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867A -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867A
KR20210094867A KR1020200008633A KR20200008633A KR20210094867A KR 20210094867 A KR20210094867 A KR 20210094867A KR 1020200008633 A KR1020200008633 A KR 1020200008633A KR 20200008633 A KR20200008633 A KR 20200008633A KR 20210094867 A KR20210094867 A KR 2021009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seaweed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657B1 (ko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배주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6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의해 피부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피부 노화 예방 및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꼬시래기 추출물; 파래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염증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COMPRISING SEAWEED EX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에 따라 다양한 미용 기능성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특히 피부 주름형성을 예방 및 개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는 크게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 intrinsic aging)와 광 노화(photoaging)로 나눌 수 있는 데, 자연 노화는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생기는 노화이고 광 노화는 생활 속에서 햇빛에 노출되어 생기는 노화이다.
이 중 광 노화는 자외선(ultraviolet rays; UV)에 노출되면 피부에서는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생성되고, 과잉 생성된 활성산소는 산화작용을 일으켜 세포막, DNA 그리고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과 반응하여 세포에 손상을 주고 피부 노화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성분으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등이 알려져 있다.
인체의 노화의 이론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이론은 상기에서 언급한 활성산소에 의한 노화이다. 인체가 섭취한 산소의 약 95%이상은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전자와 결합하여 물로 환원되지만 2 내지 3%의 일부 산소가 불완전 환원으로 전자를 흡수하려는 Free radical 과정에서 세포의 파괴 작용을 초래하는데 이를 활성산소(Active oxygen)라고 한다.
활성산소가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된 세포막에 작용하면 지질의 산화가 유발되고 최종산물인 Malondialdehyde(MDA)의 함량이 증가된다. MDA는 혈관벽 내막에서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키며, 변형된 저밀도지단백은 대식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새로이 합성하여 에스터가 침착되면서 포말세포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세포의 산화적 손상이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동맥경화, 간 질환 및 각종 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여 결국 노화와 유전적 장애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에 따라 생체에는 산화 물질인 활성산소(O2-, OH-), 산화질소(NO), 과산화수소(H2O2) 등의 혈액 내 농도가 올라가게 되어 각종 질환과 세포의 노화가 촉진된다.
이처럼 활성산소는 피부 세포의 손상을 유발한다. 활성산소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체내의 항산화 방어계를 무너뜨리고 그 결과 단백질, 지질, DNA와 같은 세포 성분이 손상 받게 되어 세포 기능이 변질되어 궁극적으로 피부 노화가 촉진된다.
인간은 지속적으로 활성산소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고, 따라서 우리 몸에는 활성산소로 인한 상해에 대한 반응으로 다양한 항산화성 기전이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 세포를 보호한다.
인체의 활성산소 및 산화 물질을 억제하는 항산화력에 관여하는 요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체내 항산화 효소계와 비효소 항산화 물질이다.
체내 항산화 효소계에는 구리, 아연, 망간으로부터 생성되어 O2-를 제거하는 SOD 효소가 대표적이고, 철을 조효소로 하여 구성된 Catalase(CAT)와 셀레늄을 조효소로 하는 Glutathion Peroxidase(GPX)는 H2O2를 제거하는데, GPX는 손상된 세포를 원래상태로 수리 복구하는 작용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효소 항산화 물질은 체내에서 만들어지 는 것과 체외에서 공급받아야 할 것으로 나눠진다. 체내항산화 물질로는 금속결합 단백질인 Albumin, Ferritin,Transferrin과 Glutathione(GSH), Uric acid, Bilirubin, 멜라토닌 등이 있으며, 최근 주목 받는 항산화 물질로서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여 에너지 대사 및 항산화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CoQ10조효소가 있다.
이러한 피부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되어가는 자연스러운 하나의 현상이며 인체의 노화와 마찬가지로 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은 아니다.
다만, 피부의 노화를 늦추기 위하여 최근 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부 주름, 색소 침착, 탄력 감소, 피부 건조화, 탈모, 모발의 윤기 부족 등을 극복하려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 결과로 피부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조성물이 연구되어,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는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예컨대,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티노이드류, 그 중에서도 레티놀(retinol)에 대한 피부주름 제거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레티놀을 함유한 화장료는 일광에 의해 형성된 피부주름살이나 피부처짐, 탄력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였다.
레티놀은 주름 기능성 고시원료로 등재될 정도로 효과에 대해 검증이 된 원료이나 특유의 피부자극 문제, 안정성 문제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제기가 되어 오고 있으며 높은 가격으로 고가의 제품군에서 활용이 되며 보편적 소재로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한편, 염증 반응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보체(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또는 리포옥시게 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남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피부 노화를 예방 및 개선하고 피부 염증반응을 개선하기 위하여 천연 물질인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KR 10-1798055 B1 KR 10-1571792 B1
본 발명의 목적은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노화 예방 및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피부 염증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꼬시래기 추출물; 파래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염증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잔디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혹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발효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로션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 이라 함은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 노화 및 손상을 막거나,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을 말하며, "개선" 이라 함은 피부 노화 및 손상을 치유하거나, 완전히 치유하지 않아도 증상의 진전, 악화를 억제하여 손상의 진행을 멈춤 및 증상의 일부 혹은 전부를 치유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꼬시래기 추출물; 파래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염증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톳(Hijikia fusiforme)은 평균수면에서 저조선 약 30cm 위쪽의 조간대 하부에 서식하고 유성세대만 존재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문진 이남에서 서해안 장산곶까지 생육하고 남해안과 제주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톳은 분류학상, 갈조식물문(Heterokontophyta), 갈조식물강(Phaeophyceae), 모자반목(Fucales), 모자반과(Sargassaceae), 톳속(Hizikia)에 속하며, 우수한 식이섬유소의 공급원일 뿐만 아니라 혈액응고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중성다당류인 라미나란(laminaran)과 함황산성 다당류인 후코이딘(fucoidin)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그 외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으며 칼슘 등의 무기질 함량도 높아 각종 성인병 및 만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내 콜레스테롤 침착을 방지하고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중금속의 배출 등에도 효과가 높을 뿐 아니라 항암작용이 있는 것 또한 확인되고 있다.
감태(Ecklonia cava)는 갈조 식물 다시마목 미역과의 해조(海藻)이다. 줄기는 원주상이며 충분히 자란 것은 1m 이상 되는 것도 있다. 중앙부가 좀 굵고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다 자란 뒤에는 중앙부가 비어 있기도 한다. 줄기의 상부는 차차 편평하게 되고 양측에서 우상엽이 나고 여기서 다시 호생한 우상의 소엽편을 낸다. 엽면에는 주름이 없다. 색은 갈색인데 건조하면 흑색으로 된다. 주로 제주도 일대 및 일부 남해안에 분포하며, 점심대의 수심 10m 내외의 깊은 곳에서 서식한다. 2 내지 3년간 생장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전복의 주 먹이이기도 한 감태는 알긴산, 요오드 및 칼륨 등의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건강식품자원이다. 또한 감태는 후코이단과 플로로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들은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항염효과, 노화억제효과 및 고혈압 억제효과 등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꼬시래기(Gracilaria verrucosa (Hudson) Paperfuss)는 홍조식물 꼬시래기과의 해조류로 장흥, 완도, 해남, 진도에서는 꼬시락이라 하며, 부산근처에서는 망둑어를 꼬시래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직경 1 내지 3㎜의 줄기가 보통 20cm 정도 성장하며 최대 2 내지 3m까지 자란다. 몸통은 작은 쟁반 모양의 뿌리에서 모여나고 원기둥 모양이다. 촘촘하게 깃꼴로 갈라지고 가지는 한쪽으로 치우쳐 나기도 한다. 몸에서 뻗어나온 가지는 지름 1 내지 2mm 정도의 철사 모양으로 검은빛을 띤 자주색 또는 짙은 갈색이다. 조간대의 돌, 조개껍데기 등에 붙어 사는데, 특히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드는 얕은 바닷가의 자갈이나 말뚝 등에서 번식하며, 외해(外海)의 암초 위에서도 자란다. 특히 내만에서는 큰 군락을 이루며 민물이 흘러 드는 곳에는 간혹 매우 큰 개체들이 있다. 서식장소에서 떨어진 몸통과 가지는 바다 속 어디나 떠돌아다닐 수 있고, 그 사이의 생장이 빨라서 보통의 붙어 사는 식물체보다 더 커진다. 식용하거나 한천을 만드는데 우뭇가사리와 섞어 쓴다. 채취된 것들은 건조시켜서 보관한다. 뜨거운 물에 데치면 붉은색을 띠는 색소인 피코피린이 파괴되고, 녹색을 띠는 색소인 클로로필만 남아 녹색으로 바뀐다. 초봄부터 늦가을까지가 제철이다. 지방과 탄수화물의 함량이 낮고 칼슘과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체내 중금속배출 등의 효과도 있다고 한다.
김은 건강에 유용한 단백질과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지만 지방질 함량은 1% 이하인 저열량 식품이며, 심장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오메가-3 지방산인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등을 다량 함유하는 매우 우수한 식품자원이다. 또한 김에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및 피코빌린의 색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음식에 색을 제공하며, 라디칼 소거 효과 및 노화 지연과 발암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폴리페놀 화합물과 같은 천연 산화방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품 자원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김도 품종 및 종류에 따라 영양 및 기능성분의 함량은 물론 이에 따른 생리활성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파래김은 칼슘이 풍부하여, 치아 및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효능이 있다.
파래김은 말 그대로 파래(Enteromorpha)로 만든 김으로 파래는 해조류의 일종으로 파래 속(Enteromorpha sp) 식물을 의미한다. 파래 속 식물이란 녹조식물 갈파래과에 속하는 식물로, 잎파래(E. linza), 창자파래(E. intestinalis), 납작파래(E. compressa), 가시파래(E. prolifera) 또는 격자파래(E. clathrata)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잎파래일 수 있다. 상기 파래 속 식물은 대부분 원통 모양을 한 엽상체가 분지하거나 단조이고, 종류에 따라서는 상부가 엽상으로 퍼질 수 있으며, 분류학적으로는 중공인 원통 모양을 한 종류를 이 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들은 주로 바닷가의 조간대 상부, 특히 민물이 흘러들어오는 곳에서 잘 자라며, 조용한 조수웅덩이 따위에서 큰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주로 늦가을부터 초여름까지 번식하며,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잎파래(Enteromorpha linza)는 녹조식물 갈파래과의 바닷말에 속하는 녹조류로 엽체는 길쭉하고 편평한 엽상체이고, 단조이며, 하부는 종종 소수의 가지를 부출하는 경우가 있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한국의 경우, 전 연안에 분포하고 있으며, 조간대 상부의 바위 또는 만내의 목공사물에 주로 서식한다. 또한, 잎파래는 식용으로 주로 이용되며 김치 또는 국거리로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해조류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는 알긴산(Alginic Acid)과 후코이단(Fucoidan)으로, 상기 알긴산(Alginic Acid)은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세포 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피부와 모발을 건강하게 하며, 피부 속 콜라겐이나 엘라스틴과 같은 탄력세포의 형성을 도운다. 피부 미네랄이라 불리는 아연이 풍부하여 여드름과 뾰루지와 같은 피부트러블을 없애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후코이단(Fucoidan)은 해조류가 파도, 햇빛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로서 매우 탁월한 천연 보습제 역할을 하며, 최근 연구를 통해 후코이단은 세포의 활성을 도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잔디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혹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꼬시래기 추출물 및 파래김 추출물에 분홍애기풀 추출물, 물잔디 추출물 및 혹돌잎 추출물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에 따라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꼬시래기 추출물 및 파래김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항균 활성, 항산화 작용을 통한 피부 노화 방지 및 항염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사용에 따라 자체적인 천연 향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호성 높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분홍애기풀(Binghamia californica J. Agardh)은 홍조식물 분홍치목 마디잘록이과의 바닷말로 조간대 하부에 자란다. 식물체는 막질이며 분홍색으로 끈 모양의 가는 뿌리에서 납작한 줄기가 여러 개 나온다, 이리저리 굽고 서로 붙으며 얽혀서 덩어리로 된다. 줄기는 두 갈래로 가지를 낸다. 구술모양의 세포가 2~3겹으로 피층을 이루고 수조직은 둥근 세포와 막대 모양의 세포가 어우러져 양쪽 피층조직을 연결한다.
물잔디(Gelidiopsis variabilis (J. Agardh) Schmitz)의 식물체는 적갈색의 연골질로 조금 납작하고 꾸물꾸물한 가시 모양으로 가는 줄기에서 모여나 작은 개체군을 이룬다. 가지는 드물게 나며 길이와 나는 곳이 불규칙하다. 구슬모양의 세포가 한 두겹으로 피층을 이루고 안쪽으로 갈수록 조금씩 길어지면서 가운데 부분은 긴 막댕모양인 세포가 수조직을 이룬다. 조하대의 조개껍질에 자란다.
혹돌잎(Lithophyllum okamurai)는 홍조식물로 두께는 0.6mm 정도 되고, 작은 돌이나 그 밖의 물체 표면을 싸며, 혹 모양의 돌기를 내고 자란다. 온몸은 석회질로 덮여 있고 분홍색 또는 붉은색을 띤다. 원주상을 한 돌기가 가지에 해당되고, 그 끝은 둥글며 표면은 매끈하다. 한국에서는 제주와 남해안에서 채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톳 추출물 100 중량부, 감태 추출물 100 중량부, 꼬시래기 추출물 100 중량부 및 파래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홍애기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물잔디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혹돌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해조류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항균 활성, 항산화 작용을 통한 노화 방지 및 항염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해조류 추출물은 건조한 해조류을 분쇄한 분쇄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추출 용매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5℃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 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발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 톳 추출물, 발효 감태 추출물, 발효 꼬시래기 추출물, 발효 파래김 추출물,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 발효 물잔디 추출물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발효 톳 추출물, 발효 감태 추출물, 발효 꼬시래기 추출물, 발효 파래김 추출물,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 발효 물잔디 추출물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 세포독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해조류 특유의 이취로 인한 떨어지는 기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발효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 수득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로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등과 같은 유산 바실리, 락토코코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코스 플랜타룸(Lactococcus plantarum), 락토코코스 라피노락티스(Lactococcus raffinolactis), 엔테로코코스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코스 파에시늄(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코스 터모필리우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등과 같은 유산 콕사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닐멀스(Bifidobacterium animals), 비피도 박테리움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바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터모필룸(Bifidobacterium themophilum),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등과 같은 비피도박테리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 톳 추출물 100 중량부, 발효 감태 추출물 100 중량부, 발효 꼬시래기 추출물 100 중량부 및 발효 파래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물잔디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습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백 크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로션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품에 배합되는 성분들인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저급 알콜, 색소, 방부제, 향료와 같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를로오스 유도체, 폴리 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 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 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을,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을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를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를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밴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 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 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 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를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펩타이드와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통해, 피부 노화, 피부 주름 및 피부 염증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과산화수소 소거능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부종의 크기를 비교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
1. 톳 추출물의 제조
톳을 세척하고 건조한 뒤 이를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에탄올에 혼합하고 이를 2시간 동안 98 내지 100℃를 유지하고, 이를 냉각시킨 뒤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수득하여 톳 추출물(HE)로 제조하였다.
2. 기타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
상기 톳 추출물(HE)과 동일한 방법으로 감태 추출물(EE), 꼬시래기 추출물(GE), 파래김 추출물(LE), 분홍애기풀 추출물(BE), 물잔디 추출물(VE) 및 혹돌잎 추출물(AE)을 제조하였다.
3. 발효 톳 추출물의 제조
발효에 사용하는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를 D.W 75%(w/w), 진지분유 15%(w/w)와 톳 추출물(HE) 10%(w/w)이 혼합된 멸균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25℃, 24시간)하여 발효 톳 추출물(HLc)를 제조하였다.
4. 기타 발효 해조류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발효 톳 추출물(HLc)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감태 추출물(ELc), 발효 꼬시래기 추출물(GLc), 발효 파래김 추출물(LLc), 발효 분홍애기풀 추출물(BLc), 발효 물잔디 추출물(VLc) 및 발효 혹돌잎 추출물(ALc)을 제조하였다.
5.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추출물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 범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HE 100 100 100 100 100 100 - - - - - -
EE 100 100 100 100 100 100 - - - - - -
GE 100 100 100 100 100 100 - - - - - -
LE 100 100 100 100 100 100 - - - - - -
BE - 35 40 50 60 65 - - - - - -
VE - 35 40 50 60 65 - - - - - -
AE - 35 40 50 60 65 - - - - - -
HLc - - - - - - 100 100 100 100 100 100
ELc - - - - - - 100 100 100 100 100 100
GLc - - - - - - 100 100 100 100 100 100
LLc - - - - - - 100 100 100 100 100 100
BLc - - - - - - - 35 40 50 60 65
VLc - - - - - - - 35 40 50 60 65
ALc - - - - - - - 35 40 50 60 65
(단위 : 중량부)
[실험예 1: 항균 활성 실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의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및 Aspergillus brasillensis (ATCC 16404)에 대한 항균 효과를 디스크 확산 법 Paper disk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균주를 뮬러르-힌톤 액체배지에 35℃에서 24시간(C.albicans의 경우, 48시간) 동안 전 배양하였다. 미리 제조하여 멸균한 뮬러르-힌톤 고체배지를 45℃ 항온수조에서 굳지 않게 유지하였고 페트리디쉬 (Petri dish)에는 균 농도가 1 X 106 CFU/ml로 희석된 액체배지를 접종한 후, 대조군 1은 종래의 합성 방부제인 포타슘소르베이트(potassium sorbate), 대조군 2는 메틸 파라 벤젠(methyl-para- benzene)로 포타슘 소르베이트와 메틸 파라 벤젠은 0.019 내지 0.6%, T1은 0.188 내지 6%로 희석하여 접종하였다.
모두 접종한 페트리디쉬에 45℃ 항온수조에 보관 중이던 상기 고체배지를 15ml씩 분주하고 플레이트의 접종액과 잘 섞이도록 고르게 섞어 주었다. 충분히 정치하여 배지를 굳힌 후,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균주에 대한 T1의 최소억제농도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는 각 플레이트 내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여 균의 성장이 나타나지 않는 시료의 가장 낮은 농도로 결정하였다.
최소억제농도(MIC)
대조군 1 대조군 2 T1
E.coli > 0.6% 0.15% 2.8%
S.aureus > 0.6% 0.30% 3.0%
P.aeruginosa > 0.6% 0.15% 1.3%
C.albicans > 0.6% 0.30% 2.9%
A.brasillensis > 0.6% 0.30% 3.0%
본 발명의 T1은 폭넓은 균주에 대하여 상당히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항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 효과 실험]
세포
HaCa T 세포를 스트렙토마이신 및 페니실린이 첨가된 10 % FCS-DMEM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과산화수소 소거능
과산화수소 용액 (40 mM)을 인산 완충액 (pH 7.4)에서 제조하였다.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을 과산화수소 용액 (0.6 mL, 40 mM)에 첨가하였다. 과산화수소가 없는 인산염 완충액을 함유하는 블랭크 용액에 대해 230 nm에서 과산화수소의 흡광도를 10분 후에 측정하였다. 샘플 및 표준 화합물 모두의 과산화수소 소거능의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소거된 [H2O2] = [(AC - AS)/AC] × 100
여기서 AC는 대조군의 흡광도이고 AS는 시료 또는 표준 시료의 존재시 흡광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1은 함량이 증가될수록 과산화수소 소거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평가
10 ㎎ DPPH를 100 ㎖ 메탄올(MeOH)에 용해시켜 100 ㎍/㎖가 되도록 하였다. 추출물의 저장 용액은 25 mg을 50 ml의 MeOH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1 ml DPPH를 각각의 용액에 첨가하고 용액을 어둡게 유지하고 정확한 30분 동안 정치시켰다. 각 용액의 UV 흡수는 517 nm에서 기록하였다. 반응을 37 ℃에서 30 분간 진행시키고 517 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흡광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 라디칼 소거 활성(% RSA)은 DMSO 함유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으로서의 DPPH에 의한 자유 라디칼의 소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수학식 2]
% RSA = (대조 흡광도 - 흡광도) X 100/대조 흡광도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에 따르면, T1을 25㎍/㎖, 50㎍/㎖ 및 100㎍/㎖ 사용하는 경우, 즉 함량이 증가될수록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에 의한 노화 억제 작용이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3: 항염증 효과 시험]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의 피부 염증 억제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항염 효과 평가를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기 위해 아세톤과 올리브 오일(3:1) 혼합액에 용해한 1% DNCB(Sigma-Aldrich, St.Loulse,MO,USA)용액 200㎕/mouse/day을 매일 1회씩 7일간 hairless 마우스의 등쪽 피부 전체에 도포시켜 감작(sensitization) 시키고, 주 3회씩 4주간 0.5% DNCB 용액을 도포하여 Boosting시켰다.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피부에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의 농도를 10%, 20%로 증액시켜서 희석시킨 시료를 각각 도포하여 부종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은 항산성 유지, 혈관 확장, 평활근 자극 및 염증 매개 역할을 하고, 세포를 사멸사로부터 보호하는 반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KLH로 면역한 마우스에서 7일마다 혈청을 추출한 것을 관찰하여 프로그타글란딘의 양을 판단하였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 점액의 농도가 항염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복합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시험]
항균 활성 실험
실시예 1에서 실시한 T1의 항균 활성 실험과 동일한 균주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항균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평가
앞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평가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100mg/ml를 동일하게 처리한 이후,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평가하였다.
항염증 평가
앞서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의 함염증 평가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추출물의 농도를 20%로 증액시켜 부종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의 효과를 지수 5로 두고, 복합 추출물 T2 내지 T12를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지수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항균 활성 5 6 5 6 5 7 8 8 10 10 9 8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5 5 6 7 8 6 8 8 9 9 8 7
부종의 크기 5 6 6 7 7 6 8 7 9 10 10 8
(단위 : 지수)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 및 복합 추출물 T2 내지 T12에서 T1과 동등 또는 우수한 항균 활성 및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복합 발효 추출물(T7 내지 T12)의 경우 낮은 세포독성으로 안정성이 증가되면서 우수한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에 의한 노화 억제 작용, 피부 염증 개선이 우수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발효 복합 추출물 T9 내지 T11 범위의 복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 작용으로 단순 조합 이상의 상승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건강한 40세 이상의 여성 중 문진과 이학적 검사상 눈가에 주름이 있는 사람을 선정하였다. 눈가 주름부위를 시험부위로 결정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T1 내지 T12를 보습 크림으로 제조하고, 이를 모집된 실험자들에게 무작위로 배정한 후 시험 부위인 눈가 주름 부위에 적당량을 잘 스며들도록 1일 2회, 6주 동안 도포하도록 하였다.
각 실험군 당 실험자는 4명씩 배정하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얼굴 눈가 주름 시험부위에 대한 모사판(Replica)을 제작하고 비져미터(Visiometer, SkinVisiometer SV 600, Courage & Khazaka,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주름 모사판(Replica)에 대한 화상분석(Imag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주름분석은 모사판 주름에 일정한 각도의 빛을 조사하여 발생하는 그림자의 명암에 의해 주름의 깊이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피부주름 깊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름의 깊이는 작아질수록 피부주름이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0 주 0.25±0.17 0.28±0.11 0.27±0.11 0.26±0.34 0.28±0.15 0.27±0.11 0.27±0.11 0.27±0.54 0.28±0.20 0.28±0.22 0.28±0.14 0.27±0.22
6 주 0.25±0.09 0.27±0.10 0.25±0.10 0.25±0.10 0.27±0.16 0.26±0.14 0.23±0.06 0.24±0.45 0.23±0.12 0.21±0.03 0.24±0.22 0.25±0.10
(단위 mm, 평균±표준편차를 의미함)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 복합 추출물(T2 내지 T12)은 T1과 동등 또는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 보습 효과
20세 내지 25세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보습 크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피시험자들은 매일 아침(7시 내지 9시 사이)과 저녁(7시 내지 9시 사이) 12시간 간격으로 2회씩 4주간 동안 세안 후 상기 보습 크림을 사용하였으며, 피부의 보습 효과 평가는 2주째와 4주째에 피부 수분증발속도의 측정을 통해 피부의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피부 수분증발속도는 Tewamter TM300으로 측정하여 피시험자 10명의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수분증발속도 (g/h/m2) 25.22 21.21 21.47 19.24 20.67 18.45 18.07 18.58 17.16 15.33 16.77 18.28
최초 사용 전 대비 수분증발속도 감소율(%) 28.05 30.19 34.92 35.46 33.18 35.56 35.12 33.58 38.33 39.72 37.18 37.67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T1 내지 T12를 보습 크림으로 제조하여 지속적인 사용에 의하는 경우 상기 피부 수분 증발속도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복합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T9 내지 T11에 의하는 경우 도포 후 12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사용하기 전의 피부의 수분증발속도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관능 시험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 실험과 더불어, 눈가 주름 부분에 보습 크림을 바르고, 발림성 및 흡수성에 대한 관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평가 점수는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평가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발림성 1 3 3 3 4 4 6 7 8 8 7 6
흡수성 1 2 3 4 3 4 5 6 7 9 8 6
상기 관능 평가에 따르면, 복합 추출물 T2 내지 T12는 해조류 추출물을 혼합한 T1 보다 발림성 및 흡수성이 우수한 평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 발효 추출물 T7 내지 T12에 의하는 경우, 해조류의 특유의 이취가 중화되면서 기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복합 발효 추출물 T9 내지 T11을 함유하는 보습 크림의 경우, 가장 기호도가 높은 기능성 보습 크림으로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형예 1. 보습크림
상기 T1 내지 T12를 함유하는 보습 크림을 하기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T1 3.0 중량%
글리세린 8.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1.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0.5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중량%
피토스쿠알란 5.0 중량%
호호바 오일 3.0 중량%
카프릴/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5.0 중량%
알로에 버터 2.0 중량%
밀납 1.0 중량%
스테아릴 알코올 0.5 중량%
베헤릴 알코올 0.5 중량%
스테아린산 0.5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2 중량%
잔탄검 0.1 중량%
아르기닌 0.5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베타글루칸 0.2 중량%
방부제 0.5 중량%
정제수 잔량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톳 추출물; 감태 추출물; 꼬시래기 추출물; 파래김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염증 개선용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분홍애기풀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물잔디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혹돌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발효된 것인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 크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백 크림.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로션.
KR1020200008633A 2020-01-22 2020-01-22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33A KR102391657B1 (ko) 2020-01-22 2020-01-22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33A KR102391657B1 (ko) 2020-01-22 2020-01-22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67A true KR20210094867A (ko) 2021-07-30
KR102391657B1 KR102391657B1 (ko) 2022-04-27

Family

ID=7714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33A KR102391657B1 (ko) 2020-01-22 2020-01-22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6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311B1 (ko) * 2021-12-29 2023-01-30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4종의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5762A (ko) 2021-09-29 2023-04-05 (주)에스앤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8887A (ko) * 2021-10-05 2023-04-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칼리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WO2024075937A1 (ko) * 2022-10-07 2024-04-11 에이치케이이노엔 주식회사 후코이단 발효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466B1 (ko) 2022-07-19 2022-12-29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3561A (ko) * 2012-05-29 2013-12-09 인타글리오주식회사 해양 소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792B1 (ko) 2013-12-27 2015-11-25 주식회사 에코마인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8055B1 (ko) 2010-11-30 2017-11-16 (주)아모레퍼시픽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055B1 (ko) 2010-11-30 2017-11-16 (주)아모레퍼시픽 다량의 용존산소를 포함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안색 개선용 또는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3561A (ko) * 2012-05-29 2013-12-09 인타글리오주식회사 해양 소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792B1 (ko) 2013-12-27 2015-11-25 주식회사 에코마인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arin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Vol.1, No.3, p.170-177(2006.09.30.)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762A (ko) 2021-09-29 2023-04-05 (주)에스앤디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48887A (ko) * 2021-10-05 2023-04-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칼리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보습이 우수한 조성물
KR102493311B1 (ko) * 2021-12-29 2023-01-30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4종의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4075937A1 (ko) * 2022-10-07 2024-04-11 에이치케이이노엔 주식회사 후코이단 발효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657B1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200884B (zh) 一种具有控油和修复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294818B1 (ko)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01026670A1 (fr) Agents de soin de la peau, agents anti-ages pour la peau, agents de blanchiment de la peau et preparations pour la peau, a usage externe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6591963B2 (ja) ラクトバチルス・ペントーサスの化粧品及び薬品への適用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2624A (ko) 꼬시래기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및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8612A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4063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5522B1 (ko) 발효 만주자작나무수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08976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8603A (ko) 미생물 발효물이 함유된 보습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1412B1 (ko) 달맞이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초기 개선 활성이 우수한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93324B1 (ko)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