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04B1 -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404B1
KR101505404B1 KR1020140051222A KR20140051222A KR101505404B1 KR 101505404 B1 KR101505404 B1 KR 101505404B1 KR 1020140051222 A KR1020140051222 A KR 1020140051222A KR 20140051222 A KR20140051222 A KR 20140051222A KR 101505404 B1 KR101505404 B1 KR 10150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upport
anchor bolt
post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조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조경
Priority to KR102014005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 E04B7/02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arallel similar trusses or portal frames the trusses or frames supporting load-bearing purlins, e.g. braced purl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1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of the buckl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 상에 기둥(1)과 장보(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상기 기둥(1)에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2)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장보(2)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보받침목(10); 상기 기둥(1)에 삽설 고정되면서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을 관통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외경나사산(2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2)(23)를 구비하는 앵커볼트(20)와, 장보(2)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면서 기둥(1)의 장착홈(1a)에 안착하도록 못 또는 볼트로 고정하는 고정공(27)과 함께 앵커볼트(20)를 삽입시켜 이탈 및 지지력을 강화하는 수용공(26)을 구비하는 지지판(25); 및 상기 앵커볼트(20)의 끝단부에 체결 장착되고, 기둥(1)에 함께 삽설되어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기둥(1)의 내부에 앵커볼트(20)와 함께 삽설되며, 회전되는 앵커볼트(20)의 회전력에 의해 벌어져 기둥(1)의 내부를 지지하게 절개부(32)를 개재하는 지지슬리브(31)를 구비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기둥에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를 통하여 발생되는 틈을 막아 새집, 벌집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보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roof connection structure of belvedere or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 방향의 기둥에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를 통하여 발생되는 틈을 막아 새집, 벌집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보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정자(亭子)는 자연 경관을 감상하면서 한가로이 놀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주변 경관이 좋은 곳에 아담하게 지은 집을 가리키고, 한옥(韓屋)은 예부터 한국의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은 집을 말한다. 이러한, 정자와 한옥은 대부분 기와를 얹은 형태의 지붕의 구조로 형성되는데 지붕은 장보, 서까래, 기둥 등의 다양한 구성을 통해 형성된다. 하지만, 서까래는 기둥에 안착될 시 기울어진 상태로 기둥에 안착되기 때문에 수직의 기둥과 기울어진 서까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밖에 없었고, 그 공간에는 각종 먼지에서부터 이물질, 새집, 벌집 등이 형성되기 쉬어 호흡기를 통한 건강의 악화가 발생할 수 있음과 함께 지붕을 지지하는 지지력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안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북반구 중에서도 가운데 쯤 자리잡고 있어 봄, 여름, 가을, 겨울 이렇게 4계절이 뚜렷하게 나누어지는 바, 매년 여름 장마철이 되면 주기적으로 태풍이 발생하여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고,
Figure 112014040818617-pat00001
〈표 1〉
상기 표 1에 2014년 3월을 기준으로 발생된 기상청 통계에 따른 지진을 살펴보면 2∼2.8규모로 대구, 전남, 경북 등 다양한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되고 있다. 아직은 '쿵'하는 약간의 진동을 느낄 정도의 규모로만 발생되고 있어 지진에 의한 피해도는 낮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잦은 지진과 규모는 점점 강해지고 있음에 한국 역시 지진 안전지대가 될 수 없다. 이러한, 태풍 또는 지진 등을 통해 목재로 이루어지는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구조는 지지력을 강화하여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만 한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81684호에 따르면, ‘지붕의 중앙에 배치된 용두의 단부에서 상기 지붕의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곡률을 갖는 일체형 곡선부재를 구비하는 곡추녀; 상기 용두의 단부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붕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곡추녀의 곡면과 접촉하는 직선형 추녀 받침대; 상기 곡추녀와 곡추녀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연결되는 서까래; 및 상기 곡추녀와 곡추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곡추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구비하는 판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구조물.’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지붕 구조물은 기울어진 형태의 추녀 받침대(300), 서까래(400)는 기둥에 안착됨에 따라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새집, 벌집, 이물질 등이 수용 및 안착되기 쉬웠고, 그로 인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없음과 동시에 미관상 아주 좋지 않으며, 추녀 받침대(300), 서까래(400)의 하중을 지지하는 힘이 약해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081684호 “지붕 구조물”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의 기둥에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를 통하여 발생되는 틈을 막아 새집, 벌집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보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 상에 기둥과 장보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방향의 기둥에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장보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보받침목; 상기 기둥에 삽설 고정되면서 장보와 장보받침목을 관통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외경나사산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앵커볼트와, 장보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면서 기둥의 장착홈에 안착하도록 못 또는 볼트로 고정하는 고정공과 함께 앵커볼트를 삽입시켜 이탈 및 지지력을 강화하는 수용공을 구비하는 지지판; 및 상기 앵커볼트의 끝단부에 체결 장착되고, 기둥에 함께 삽설되어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기둥의 내부에 앵커볼트와 함께 삽설되며, 회전되는 앵커볼트의 회전력에 의해 벌어져 기둥의 내부를 지지하게 절개부를 개재하는 지지슬리브를 구비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슬리브는 앵커볼트의 끝단에 체결된 확장편에 의해 절개부를 확장시켜 기둥의 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기둥에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를 통하여 발생되는 틈을 막아 새집, 벌집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보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 상에 기둥(1)과 장보(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련되며, 장보받침목(10), 앵커볼트(20), 지지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보받침목(10)은 상기 수직 방향의 기둥(1)에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2)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장보(2)의 하중을 지지한다. 장보받침목(10)은 지붕을 이루어 지지하도록 구성된 장보(2)의 하부와 기둥(1)의 상부 사이에 삽설하여 장보(2)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장보(2)의 하부와 기둥(1)의 상부 사이의 틈을 메워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이는 상기 틈 상에는 각종 동물 및 곤충 등으로 인한 새집, 벌집과 아울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여 외관 상 보기 흉하고, 주위 공기의 악화로 인해 정자 또는 한옥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건강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보받침목(10)은 도면 상에는 다수의 굴곡부(15)를 형성하여 정자 또는 한옥을 이용하는 이용자에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굴곡부(15)를 대신하여 다양하게 다른 형태를 선택하여 심미감이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20)는 상기 기둥(1)에 삽설 고정되면서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을 관통하여 서로 고정한다. 앵커볼트(20)는 상술한 장보(2) 및 장보받침목(10)을 기둥(1) 상에 서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경에 외경나사산(21)을 구비하여 상기 기둥(1)의 중심부로부터 상부로 일치되게 기둥(1), 장보받침목(10)과 장보(2) 상에 구멍(도면부호 미부여)을 뚫어 상기 구멍에 삽설될 수 있도록 한다.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의 경우 관통된 상태의 구멍이 형성되지만, 기둥(1)의 구멍에 경우 앵커볼트(20)가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이 삽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만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앵커볼트(20)의 경우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기둥(1)의 중앙부에 삽설된 상태로 공급되면 작업자는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에 구멍을 뚫어 작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20)는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에 삽설되어 서로 고정하도록 외경나사산(2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2)(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너트(22)(23)는 앵커볼트(20)의 상하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앵커볼트(20)가 기둥(1), 장보(2), 장보받침목(10) 상에 삽설되었을 시, 상하부에 각각 체결되어 기둥(1), 장보(2), 장보받침목(10)을 서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20)는 장보(2)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면서 기둥(1)에 고정이 용이하게 수용공(26)과 고정공(27)을 구비하는 지지판(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판(25)은 판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앵커볼트(20)가 삽설될 수 있도록 수용공(26)을 구비하고, 기둥(1)의 중앙부 장착홈(1a)에 고정되게 다수개의 고정공(27)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공(27)에는 못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기둥(1)의 장착홈(1a)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수용공(26)에 앵커볼트(20)가 삽설된 상태로 기둥(1)에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구성한다. 도면 상에는 원형의 판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력 및 유동을 방지하도록 삼각, 사각 등의 각형의 형태로도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30)은 상기 앵커볼트(20)의 끝단부에 체결 장착되고, 기둥(1)에 함께 삽설되어 지지력을 확보한다. 지지수단(30)은 상술한 기둥(1)의 내부로 삽설되는 앵커볼트(20)를 기둥(1)으로부터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앵커볼트(20)의 끝단에 장착된 상태로 함께 기둥(1)의 내부로 함께 삽설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30)은 기둥(1)의 내부에 앵커볼트(20)와 함께 삽설되고, 회전되는 앵커볼트(20)의 회전력에 의해 벌어져 기둥(1)의 내부를 지지하게 절개부(32)를 개재하는 지지슬리브(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수단(30)의 지지슬리브(31)는 앵커볼트(20)의 끝단 외경에 형성된 외경나사산(21) 상에 체결된 상태로 기둥(1)의 내부에 삽설하게 되는 바, 지지슬리브(31)는 원형의 관형태로 양측에 한쌍의 절개부(32)를 구비한다. 상기 기둥(1)의 내부에 앵커볼트(20)가 삽설될 시 지지슬리브(31)의 절개부(32)는 벌어져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슬리브(31)는 앵커볼트(20)의 끝단에 체결된 확장편(35)에 의해 절개부(32)를 확장시켜 기둥(1)의 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확장편(35)은 상술한 지지슬리브(31)와 함께 앵커볼트(20)의 끝단에 체결되는 바, 기둥(1)의 내부에 삽설 시킨 상태에서 앵커볼트(20)를 회전시키면 확장편(35)은 외경나사산(21)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면서 지지슬리브(31)의 절개부(3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32)가 벌어져 기둥(1)의 내부를 고정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기둥(1)의 중심부로부터 상부로 일치되게 기둥(1), 장보받침목(10)과 장보(2) 상에 구멍을 미리 뚫은 상태로 기둥(1)의 장착홈(1a) 상에 지지판(25)을 안착하여 고정공(27)으로 못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하고, 수용공(26)으로 앵커볼트(20)를 삽입시켜 앵커볼트(20)의 이탈 및 지지력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앵커볼트(20)의 상부로 장보받침목(10)과 장보(2)를 수용한 다음, 고정너트(22)를 조이면 외경나사산(21)을 따라 확장편(35)이 이동함에 지지슬리브(31)의 절개부(32)는 벌어져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방향의 기둥에 지붕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를 통하여 발생되는 틈을 막아 새집, 벌집 및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보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기둥 2: 장보
10: 장보받침목 15: 굴곡부
20: 앵커볼트 21: 외경나사산
22, 23: 고정너트 25: 지지판
26: 수용공 27: 고정공
30: 지지수단 31: 지지슬리브
32: 절개부 35: 확장편

Claims (5)

  1.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 상에 기둥(1)과 장보(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수직 방향의 상기 기둥(1)에 비스듬히 안착되는 장보(2)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장보(2)의 하중을 지지하는 장보받침목(10);
    상기 기둥(1)에 삽설 고정되면서 장보(2)와 장보받침목(10)을 관통하여 서로 고정하도록 외경나사산(2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22)(23)를 구비하는 앵커볼트(20)와, 장보(2)로부터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하면서 기둥(1)의 장착홈(1a)에 안착하도록 못 또는 볼트로 고정하는 고정공(27)과 함께 앵커볼트(20)를 삽입시켜 이탈 및 지지력을 강화하는 수용공(26)을 구비하는 지지판(25); 및
    상기 앵커볼트(20)의 끝단부에 체결 장착되고, 기둥(1)에 함께 삽설되어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기둥(1)의 내부에 앵커볼트(20)와 함께 삽설되며, 회전되는 앵커볼트(20)의 회전력에 의해 벌어져 기둥(1)의 내부를 지지하게 절개부(32)를 개재하는 지지슬리브(31)를 구비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슬리브(31)는 앵커볼트(20)의 끝단에 체결된 확장편(35)에 의해 절개부(32)를 확장시켜 기둥(1)의 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KR1020140051222A 2014-04-29 2014-04-29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KR101505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222A KR101505404B1 (ko) 2014-04-29 2014-04-29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222A KR101505404B1 (ko) 2014-04-29 2014-04-29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404B1 true KR101505404B1 (ko) 2015-03-30

Family

ID=5302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222A KR101505404B1 (ko) 2014-04-29 2014-04-29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4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2277A (zh) * 2018-02-27 2018-06-29 中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模块化空间扩展的快装活动房结构及快装活动房的安装方法
KR20210094782A (ko) * 2020-01-22 2021-07-30 안수현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129A (ja) * 1995-01-11 1996-07-23 Misawa Homes Co Ltd 屋根の取付構造
KR20110003024U (ko) * 2009-09-18 2011-03-24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하중 지지용 앵커장치
KR101323380B1 (ko) * 2013-04-09 2013-10-30 주식회사 삼성조경 매립형 고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129A (ja) * 1995-01-11 1996-07-23 Misawa Homes Co Ltd 屋根の取付構造
KR20110003024U (ko) * 2009-09-18 2011-03-24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하중 지지용 앵커장치
KR101323380B1 (ko) * 2013-04-09 2013-10-30 주식회사 삼성조경 매립형 고정 브라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22277A (zh) * 2018-02-27 2018-06-29 中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模块化空间扩展的快装活动房结构及快装活动房的安装方法
CN108222277B (zh) * 2018-02-27 2023-10-20 中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模块化空间扩展的快装活动房结构及快装活动房的安装方法
KR20210094782A (ko) * 2020-01-22 2021-07-30 안수현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KR102310363B1 (ko) 2020-01-22 2021-10-07 안수현 추녀의 경사 및 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774B2 (en) Retention device for rods and the like
US10760280B2 (en)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US11821211B2 (en)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US6375146B1 (en) Holding device for rods and the like
AU2561800A (en) A post for a queue management system
KR101505404B1 (ko) 정자 또는 한옥의 지붕 골조의 연결구조
US9468275B2 (en) Wind resistant beach umbrella
CN203590774U (zh) 果树护杆器
KR101113991B1 (ko) 정자지붕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5658115U (zh) 一种树木缓冲保护器
CN209964808U (zh) 一种可靠型紧固支撑装置
KR101520465B1 (ko) 이동식 원두막
JP2000224929A (ja) 樹木の被害防止装置
CN212224880U (zh) 一种林木业种植防护用围栏板
KR20220041450A (ko) 수목지지대
CN207080000U (zh) 抗震木屋
US8555908B2 (en) Support system for tents and shelters
KR102497344B1 (ko) 목재 울타리용 지주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4708236U (zh) 一种可调节蚊帐大小的能固定便携式吊床
KR200494526Y1 (ko) 내경이 조절되는 가로수 지지 조립체
KR102627196B1 (ko) 상부 기둥 4개를 모아 접합 체결하는 구조의 행잉 트리하우스
KR102602532B1 (ko) 아치 지붕재의 텐션 조절 및 고정 구조체
JP6352337B2 (ja) 補強用支柱及び補強用支柱を用いたハウス構造
CN219886875U (zh) 一种矿山生态修复边坡防护结构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