020, 압력 릴리프 또는 체크 밸브(31030) 및 센서(예: 압력 센서(31040), 오염 센서(31041) 및 온도 센서(3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EFEM(및 처리 섹션(1006)) 내의 제어된 환경의 온도 압력 및 가스 유동 속도(31050)와 같은 속성을 조정하거나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31000)는 압력 센서(31040), 온도 센서(31042) 및 환경 오염 센서(310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환경 정보에 따라 제어기는 적절한 밸브(31010, 31030)를 작동하여 EFEM 내에서 압력을 해제 또는 증가시키고 EFEM 내에서 공기 유동(31050)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기(31000)는 또한 온도 센서(31042)에 의해 제공된 온도 판독값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라디에이터(31060)를 통한 냉각수 유동을 조정함으로써) EFEM 내의 가스의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31000) 및 관련 밸브 및 센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고, 제어기(310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의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EFEM(1004)은 기판을 잡고 이송할 수 있는 기판 이송 장치 또는 로봇(1004R)(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봇은 임의의 원하는 유형일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EFEM(1004)은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T)를 도구(1002)에 인터페이싱하고 기판이 도구(1002)에 로딩 및 언로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드 포트(24)(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음)를 포함할 수 있다. EFEM(1004)의 로드 포트(24) 및 컨테이너(T)의 대응하는 보완 인터페이스부(본 명세서에 설명됨)은 EFEM(1004) 및 처리 섹션(1006)에서 제어된 환경의 저하없이 컨테이너와 EFEM 사이에서 기판의 로딩 및 언로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FEM 로드 포트(24) 및 컨테이너(T)의 보완 인터페이스부(총괄적으로 컨테이너 대 EFEM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음)는 EFEM에 인터페이스 된 컨테이너(T)가 도구에 통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포트(24)를 통해 통합된 컨테이너(T)는 EFEM과 동일한 제어된 분위기를 공유하고 따라서 EFEM과 동일한 제어된 분위기에서 기판을 유지할 수 있는 챔버를 정의할 수 있어서, EFEM 이송 로봇(1004R)에 의해 기판이 컨테이너(T)로부터 처리 섹션 또는 처리 모듈로 직접 이송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측면과 유사하게, 도 7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EFEM 인터페이스에 대한 컨테이너는 EFEM 내부로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그리고 처리 섹션을 통하여 컨테이너 챔버 내에서 그로부터 세정 터널로서 전술한 것(EFEM 및 처리 섹션 전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정)을 정의한다. 세정 터널은 닫히고(예: 컨테이너가 로드 포트에서 제거될 때) 세정 터널로 저하되지 않고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EFEM 에 대한 컨테이너 인터페이스는 2015년 8월 11일 발행된 "측면 개구 퉁합 포트"라는 명칭이며 그 전체가 여기에 참고로 편입된 미국 특허 제9,105,673호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인터페이싱되기 이전에 컨테이너의 환경에 독립적인 도구(실질적으로 전술함)와 컨테이터(T)를 직접 통합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는 서로 상이하거나 다른 환경(예: 세정 공기에서 불활성 가스 환경으로 또는 세정 공기에서 진공으로)을 갖는 처리 도구와 직접 인터페이스되고 통합된 다음 서로 상이한 환경을 가지며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시 도구에 인터페이스 되고 통합되는 도구들 사이에서 직접 이송한다. 따라서, 제어된 환경을 가진 하나의 도구에 있는 기판은 서로 상이하고 다른 제어된 환경을 가진 다른 도구의 EFEM(EFEM(1004에 유사함)애 직접 인터페이스외고 이송되는 용기(T) 내부로 세정 터널을 통하여 처리 섹션(처리 섹션(1006)에 유사함)으로부터 EFEM 로봇(1004R)으로써 직접 이송되며, 상기 기판은 다른 처리 도구에서의 제어된 환경의 저하 없이 처리 섹션에 대하여 다른 도구에서 이제 정의된 세정 터널을 통하여 EDEM 로봇으로써 직접 이송된다. 실제로 컨테이너와 결합된 EDEM에 대한 컨테이너 인터페이스는 외부 로드 락 또는 컨테이너 로드 락을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24)는 예시 목적으로 하나의 컨테이너(T)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는 임의의 원하는 컨테이너의 수와 인터페이스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측면에서, 로드 포트는 미국 특허 제9,105,673호에 설명 된 것과 유사한 스택에 배열된 다수의 컨테이너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스택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여기에 참고로 편입된다. 본 발명 내용에 따르면, 컨테이너가로드 포트에 있을 때, 로드 포트(24)는 컨테이너를 펌핑하기 위해, 예를 들어 컨테이너 내부 및 그 내부의 기판으로부터 분자 오염물을 세정하기 위해 로드 포트에 고정된 컨테이너(T)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진공 소스(1010V)를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컨테이너는 로드 포트에서 진공 소스(1010V)와 통신 가능하게 인터페이스하고 컨테이너가 진공 상태로 펌핑될 때 컨테이너 케이스의 대기압을 견디도록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 될 수 있다(예: 미국 특허 제9,105,673호 참조).
컨테이너(T)는 적합한 통로 및 오리피스 또는 포트(776)(진공 포트, 퍼지 가스 포트를 가지며 또는 포트가 진공 및 퍼지 가스 소스 모두에 공통일 수 있음)를 가져서, 컨테이너를 로드 포트(24)에 연결 또는 커플링시, 로드 포트의 진공 소스(1010V)는 컨테이너 하우징에 자동으로 결합되고 컨테이너 내부와 통신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T)를 진공 소스(1010V)에 커플 링하는 것 및/또는 컨테이너(T)에 결합될 때 진공 소스(1010V)를 작동하는 것은 컨테이너(T)로부터, 예를 들어 커플링에서 및/또는 컨테이너(T)의 도어 시일을 통해, 부식성 가스 유출(910, 920, 930)(도 9)을 야기한다. 도 7a에 도시된 포트(776)의 위치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진공 포트는 원하는 대로 위치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시일(예를 들어, 도 9의 도어 시일(940) 참조)은 시일을 가로 질러 진공을 견디기 위해 원하는 무결성을 갖는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는 또한 벤트 또는 퍼지 가스의 공급원과 같은 가스 공급원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 는 로드 포트(24)의 컨테이너 지지부에 안착될 때 가스 소스/공급부(1010G)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T)는 컨테이너가 로드 포트 지지 표면 상에 배치될 때와 같이 가스 공급부(1010G)의 노즐에(예를 들어 자동으로) 결합하기 위해 적절한 유입 포트(776)(플러그(및 컨테이너 내부를 연결하는 적절한 가스 채널)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T)를 가스 소스(1010G)에 결합하고 및/또는 컨테이너(T)에 결합될 때 가스 소스(1010G)의 작동은 커플링에서 및/또는 컨테이너(T)의 도어 시일을 통하여 컨테이너(T)로부터 부식성 가스 배출(910, 920, 930)(도 9)을 야기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로드 포트와 컨테이너 사이의 가스 소스 인터페이스의 배열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와 로드 포트 사이의 가스 소스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위치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소스(1010G)는 예를 들어 퍼지 및/또는 배기 가스를 로드 포트(24) 상에 안착되거나 위치된 컨테이너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 포트(24)에 적절하게 배치된(예를 들어, 오버 헤드 이송부에서) 컨테이너(T), 및 컨테이너 하우징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컨테이너에 연결된 가스 공급 노즐을 사용하면, (로드 포트에 위치되고 환경이 EFEM 에 유지된다면, 컨테이너의 내부 분위기에 따라) 퍼지 가스(예: N2)는 원하는 경우 컨테이너에 공급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에 일부 처리 대기(예: 이전 도구와의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어 있고, EFEM(1004)이 불활성 가스 또는 매우 세정 공기 대기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컨테이너 대기와 유사하지 않을 수 있는데, 컨테이너를 로드 포트에 배치할 때, 원하는 퍼지 가스는 가스 공급부(1010G)를 통해 컨테이너로 공급되어, 컨테이너 대기를 퍼징하게 되어, 컨테이너는 로드 포트 개구와 인터페이스되고 도구(1002)에 통합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컨테이너 대기가 EFEM 환경과 호환되지 않거나 원치 않는 오염물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컨테이너를 로드 포트에 배치할 때(예를 들어 컨테이너 내부를 EFEM 환경에 개방하기 전), 컨테이너 내부가 진공 소스(1010V)를 통해 충분한 진공으로 펌핑되고, EFEM의 환경과 유사한 불활성 가스(예: N2, 매우 세정 공기)로 채워져 컨테이너(T)에서 잠재적인 오염 물질을 세척하고 컨테이너(T)의 내부를 전술한 바와 같이 도구에 통합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포트(776)는 진공 소스(1010V)에 결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포트(776)는 용기(T)의 퍼징을 수행하기 위해 퍼지 가스 소스(1010G)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퍼지 가스 공급부(1010G)는 진공 소스(1010V)에 추가로 또는 대신하여 전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50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 대기에 관한 정보는 RFID(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 또는 기타 적절한 데이터 저장 장치에 기록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가 로딩되어 있는 로드 포트(24)에서 또는 이에 근접한 적절한 판독기에 의해 판독(또는 액세스) 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관한 적절한 정보는 도구 제어기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원하는 프로토콜로 검토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 용기가 로드 포트(24)에 위치할 때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펌핑 및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대기에 관한 정보는 컨테이너가 적재 포트에 도킹 될 때 또는 다른 적절한 시간에 컨테이너 이송 저장 장치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원하는 경우 FAB 와이드 제어기에 의해 추적될 수도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T)는 또한 진공 및 가스 공급 연결부를 갖지 않을 수 있는 EFEM과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미국 특허 제 9,105,673 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 또는 온보드 퍼지 가스 공급원을 포함하여 로드 포트에 위치할 때 컨테이너를 정화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와 인터페이싱하는 로드 포트 인터페이스에는 진공 연결부가 제공되고, 가스 공급부가 없을 수 있으며, 그 가스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상의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된다. 따라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는 이제 도구의 기판 세정 챔버로서 기능할 수 있고, 기판이 세정을 수행하도록 도구에서 저장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펌프/벤트 작업은 컨테이너(T)를 다른 도구로 재배치할 때와 같이 로드 포트(24)로부터 컨테이너(T)를 제거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a에 도시된 도구 인터페이스에 대한 로드 포트 및 컨테이너의 배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 공급부는 컨테이너 내부가 펌핑된 후 EFEM 환경에서 컨테이너로 가스를 배출하도록 원하는 대로 위치될 수 있다.
도 9-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 포트(24)에 대한 컨테이너(T)의 배치(또는 로드 포트(24)로부터의 컨테이너(T)의 제거)는 예를 들어 퍼지/벤트 포트 커플링(`0000-10005)에서 컨테이너(T)로부터 부식성 가스 배출(910, 920)을 야기 할 수 있는데, 상기 퍼지/벤트 포트 커플링에서, 퍼지/벤트 포트 커플링(10000-10005)는 컨테이너(T) 상의 포트(776)(예를 들어, 소정의 액세스 위치, 또한 컨테이너(T) 인터페이스(983)에 대한 컨테이너 도어(30D)도 소정의 액세스 위치인 것으로 간주 될 수 있음을 주목)에 실질적으로 연결된다. 부식성 가스 배출(930)은 도어 시일(940)이 마모되거나 컨테이너(T)의 내부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경우와 같이 도어 시일(940)(도 9)에서/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74)(도 5), 선형 베어링(283)(도 5), 모터(예를 들어 도 4d의 모터(53), 센서(센서(T12-T20)(도 4b) 참조), 센서(68O)(도 5), 스위치(68)(도 5), 센서(92)(도 4c)), 와이어 하니스(72)(도 4D), 검출 시스템(110)(도 2), 및/또는 로드 포트(24)의 다른 적절한 구성 요에 대한 유체 접근을 허용하는 예를 들어 셔틀(52) 및 선반(50) 사이에 슬릿 또는 작은 개구(999)가 존재한다. 본 발명 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그리고 본원에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 960-963(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fluid mass flow) 플레넘 영역이라고도 함)은 슬릿(999)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부식성 가스 유출을 방지하며,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74)(도 5), 선형 베어링(283), 모터(예: 모터(53)(도 4d)), 센서(센서(T12-T20)(eh 4b) 참조), 센서(68O)(도 5)), 스위치(68)(도 5), 센서(92)(도 4c)), 와이어 하니스(72)(도 4d), 검출 시스템(110)(도 2), 및/또는 로드 포트(24) 상에 배치된 컨테이너(T)에 근접한 로드 포트(24)의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로드 포트(24)의 적절한 구성요소(이에 국한되지 않음)와의 부식성 가스 접촉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963)은 로드 포트 구성 요소에 적용되는 코팅과 관련된 비용, 수정, 제조 복잡성 및 제조 리드 타임을 완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어기(400)는 로드 포트(24)에 의해 유지되는 컨테이너(T)의 구성에 따라 연속적인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963)의 유체 질량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400)는 연속적인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963)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기 위해(예를 들어, 유체 유동 경계의 위치를 변경)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유체 질량 유동을 조정할 수 있어서, 덮힌 영역은 로드 포트(24)에 결합된 캐리어(T)의 퍼지 포트(601-604)(도 6b) 구성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퍼지 포트 구성은 컨테이너 간에 변경될 수 있고 컨테이너 제조업체간에 변경될 수 있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모듈(24)은 로드 포트 모듈(24)을 기판 처리 장치(위에서 설명함)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29)을 포함한다. 로드 포트 모듈(24)의 액세스 포트/이송 개구(30P)에 근접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를 유지하는 프레임(29에 연결된 이송 컨테이터 지지 영역(28)이 배치된다. 이송 컨테이너 고정 영역(28)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977)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예: 포트(776))에서 이송 컨테이너 고정 영역(28)으로부터 접근되도록 구성된다.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28)은 예를 들어 로드 포트 모듈(24) 및 EFEM(12) 사이의 볼트 인터페이스의 외부와 같은 로드 포트 개구(30P) 외부 및 EFEM 의 외부에 배치되는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28)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도 9, 10a 및 10b의 다른 압력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 및 도 9, 10b, 11의 연속 정장 상태 차압 플레넘을 참조)을 구비한다.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960B, 961B, 962B, 963B, 964, 965, 966B, 967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미리 정해진 액세스 위치(예를 들어 포트(776))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28)의 다른 소정의 섹션(예를 들어 부식 당하게 되는 로드 포트 모듈(24)의 섹션/부분) 사이의 이송 컨테이너 지지 영역(28) 상에 배치된 유체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으로 지칭되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을 정의한다. 일실시예에서,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카세트 지지부(예: 지지부(36)) 또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에 의해 격리된 로드 포트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도록 생성되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0b를 참조하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각각의 경계(967B, 962B)를 갖는 연속 정상 상태 차동 플레넘 영역(962, 967)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카세트 지지부 또는 셔틀(52)의 다른 소정의 섹션은 컨테이너(T)를 셔틀에 확실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특징부(60)를 위한 개구(10099) 일 수 있다. 부식성 가스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모터, 인쇄 회로 기판 등은 그 아래에 배치되어 개구(10099)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각각의 연속 정상 상태 차동 플레넘 영역(962, 967)의 유체 질량 유동은 부식성 가스가 개구(10099)로 유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장벽(967B, 962B)이 구멍(10099)으로부터 거리(10098)만큼 오프셋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예를 들어, 경계부(960B, 961B, 962B, 963B, 964, 965, 966B, 967B))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일실시예에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미리 정해진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공기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예를 들어, 부식성 가스 배출구(910, 920, 930))의 탈출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도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 포트 모듈(24)은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경계부(960B, 961B, 962B, 963B, 964, 965, 966B, 967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유체 유동을 생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6)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6)는 로드 포트 모듈(24)의 컨테이너(T) 진공 퍼지 포트(10000-10005)와 분리되고 구별된다.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6)가 실질적으로 원형 개구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구멍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는 여기서 설명한 경계부(960B, 961B, 962B, 963B, 964, 965, 966B, 967B)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 벽을 생성하기 위해 로드 포트(24)의 외접하거나 인접하여 소정의 특징부(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것)에 배치되는 긴 슬릿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6)는 부식 가스 유출이 로드 포트 모듈(24) 특징부와 인터페이싱하거나 접촉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을 받게 되는 특징부(예를 들어 부식 가스 유입으로부터)를 만드는 소정의 특징을 가지는 로드 포트 모듈(24) 특징부(예를 들어 전술하여 설명됨)에 인접한 로드 포트 모듈(24) 외부의 소정의 섹션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12 및 13을 참고하면,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7, 10018)(플레넘 포트(10010-10016)와 실질적으로 유사함)가 셔틀(52)과 지지체(50) 사이에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70, 971)(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과 실질적으로 유사함)은 셔틀(52)과 지지체(50)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70, 971)의 경계부(970B, 971B)는 부식 가스 유출이 임의의 적절한 구성 요소(예: 여기에 설명된 모터, 인쇄 회로 기판 등)으로 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힌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플레넘 포트는 로드 포트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적절한 수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생성하여, 대응하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으로써 부식성 가스 유출로부터 로드 포트 구성 요소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8)가 양압 포트인지 또는 음압(예를 들어, 진공) 포트인지에 따라,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8)가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이 제공되는 로드 포트 특징부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8)는 경계부(960B, 961B, 962B, 963B, 966B, 967B, 970B, 971B)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다른 경계부(964, 965)는 로드 포트(24)이 구조체(예를 들어 셔틀(52)의 도 10a의 표면(52s)) 및/또는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에 의해 생성되되, 연속적인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일부에서 연속적인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로드 포트(24)의 카세트 지지 구조체의 표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경계 설정된다. 일실시예에서, 표면(52S)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표면(52S)은 연속적인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안내하는 베인(52V)(도 10a) 또는 다른 유체 유동 제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8)는 각각의 플레넘 포트(10010-10018) 및 연관된 소정의 액세스 위치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각 플레넘 포트(10010-10018) 및 컨테이너/도어 인터페이스(983)) 주위에서 이를 둘러싸는 각각의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생성하도록 된다.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명확성을 위해 컨테이너(T)가 도 10a에 도시되지 않음에 유의), 플레넘 포트(10010, 10013)는 각각의 경계부(966B, 961B)를 갖는 각각의 소정의 차압 플레넘(966, 961)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플레넘 포트(10002, 10012)는 각각의 경계부(967B, 962B)를 갖는 각각의 소정의 차압 플레넘(967, 962)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T)의 바닥 표면 및 셔틀(52)의 외부 표면은 또한 각각의 차압 플레넘(966, 961, 967, 962)의 경계부(964, 965)를 형성 할 수 있다. 차압 플레넘은 실질적으로 로드 포트 모듈(24)의 각각의 진공/퍼지 포트(10000-10005)에 실질적으로 결합된 컨테이너(T)의 연관된 진공/퍼지 포트(776)로 부터의 부식성 가스 유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도 10b 및 도 11에서, 플레넘 포트(10014-10018) 중 하나 이상은 각각의 경계부(963B)를 갖는 각각의 차압 플레넘(963)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계부(963B)의 적어도 일부는 셔틀(52) 및/또는 컨테이너(T)의 외부 표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차압 플레넘은 컨테이너/도어 인터페이스(983) 및 로드 포트 도어(30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로드 포트 프레임(29) 인터페이스(276)(도 2 참조) 로의 부식성 가스 유출을 실질적으로 포함하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차압 플레넘 포트(10014)는 로드 포트 모듈(24) 선반(50)에 배치될 수 있고, 차압 플레넘 포트(10015, 10016)는 로드 포트 개구(30P)를 향하는 셔틀(52)의 측면에 배치되어, 차압 플레넘(963)은 로드 포트 도어(30D)로부터 로드 포트 프레임(29) 인터페이스(276), 컨테이너/도어 인터페이스(983)로 연장되며; 다른 실시예에서, 셔틀(52)상의 차압 플레넘 포트(10015, 10016) 및 선반(50)상의 차압 플레넘 포트(10014)는 분리되고 별개의 차압 플레넘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예를 들어, 셔틀(52)이 컨테이너(T) 로딩 위치에 배치될 때), 셔틀이 컨테이너(T) 도킹 위치에 배치 될 때 별도의 별개의 차압 플레넘이 합쳐지게 된다(예를 들어, 기판이 컨테이너에 들어오고 나가는 컨테이너 기판 통로 개구가 로드 포트 개구(30P)와 짝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압 플레넘 포트의 적어도 일부는 셔틀(52) 기준 프레임에 대해 고정될 수 있는 반면(예를 들어, 차압 플레넘 포트는 셔틀에 장착됨), 다른 차압 플레넘 포트는 로드 포트 모듈(24) 프레임(29)에 대하여 정적으로 되거나 고정된다(예를 들어, 부식성 가스로부터 보호될 셔틀 및/또는 부품은 프레임(29)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차압 플레넘(966, 961, 967, 962, 963, 970, 971)의 크기는 각 플레넘 포트(10010-10018) 내부로(예를 들어 진공/흡입 압력 플레넘) 또는 외부로(예를 들어 양압 플레넘) 이동하는 유체의 질량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증가 또는 감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차압 플레넘(966, 961, 967, 962, 963)의 크기는 각각의 차압 플레넘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차압 플레넘과 합쳐지도록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압 플레넘(961, 966, 962, 967)은 합쳐져 컨테이너(T) 바닥의 실질적으로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결합된 차압 플레넘(960)을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차압 플레넘(963)은 또한 차압 플레넘(960)과 병합될 수 있어서, 차압 플레넘은 또한 컨테이너 도어(30D)/컨테이너(T) 인터페이스(983))(및/또는 로드 포트 도어/프레임 인터페이스(276 - 도 2)를 덮도록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압 플레넘(966, 961, 967, 962, 963)의 크기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차압 플레넘이 공통 차압 플레넘으로 병합되도록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도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에 의해 형성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양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압 ΔP(도 9 참조)은 대기(예를 들어, 컨테이너(T) 및 로드 포트 모듈(24)를 둘러싼 외부 영역)에 대한 양압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차압 ΔP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예를 들어 포트(776))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탈출된 가스(예를 들어 부식 가스 유출(910, 920, 930))의 압력(예를 들어, 분압)에 대한 양압이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에 의해 형성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양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이며; 임의의 적합한 세정 건조 공기 공급원(13000)으로부터의 세정 건조 공기가 임의의 적합한 방식(예를 들어, 적합한 도관(13010)을 통해)으로 하나 이상의 차압 플레넘 포트(10010-10018)에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차압 플레넘 포트(10010-10018)로부터 방출되는 세정 건조 공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압력 센서가 로드 포트 모듈(24)에 제공될 수 있다. 세정 건조 공기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제공되어(예를 들어, 셔틀(52)과 도킹된 컨테이너에, 컨테이너(T)를 로드 포트 개구(30P)에 결합 할 때, 컨테이너를 로드 포트 개구(30P)로부터 분리할 때, 그리고 셔틀(52)로부터 컨테이너(T)를 분리할 때), 양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은 적어도 컨테이너(T)로부터의 부식 가스가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이 제공되는 로드 포트 모듈(24)의 영역에 들어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도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에 의해 형성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음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압 ΔP(도 9 참조)는 대기(예를 들어, 컨테이너(T) 및 로드 포트 모듈(24)를 둘러싼 외부 영역)에 대한 음압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압 ΔP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예를 들어 포트(776))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유출 가스(예를 들어 부식 가스 유출(910, 920, 930))의 압력(예를 들어, 분압)에 대한 음압이다. 음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는 양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와 함께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양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은 음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에 의해 형성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음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이며, 임의의 적절한 원격(예:로드 포트 셔틀(52) 및 셔틀 지지대(50)에서 떨어져 위치)으로부터의 진공/흡입 소스(12000)(예: 펌프, 팬, 진공 등)로부터의 진공/흡입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적절한 도관(120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차압 플레넘 포트(10010-10016)에 제공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 13을 참조하면, 여기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에 의해 형성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음압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이며, 임의의 적절한 지역(예: 셔틀(52) 및/또는 셔틀 지지대(50)에 배치됨) 진공/흡입 소스(12001)(예를 들어, 펌프(예를 들어, 음향 공기 펌프, 피에조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등), 팬 등)로부터의 진공/흡입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적절한 도관 120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차압 플레넘 포트(10010-10018)에 제공된다. 국부 진공/흡입 소스(12001)가 셔틀(52)과 함께 이동하도록 셔틀(52)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진공/흡입 소스(12001)는 셔틀 지지부(50)에 정적으로 되도록 유사한 방식으로(예를 들어, 차압 플레넘 포트(10014)에 흡입을 제공하기 위해) 셔틀 지지부(50)에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정의 음압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에 의해 배기된 흡입된 부식 가스는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서 로드 포트 모듈(24)로부터 배출 될 수 있다. 진공/흡입 소스(12001)가 셔틀(52) 및/또는 셔틀 지지체(50)에 국한되는 경우, 임의의 적절한 유체 유도 경로(13012)(예를 들어, 채널, 호스, 베인, 통로 등)는 컨테이너(T)의 밀폐된 환경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부식 가스 유출(910, 920, 930)을 출력/배출하기 위해 셔틀(52) 및/또는 셔틀 지지체 내에 형성되거나 통과할 수 있다.
도 7a, 8a, 9 및 10a를 참조하여 컨테이너(T)와 로드 포트(24) 사이의 예시적인 도킹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T)는 로드 포트(24)(도 8a, 블록(800))로 이송되고, 위에서 설명한 컨테이너 클램핑 시스템(61)과 같이 선택적으로 로드 포트(도 8a, 블록(805))에 클램핑 된다. 컨테이너(T)의 도착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이 활성화되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이 컨테이너(T)를 셔틀(52)에 연결하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24)의 진공 퍼지 포트(10000-10005)는 컨테이너(T)의 포트(776)와 자동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T)를 가스 공급원(1010G) 및/또는 진공 공급원(1010V)에 결합(및/또는 컨테이너(T)에 결합될 때 동일한 작동)하는 것은 포트(776)를 가진 포트(10000-100005) 간의 연결부 및/또는 컨테이너(T)의 도어 시일(940)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 컨테이너로부터 부식성 가스 유출(910, 920, 930)(도 9 참조)을 유발할 수 있다. 부식 가스 유출(910, 920, 930)은 차압 플레넘 공간 또는 영역(또는 활성)으로 실질적으로 포함/제한 및/또는 배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 된 바와 같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유체 격리 장벽(968)에 의해 부식 가스로부터 보호되는 로드 포트(전술한 것)의 영역으로 포트(776)와 포트(10000-10005)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컨테이너(T)의 밀봉된 환경으로부터 부식 가스 유츌(910)의 유입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거나(예를 들어, 진공 장벽의 경우), 실질적으로 방지(양압 장벽의 경우)할 수 있다.
로드 포트(24) 셔틀(52)은 컨테이너(T)를 컨테이너/로드 포트 인터페이스(750)로 전진시키고, 여기서 컨테이너 /로드 포트 인터페이스(750)는 BOLTS 인터페이스이다(도 8a, 블록(810)). 컨테이너(T)가 컨테이너/로드 포트 인터페이스(750)로 전진하기 전 또는 전진하는 동안 컨테이너(T)는 전술 한 바와 같이 통기 및/또는 퍼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로드 포트 도어는 또한 컨테이너(T)의 전진 동안 활성화될 수 있는 진공을 포함할 수 있어서, 컨테이너(T)의 표면상의 임의의 미립자 물질이 컨테이너(T)와 로드 포트(24)의 인터페이싱동안 제거될 수 있다.
로드 포트(24) 셔틀(52)은 컨테이너(T)를 컨테이너/로드 포트 인터페이스(276)(도 2)에 대고 눌러 컨테이너(T)를 로드 포트(24)에 연결한다(도 8a, 블록(815)). 컨테이너 도어(T4)(도 6a)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로드 포트 도어(30D)에 고정된다(도 8a, 블록(820)).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은 활성 상태로 남게 되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96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되거나 컨테이너 도어(T4)에 의해 포트 도어(30D) 인터페이스로 아래에 배치되는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컨테이너 도어(T4)가 후퇴하기 시작한다(도 8a, 블록(835)). 컨테이너 도어(T4)가 후퇴하기 시작함에 따라 컨테이너(T)와 컨테이너 도어(T4) 사이의 밀봉이 이완될 수 있고, 컨테이너(T) 내부로부터의 부식 가스가 컨테이너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예: 차등 플레넘 영역(963))은 컨테이너(T)로부터의 컨테이너 도어(T4)의 후퇴시에 발생하는 컨테이너(T)의 밀봉된 환경으로부터의 임의의 부식 가스 유입(910, 920, 930)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거나(예를 들어, 진공 장벽의 경우), 유입을 실질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양압 장벽의 경우). 컨테이너 도어(T4)는 컨테이너(T)(도 8a, 블록(845))에서 분리되고 로드 포트(24)(도 8a, 블록(850))의 도어 저장 영역(770)(도 7A)으로 하강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로드 포트(24)에 등록/도킹될 수 있다.
도 7a, 8b, 9 및 10a를 참조하여, 컨테이너(T)와 로드 포트(24) 사이의 예시적인 도킹 해제 프로세스가 설명될 것이다. 컨테이너 도어(T4)는 도어 저장 영역(770)(도 8b, 블록(855))으로부터 상승되고 컨테이너(T)(도 8a, 블록(860))를 향해 전진한다. 컨테이너 도어(T4)는 컨테이너(도 8b, 블록(865))로 밀봉하기 시작하고, 컨테이너 도어(T4)의 추가 전진은 컨테이너(T)(도 8b, 블록 870)로 컨테이너 도어(T4)를 밀봉한다. 컨테이너 도어가 밀봉하기 시작하여, 컨테이너(T)로 밀봉하면,, 컨테이너(T)의 내부로부터의 가스가 컨테이너(T)의 포트(776) 및 로드 포트(24)의 포트(10000-10005) 사이의 인터페이스 및/또는 도어 시일(940)(도 9)을 통하여 컨테이너로부터 변위된다.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 961, 962, 963, 966, 967)은 컨테이너(T)로 컨테이너 도어(T4)를 밀봉시에 발생하는 컨테이너(T)로부터의 임의의 부식 가스 유입(910, 920, 930)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거나(예: 진공 장벽의 경우) 유입을 실질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양압 장벽의 경우).
컨테이너 도어(T4)는 예를 들어 로드 포트 도어(30D)(도 8b, 블록(875))로부터 클램프 해제되고, 컨테이너(T)는 컨테이너로부터 로드 포트 개방 인터페이스(276)(도 2)로 해제된다. 컨테이너(T)는 셔틀(52)의 이동을 통해 인터페이스(276)로부터 후퇴한다(도 8a, 블록(885)).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는 로드 포트(24)의 셔틀(85)로부터 클램프 해제된다(도 8b, 블록(890)). 컨테이너(T)는 자동 핸들링 장치를 통하거나 수동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로드 포트(24)(도 8b, 블록(985))에서 출발한다. 가스 소스(1010G) 및/또는 진공 소스(1010V)로부터 컨테이너(T)의 분리는 포트(10000-10005) 간의 커플링에서와 같이 컨테이너(T)로부터 부식 가스 배출(910, 920, 930)(도 9 참조)을 야기할 수 있다. 부식 가스 유출(910, 920, 930)은 차압 플레넘 공간 또는 영역(또는 활성)으로 실질적으로 포함/제한 및/또는 배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은 유체 격리 장벽(968)에 의해 부식 가스로부터 보호되는 로드 포트(전술한 것)의 영역으로 포트(776)와 포트(10000-10005)의 분리시에 발생하는 컨테이너(T)의 밀봉된 환경으로부터 부식 가스 유츌(910)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거나(예를 들어, 진공 장벽의 경우), 실질적으로 방지(양압 장벽의 경우)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T)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로드 포트(24)로부터 등록 해제/도킹 해제될 수 있다.
도 7a, 8b, 9, 10a 및 14에 예시적인 방법(1400)이 설명 될 것이다. 상기 방법(1400)은 기판 로딩 장치의 프레임(29)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도 14, 블록(1401)). 프레임(29)은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29)은 기판 로딩 장치와 처리 장치(10) 사이에서 기판이 이송되는 이송 개구(30P)를 갖는다. 카세트 지지부(28)가 제공되고(도 14, 블록(1402)), 이송 개구(30P)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29)에 연결되며, 카세트 지지부(28)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977)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776)에서 카세트 지지부(28)로부터 액세스된다. 이 방법은 또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963)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776)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776)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28)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카세트 지지부(28)(도 14, 블록(1403))에 배치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968)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카세트 지지부(28)는 카세트 지지부(28)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963)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960-963)은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960B, 961B, 962B, 963B, 964, 965, 966B, 967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도 7a, 8b, 9, 10a 및 15에 예시적인 방법(1500)이 설명 될 것이다. 상기 방법(1500)은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기판 로딩 장치(도 15, 블록(1501))의 프레임(29)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9)은 기판이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 개구(30P)를 갖는다. 카세트 지지부(28)가 제공되고(도 145 블록(1502)), 이송 개구(30P)에 근접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T)를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29)에 연결되며, 지지부(28)는 컨테이너(T)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977)가 컨테이너(T)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776)에서 카세트 지지부(28)로부터 액세스된다. 이 방법은 또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사용하여 컨테이너(T)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776)와 소정의 액세스 위치(776)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28)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의 지지부(28)(도 15, 블록(1503)) 상에 배치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968)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카세트 지지부(28)는 지지부(28)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유체 질량 유동의 경계부(960B, 961B, 962B, 963B, 964, 965, 966B, 967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로딩 장치가 제공된다. 기판 로딩 장치는,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기판 로딩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에서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갖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된 카세트 지지부로서,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 접근되도록 구성되며, 카세트 지지부는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가져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컨테이너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로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로딩 장치는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가지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되고,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지지부로부터 액세스되도록 구성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유체 질량 유동의 경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가져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fluid mass flow)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이 생성되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상태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기판 로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판 로딩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되며,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사이에서 기판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송 개구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액세스되도록 구성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랍 플레넘 영역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와 상기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 지지부 상에 배치된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적인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다른 소정의 섹션을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다른 소정의 섹션을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출로부터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이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위한 가이드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된 기판 로딩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사이로 기판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송 개구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연결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부는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지지부로부터 액세스되도록 구성된,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으로써,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유체 질량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의 탈출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압은 분위기에 대한 양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해 양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분위기에 대해 음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한 음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성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단지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 내용의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대안 및 수정이 고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내용의 실시예는 여기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서로 다른 특징은 본원에 첨부된 상호 다른 종속항 또는 독립항에서 인용되지만, 이러한 특징이 결합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대한 범위 내에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10: 장치 12: 전방 섹션
14: 후방 섹션 24: 로드 포트

Claims (33)

  1. 기판 로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 로딩 장치는,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기판 로딩 장치와 처리 장치 사이에서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갖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된 카세트 지지부로서,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 접근되도록 된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steady state) 차압 플레넘 영역(plenum region)을 가져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상기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차압은 분위기에 대하여 양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양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차압은 분위기에 대하여 음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음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로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조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2. 기판 로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판 로딩 장치는,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된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이 상기 기판 로딩 장치와 기판 처리 장치 사이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가지는, 프레임;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상기 이송 개구에 근접하게 유지하기 위해 프레임에 연결되는 카세트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는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지지부로부터 액세스 되도록 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유체 질량 유동(fluid mass flow)의 경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가져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소정의 상기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격리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지지부 상에 배치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상태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는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 배출 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차압은 분위기에 대하여 양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양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유체 질량 유동은 분위기에 대한 음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유체 질량 유동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음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을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을 위한 안내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유동의 연속 정상 상태 격리 장벽이 생성되어, 유체 유동의 연속적인 정상상태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상태 유체 질량 유동 플레넘 영역의 유체 질량 유동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기판 로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조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로딩 장치.
  23. 기판 로딩 장치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를 기판 처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되며, 상기 프레임은 기판 로딩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사이에서 기판이 이송되는 이송 개구를 구비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송 개구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카세트 지지부로부터 액세스 되도록 되는, 카세트 지지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소정의 액세스 위치 및 상기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다른 소정의 섹션 사이에서 캐리어 지지부 상에 배치된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세트 지지부는 카세트 지지부 상에 배치된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가지며, 소정의 연속 정상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의 경계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다른 소정의 섹션을 소정의 액세스 위치로부터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의 유체 유동의 유체 에지로써, 다른 소정의 섹션을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출로부터 밀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차압은 분위기에 대하여 양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양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3 항에 있어서,
    차압은 분위기에 대하여 음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3 항에 있어서,
    차압은 소정의 액세스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밀봉된 내부 분위기로부터의 탈출 가스의 압력에 대하여 음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은 적어도 한면에서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카세트 지지부의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을 위한 가이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23 항에 있어서,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연속 정상 상태 유체 유동 분리 장벽이 생성되어, 연속 정상상태 유체 유동 격리 장벽에 의해 격리된 카세트 지지부의 다른 소정의 섹션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제공하되, 상기 소정의 오프셋은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의 차압을 생성하는 유체 유동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23 항에 있어서,
    제어기로써, 적어도 하나의 기판 카세트 컨테이너의 구조에 따라 소정의 연속 정상 상태 차압 플레넘 영역을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7020142A 2018-11-28 2019-11-26 로드 포트 모듈 KR10258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3688A KR20230142662A (ko) 2018-11-28 2019-11-26 기판 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2376P 2018-11-28 2018-11-28
US62/772,376 2018-11-28
US16/692,359 US10923375B2 (en) 2018-11-28 2019-11-22 Load port module
US16/692,359 2019-11-22
PCT/US2019/063426 WO2020112888A1 (en) 2018-11-28 2019-11-26 Load port modu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688A Division KR20230142662A (ko) 2018-11-28 2019-11-26 기판 로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684A true KR20210095684A (ko) 2021-08-02
KR102586168B1 KR102586168B1 (ko) 2023-10-06

Family

ID=707717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142A KR102586168B1 (ko) 2018-11-28 2019-11-26 로드 포트 모듈
KR1020237033688A KR20230142662A (ko) 2018-11-28 2019-11-26 기판 로딩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3688A KR20230142662A (ko) 2018-11-28 2019-11-26 기판 로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923375B2 (ko)
EP (1) EP3888118A4 (ko)
JP (2) JP7330275B2 (ko)
KR (2) KR102586168B1 (ko)
CN (1) CN113330547A (ko)
WO (1) WO2020112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4769B2 (en) * 2019-07-30 2021-11-02 Brooks Automation, Inc. Robot embedded vision apparatus
US11845179B2 (en) * 2020-12-22 2023-12-19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Wafer jig, robot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obot teaching method
US11993978B2 (en) * 2022-07-01 2024-05-28 Applied Materials, Inc. Seal mechanism for load port doo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98A (ko) * 2011-05-31 2012-12-11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퍼지 장치 및 로드 포트
WO2015118775A1 (ja) * 2014-02-07 2015-08-13 村田機械株式会社 ガス注入装置及び補助部材
KR101619379B1 (ko) * 2015-02-05 2016-05-10 주식회사 우림테크 반도체 제조공정용 로드포트 어셈블리
JP2017112394A (ja) * 2017-02-21 2017-06-22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ジノズルユニット、ロード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75759T1 (de) 1995-03-28 2004-09-15 Brooks Automation Gmbh Be- und entladestation für halbleiterbearbeitungsanlagen
JP4891538B2 (ja) 2004-11-04 2012-03-0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ロードポート
US8821099B2 (en) * 2005-07-11 2014-09-02 Brooks Automation, Inc. Load port module
TWI475627B (zh) 2007-05-17 2015-03-01 Brooks Automation Inc 基板運送機、基板處理裝置和系統、於基板處理期間降低基板之微粒污染的方法,及使運送機與處理機結合之方法
JP5370785B2 (ja) 2011-07-08 2013-12-18 Tdk株式会社 ロードポート装置
JP6087161B2 (ja) 2012-02-03 2017-03-01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収容容器のパージ方法
JP6198043B2 (ja) 2013-06-06 2017-09-20 Tdk株式会社 ロードポートユニット及びefemシステム
KR101575652B1 (ko) 2015-07-06 2015-12-09 코리아테크노(주) 퍼지용 노즐과 이를 이용한 foup 흡착장치
JP6855774B2 (ja) 2016-12-13 2021-04-07 Tdk株式会社 ウエハ搬送容器内雰囲気計測装置、ウエハ搬送容器、ウエハ搬送容器内清浄化装置及びウエハ搬送容器内清浄化方法
US10741432B2 (en) 2017-02-06 2020-08-11 Applied Materials,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 load port door opener
JP7081119B2 (ja) * 2017-11-13 2022-06-07 Tdk株式会社 ロードポ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98A (ko) * 2011-05-31 2012-12-11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퍼지 장치 및 로드 포트
WO2015118775A1 (ja) * 2014-02-07 2015-08-13 村田機械株式会社 ガス注入装置及び補助部材
KR101619379B1 (ko) * 2015-02-05 2016-05-10 주식회사 우림테크 반도체 제조공정용 로드포트 어셈블리
JP2017112394A (ja) * 2017-02-21 2017-06-22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ジノズルユニット、ロード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8118A1 (en) 2021-10-06
US20230245909A1 (en) 2023-08-03
JP2022510300A (ja) 2022-01-26
CN113330547A (zh) 2021-08-31
US11476142B2 (en) 2022-10-18
US10923375B2 (en) 2021-02-16
US20200168493A1 (en) 2020-05-28
KR20230142662A (ko) 2023-10-11
WO2020112888A1 (en) 2020-06-04
US20210249292A1 (en) 2021-08-12
TW202028096A (zh) 2020-08-01
EP3888118A4 (en) 2022-08-17
JP2023153986A (ja) 2023-10-18
JP7330275B2 (ja) 2023-08-21
KR102586168B1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878B2 (en) Removable compartments for workpiece stocker
US11476142B2 (en) Load port module
US20090028669A1 (en) Removable compartments for workpiece stocker
EP3605598B1 (en) Thin-plate substrate holding finger and transfer robot provided with said finger
JP4542893B2 (ja) バッファを備えた基板ローディング及びアンローディングステーション
US11610793B2 (en) Load port module
EP2092556B1 (en) Compartments for workpiece stocker
CN110164794B (zh) 基板输送装置和基板处理系统
US20090142166A1 (en) Container lid opening/clo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ystem
TWI837228B (zh) 基材裝載裝置和方法
US12002694B2 (en) Load port module
CN220106459U (zh) 一种标准smif pod下沉式开启装置
KR100540973B1 (ko) 반도체 자재 저장용기 반송용 로더장치
CN116169075A (zh) 一种标准smif pod下沉式开启装置及其应用方法
KR200315711Y1 (ko)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하는 자재 저장용기의 자동개폐 및 반송용 스미프 로더장치
KR20100073327A (ko) 스미프 장치의 인덱서 플래이트 정렬을 위한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