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939A - 논물 수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논물 수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939A
KR20210092939A KR1020200006448A KR20200006448A KR20210092939A KR 20210092939 A KR20210092939 A KR 20210092939A KR 1020200006448 A KR1020200006448 A KR 1020200006448A KR 20200006448 A KR20200006448 A KR 20200006448A KR 20210092939 A KR20210092939 A KR 2021009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paddy
level control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원
Original Assignee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원 filed Critical 김용원
Priority to KR102020000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939A/ko
Publication of KR2021009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에는 논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논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판; 상기 수위조절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위조절판이 회전했을 때, 상기 수위조절판의 양단 측으로 상기 논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판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논물 수위 조절 장치{APPARATUS FOR REGULATING WATER LEVEL OF RICE PADDY}
본 발명은 논두렁에 설치되어 논의 수위를 조절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논두렁은 논과 논의 경계로, 논의 물(이하, ‘논물’이라고 함.)을 가두기 위해 흙으로 둘러막은 두둑을 의미한다.
그리고 논에서 벼가 적절하게 재배되기 위해서는 생장 시기별로 논물의 높이를 달리 해줘야 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벼의 활착기에는 논물을 5~7cm로 깊게 대어 줌으로써 활착을 촉진시키며, 벼의 분얼성기에는 논물을 2~3cm로 낮게 대어 줌으로써 벼의 분얼을 촉진하고, 무효분얼기에는 5 내지 10일간 논물을 말려줌으로써 유해물질을 제거하면서 무효분얼을 억제시킨다.
이렇게 생장 시기별로 논물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논두렁의 적절한 시기에 임의의 지점에 삽으로 골을 내어 논물을 논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이렇게 논두렁에 골을 내어 논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은, 논두렁의 유실, 논물 높이의 비 정확성, 삽 등의 휴대로 인한 낙뢰에 노출 등의 문제점을 일으킨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8988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눈두렁에 설치되어 논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는, 전방에는 논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논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판; 상기 수위조절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위조절판이 회전했을 때, 상기 수위조절판의 양단 측으로 상기 논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판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수판은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수판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후방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논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위를 구비한 부력 장치와, 상기 부위의 높이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판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상기 논물이 논두렁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 방지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논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와 다르게,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에 의하면 논두렁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논물 수위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논두렁에 도 1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의 고정핀, 부력 장치 및 개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도 1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논물 수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논물 수위 조절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논물 수위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논두렁에 도 1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가 설치된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의 고정핀, 부력 장치 및 개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도 1의 논물 수위 조절 장치의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논물 수위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는, 케이스(110); 수위조절판(120); 및 차수판(1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논(10)에 물이 괴도록 흙으로 막아놓은 논두렁에 설치되며 논물(20)은 상기 케이스(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전방에는 논물(20)이 유입되는 유입구(110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후방에는 상기 논물(20)이 배출되는 배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110a)로 유입된 상기 논물(20)은 상기 배출구(110b)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배출구(110b)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논물(20)은 수로(30)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면 플레이트(111)와,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2)와, 하면 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가 논두렁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상면 플레이트(111)는 논두렁의 상면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가 논두렁에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농부는 자유롭게 논두렁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2)의 상단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111)의 양단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2)의 하단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113)의 양단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후방에는 상기 배출구(110b)가 형성된 후방 프레임(114)이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2) 및 상기 하면 플레이트(11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판(120)은 상기 배출구(110b)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10b)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하단은 상기 후방 프레임(114)의 하측부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이 상기 배출구(110b)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110b)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닫혔을 때,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이 상기 상면 플레이트(111)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하단은 상기 후방 프레임(114)의 하측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닫혔을 때,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논두렁의 상면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닫혔을 때에도, 상기 논물(20)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보다 높으면, 상기 논물(20)은 상기 배출구(110b)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이 상기 배출구(110b)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되고, 상기 논물(20)의 수위가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의 높이(h) 보다 높으면, 상기 논물(20)은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에서 흘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110b)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회전하여 변화되는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의 높이(h)에 따라 상기 논물(20)의 수위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상단으로 상기 논물(20)이 흘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배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수판(130)은,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회전했을 때,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양단 측으로 상기 논물(20)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수판(130)은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수판(130)에는 복수의 홈(130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수판(130)의 복수의 홈(130a)은 상기 차수판(130)의 호 부분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회전할 때 상기 복수의 홈(130a)은 각각 상기 후방 프레임(114)의 설정된 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는 고정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후방 프레임(114)의 설정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40)은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회전할 때, 상기 복수의 홈(130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는, 부력 장치(150)와, 개방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 장치(150)는 상기 논물(20)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위(151)를 구비하여, 상기 논물(2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장치(160)는 상기 부위(151)의 높이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판(120)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장치(160)는 멈치(161)와 걸쇠(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멈치(161)는 상기 후방 프레임(114)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162)는 상기 수위조절판(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논물(20)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부위(151)가 상기 논물(20)에 의해 떠오르면, 상기 부위(151)와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멈치(161)를 당겨, 상기 멈치(161)와 상기 걸쇠(16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배출구(110b)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는, 유실 방지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실 방지포(170)는 상기 케이스(110)의 배출구(110b)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10b)를 통과하는 상기 논물(20)이 상기 논두렁의 유실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실 방지포(170)의 일단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113)와 연결되고, 상기 유실 방지포(170)의 타단은 상기 수로(3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12)의 각 외부면에는 돌출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0)는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12)와 상기 논두렁의 사이로 상기 논물(20)이 유출되어,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12)와 인접한 상기 논두렁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80)는,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와, 복수의 제2플레이트(18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12)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는 각각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12)에 수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 사이에는 상기 논두렁의 흙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플레이트(182)는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 내측, 즉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가 서로 마주 보는 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플레이트(182)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논두렁의 흙이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80)에 의해 상기 논두렁의 흙이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의 측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논물(20)이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의 측면과 상기 논두렁 사이로 침투되어,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논두렁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12)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부직포(181a)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181a)는 상기 논두렁을 구성하는 흙과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논물(20)이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의 측면과 상기 논두렁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의 측면과 인접한 상기 논두렁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는, 고정 말뚝(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말뚝(190)은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181)의 사이에서 상기 논두렁의 지중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말뚝(190)에 의해,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가 논물(20)의 수압에 의해 전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논물 수위 조절 장치(100)는 보조 차단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부(210)는 상기 유입구(110a)와 상기 배출구(110b) 사이의 지중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110a)와 상기 배출구(110b) 사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논물(20)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차단부(210)는 상기 하면 플레이트(113)에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판(120)이 오픈된 후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동작이 어려울 때, 상기 논물(2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부(210)는 보조 차단판(211)과 삽입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프레임(212)은 지중으로 삽입되고, 상기 보조 차단판(211)은 상기 삽입 프레임(212)에서 왕복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차단판(211)이 상승하면, 상기 유입구(110a)와 상기 배출구(110b) 사이를 차단하여 상기 논물(20)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차단판(211)을 상승시켰더라도 상기 수위조절판(120)의 동작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 차단판(211)의 너비는 상기 차수판(130)의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논물 수위 조절 장치
110: 케이스
120: 수위조절판
130: 차수판

Claims (6)

  1. 전방에는 논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논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판;
    상기 수위조절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수위조절판이 회전했을 때, 상기 수위조절판의 양단 측으로 상기 논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수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조절판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배출구의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은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후방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수위조절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논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부위를 구비한 부력 장치와,
    상기 부위의 높이에 따라, 상기 수위조절판을 완전히 개방하는 개방 장치를 더 포함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상기 논물이 논두렁의 유실을 방지하는 유실 방지포를 더 포함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의 지중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논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보조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논물 수위 조절 장치.
KR1020200006448A 2020-01-17 2020-01-17 논물 수위 조절 장치 KR20210092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448A KR20210092939A (ko) 2020-01-17 2020-01-17 논물 수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448A KR20210092939A (ko) 2020-01-17 2020-01-17 논물 수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39A true KR20210092939A (ko) 2021-07-27

Family

ID=7712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448A KR20210092939A (ko) 2020-01-17 2020-01-17 논물 수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29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318B1 (ko)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20210092939A (ko) 논물 수위 조절 장치
CN210827387U (zh) 一种农田水位调节排水结构
TWI713764B (zh) 洗衣機
WO2024053882A1 (ko) 보조댐 및 지하수로를 구비한 댐
US3953978A (en) Combined drain and flood gate
KR102215357B1 (ko) 논물 수위 조절 장치
KR20110002487U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2393318B1 (ko)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CN116377948A (zh) 一种水利工程挡水施工止水防渗装置
KR102283653B1 (ko)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102320912B1 (ko) 농수로 수문 개폐구조체
KR200294017Y1 (ko) 수압자동수문
CN208717869U (zh) 用于大坡降、高流速泄水的导流明渠
KR20170132591A (ko) 사이폰 촉발관을 이용한 용수공급 및 사전방류 시설
KR200364468Y1 (ko) 물꼬
KR200178138Y1 (ko) 수압 자동 수문
KR20210108619A (ko) 용수로 급수 장치
KR200349384Y1 (ko) 관개수로의 취수구 개폐구조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CN220225186U (zh) 一种水利工程灌溉渠
KR200308721Y1 (ko) 저수지 범람방지설비
CN220767896U (zh) 一种堤坝
KR100838659B1 (ko) 원자력 발전소용 냉각수 차단막의 개폐장치
CN213476805U (zh) 一种农田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