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782A -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4782A KR20210094782A KR1020200008440A KR20200008440A KR20210094782A KR 20210094782 A KR20210094782 A KR 20210094782A KR 1020200008440 A KR1020200008440 A KR 1020200008440A KR 20200008440 A KR20200008440 A KR 20200008440A KR 20210094782 A KR20210094782 A KR 202100947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ation
- height
- height adjustment
- base part
- ug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옥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도리를 직교 배치시켜 형성된 직교부위 위에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장착하고,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통해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에 대한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옥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직교부위가 형성되도록 도리를 배치시켜 주고, 상기 직교부위 위에 장착된 경사 및 높이 조절구;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는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와 상기 추녀의 베이스부에 상면이 접하도록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면에 돌출 구비된 힌지부가 지지부의 상베이스부에 돌출 구비된 홀더에 힌지핀부재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힌지핀부재를 축으로 상기 패널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추녀에 대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사조절부; 상기 지지부의 하베이스부와 직교부위에 구비된 도리가 수직바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하베이스부 쪽의 수직바에 체결된 높이조절부재로 상기 경사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추녀에 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핀부재를 축으로 상기 도리의 베이스부를 기준하여, 상기 패널부의 경사각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패널부의 하면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와 상기 와이어고정부에 대응하여 도리의 베이스부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 간에 연결된 와이어를 결속시켜 주는 경사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옥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직교부위가 형성되도록 도리를 배치시켜 주고, 상기 직교부위 위에 장착된 경사 및 높이 조절구;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는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와 상기 추녀의 베이스부에 상면이 접하도록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면에 돌출 구비된 힌지부가 지지부의 상베이스부에 돌출 구비된 홀더에 힌지핀부재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힌지핀부재를 축으로 상기 패널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추녀에 대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사조절부; 상기 지지부의 하베이스부와 직교부위에 구비된 도리가 수직바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하베이스부 쪽의 수직바에 체결된 높이조절부재로 상기 경사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추녀에 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핀부재를 축으로 상기 도리의 베이스부를 기준하여, 상기 패널부의 경사각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패널부의 하면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와 상기 와이어고정부에 대응하여 도리의 베이스부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 간에 연결된 와이어를 결속시켜 주는 경사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옥에 있어 추녀의 경사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옥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도리를 직교 배치시켜 형성된 직교부위 위에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장착하고,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통해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에 대한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건축 양식으로 추녀에 의해 기와가 얹혀진 그 지붕면이 부드러운 구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아름다운 자연미를 표출하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근래에는 한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농촌과 도시에서 콘크리트로 건축된 양옥 건물을 한옥으로 개조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A) 제10-2017-0092923호(2017년 08월 14일)로 공개된 '사래의 처짐현상을 억제하는 추녀와 사래의 결합구조(이를 '문헌 1'이라 함.)'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 1에 대해 살펴보면 사래의 처짐현상을 억제하는 추녀와 사래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추녀(10)의 상부 끝단에 상기 추녀(10)의 상부면이 일부 함몰되는 형태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사래(20)를 균형있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부(11)를 형성하며, 상기 안착부(11)의 내측으로 걸림돌출부(22)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걸림돌출부(22)의 상부를 덮도록 하는 걸림요입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추녀(10)의 선단부에 보조걸림요입부(23)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보조걸림요입부(23)를 상부에서 덮도록 하는 보조걸림돌출부(13)를 형성하되 평고대(3)를 일부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평고대고정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사래(20)의 내측 하부에, 안착부(11)의 상부로 균형있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견착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사래(20)의 후단에 걸림요입부(12)의 하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걸림돌출부(22)를 형성하며, 사래(20)의 하부에 보조걸림돌출부(13)와 밀착될 수 있도록 보조걸림요입부(23)를 형성하여 평고대덮개가 평고대(3)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추녀(10)와 사래(20)가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사래(20)의 상부에 대못을 압입하여 추녀(1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겹처마의 하중이 사래(20)에 가해져 사래(20)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힘을 받으면, 추녀(10)의 선단 끝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사래(20)의 회전반경에 비하여 더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형태의 기울기를 갖는 걸림돌출부(22)의 상부면을 걸림돌출부(22)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걸림요입부(12)의 내측면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래(2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추녀(10)에 대한 기울기의 조절이 어렵고, 따라서 상기 추녀(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사래(20)에 의존하여 추녀(10)의 지붕면에 대한 구배를 조절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한옥의 전통적인 아름다운 자연미의 표출에 한계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옥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도리를 직교 배치시켜 형성된 직교부위 위에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장착하고,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통해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에 대한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 한옥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단부에 직교부위가 형성되도록 도리를 배치시켜 주고, 상기 직교부위 위에 장착된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는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와 상기 추녀의 베이스부에 상면이 접하도록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된 패널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부의 하면에 돌출 구비된 힌지부가 지지부의 상베이스부에 돌출 구비된 홀더에 힌지핀부재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힌지핀부재를 축으로 상기 패널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추녀에 대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사조절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베이스부와 직교부위에 구비된 도리가 수직바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하베이스부 쪽의 수직바에 체결된 높이조절부재로 상기 경사조절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추녀에 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핀부재를 축으로 상기 도리의 베이스부를 기준하여, 상기 패널부의 경사각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패널부의 하면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와 상기 와이어고정부에 대응하여 도리의 베이스부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 간에 연결된 와이어를 결속시켜 주는 경사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다양한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 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옥의 크기나 구조에 제한 받지 않고 경사 및 높이 조절구를 통해 양쪽편으로 선자연이 취부된 추녀의 경사 및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줌으로써, 상기 한옥의 중도리 하부와 연결되는 추녀의 지붕면에 대한 구배를 부드럽게 하고, 나아가 한옥의 전통적인 아름다운 자연미를 표출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옥에 구비된 추녀의 경사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 사례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되는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 사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옥 기반의 구조를 한옥으로 개조할 경우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부위를 상세하게 일실시 사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 사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 사례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되는 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 사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옥 기반의 구조를 한옥으로 개조할 경우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부위를 상세하게 일실시 사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 사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가 장착된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 사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에 대해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한옥(600)의 모서리부(610)에 위치한 기둥(400)과 상기 기둥(400)의 상단부(410)에 도리(301, 302)를 서로 직교 배치시켜 형성된 직교부위(340) 위에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를 장착하고,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를 통해 양쪽편으로 선자연(이를 "선자연서까래"라고도 함.)(500)이 취부된 추녀(200)의 경사 및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한옥(600)의 중도리 하부(도시 생략함.)와 연결되는 추녀(200)의 지붕면(도시 생략함.)에 대한 구배를 부드럽게 하여 한옥(600)의 아름다운 자연미를 표출하여 주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옥(600)의 모서리부(610)에 위치한 기둥(400)과 상기 기둥(400)의 상단부(410)에 직교부위(340)가 형성되도록 도리(301, 302)를 서로 직교 배치시켜 주고, 상기 직교부위(340) 위에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와는 달리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나 농촌에서 기존의 양옥 기반의 구조를 한옥으로 개조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으로 구비된 벽체(303)의 상단부(303a)에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직교부위(340)가 형성되도록 도리(301, 302)를 서로 직교 배치시켜 주고, 상기 직교부위(340) 위에 본 발명의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를 장착시켜 주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쪽편으로 선자연(500)이 취부된 추녀(200)가 구성되고, 추녀(200)의 베이스(Base)부(210)에 패널(Panel)부(120)의 상면(121)이 접하도록 한 다음 상기 추녀(2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공(211)과 패널부(1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공(121a)에 고정부재(231a, 232b)를 통해 체결 고정되는 패널(Panel)부(1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부(120)의 하면에 돌출 구비된 힌지(Hinge)부(122)가 지지부(111)의 상베이스(Base)부(112)에 돌출 구비된 홀더(Hohder)(114)에 힌지핀(Hinge Pin)부재(115a, 115b)를 통해 체결공(122a, 114a)에 서로 체결되고, 이때 상기 힌지핀부재(115a)를 축으로 화살표(A)와 같이 상기 패널부(120)의 경사각(k1)을 조절하여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추녀(200)에 대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사조절부(11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패널부(120)에 접하여 고정된 추녀(200)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핀부재(115a)를 기준으로 한옥 바깥쪽 방향(가)으로의 길이(L1)가 한옥 안쪽 방향(나)으로의 길이(L2)보다 더 길게(L1>L2)하여 무게 중심이 다르도록 즉, 상기 추녀(200)가 한옥 바깥쪽 방향(가) 쪽으로 치우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추녀(200)로 하여금 자체 하중에 의해 힌지핀부재(115a)를 축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상기 패널부(120)의 경사각(k1) 조절 작업에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110)에 구비된 지지부(111)의 하베이스(Base)부(113)와 직교부위(340)에 구비된 도리(301)가 수직바(Bar)(132)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이때 상기 하베이스부(113) 쪽의 수직바(132)에 체결된 높이조절부재(135a, 135b)로 상기 경사조절부(110)의 높이(h1)를 화살표(B)와 같이 조절하여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추녀(200)에 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130)가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높이조절부(130)는 하베이스부(113)에 형성된 통공(113a)에 일치시켜, 도리(301)의 베이스부(310)에 장착된 앵커너트(Anchor Nut)(134)와 상기 앵커너트(134) 위에 안착되어 상기 도리(301)에 전달되는 추녀(200)의 하중을 상기 베이스부(310)에 분산시켜 주기 위한 판 형상의 완충부재(131)가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통공(113a)과 높이조절부재(135a) 및 상기 완충부재(131)를 베이스부(310)에 접하도록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부재(133)와 통공(131a)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앵커너트(134)에 나사 체결되는 수직바(132)가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부(110)의 높이(h1) 조절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부(111)의 하베이스부(113) 하측에 수직바(132)에 나사로 체결 구비된 높이조절부재(135a)를 조작하여 경사조절부(110)의 높이(h1)를 화살표(B)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차적으로 조절시켜 준 다음 하베이스부(113) 상측에 나사로 체결 구비된 높이조절부재(135b)를 조작하여 상기 경사조절부(110)에 대한 높이(h1)를 최종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나아가, 상기 하베이스부(113)와 완충부재(131) 사이에 구비된 공간부(ㄱ)에는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모르타르(Mortar) 등과 같은 충진제를 사용하여 충진시켜 줌으로써, 이로 인해 상기 경사조절부(110)와 도리(301, 302)가 서로 직교 배치된 직교부위(340) 간에 체결된 수직바(132)에 대한 튼튼하고 안전한 보강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핀부재(115a)를 축으로 상기 도리(301)의 베이스부(310)를 기준하여, 상기 패널부(120)의 경사각(k1)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예컨대, 상기 추녀(200)가 한옥 바깥쪽 방향(가) 쪽으로 치우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패널부(120)의 하면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123)와 상기 와이어고정부(123)에 대응하여 도리(301)의 베이스부(310)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323) 간에 연결된 와이어(Wire)(141)를 결속시켜 주는 경사각유지부재(140)가 구성되고, 이때 상기 경사각유지부재(140)는 턴버클(Turnbuckle)의 조작으로 와이어(141)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상기 경사각(k1)에 대한 유지작용을 안전하게 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첨부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조절부(110)에서 조절된 패널부(120)의 경사각(k1)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예컨대, 상기 추녀(200)가 한옥 바깥쪽 방향(가) 쪽으로 치우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홀더(114)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만곡 형성된 가이드(Guide)부(117)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17)와 체결부(122)에 형성된 체결공(122b)에 체결 고정되는 경사각유지부재(118a, 118b)를 통해 상기 경사각(k1)에 대한 유지를 안전하게 시켜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한옥(600)의 크기나 구조에 제한 받지 않고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를 통해 양쪽편으로 선자연(500)이 취부된 추녀(200)의 경사 및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줌으로써, 상기 한옥(600)의 중도리 하부와 연결되는 상기 추녀(200)의 지붕면에 대한 구배를 부드럽게 하고, 나아가 한옥(600)의 전통적인 아름다운 자연미를 표출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0 : 경사 및 높이 조절구
110 : 경사조절부
111 : 지지부
112 : 상베이스(Base)부
113 : 하베이스(Base)부
113a : 통공
114 : 홀더(Hohder)
114a : 체결공
115a, 115b : 힌지핀(Hinge Pin)부재
117 : 가이드(Guide)부
118a, 118b : 경사각유지부재
120 : 패널(Panel)부
121 : 상면
121a : 고정공
122 : 힌지(Hinge)부
122a : 체결공
123 : 와이어고정부
130 : 높이조절부
131 : 완충부재
131a : 통공
132 : 수직바(Bar)
133 : 고정부재
134 : 앵커너트(Anchor Nut)
135a, 135b : 높이조절부재
140 : 경사각유지부재
141 : 와이어(Wire)
200 : 추녀
210 : 베이스(Base)부
211 : 고정공
231a, 231b : 고정부재
301, 302 : 도리
303 : 벽체
303a : 상단부
310 : 베이스(Base)부
323 : 와이어고정부
340 : 직교부위
400 : 기둥
410 : 상단부
500 : 선자연
600 : 한옥
610 : 모서리부
110 : 경사조절부
111 : 지지부
112 : 상베이스(Base)부
113 : 하베이스(Base)부
113a : 통공
114 : 홀더(Hohder)
114a : 체결공
115a, 115b : 힌지핀(Hinge Pin)부재
117 : 가이드(Guide)부
118a, 118b : 경사각유지부재
120 : 패널(Panel)부
121 : 상면
121a : 고정공
122 : 힌지(Hinge)부
122a : 체결공
123 : 와이어고정부
130 : 높이조절부
131 : 완충부재
131a : 통공
132 : 수직바(Bar)
133 : 고정부재
134 : 앵커너트(Anchor Nut)
135a, 135b : 높이조절부재
140 : 경사각유지부재
141 : 와이어(Wire)
200 : 추녀
210 : 베이스(Base)부
211 : 고정공
231a, 231b : 고정부재
301, 302 : 도리
303 : 벽체
303a : 상단부
310 : 베이스(Base)부
323 : 와이어고정부
340 : 직교부위
400 : 기둥
410 : 상단부
500 : 선자연
600 : 한옥
610 : 모서리부
Claims (4)
- 한옥(600)의 모서리부(610)에 위치한 기둥(400)과 상기 기둥(400)의 상단부(410)에 직교부위(340)가 형성되도록 도리(301, 302)를 배치시켜 주고, 상기 직교부위(340) 위에 장착된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
상기 경사 및 높이 조절구(100)는 양쪽편으로 선자연(500)이 취부된 추녀(200)와 상기 추녀(200)의 베이스부(210)에 상면(121)이 접하도록 고정부재(231a, 231b)를 통해 고정된 패널부(120);
상기 패널부(120)의 하면에 돌출 구비된 힌지부(122)가 지지부(111)의 상베이스부(112)에 돌출 구비된 홀더(114)에 힌지핀부재(115a, 115b)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힌지핀부재(115a)를 축으로 상기 패널부(120)의 경사각(k1)을 조절하여, 상기 추녀(200)에 대한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사조절부(110);
상기 지지부(111)의 하베이스부(113)와 직교부위(340)에 구비된 도리(301)가 수직바(132)를 통해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하베이스부(113) 쪽의 수직바(132)에 체결된 높이조절부재(135a, 135b)로 상기 경사조절부(110)의 높이(h1)를 조절하여, 상기 추녀(200)에 대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핀부재(115a)를 축으로 상기 도리(301)의 베이스부(310)를 기준하여, 상기 패널부(120)의 경사각(k1)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패널부(120)의 하면 양측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123)와 상기 와이어고정부(123)에 대응하여 도리(301)의 베이스부(310)에 구비된 와이어고정부(323) 간에 연결된 와이어(141)를 결속시켜 주는 경사각유지부재(14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130)는 하베이스부(113)에 형성된 통공(113a)에 일치시켜 도리(301)의 베이스부(310)에 장착된 앵커너트(134)와 상기 앵커너트(134) 위에 안착되어 도리(301)에 전달되는 추녀(200)의 하중을 상기 베이스부(310)에 분산시켜 주기 위한 완충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통공(113a)과 높이조절부재(135a) 및 상기 완충부재(131)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3)와 통공(131a)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앵커너트(134)에 나사 체결되는 수직바(1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부(110)에서 조절된 패널부(120)의 경사각(k1)을 예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홀더(114)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만곡 형성된 가이드부(117)와 체결부(122)에 형성된 체결공(122b)에 체결 고정되는 경사각유지부재(118a, 118b)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20)에 고정된 추녀(200)는 힌지핀부재(115a)를 기준으로 한옥 바깥쪽 방향(가)으로의 길이(L1)가 한옥 안쪽 방향(나)으로의 길이(L2)보다 더 길게(L1>L2)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440A KR102310363B1 (ko) | 2020-01-22 | 2020-01-22 |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8440A KR102310363B1 (ko) | 2020-01-22 | 2020-01-22 |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4782A true KR20210094782A (ko) | 2021-07-30 |
KR102310363B1 KR102310363B1 (ko) | 2021-10-07 |
Family
ID=7714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8440A KR102310363B1 (ko) | 2020-01-22 | 2020-01-22 |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3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0589B1 (ko) * | 2023-12-26 | 2024-07-31 | 양태현 | 추녀고정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7367A (ja) * | 1996-07-26 | 1998-02-10 | Ykk Architect Prod Kk | 屋根と支柱との連結部材 |
JP2003253762A (ja) * | 2002-02-27 | 2003-09-10 | Nippon Koki Kk | 組み立て構築物 |
KR101237231B1 (ko) * | 2011-11-07 | 2013-02-27 |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 지붕형 태양광 구조물의 각도 조절장치 |
KR101505404B1 (ko) * | 2014-04-29 | 2015-03-30 | 주식회사 삼성조경 |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
-
2020
- 2020-01-22 KR KR1020200008440A patent/KR1023103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7367A (ja) * | 1996-07-26 | 1998-02-10 | Ykk Architect Prod Kk | 屋根と支柱との連結部材 |
JP2003253762A (ja) * | 2002-02-27 | 2003-09-10 | Nippon Koki Kk | 組み立て構築物 |
KR101237231B1 (ko) * | 2011-11-07 | 2013-02-27 |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 지붕형 태양광 구조물의 각도 조절장치 |
KR101505404B1 (ko) * | 2014-04-29 | 2015-03-30 | 주식회사 삼성조경 |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0589B1 (ko) * | 2023-12-26 | 2024-07-31 | 양태현 | 추녀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0363B1 (ko) | 2021-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0363B1 (ko) |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 |
US3092932A (en) | Skeleton framework for modified hyperbolic paraboloid | |
CN112160520A (zh) | 一种墙板找平挂装系统及其安装方法 | |
AU2017204788A1 (en) | Trusse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 |
CN111139966A (zh) | 无钉化模块吊顶结构 | |
CN213015373U (zh) | 一种异形建筑模板 | |
CN207229925U (zh) | 一种横向管道的吊装支架 | |
CN210947278U (zh) | 一种免副龙骨的轻钢龙骨组件 | |
CN209179474U (zh) | 一种新型可旋转式铝模板 | |
JP3214240B2 (ja) | 屋根パネル | |
CN214884360U (zh) | 一种建筑结构承重件 | |
JP2003193611A (ja) | 簡易屋根 | |
KR102100316B1 (ko) | 마감패널 설치 구조 | |
KR100815150B1 (ko) | 개폐식 막구조의 고정장치 | |
CN214498040U (zh) | 一种墙与顶的搭接结构 | |
CN209686769U (zh) | 一种结构牢靠的建筑墙面装饰基层轻钢龙骨件 | |
JPH0893098A (ja) | 間仕切枠上部固定金具 | |
KR800000238B1 (ko) | 구조기와(構造蓋瓦) | |
JP5341649B2 (ja) | 屋根ユニット、ユニット屋根及びユニット屋根の組立方法 | |
KR20230139516A (ko) | 한옥 설계의 구조 부재 작성 방법 | |
RU13054U1 (ru) | Панель с комплектом элементов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ее уровня над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 |
GB1069263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of structures | |
JP2008088721A (ja) | 床用目地装置 | |
JP3749578B2 (ja) | 建物 | |
JPH1144057A (ja) | 断熱屋根の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