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90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907A
KR20210092907A KR1020200006368A KR20200006368A KR20210092907A KR 20210092907 A KR20210092907 A KR 20210092907A KR 1020200006368 A KR1020200006368 A KR 1020200006368A KR 20200006368 A KR20200006368 A KR 20200006368A KR 20210092907 A KR20210092907 A KR 20210092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source
value
terminal
frequency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엘
Priority to KR102020000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907A/ko
Priority to PCT/KR2020/019451 priority patent/WO2021145594A1/ko
Publication of KR20210092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한 주파수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우선순위 또는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해서 설정된 주파수 자원 중의 하나 이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 단말에게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패킷 딜레이 버짓(PDB)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PDB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지연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IDELINK FREQUENCY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R(New Radio) 시스템은, 5세대(5G) 통신을 위한 요구사항들을 충족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요구사항, 잠재적인 시스템 호환성 등을 고려하여, 시간-주파수 자원 단위 기준에 대한 다양한 뉴머롤러지(numerology)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 상에서 발생하는 높은 경로-손실(path-loss), 페이즈-잡음(phase-noise),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 등의 좋지 않은 채널 환경을 극복하고자 복수의 빔을 통한 물리 신호 또는 물리채널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NR 시스템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MTC(ultra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V2X(Vehicle-to-X; Vehicle-to-Everything)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V2X는 차량들 간의 LTE(Long Term Evolution)/NR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개인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간의 LTE/NR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차량과 도로변의 유닛(roadside unit, RSU)/네트워크(network) 간의 LTE/NR 기반 통신을 뜻하는 V2I/N(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SU는 기지국 또는 고정된 단말에 의해 구현되는 교통 인프라 구조 독립체(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에 속도 알림(speed notification)을 전송하는 독립체일 수 있다. 또한, V2X 통신은 단말-대-단말(D2D) 통신 인터페이스인 PC5 링크(또는 사이드링크(sidelink, SL))를 이용하는 방식,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인 Uu 링크(또는 상향링크(uplink) 및 하향링크(downlink))를 이용하는 방식, 또는 PC5 링크 및 Uu 링크를 모두 이용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까지 논의된 V2X 기술에서는 NR SL에서 오직 하나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은 캐리어 및/또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일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연결의 다양성 및 주파수 스펙트럼 사용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같이 하나의 캐리어/BWP가 아닌 하나 이상의 캐리어/BWP 상에서 NR SL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SL 캐리어/BWP들이 NR SL 단말에게 설정 또는 제공되었을 경우, NR SL 전송을 위한 캐리어/BWP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NR 사이드링크 상에서 주파수 자원을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NR 사이드링크 상에서 주파수 자원을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기술적 과제는 NR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패킷 딜레이 버짓(PDB)과 NR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의 지연 특성 값에 기초하여, NR 사이드링크 상에서 주파수 자원을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은,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한 주파수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우선순위 또는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해서 설정된 주파수 자원 중의 하나 이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 단말에게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패킷 딜레이 버짓(PDB)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PDB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지연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NR 사이드링크에서 요구되는 QoS 특성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NR 사이드링크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논리 채널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조합을 이용하여 NR 사이드링크에 적합한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NR 사이드링크 논리 채널(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패킷 딜레이 버짓(PDB)과 NR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의 지연 특성 값에 기초하여, NR 사이드링크 상에서 주파수 자원을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자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사이드링크 슬롯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사이드링크 주파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PDB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PDB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제 1 단말 장치 및 제 2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인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B(eNB), ng-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비-AP 스테이션(non-AP STA)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채널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것은 해당 채널을 통해서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제어 채널을 통해서 제어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데이터 채널을 전송한다는 것은,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 정보 또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약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D2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ProSe: (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s
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
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DCH: 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FCH: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SCI: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FCI: Sidelink Feedback Control Information
SL: Sidelink
SLSS: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
QoS: Quality of Service
5QI: 5G QoS Indicator
PQI: PC5 QoS Indicator
CBR: Channel Busy Ratio
LC: Logical Channel
5G 시스템은 NR 시스템 뿐만 아니라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계열의 시스템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5G 시스템은 NR 무선 접속 기술이 단독으로 적용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LTE 계열의 무선 접속 기술과 NR 무선 접속 기술이 같이 적용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5G 사이드링크 기술은 NR 단독 또는 LTE 계열과 NR이 함께 적용되는 사이드링크 기술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시스템의 물리 자원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R에서 시간 도메인의 기본 단위는
Figure pat00001
일 수 있고,
Figure pat00002
이고,
Figure pat00003
일 수 있다. 한편, LTE에서 시간 도메인 기본 단위는
Figure pat00004
일 수 있고,
Figure pat00005
이고,
Figure pat00006
일 수 있다. NR 시간 기본 단위와 LTE 시간 기본 단위 사이의 배수 관계에 대한 상수는
Figure pat00007
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DL/UL 전송을 위한 프레임의 시간 구조는
Figure pat00008
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은
Figure pat00009
시간에 해당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서브프레임마다 연속적인 OFDM 심볼의 수는
Figure pat00010
일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의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나누어지며, 하프 프레임 1은 서브 프레임 0-4로 구성되고, 하프 프레임 2는 서브 프레임 5-9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Figure pat00011
는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 간의 타이밍 어드밴스(TA)를 나타낸다. 이때, 상향링크 전송 프레임 i의 전송 타이밍은 단말에서 하향링크 수신 타이밍을 기반으로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Figure pat00012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13
은 듀플렉스 모드 (duplex mode) 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TA 오프셋 (TA offset) 값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Figure pat00014
은 0 값을 가지지만, TDD (Time Division Duplex)에서는 DL-UL 스위칭 시간에 대한 마진을 고려해서
Figure pat00015
의 고정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자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내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는 각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따라서 인덱싱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포트마다 그리고 서브캐리어 스페이싱마다 하나의 자원 그리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송수신은 해당 자원 그리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도메인 상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12개의 RE로 구성되며 12개의 RE마다 하나의 RB에 대한 인덱스(
Figure pat00016
)를 구성할 수 있다. RB에 대한 인덱스는 특정 주파수 대역 또는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활용될 수 있다. RB에 대한 인덱스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17
는 하나의 RB 당 서브캐리어의 개수를 의미하고, k는 서브캐리어 인덱스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18
뉴머롤러지는 NR 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NR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뉴머롤러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9
표 1을 참조하면, 뉴머롤러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Subcarrier Spacing, SCS), CP(Cyclic Prefix) 길이 및 슬롯당 OFDM 심볼의 수 등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값들은 하향링크에 대해서 상위계층 파라미터 DL-BWP-mu 및 DL-BWP-cp을 통하여, 상향링크에 대해서 상위계층 파라미터 UL-BWP-mu 및 UL-BWP-cp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 1에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인덱스(
Figure pat00020
)가 2인 경우,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Figure pat00021
)은 60kHz이고, 노멀 CP 및 확장 CP(Extended CP)가 적용될 수 있다. 그 외의 뉴머롤러지 인덱스의 경우에는 노멀 CP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노멀 슬롯(Normal slot)은 NR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기본 시간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노멀 슬롯의 길이는 기본적으로 14개 OFDM 심볼의 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과 다르게 서브 프레임은 NR시스템에서 1ms에 해당하는 절대적인 시간 길이를 가지고, 다른 시간 구간의 길이를 위한 참고 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LTE와 NR 시스템의 공존 또는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위해 LTE의 서브 프레임과 같은 시간 구간이 NR 규격에 필요할 수 있다.
일 예로, LTE에서 데이터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초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TTI는 하나 이상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구성될 수 있었다. 이때, LTE에서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1ms로 설정될 수 있으며, 14개의 OFDM 심볼(또는 12개의 OFDM 심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NR에서 넌슬롯 (non-slot)이 정의될 수 있다. 넌슬롯은 노멀슬롯보다 적어도 하나의 심볼만큼 작은 수를 가지는 슬롯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URLLC 서비스와 같이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경우, 노멀슬롯보다 작은 심볼 수를 가지는 넌슬롯을 통해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넌슬롯에 포함된 OFDM 심볼 수는 주파수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6GHz 이상의 주파수 범위에서는 1 OFDM 심볼 길이의 넌슬롯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넌슬롯을 정의하는 OFDM 심볼의 수는 적어도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넌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 수의 범위는 노멀슬롯 길이-1까지 미니 슬롯의 길이로써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넌슬롯의 규격으로서 OFDM 심볼 수는 2, 4 또는 7개의 심볼로 범위가 제한될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6GHz 이하의 비면허 대역에서는
Figure pat00022
가 1 및 2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사용되고, 6GHz 초과의 비면허 대역에서는
Figure pat00023
가 3 및 4에 해당하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Figure pat00024
가 4인 경우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Figure pat00025
표 2는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설정(
Figure pat00026
)별로, 노멀 CP의 경우의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
Figure pat00027
), 프레임 당 슬롯 개수(
Figure pat00028
), 서브프레임 당 슬롯의 개수(
Figure pat00029
)를 나타낸다. 표 2에서는 14개의 OFDM 심볼을 갖는 노멀슬롯을 기준으로 상술한 값들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0
표 3은 확장 CP가 적용되는 경우(즉,
Figure pat00031
가 2인 경우로서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이 60kHz일 때), 슬롯 당 OFDM 심볼 개수가 12인 노멀슬롯을 기준으로 프레임 당 슬롯의 수 및 서브프레임당 슬롯의 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V2X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V2X 통신에서 단말이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SA라고 칭할 수 있다. 단말 간의 통신 링크로 사이드링크(sidelink, 이하 SL)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어 정보는 SCI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 정보는 PSC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V2X 통신에서 단말이 다른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는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는 PS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V2X 통신 또는 직접 링크(예를 들어, D2D, ProSe, 또는 SL)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방식에 따라서 동작 모드를 정의한다.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는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들을 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가 스케줄링 하고, 이에 따라 단말이 상기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릴레이 노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서 상기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V2X(또는 직접 링크) 전송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V2X(또는 직접 링크) 전송 단말은 V2X(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에게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 V2X(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은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V2X(또는 직접 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는 상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들을 단말이 스스로 선택하고, 이러한 자원 선택은 자원 풀(resource pool) (즉, 자원 후보의 집합)에서 단말이 센싱(sensing) 등에 의해서 결정하고, 이에 따라 단말이 상기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V2X(또는 직접 링크) 전송 단말은 자신이 선택한 자원에서 V2X(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에게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 V2X(또는 직접 링크) 수신 단말은 V2X(또는 직접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V2X(또는 직접 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V2X 통신을 예로 들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V2X 통신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D2D, ProSe, SL 통신 등의 직접 링크 기반의 통신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LTE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단말로의 통신은 하향링크(downlink, DL)로 단말로부터의 기지국으로의 통신은 상향링크(uplink, UL)로 불리고 있다. 상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 추가적으로 단말로부터의 단말로의 통신을 사이드링크(sidelink, SL)로 정의하여 부르고 있다.
LTE에서 PC5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처음 활용하여 적용한 기술 아이템이 공공안전(public safety) 및 상업 목적의 근접 통신(Proximity Communication, Prose)인 D2D이다. 이후 LTE에서 상기 PC5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적용한 다음 기술 아이템이 차량을 대상으로 한 통신인 V2X이다.
기존 V2X 서비스(예를 들어, LTE Rel-14 V2X)는 V2X 서비스들을 위한 기본적인 요구 사항들의 집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요구 사항들은 기본적으로 도로 안전 서비스(road safety service)를 충분히 고려해서 디자인되었다. 따라서, V2X UE(User Equipment)들은 사이드링크(Sidelink)를 통해서 자기 상태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으며, 인프라스트럭처 노드 및/또는 보행자(infrastructure nodes and/or pedestrians)들과 상술한 정보 등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보다 진화된 V2X 서비스(예를 들어, LTE Rel-15 V2X)에서는 사이드링크 내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 하이 오더 모듈레이션(high order modulation), 지연 감소(latency reduction), 전송 다이버시티(Tx diversity)와 sTTI(shortened TTI)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특징(feature)들을 도입하였다.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V2X UE들과의 공존(같은 자원 풀)이 요구되었고, LTE를 기반으로 상술한 서비스들이 제공되었다.
일 예로, SA(System Aspect)1로서 새로운 V2X 서비스 지원을 위한 유스 케이스(use case)들을 고려하여 아래의 표 4와 같이 크게 4가지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기술적 특징이 분류될 수 있다. 이때, 표 4에서 군집 주행(Vehicles Platooning)는 복수 개의 차량들이 동적으로 그룹을 형성하고, 유사하게 동작하는 기술일 수 있다. 또한, 확장 센서(Extended Sensors)는 센서나 비디오 영상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하는 기술일 수 있다. 또한, 진화된 주행(Advanced Driving)은 완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되는 기술일 수 있다. 또한, 원격 주행(Remote Driving)은 차량의 원격 제어를 위한 기술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술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표 4를 참조할 수 있다.
- Vehicles Platooning
Vehicles Platooning enables the vehicles to dynamically form a platoon travelling together. All the vehicles in the platoon obtain information from the leading vehicle to manage this platoon. These information allow the vehicles to drive closer than normal in a coordinated manner, going to the same direction and travelling together.
- Extended Sensor Extended Sensor enables the exchange of raw or processed data gathered through local sensors or live video images among vehicles, road site units, devices of pedestrian and V2X application servers. The vehicles can increase the perception of their environment beyond of what their own sensors can detect and have a more broad and holistic view of the local situation. High data rate i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 Advanced DrivingAdvanced Driving enables semi-automated or full-automated driving. Each vehicle and/or RSU shares its own perception data obtained from its local sensors with vehicles in proximity and that allows vehicles to synchronize and coordinate their trajectories or manoeuvres. Each vehicle shares its driving intention with vehicles in proximity too.
- Remote DrivingRemote Driving enables a remote driver or a V2X application to operate a remote vehicle for those passengers who cannot drive by themselves or remote vehicles located in dangerous environments. For a case where variation is limited and routes are predictable,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driving based on cloud computing can be used.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are the main requirements.
또한, NR 사이드링크라 함은 기존 LTE 시스템에 기초한 사이드링크 및 NR 시스템을 고려한 사이드링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사이드링크를 고려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상술한 SA1은 새로운 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진보된 V2X (enhanced V2X, eV2X) 지원 기술로 LTE와 NR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일 예로, NR V2X 시스템은 제1 V2X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LTE V2X 시스템은 제2 V2X 시스템일 수 있다. 즉, NR V2X 시스템과 LTE V2X 시스템은 서로 다른 V2X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V2X 시스템을 기준으로 NR 사이드링크에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LTE V2X 시스템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이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NR V2X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LTE V2X 시스템에도 상호 동작이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는 적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NR V2X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NR V2X 캐퍼빌리티(capability)가 필수적으로 V2X 서비스들만 지원하도록 제한되지는 않을 수 있으며, 어떤 V2X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것은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NR V2X 사이드링크 물리채널, 신호, 기본 슬롯 구조 및 물리 자원에 대해서 설명한다.
NR PSSCH는 물리계층 NR SL 데이터 채널을 의미한다.
NR PSCCH는 물리계층 NR SL 제어 채널을 의미하며, NR SL 데이터 채널의 스케쥴링 정보를 비롯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CI)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에 해당한다. SCI는 대응하는 PSSCH를 디코딩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SCI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NR PSFCH는 물리계층 NR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피드백 채널을 의미하며, NR SL 데이터 채널에 대응하는 HARQ-ACK 피드백과 같은 정보(예를 들어, SFCI) 등을 전달하기 위한 채널에 해당한다. 사이드링크에서의 HARQ-ACK 피드백 정보 등은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의 경우에 대해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SFCI는 PSFCH를 통해서 전송될 수도 있고 PSSCH를 통해서 전송될 수도 있다. SFCI는 대응하는 PSSCH에 대한 HARQ-ACK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SFCI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NR V2X에 대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는 PSSCH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RI(Rank Indicator) 정보와 같은 사이드링크 CSI는 MAC CE(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의 형태로 구성되어 데이터 채널(즉, PSSCH)을 이용하여 전송되고, 데이터와 동일한 자원 할당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NR SLSS/PSBCH 블록은 물리계층에서 NR SL 동기 신호와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하나의 연속적인 시간 상에서 전송되는 동기 및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을 의미한다. NR 주파수 밴드 상에서 빔-기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블록 인덱스들의 집합을 기준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동기 신호는 PSSS(Prim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S(Secondary Sidelink Synchronization Signal)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SLSS ID 값을 기반으로 해당 신호를 위한 시퀀스가 생성될 수 있다. PSBCH는 V2X SL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SLSS와 함께 전송되며, 빔-기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서 SLSS/PSBCH 블록 인덱스들의 집합 형태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사이드링크 슬롯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사이드링크 슬롯(SL slot)은 하나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심볼, 하나의 송신-수신 스위칭(Tx-Rx switching) 심볼을 각각 포함한다. PSSCH가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채널과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SCCH(1st SCI), 2nd SCI 그리고 PSSCH(Data) 그리고 복조를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도 3과 같이 설정 및 위치하여 전송될 수 있다. PSCCH와 2nd SCI가 존재하지 않는 PSSCH 서브채널은 PSSCH와 DMRS가 할당되어 상기 그림과 같이 전송될 수 있다.
PSSCH DMRS의 포트 수는 상위계층 설정에 따라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수가 단말의 채널 환경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2nd SCI는 PSSCH DMRS를 활용하여 복호된다. 반면, PSCCH(1st SCI)는 PSCCH의 DMRS(즉, PSCCH DMRS)를 이용하여 복호 및 수신되며, 그 PSCCH의 DMRS는 하나의 RB 내에 4개 RE 마다 균등하게 할당되어 전송된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사이드링크 주파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NR 사이드링크는 기본적으로 주파수범위(Frequency Range) FR1과 FR2 (즉, 52.6GHz까지)와, 비면허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대역(unlicensed ITS bands) 및 면허 대역(licensed band)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 5,855-5,925 MHz의 주파수 대역은 ITS 서비스(technology neutral manner)를 위해서 도 4와 같이 할당되어 활용될 수 있다. 해당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공통의 디자인 방법이 선호된다.
이하에서는, NR V2X QoS 요구사항에 대해서 설명한다.
NR V2X에 대해서는 LTE V2X에 비하여 엄격하고 다양한 QoS 요구사항(requirements)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R V2X에 대해서는 LTE V2X에 비하여 보다 짧은 딜레이, 보다 높은 신뢰도, 보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QoS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AS(Access Stratum) 레벨 QoS 관리가 필요하고,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에 연관된 HARQ, CSI 등이 요구된다. 또한, 각각의 NR V2X UE의 최대 대역폭 캐퍼빌리티(capability)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UE 캐퍼빌리티, QoS 관련 정보(QoS related information), 무선 베어러 설정(radio bearer configuration), 물리 계층 설정(physical layer configuration) 등을 포함하는 AS 레벨 정보(AS level information)가 단말 사이에 교환될 필요가 있다.
아래의 표 5는 PC5 링크(또는 사이드링크) 상에서의 SL NR V2X에 대한 QoS 요구사항의 예시를 포함한다. 표 5에서 PQI는 PC5 QoS 특성에 대한 지시자로서 정의된다.
PQI
Value
Resource Type Default Priority Level Packet Delay Budget Packet Error
Rate
Default Maximum Data Burst Volume
Default
Averaging Window
Example Services
1
GBR 3 20 ms
10-4 N/A 2000 ms Platooning between UEs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Platooning between UE and RSU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2
GBR 4 50 ms 10-2 N/A 2000 ms Sensor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3 GBR 3 100 ms 10-4 N/A 2000 ms Information sharing for automated driving - between UEs or UE and RSU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55 Non-GBR 3 10 ms 10-4 N/A N/A Cooperative lane change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56 Non-GBR 6 20 ms 10-1 N/A N/A Platooning informative exchange - low degree of automation;
Platooning - information sharing with RSU;
57 Non-GBR 5 25 ms 10-1 N/A N/A Cooperative lane change - lower degree of automation;
58 Non-GBR 4 100 ms 10-2 N/A N/A Sensor information sharing - lower degree of automation
59 Non-GBR 6 500 ms 10-1 N/A N/A Platooning - reporting to an RSU;
82 Delay Critical GBR 3 10 ms
10-4 2000 bytes 2000 ms Cooperative collision avoidance;
Sensor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Video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83 Delay Critical GBR 2 3 ms 10-5 2000 byte 2000 ms Emergency trajectory alignment;
Sensor sharing - Higher degree of automation
표 5와 같은 PQI와 QoS 특성 간의 매핑관계는 예시적인 것일 뿐, 다른 V2X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표 5에 포함되지 않은 항목이 추가될 수도 있고, 일부 내용이 수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와 같이 미리 정의된 PQI와 QoS 특성의 매핑관계 자체를 이용하기보다는, PC5 사이드링크에 대해서 정의되는 QoS 특성 항목(예를 들어, 패킷 딜레이 버짓(PDB), 패킷 에러 레이트(PER) 등)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한다.이하에서는 사이드링크 HARQ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HARQ 피드백은 단말이 수신한 데이터의 디코딩에 성공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ACK/NACK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HARQ 피드백에 있어서, HARQ 피드백 정보를 보고할지 여부는 상위계층(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에 의해서 활성화(enable)/비활성화(disable)로 설정될 수 있다. 그룹캐스트의 경우에는 HARQ 피드백 보고가 활성화된 경우에도, 송신-수신 거리(Tx-Rx distance)에 따라서 HARQ 보고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에 대해서 SL HARQ 피드백이 활성화된 경우에, 수신 단말(Rx UE)은 대응하는 전송블록(TB)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HARQ-ACK/NACK을 생성할 수 있다.
그룹캐스트에 대해서 SL HARQ 피드백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2 가지 옵션이 지원될 수 있다. 옵션 1은 수신 단말이 HARQ NACK 만을 전송하는 것이다. 옵션 2는 수신 단말이 HARQ ACK 또는 NACK(ACK/NACK)을 전송하는 것이다. 옵션 1의 경우, 송신 단말은 수신 단말로부터의 HARQ 피드백이 없으면, 데이터가 수신 단말에서 디코딩 성공된 것인지 또는 데이터가 수신 단말까지 도달하지 않은 것인지 명확하게 결정할 수 없지만, HARQ 피드백 전송을 위한 오버로드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에서의 SL HARQ 피드백 활성화/비활성화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채널 상태(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Tx-Rx 거리, QoS 요구사항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음
- 그룹캐스트의 경우, HARQ-피드백의 전송은 적어도 Tx-Rx 지리적(geographical) 거리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음 (추가적으로 L1-RSRP를 고려할 수도 있음)
- 적어도 그룹캐스트에 대한 Tx-Rx 거리 기반 HARQ 피드백 방식의 옵션 1에 대해서,
-- Tx-Rx 거리가 통신 범위(communication range) 요구사항 이하인 경우에 UE는 PSSCH에 대한 HARQ 피드백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UE는 PSSCH에 대한 HARQ 피드백을 전송하지 않음
--- 송신 단말(Tx UE)의 위치(location)는 PSSCH에 연관된 SCI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음
--- 수신 단말(Rx UE)은 자기 자신의 위치 및 송신 UE의 위치에 기초하여 Tx-Rx 거리를 추정할 수 있음
이하에서는, NR V2X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 방안에 대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는 진보된 V2X(eV2X) 서비스들에 대한 새로운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는 NR SL 디자인에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NR SL 기반의 기타 다른 서비스들, 예를 들어, 공공안전(public safety), 웨어러블(wearable) 등을 위한 NR SL 디자인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NR SL 운용을 위한 NR SL 주파수는 FR1(410MHz 내지 7.125GHz)와 FR2 (24.25GHz 내지 52.6GHz) 내에 존재 가능하며,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s) 및 면허 대역(licensed bands)을 포함하는 ITS 대역과 NR 시스템이 운용되는 주파수 대역 및 범위 모두를 고려한 NR SL 디자인을 가정한다. 또한 FR1과 FR2 모두에서 공통의 디자인으로 적용이 가능해야 함을 가정한다. 또한 3GPP NG-RAN 네트워크인 LTE(ng-eNB)/NR(gNB) Uu 링크의 이용 가능성(특히, SL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관련 설정 및 SL 물리자원 할당 목적)을 NR SL V2X 송수신 절차들을 위해서 고려할 수 있다.
기존의 NR SL은 오직 하나의 캐리어 및/또는 SL 대역폭 부분(BWP)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연결의 다양성 및 주파수 스펙트럼 사용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기존의 방식과 같이 하나의 캐리어/BWP가 아닌 하나 이상의 캐리어/SL BWP 상에서 NR SL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SL 캐리어/BWP들이 NR SL 단말에게 설정 또는 제공되는 경우, 그 중에서 NR SL 데이터 전송을 위한 캐리어/BWP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안에 본 개시를 통하여 제안한다.
먼저 LTE V2X에서의 송신 캐리어(Tx carrier) 선택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MAC 개체(entity)는 하나의 캐리어의 CBR(Channel Busy Ratio)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PHY) 계층에서 CBR 측정 결과를 MAC 개체에게 제공한 경우, MAC 개체는 해당 CBR 측정 값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즉, PHY로부터 CBR 측정 결과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MAC 개체는 상위계층(예를 들어, RRC)에 의해서 설정된 기본값(예를 들어, defaultTxConfigIndex)을 고려할 수 있다.
만약 송신 캐리어 선택 또는 재선택이 하나의 SL 프로세스(process)를 위해서 트리거되는 경우에, MAC 개체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LC)를 위한 어떠한 캐리어에 대해서도 설정된 SL 그랜트(configured SL grant)가 없는 경우, 어떤 캐리어의 CBR이 SL LC의 우선순위(priority)와 연관된 임계값(예를 들어, threshCBR-FreqReselection)보다 작으면 해당 SL LC를 위한 Tx 캐리어 선택에 대한 후보 캐리어로서 해당 캐리어를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SL LC 및 이와 연관된 캐리어의 매핑 관계는 RRC에 의해서 지시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를 위한 캐리어에 대해서 설정된 S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SL LC(또는 해당 SL LC와 연관된 캐리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해당 캐리어의 CBR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임계값(예를 들어, threshCBR-FreqKeeping)보다 작으면 해당 SL LC를 위해서 해당 캐리어와 연관된 자원 풀을 선택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해당 캐리어의 CBR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임계값(예를 들어, threshCBR-FreqKeeping) 이상인 경우), 각각의 캐리어마다, 해당 캐리어의 CBR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임계값(예를 들어, threshCBR-FreqReselection)보다 작으면 해당 SL LC를 위한 Tx 캐리어 선택에 대한 후보 캐리어로서 해당 캐리어를 고려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절차에 따라서 고려되는 후보 캐리어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MAC 개체는 각각의 SL LC를 위해서 가장 낮은 CBR 값부터 오름차순으로 후보 캐리어들을 나열하고, 그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LTE V2X에서는, 하나의 SL LC에 연관된 캐리어 설정과, 각각의 캐리어마다 물리계층에서 측정된 CBR 값 그리고 해당 SL LC에 대한 QoS 값(예를 들어, PPPP(ProSe Per-Packet Priority)을 기반으로 송신 캐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LTE V2X에서는 오직 브로드캐스트 전송에 기반하는 기본 안전 메시지를 전달하는 목적과 그 연관된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규격화가 이루어 졌던 반면, NR V2X는 LTE V2X 기술에서 커버할 수 없는 보다 다양하고 진화된 서비스 시나리오 및 더 높은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로서 도입되고 있다.
또한, NR V2X에서는, LTE V2X가 활용될 수 있는 ITS 캐리어를 포함하는 FR1 대역에 추가적으로, 밀리미터웨이브(mmWave) 대역을 포함하는 FR2 대역 상에서의 SL 데이터 전송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NR SL에서는 대역폭부분(BWP)이라는 새로운 단위의 주파수 자원이 단말의 무선주파수 캐퍼빌리티(RF capability) 등을 고려해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LTE V2X 상에서 요구되는 QoS를 기준으로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방식(즉, CBR 기준 방식)은, 새로운 NR V2X 시나리오 및 서비스 요구사항 그리고 운영 환경을 충분히 충족시키기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NR SL 운영 환경에 맞는 새로운 송신 캐리어/대역폭부분 (재-)선택(Tx carrier/BWP (re-)selection) 방안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NR V2X 송신 단말이 송신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NR V2X 통신을 위한 주파수 자원 선택이 NR SL 상에서의 주파수 자원 선택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방식의 직접 링크 통신에 있어서 직접 링크 상의 주파수 자원 선택을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NR SL 주파수 자원으로서 Tx 캐리어 및/또는 BWP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단위로 정의되는 주파수 자원을 선택을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에 따라서 동작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사이드링크 자원 스케줄링 모드에 따라서 동작하는 단말에 대해서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자원 할당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 또는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로 구별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제 1 단말의 자원 할당이 제 2 단말에 의해서 설정되는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커버리지 외의 제 1 단말의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을 네트워크 커버리지 내의 제 2 단말이 보조(assist)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 2 단말이 제 1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기지국 자원 스케줄링 모드, 단말 자율 자원 선택 모드, 및 단말-보조 자원 스케줄링 모드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단말에 대해서 기존에 설정된 주파수 자원이 없는 상황에서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고, 단말에 대해서 기존에 설정된 주파수 자원이 있지만 새롭게 주파수 자원을 재선택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주로 단말이 주파수 자원의 후보를 결정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고, 결정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이 최종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510에서 송신 단말에 대해서 가용 캐리어가 설정될 수 있고 또한 SL LC에 연관된 또는 매핑된 주파수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MAC 개체에 대해서 가용 캐리어 및 SL LC 매핑 주파수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가용 캐리어는 해당 송신 단말이 NR SL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 캐리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수신 캐리어로서 설정될 수 있다.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은, 예를 들어, 하나의 SL LC를 위해서 전송이 허락된 전송 캐리어 및/또는 BWP에 해당할 수 있다.
가용 캐리어 및 SL LC 매핑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설정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 단말에게 상위계층(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에 의해서 명시적 또는 묵시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서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송신 단말이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가용 캐리어 및 SL LC 매핑 주파수 자원 모두가 항상 송신 단말의 NR SL 주파수 자원으로서 선택되는 것은 아니며, 그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한 후, 결정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가 최종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송신 단말에 대해서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은 하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SL process)에 대해서 트리거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SL 데이터 전송이 허락된 어떠한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캐리어 및/또는 BWP) 상에 설정된 SL 그랜트(configured SL grant)가 없는 경우, 또는
- SL 그랜트가 설정된 자원 풀이 상위계층에 의해서 재설정되는 경우, 또는
- 상위계층에 의해서 하나의 MAC 개체가 하나 또는 복수의 자원 풀에서 SL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되고, 해당 MAC 개체가 하나의 MAC PDU 전송을 위한 하나의 configured SL grant를 생성하는 것을 선택하고, STCH(Sidelink Traffic Channel) 내에 데이터 전송이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 상에 있는 경우
추가적인 예시로서, 하위계층으로부터 생성 또는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데이터(이하,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라 함)를 위한 SL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대해서 복수의 SL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캐리어 및/또는 BWP)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대해서 설정되고, 해당 단말에서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은 하나의 사이드링크 프로세스(SL process)에 대해서 트리거될 수 있다.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단말의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 전송이 다른 단말에 의해서 요청되는 경우
- 단말의 하위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MAC 개체로 전달되는 경우
- 단말의 MAC 개체에서 MAC PDU 형태로 구성하려는 데이터에 관련된 우선순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와 같이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하나의 SL 프로세스에 대해서 트리거되는 경우에, MAC 개체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 또는 재선택하고, 선택 또는 재선택된 주파수 자원 상에서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SL 데이터는 SL CSI일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V2X 그룹(플래툰) 통신에 있어서, 그룹 멤버가 그룹 헤드에게 SL 스케줄링요청(SR), 센싱/자원 (재-)선택을 위한 자원 세트의 후보(Candidates of resource sets for sensing/resource (re-)selection)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등과 같이, SL CSI와 유사하게 하위계층으로부터 생성 또는 전달되어 MAC 개체에서 MAC PDU 형태로 구성되는 데이터 또는 우선순위 정보가 결여된 데이터도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 외에도 다른 방식에 의해서도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송 수행 중인 또는 전송 예정인 주파수 자원이, 전송 중인 또는 전송 예정인 데이터에 대해서 요구되는 QoS를 만족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전송 실패(failure)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되면, MAC 개체는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MAC 개체는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하위계층(예를 들어, PHY) 및/또는 상위계층(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 RRC 계층 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는, 주파수 자원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메트릭 또는 파라미터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리어 또는 특정 캐리어 그룹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특정 BWP 또는 특정 BWP 그룹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등에 기초하여 캐리어 및/또는 BWP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복수의 특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L LC에 연관된 소정의 특성에 대한 임계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어떤 주파수 자원의 해당 특성에 대한 메트릭 또는 파라미터의 값이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주파수 자원의 소정의 특성에 대한 임계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SL LC에 연관된 해당 특성에 대한 메트릭 또는 파라미터 값이 상기 임계값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임계값은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서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단말이 결정할 수도 있고,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에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임계값은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에 연관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해서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NR SL에서는 FR1 뿐만 아니라 FR2 주파수 범위에 있는 캐리어 및 그 캐리어들 내의 BWP들을 지원해야 한다. 그러므로 FR2 주파수 범위에 있는 캐리어/BWP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주파수 특성(예를 들어, 높은 신호 감쇠, 민감한 신호 왜곡(예를 들어, 위상 노이즈) 등)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는, 주파수 자원 혼잡도, 지리적 요소, 링크 품질, 또는 피드백 정보 중의 하나 이상에 대해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혼잡도는, 점유 시간, 검출되는 에너지 레벨, 검출되는 시그너처 신호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자원 혼잡도는 CBR(Channel Busy Ratio)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지리적 요소는 주파수 자원이 지원하는 통신 범위,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는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의 지리적 위치,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거리,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이동 속도,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이 속한 지리적 영역(zone), 복수의 단말을 포함하는 군집이 이루는 지리적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품질은 주파수 자원이 지원하는 지연(예를 들어, PDB), 에러 레이트(예를 들어, PER), 간섭, 신호 강도(예를 들어, RSRP, RSSI), 신호 품질(예를 들어, RSRQ)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정보는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 단말에게 전달되는 정보로서 HARQ 피드백 정보, CS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의 지리적 요소(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위치, 속도, 영역 등)에 대한 정보는 피드백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피드백 정보와 구별되는 방식으로 송신 단말에게 전달될 수도 있다.
단계 S540에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주파수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MAC 개체는 단계 S530에서 결정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결정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의 값의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나열된 후보들 중에서 상위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단말 캐퍼빌리티를 만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최종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캐퍼빌리티는, 해당 단말이 동시에 전송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의 개수,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RF 캐퍼빌리티, 해당 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송신 단말은 선택된 주파수 자원 상에서 그 SL LC에 속해 있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의 MAC 개체는 선택된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하위계층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하위계층(예를 들어, PHY)는 상위계층에 의해서 지시되는 주파수 자원 상에 채널 및/또는 신호를 매핑하고, 수신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한 정보로서 제 1 파라미터, 제 2 파라미터, 또는 제 3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예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물론 하나의 파라미터만을 이용하거나, 셋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예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파라미터의 적용에 관련된 우선순위 등에 관련된 예시는 후술한다.
제 1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특성 값과, 특정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에 연관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개체는 주파수 자원에 대한 제 1 파라미터의 값을 하위계층 또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경우,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즉, 제 1 파라미터의 값을 전달받지 않은 경우), MAC 개체는 미리 설정된 기본값을 제 1 파라미터 값에 적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자원 선택이 하나의 SL 프로세스를 위해서 트리거되는 경우에 MAC 개체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에 매핑된 어떠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도 설정된 SL 그랜트가 없는 경우, 임의의 주파수 자원의 제 1 파라미터 값이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제 1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설정된 S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SL LC(또는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1 파라미터의 값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1 파라미터의 값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임계값 이상/초과(또는 미만/이하)인 경우),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1 파라미터 값이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제 1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제 2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에 연관된 특성 값과, 특정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개체는 SL LC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제 2 파라미터의 값을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경우,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즉, 제 2 파라미터의 값을 전달받지 않은 경우), MAC 개체는 미리 설정된 기본값을 제 2 파라미터 값에 적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자원 선택이 하나의 SL 프로세스를 위해서 트리거되는 경우에 MAC 개체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에 매핑된 어떠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도 설정된 SL 그랜트가 없는 경우,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2 파라미터 값이 임의의 주파수 자원의 제 2 파라미터 값에 대한 제 1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설정된 S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SL LC(또는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2 파라미터의 값이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2 파라미터의 값이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임계값 이상/초과(또는 미만/이하)인 경우),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2 파라미터 값이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2 파라미터 값에 대한 제 1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제 3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주파수 자원에 연관되지 않은 (또는 모든 주파수 자원에 공통된, 또는 단말-특정) 특성 값과, 특정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에 연관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개체는 모든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제 3 파라미터의 값을 하위계층 또는 상위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경우,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즉, 제 3 파라미터의 값을 전달받지 않은 경우), MAC 개체는 미리 설정된 기본값을 제 3 파라미터 값에 적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자원 선택이 하나의 SL 프로세스를 위해서 트리거되는 경우에 MAC 개체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에 매핑된 어떠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도 설정된 SL 그랜트가 없는 경우, 임의의 주파수 자원의 제 3 파라미터 값이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3 파라미터에 대한 제 1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설정된 SL 그랜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SL LC(또는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 만약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3 파라미터의 값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3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 그렇지 않은 경우(즉,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3 파라미터의 값이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3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임계값 이상/초과(또는 미만/이하)인 경우), 해당 주파수 자원의 제 3 파라미터 값이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제 3 파라미터에 대한 제 1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이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에 있어서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 및 제 3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해당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러한 예시로 제한되지 않고, 제 1 내지 제 3 파라미터 중의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정보들의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CBR
하나의 SL LC와 매핑된 주파수 자원의 CBR 측정값과,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CBR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 미만/이하인 CBR 측정값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자원의 CBR 측정값은 물리계층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CBR 임계값은 주파수 자원 (재)선택을 위한 CBR 임계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통신 범위(communication range)
하나의 SL LC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통신 범위 값과,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한 통신 범위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 미만/이하인 통신 범위 값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SL LC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통신 범위 값은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에 연관된 통신 범위 요구사항(requirement) 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범위 임계값은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마다 또는 주파수 자원이 위치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 또는 FR2)마다 전송가능하도록 허락되거나 설정된 임계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L LC의 전송이 허락된 송신 캐리어/BWP들 중에서 해당 SL LC의 우선순위(PQI)와 연관된 통신 범위 값이, 상기 각 캐리어/BWP 마다 또는 그 캐리어/BWP가 위치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 또는 FR2) 마다 허락된 통신 범위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캐리어/BWP를 후보 송신 캐리어/BWP로서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해당 캐리어/BWP는 후보 송신 캐리어/BWP로서 고려하지 않는다.
SL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범위에 대한 요구사항은 {50, 80, 180, 200, 350, 400, 500, 700, 1000 미터} 중 하나의 값으로 주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 범위 요구사항 값은 SL LC의 PQI 값과 연관될 수 있다. 즉, SL LC의 우선순위 값인 PQI 값에 따라서 지원 가능한 통신 범위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이 속한 주파수 범위에 대한 통신 범위 임계값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또는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 또는 FR2)마다 미리 정해진 값이 적용될 수도 있다.
NR SL에서는 QoS 정보의 하나로서 통신 범위가 정의된다. 또한 하나의 SL 데이터 전송과 연관된 통신 범위 정보가 무선접속 계층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계층에서 PSSCH를 수신한 단말이 HARQ 피드백 전송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하나의 임계값으로 통신 범위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L 송수신 단말이 SL HARQ 피드백 기반의 PSSCH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송신 단말에 의해서 SCI를 통해서 PSSCH 전송에 대한 제어 정보가 수신 단말에게 제공되고 이에 따라 PSSCH를 통해서 SL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단말이 SL HARQ 피드백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SCI 정보 내에 통신 범위 값이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범위 값을 수신한 수신 단말은, 송신-수신 거리를 계산한 정보와 상기 제공된 통신 범위 값을 비교하여 SL HARQ 피드백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통신 범위에 대한 임계값을 SL 주파수 자원 후보 선택에 대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에 속한 주파수 자원 상의 주파수 특성은 낮은 신호 감쇠와 적은 신호 왜곡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송 전력 등이 동일한 조건 하에서 높은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2)에 속한 주파수 자원에 비하여 더 넓은 통신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통신 범위 요구사항 값과, 해당 SL LC와 연관된 주파수 자원의 통신 범위 임계값을 비교하여, 적절한 주파수 자원 (재)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주파수 자원의 통신 범위 임계값은 상위계층에서 설정되거나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송신-수신 거리(Tx-Rx Distance)
송신-수신 거리는 통신 범위 임계값의 하나의 예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L LC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통신 범위 값과,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한 송신-수신 거리를 비교하여, 송신-수신 거리 미만/이하인 통신 범위 값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SL LC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통신 범위 값은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에 연관된 통신 범위 요구사항(requirement) 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송신-수신 거리는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마다 또는 주파수 자원이 위치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 또는 FR2)마다 계산된 값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L LC에 매핑된 송신 캐리어/BWP들 중에서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통신 범위 값이, 각각의 송신 캐리어/BWP마다 또는 송신 캐리어/BWP가 위치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 또는 FR2)마다 계산된 송신-수신 거리 값 보다 작은 경우, 해당 송신 캐리어/BWP를 후보 송신 캐리어/BWP로서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해당 송신 캐리어/BWP는 후보 송신 캐리어/BWP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송신-수신 거리 정보는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 단말로 전송되는 SL 신호(예를 들어, SCI)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만약 송신-수신 거리 정보가 이용가능한 경우에는 통신 범위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에서의 통신 범위 임계치를 대체하여 송신-수신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송신-수신 거리를 이용한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은 항상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송신 단말)로부터 제 2 단말(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그 전에 제 2 단말로부터 제 1 단말에게 데이터 또는 다른 SL 신호의 전송이 수행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단말은 제 2 단말로부터 그 전에 수신된 SL 신호에 기초하여 두 단말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제 1 단말이 제 2 단말로부터 그 전에 SL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라면 제 1 단말은 두 단말간의 거리를 계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제 2 단말(수신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제 1 단말(송신 단말)에서 수신하는 것이 먼저 발생하여야 제 1 단말(송신 단말)에서 송신-수신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말(송신 단말)이 제 2 단말(수신 단말)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시점에는 송신-수신 거리를 결정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있어서 통신 범위 값을 우선적으로 또는 디폴트로 이용하고, 만약 송신-수신 거리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통신 범위 임계값을 대신하여 송신-수신 거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송신-수신 거리는 통신 범위 값의 하나의 예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L LC의 우선순위에 연관된 통신 범위 요구사항 값을 임계값으로서 이용하고, 해당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에 대한 송신-수신 거리를 통신 범위 요구사항 값과 비교하여, 통신 범위 요구사항 미만/이하인 송신-수신 값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송신 단말 속도
송신 단말의 이동 속도(speed)와, 하나의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속도 임계값을 비교하여, 송신 단말의 속도가 임계값 미만/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속도 임계값은 상위계층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의 속도는 단말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속도 임계값이 100km/h으로 상위계층에 의해 설정되고, 현재 단말의 속도가 80km/h (즉, 임계값 미만)라면, FR1과 FR2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송신 캐리어/BWP들을 후보 송신 캐리어/BWP로서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즉, 현재 단말의 속도가 임계값인 100km/h 초과인 경우), 후보 송신 캐리어/BWP는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의 속도가 임계값 미만/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1)에 속하는 주파수 자원, 제 1 주파수 자원 세트, 또는 ITS 대역(또는 비면허 대역)에 속한 주파수 자원이 후보 주파수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의 속도가 임계값 이상/초과인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FR2)에 속하는 주파수 자원, 제 2 주파수 자원 세트, 또는 면허 대역에 속한 주파수 자원이 후보 주파수 자원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PDB(Packet Delay Budget)
하나의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PDB 값과, 해당 SL LC와 매핑된 주파수 자원의 지연 임계값을 비교하여, 지연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자원의 지연 임계값은 상위계층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지연 임계값은 주파수 자원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주파수 범위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특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L LC의 PQI와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이상/초과인 경우,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 중에서 보다 낮은 지연 값을 지원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높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SL LC의 PQI와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미만/이하인 경우,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 중에서 보다 높은 지연 값을 지원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높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피드백 정보(feedback information)
피드백 정보는 물리계층에서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 단말에게 전달되는 제어 정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1계층(또는 물리계층) 피드백 정보에는 HARQ 피드백 정보, CSI(RI, CQI 등), 영역 식별자(Zone ID)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SL LC와 매핑된 주파수 자원의 피드백 정보에 관련된 값과,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와 연관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임계값 미만/이하인 피드백 정보 관련 값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L LC와 연관된 주파수 자원마다 소정의 구간 동안 피드백되는 HARQ NACK 또는 ACK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 값에 연관되는 NACK 또는 ACK 카운트 수에 관련된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떠한 주파수 자원의 NACK 카운트 수가 NACK 카운트 수 임계값 미만/이하인 경우에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어떠한 주파수 자원의 ACK 카운트 수가 ACK 카운트 수 임계값 이상/초과인 경우에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어떠한 주파수 자원의 NACK 카운트 수와 ACK 카운트 수의 비율이, NACK 카운트 수와 ACK 카운트 수의 비율에 관련된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인 경우에 해당 주파수 자원을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구간은 ACK/NACK 카운트 시간 구간이라 칭할 수 있다. ACK/NACK 카운트 시간 구간의 크기 및/또는 시간 도메인에서의 위치는, 상위계층에 의해서 설정되거나 미리 결정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ACK/NACK 카운트 구간은 연속된 시간 구간으로 정의되는 대신에,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에게 SL 데이터(또는 PSSCH)를 전송한 횟수로 정의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SL LC와 연관된 주파수 자원마다 특정 시간 구간 동안 피드백된 평균화한 또는 임의로 결정한 CQI 값을,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 값에 연관되는 CQI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 미만/이하(또는 이상/초과)인 CQI 값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이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 정보는,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 기반의 SL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물리계층에서 주파수 자원의 채널 점유 상태에 대한 장-기간(long-term) 메트릭 정보인 CBR 측정값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기간(short-term)의 메트릭 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경우, 주파수 자원의 특성을 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이 직접 수행하는 CBR 측정값에 의해서 주파수 자원의 채널 점유도를 측정하는 것은 장-기간 채널 상태 정보만을 고려하는 것에 그치므로, 해당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 단말이 겪는 짧은-기간 채널 상태 정보(예를 들어, 간섭 레벨, 히든 노드 문제 등)는 SL LC의 데이터 전송의 송신 주파수 자원 선택을 위해 고려될 수 없다. 또한, 주기적 트래픽 만을 지원하는 LTE V2X에 비하여, NR SL에서는 주기적 및 비주기적 트래픽 모두를 고려해서 디자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주기적 트래픽을 고려한 송신 주파수 자원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송신 단말이 측정한 CBR 값 만을 가지고 송신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경우 위와 같은 NR SL 특성을 지원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적어도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의 경우에 이용가능한 L1 피드백 정보를 송신 단말이 이용하여 송신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후보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수신 단말이 실제로 겪는 채널 환경을 보다 잘 반영하기 때문에, SL LC 내의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들 간의 우선순위 또는 적용기준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신 단말의 MAC 개체는 하나의 SL LC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된 복수의 주파수 자원 중에서 전술한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대한 방법을 조합하여 전송 가능한 후보 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있어서 복수의 파라미터들 간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의 우선순위 결정 방식은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파라미터들 간의 우선순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후보 주파수 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후보 주파수 자원이 결정된 경우,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기준으로 후보 주파수 자원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과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제 2 조건을 이용하여 후보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기준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를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은 후보 정렬에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정렬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상위 n (n은 0 이상의 정수) 개의 주파수 자원이 단말 캐퍼빌리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CBR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과 통신 범위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는 경우, CBR 파라미터 조건 및 통신 범위 파라미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를 낮은 CBR 값을 가지는 순서대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범위 파라미터 조건은 내림차순 정렬에 이용되지 않는다. 그 후, 단말의 RF 캐퍼빌리티를 고려하여 정렬된 후보 중에서, 낮은 CBR을 가지는 순서대로 단말의 캐퍼빌리티만큼 전송 가능한 주파수 자원을 최종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주파수 자원의 개수(n)는 단말 구현 및 능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만약 CBR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과 PDB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는 경우, CBR 파라미터 조건 및 PDB 파라미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를 낮은 CBR 값을 가지는 순서대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PDB 파라미터 조건은 내림차순 정렬에 이용되지 않는다. 그 후, 단말의 RF 캐퍼빌리티를 고려하여 정렬된 후보 중에서, 낮은 CBR을 가지는 순서대로 단말의 캐퍼빌리티만큼 전송 가능한 주파수 자원을 최종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주파수 자원의 개수(n)는 단말 구현 및 캐퍼빌리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복수의 파라미터 간의 우선순위가 미리 설정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의 제 1 세트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의 제 2 세트가 별도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세트에 모두 속하는 주파수 자원, 제 1 세트에만 속하는 주파수 자원, 제 2 세트에만 속하는 주파수 자원의 순서대로 주파수 자원 후보들을 정렬한 후, 정렬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상위 n 개의 주파수 자원이 단말 캐퍼빌리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제 1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이 제 2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제 1 파라미터 조건을 기준으로 주파수 자원의 임시 후보를 결정하고, 임시 후보에 대해서 제 2 파라미터 조건을 기준으로 후보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결정된 후보 주파수 자원 중에서 단말의 캐퍼빌리티에 따라서 가능한 개수(n)의 주파수 자원이 최종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적용 조건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범위 파라미터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 방법은, 그룹캐스트 전송에 해당하는 SL LC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고, 브로드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피드백 정보 파라미터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 방법은, 유니캐스트 또는 그룹캐스트 전송에 해당하는 SL LC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고, 브로드캐스트 전송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CBR 파라미터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 방법은, 캐스트 방식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MAC 개체가 설정된 복수의 송신 주파수 자원 중에서, SL LC의 QoS 정보 및 그 판단 조건들과 관련 설정들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SL 송신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단계 S61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SL 송신 주파수 자원 선택 절차에 대한 트리거링 조건(도 5의 단계 S520 참조)을 만족하는 경우, SL 송신 주파수 자원 선택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하나의 SL LC를 결정하고, 해당 SL LC와 연관된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단말에 대해서 설정된 복수의 송신 주파수 자원 중에서, 단계 S620의 SL LC에 대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이 무엇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20 및 S630과 연계하여, 단계 S64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미리 정해진 또는 상위계층/하위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보고된, 송신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해 이용가능한 파라미터 관련 정보를 참조/획득할 수 있다. 파라미터 관련 정보는 파라미터의 값 또는 파라미터 임계값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에 대해서 설정된 PQI를 식별하면서, 해당 PQI에 연관된 파라미터 값 및/또는 파라미터 임계값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의 PQI에 연관된 통신 범위 값, 송신-수신 거리 값, PDB 값 등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의 PQI에 연관된 CBR 임계값, HARQ 피드백 정보 관련 임계값, CSI 정보 관련 임계값, 단말 속도 임계값 등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에 대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을 식별하면서, 해당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파라미터 값 및/또는 파라미터 임계값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에 대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CBR 값, HARQ 피드백 정보 관련 값, CSI 정보 관련 값 등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에 대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통신 범위 임계값, 송신-수신 거리 임계값, PDB 임계값 등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단말의 MAC 개체는 특정 주파수 자원에 연관되지 않은(또는 모든 주파수 자원에 공통되거나 단말-특정으로 결정되는) 파라미터 값을 참조/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MAC 개체는 단말의 속도에 대한 값을 참조/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5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송신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해 이용가능한 파라미터 관련 정보 중에서, 하나의 파라미터 또는 둘 이상의 파라미터의 조합에 기초하여, 송신 주파수 자원 후보를 고려 또는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파라미터 값 및 임계값에 대한 조건과, 서로 다른 파라미터들 간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전술한 예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송신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단말 캐퍼빌리티에 기초하여 소정의 개수(n)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주파수 자원의 개수는 0일 수도 있고, 1일 수도 있고, 2 이상일 수도 있으며, 그 개수는 단말 캐퍼빌리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MAC 개체는 선택된 주파수 자원 상에서 SL 전송에 이용될 자원 풀(pool)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67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선택된 주파수 자원 상에서 물리계층을 통하여 SL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송신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해 이용가능한 파라미터 중에서 PDB 또는 지연 특성 값을 적용하는 본 개시의 구체적인 예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예시들과 관련하여, NR SL을 위한 요구사항 중의 하나는, 지연 시간에 민감한 (즉, 저지연을 요구하는) URLLC와 같은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핸들링을 포함한다. SL 송신 캐리어/BWP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관점에서 살펴보면, 캐리어/BWP 마다 SCS 설정 값에 따른 전송 딜레이(delay)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NR SL 데이터의 QoS 정보를 참고하여 그에 적합한 SCS가 설정된 캐리어/BWP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SCS 값이 2 배로 커질수록 물리계층에서 하나의 TB를 보내기 위한 전송 시간(즉, TTI)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NR 시스템에 이러한 다양한 뉴머롤러지 또는 프레임 구조가 적용된 이유 중의 하나는, 전술한 저지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PDB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710 이전에 또는 단계 S710과 별도로 단말에 대해서 가용 주파수 자원이 설정되고, SL LC에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이 설정되며,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의 단계 S510 및 S520, 또는 도 6의 S610, S630 및 S640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71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하나의 SL LC를 결정하고, 해당 SL LC와 연관된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MAC 개체는 SL LC에 연관된 우선순위 정보 중에서, SL LC의 PQI에 연관된 PDB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MAC 개체는 미리 정해진 또는 상위계층/하위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보고된, 송신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해 이용가능한 파라미터 관련 정보를 참조/획득할 수 있다. 파라미터 관련 정보는 파라미터의 값 또는 파라미터 임계값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L LC에 연관된 우선순위 정보가 지시하는 PDB 값 및 미리 설정된 지연 임계값을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을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 임계값은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하여 아래 내용과 같이 주파수 범위, SL LC와 연관된 PQI 값/범위(우선순위 정보), CBR 값/범위, 부분 센싱/랜덤 선택(partial sensing/random selection) 설정 여부, 그리고/또는 SL LC 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아래 내용과 같이 주파수 범위, SL LC와 연관된 PQI 값/범위(우선순위 정보), CBR 값/범위, partial sensing/random selection 설정 여부, 그리고/또는 SL LC 마다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위의 조건들의 가능한 조합들 중 하나의 조합을 기준으로 지연 임계값은, 별도의 시그널링에 의해서 또는 별도의 시그널링 없이 결정될 수 있다. 특히, partial sensing/random selection 설정 여부는 특정 단말이 사이드링크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자원 선택 절차에서 설정될 수 있는데, 이 방식이 적용된/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을 통한 데이터 전송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빠르게 자원 선택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왜냐하면, partial sensing/random selection이 설정되면, 전체적인 센싱이 아닌 부분적인 센싱 동작만을 수행하거나, 센싱 절차를 수행함이 없이 랜덤으로 선택하는 절차를 통해서 사이드링크 상의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방식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송 지연에 관련되어 partial sensing/random selection 설정 여부를 추가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지연 임계값은 주파수 자원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주파수 자원 세트(즉,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주파수 범위, partial sensing/random selection 설정 여부, 주파수 범위, 우선순위 정보 그리고 CBR 값/범위, 주파수 범위 그리고 PQI 값/범위, 혹은 주파수 범위, CBR 값/범위 그리고 PQI 값/범위 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특정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단말의 MAC 개체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SL LC마다 설정될 수도 있다. 위의 조건들의 가능한 조합들 중 하나의 조합을 기준으로 지연 임계값은 별로의 시그널링 또는 그러한 시그널링 없이 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지연 임계값은 소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어, ms 단위의 시간 길이)를 지시하는 값으로 직접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연 임계값은 주파수 도메인의 값 또는 시간 도메인의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간접적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연 임계값 산출의 기초가 되는 파라미터 값은 뉴머롤러지 설정에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연 임계값은 SCS, 또는 SCS 설정 인덱스(예를 들어, 표 1의
Figure pat00032
), 지연 임계값은 프레임 당 슬롯 개수(예를 들어, 표 2 및 표 3의
Figure pat00033
), 서브프레임 당 슬롯의 개수(예를 들어, 표 2 및 표 3의
Figure pat00034
), 또는 하나의 심볼의 길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단계 S72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단계 S710에서 식별된 PDB 값과, 미리 설정된 지연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L LC의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720에 따라서 2 가지 조건 중의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L LC의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제 1 조건, 또는 SL LC의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제 2 조건 중의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는 특정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 중에서, 단계 S720의 제 1 조건 또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 그룹을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 자원 그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은 제 1 내지 제 4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각각 제 1 내지 제 4 SCS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자원은 15kHz의 SCS 값이 설정될 수 있고, 제 2 주파수 자원은 30kHz의 SCS 값이 설정될 수 있고, 제 3 주파수 자원은 60kHz의 SCS 값이 설정될 수 있고, 제 4 주파수 자원은 120kHz의 SCS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의 SCS 설정 값에 따라서 하나의 TB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길이(예를 들어, TTI)가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뉴머롤러지에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면, SCS 설정 값이 클수록 TTI의 시간 길이는 짧아진다. 따라서, SCS 설정 값이 클수록 보다 짧은 지연을 지원할 수 있고, SCS 설정 값이 작을수록 보다 긴 지연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kHz SCS 설정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의 TTI(즉, slot)의 시간 길이는 1ms에 해당한다. 또한, 30kHz SCS 설정을 가지는 주파수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의 TTI는 15kHz SCS 설정을 위한 TTI의 시간 길이의 절반인 0.5ms에 해당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60kHz, 120kHz, 240kHz 그리고 그 이상의 SCS 값들은 모두 그 값이 커짐에 따라서 시간 도메인 상의 하나의 TTI 시간 길이는 반비례 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주파수 자원은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에 속하고, 제 3 및 제 4 주파수 자원은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은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을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은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 보다 긴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50ms(예를 들어, 표 5의 예시에서 PQI 값이 2인 경우)이고, 지연 임계값은 2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긴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보다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보다 짧은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10ms(예를 들어, 표 5의 예시에서 PQI 값이 55 또는 82인 경우)이고, 지연 임계값은 2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에는, 보다 짧은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허용하는 딜레이 상한이 높기 때문에 긴 지연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은 물론 짧은 지연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도 주파수 자원 후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50ms(예를 들어, 표 5의 예시에서 PQI 값이 2인 경우)이고, 지연 임계값은 2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 모두가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에는, 모든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되면, 단계 S740에서 주파수 자원 후보 중 주파수 자원이 선택될 수 있고, 단계 S750에서 선택된 주파수 자원 상에서 SL LC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740 및 S750은 도 5의 단계 S540 및 S550, 또는 도 6의 S650 및 S660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로서, 하나의 SL LC에 연관된 PQI 값에 의해서 PDB 값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PDB 값을 기반으로 해당 지연 경계(latency bound) 내에 전송이 가능한 SCS가 설정된 캐리어/BWP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BWP 후보 선택을 위한 지연 임계값(latency threshold)이 단말에게 설정되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연 임계값은 하나의 값으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L LC과 연관된 하나의 PDB 값(예를 들어, 20ms)이 지연 임계값(예를 들어, 10ms) 보다 크다면, 낮은 SCS 세트(low SCS set)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BWP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낮은 SCS 세트에는 SCS 값 15kHz 및/또는 30kHz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SL LC과 연관된 하나의 PDB 값(예를 들어, 5ms)이 지연 임계값(예를 들어, 10ms) 보다 작다면, 높은 SCS 세트(high SCS set)가 설정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BWP 후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SCS 세트에는 SCS 값 60kHz 및/또는 120kHz가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SCS 세트에 포함되는 SCS의 값은 단말에 대해서 설정되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SCS 세트의 개수, 하나의 SCS 세트에 포함되는 SCS의 개수, 각각의 SCS 세트에 포함되는 SCS 값은 예시적일 뿐,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SCS 세트가 설정될 수도 있고, 하나의 SCS 세트에 하나 이상의 SCS가 포함될 수도 있고, SCS는 15, 30, 60, 120, 240kHz 이외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SL LC 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BWP 중에서, 해당 SL LC마다 또는 단말 MAC 개체마다 설정된 지연 임계값을 기준으로, 해당 SL LC의 PQI가 지시하는 PDB 값이 지연 임계값보다 크면 제 1 캐리어/BWP 집합이 후보로서 고려될 수 있고, 해당 SL LC의 PQI가 지시하는 PDB 값이 지연 임계값보다 작으면 제 2 캐리어/BWP 집합이 후보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PDB에 기초한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의 추가적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810 이전에 또는 단계 S810과 별도로 단말에 대해서 가용 주파수 자원이 설정되고, SL LC에 매핑되는 주파수 자원이 설정되며, 주파수 자원 선택 또는 재선택이 트리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 5의 단계 S510 및 S520, 또는 도 6의 S610, S630 및 S640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810에서 SL LC와 연관된 우선순위 정보(예를 들어, PQI에 연관된 PDB)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810의 동작은 도 7의 단계 S710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 개의 지연 임계값이 설정되는 도 7의 예시와 달리, 도 8의 예시에서는 2 개의 지연 임계값, 즉, 제 1 지연 임계값 및 제 2 지연 임계값이 설정될 수 있다. 제 1 지연 임계값은 제 2 지연 임계값보다 클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단말의 MAC 개체는 단계 S810에서 식별된 PDB 값과, 미리 설정된 제 1 지연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L LC의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SL LC의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단계 S825에서 SL LC의 PDB 값이 제 2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820 및 S825에 따라서, 3 가지 조건 중의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L LC의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제 1 조건, SL LC의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이고 제 2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제 2 조건, 또는 SL LC의 PDB 값이 제 2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제 3 조건 중의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는 특정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 중에서, 단계 S820 및 S830의 조건을 만족하는 주파수 자원 그룹을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 자원 그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매핑된 주파수 자원은 제 1 내지 제 6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주파수 자원에 대해서 각각 제 1 내지 제 6 SCS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주파수 자원은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에 속하고, 제 3 및 제 4 주파수 자원은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에 속하고, 제 5 및 제 6 주파수 자원은 제 3 주파수 자원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은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을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은 중간 정도의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주파수 자원 그룹은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 보다 긴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50ms이고, 제 1 지연 임계값은 3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에는, 보다 긴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보다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이고 제 2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 중간 정도의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20ms이고, 제 1 지연 임계값은 30ms로 설정되고, 제 2 지연 임계값은 1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정도의 SCS 값이 설정된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 (또는 미만)이고 제 2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에는, 중간 정도의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중간 정도의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제 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2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 보다 짧은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5ms이고, 제 2 지연 임계값은 1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제 3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2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인 경우에는, 보다 짧은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허용하는 딜레이 상한이 높기 때문에 긴 지연 및 중간 정도의 지연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은 물론 짧은 지연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도 주파수 자원 후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50ms이고, 제 1 지연 임계값은 3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낮은 SCS 값이 설정된 제 1 주파수 자원 그룹, 중간 정도의 SCS 값이 설정된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제 3 주파수 자원 그룹 모두가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에는, 짧은 지연부터 긴 지연까지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제 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또는 미만)이고 제 2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 중간 정도의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 주파수 자원은 물론 짧은 지연을 지원하는 주파수 자원도 주파수 자원 후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20ms이고, 제 1 지연 임계값은 30ms로 설정되고, 제 2 지연 임계값은 10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정도의 SCS 값이 설정된 제 2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제 3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정 SL LC에 연관된 PDB 값이 제 1 지연 임계값 이하 (또는 미만)이고 제 2 지연 임계값 초과(또는 이상)인 경우에는, 중간 정도의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중간 정도의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 및 보다 짧은 지연을 지원할 수 있는(즉, 보다 높은 SCS 값이 설정된) 주파수 자원 그룹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되면, 단계 S840에서 주파수 자원 후보 중 주파수 자원이 선택될 수 있고, 단계 S850에서 선택된 주파수 자원 상에서 SL LC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단계 S840 및 S850은 도 7의 단계 S740 및 단계 S750에 대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의 예시들에 있어서, 주파수 자원 후보 그룹의 개수는 지연 임계값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예시와 같이 1 개의 지연 임계값이 설정되는 경우에, 2 개의 주파수 자원 후보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예시와 같이 2 개의 지연 임계값이 설정되는 경우에, 3 개의 주파수 자원 후보 그룹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연 임계값의 개수가 N 개인 경우, 주파수 자원 후보 그룹의 개수는 N+1 개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어떤 주파수 자원, 주파수 자원 세트, 주파수 범위, 단말, 단말의 MAC 개체 또는 SL LC에 대해서, 지연 임계값이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약 지연 임계값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은 지연에 관련된 조건을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즉, 지연 임계값 설정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SL LC에 설정된 모든 주파수 자원이 주파수 자원 후보로서 고려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의 MAC 개체는 하나의 SL LC 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된 복수의 주파수 자원 중에서 PDB를 포함하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대한 방법을 조합하여 전송 가능한 후보 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있어서 PDB를 포함하는 복수의 파라미터들 간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의 우선순위 결정 방식은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PDB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들 간의 우선순위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후보 주파수 자원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PDB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과 CBR 파라미터에 대한 조건을 이용하는 경우, PDB 파라미터 조건을 만족시키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 후보를 낮은 CBR 값을 가지는 순서대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의 RF 캐퍼빌리티를 고려하여 정렬된 후보 중에서, 낮은 CBR을 가지는 순서대로 단말의 캐퍼빌리티만큼 전송 가능한 주파수 자원을 최종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주파수 자원의 개수(n)는 단말 구현 및 캐퍼빌리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각 주파수 자원 상의 CBR을 먼저 체크하고 CBR 임계값 보다 작은 CBR 값을 가지는 후보 주파수 자원들 중에서 상기 PDB 조건을 만족하는 캐리어를 최종 후보 주파수 자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CBR과 PDB에 추가적인 상기 언급한 다른 후보 주파수 자원 선택 조건들 또한 상기 CBR, PDB들과의 조합 및 그들 사이의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최종 후보 주파수 자원을 단말이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제 1 단말 장치 및 제 2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단말 장치(900)는 프로세서(910), 안테나부(920), 트랜시버(930), 메모리(9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911) 및 물리계층 처리부(9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91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915)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사이드링크 송신 신호 처리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제 1 단말 장치(9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92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93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40)는 프로세서(910)의 연산 처리된 정보, 제 1 단말 장치(90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 장치(900)의 프로세서(91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송신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 장치(900)의 프로세서(910)의 상위계층 처리부(911)는 파라미터 관련 정보 결정부(912),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부(913), 주파수 자원 선택부(914)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관련 정보 결정부(912)는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SL LC 식별 및 해당 SL LC에 대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이 식별되면, 해당 SL LC의 우선순위(예를 들어, PQI) 또는 해당 주파수 자원에 연관된 파라미터 값 또는 파라미터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 값 및 임계값은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파라미터는 전술한 예시들에서의 제 1 파라미터, 제 2 파라미터 또는 제 3 파라미터의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부(913)는 제 1 단말 장치(900)에 대한 주파수 자원 선택이 트리거되면, 파라미터 관련 정보 결정부(912)에서 결정된 파라미터 값 및 임계값을 이용하여, SL LC에 대해 설정된 주파수 자원 중에서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후보는 전술한 예시들에서의 다양한 파라미터 타입에 따라서 적용되는 조건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주파수 자원 선택부(914)는 주파수 자원 후보 결정부(913)에서 결정된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단말 캐퍼빌리티에 따라 소정의 개수(n)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 및 전송하려는 데이터는 물리계층 처리부(915)로 전달되어, 제 2 단말 장치(950)에게 SL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제 2 단말 장치(950)는 프로세서(960), 안테나부(970), 트랜시버(980), 메모리(99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상위계층 처리부(961) 및 물리계층 처리부(9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계층 처리부(961)는 MAC 계층, RRC 계층, 또는 그 이상의 상위계층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물리계층 처리부(965)는 PHY 계층의 동작(예를 들어, 하향링크 수신 신호 처리, 상향링크 송신 신호 처리, 사이드링크 수신 신호 처리 등)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960)는 베이스밴드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 외에도, 제 2 단말 장치(96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안테나부(970)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경우 MIMO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트랜시버(980)는 RF 송신기와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90)는 프로세서(960)의 연산 처리된 정보, 제 2 단말 장치(950)의 동작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단말 장치(950)의 프로세서(960)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의 수신 단말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 장치(950)의 프로세서(960)의 상위계층 처리부(961)는 지리적 정보 생성부(962), 피드백 정보 생성부(963)을 포함할 수 있다.
지리적 정보 생성부(962)는 제 2 단말(950)의 지리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리적 정보는 제 2 단말(950)의 위치, 영역 식별자, 이동 속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리적 정보는 물리계층 처리부(965)를 통하여 제 1 단말(900)에게 전달되어, 제 1 단말(900)의 파라미터 관련 정보의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피드백 정보 생성부(963)는 제 2 단말(950)이 제 1 단말(900)으로부터 사이드링크 상에서 수신된 데이터/채널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HARQ ACK/NACK 정보, CS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물리계층 처리부(965)를 통하여 제 1 단말(900)에게 전달되어, 제 1 단말(900)의 파라미터 관련 정보의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제 1 단말 장치(900) 및 제 2 단말 장치(950)의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들에서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에 대해서 설명한 사항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한 주파수 자원 선택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우선순위 또는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에 대해서 설정된 주파수 자원 중의 하나 이상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자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주파수 자원 상에서 수신 단말에게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는 상기 사이드링크 논리채널의 우선순위와 연관된 패킷 딜레이 버짓(PDB)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PDB와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지연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 후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KR1020200006368A 2020-01-17 2020-01-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210092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68A KR20210092907A (ko) 2020-01-17 2020-01-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PCT/KR2020/019451 WO2021145594A1 (ko) 2020-01-17 2020-12-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368A KR20210092907A (ko) 2020-01-17 2020-01-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907A true KR20210092907A (ko) 2021-07-27

Family

ID=7686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368A KR20210092907A (ko) 2020-01-17 2020-01-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92907A (ko)
WO (1) WO20211455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79A1 (ko) * 2021-08-12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sl drx를 기반으로 그랜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9159A1 (ko) * 2021-10-08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sl drx와 관련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76866A (zh) * 2022-08-19 2024-03-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4080B (zh) * 2018-05-08 2023-09-2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触发发送载波选择的方法和设备
US10542583B1 (en) * 2018-06-29 2020-01-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sidelink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279A1 (ko) * 2021-08-12 2023-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sl drx를 기반으로 그랜트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059159A1 (ko) * 2021-10-08 2023-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sl drx와 관련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594A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9469B2 (en) V2X communication method executed by V2X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01112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586344B1 (ko) Nr v2x에서 보조 정보를 기반으로 sl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17082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harq 타이밍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37580A (ko) Nr v2x에서 부분 센싱을 기반으로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0226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sfch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1802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l communication on basis of assistance information in nr v2x
KR202100929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2302697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435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37259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ter-ue coordin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793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N114747283A (zh) 用于为车联网(v2x)通信处理所配置的许可类型1的方法和装置
KR202400104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조정 정보의 송수신 방법및 그 장치
US202302249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delink-based relay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56233A1 (en) Method for user equipment to transmit and receive feedbac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delink and device for same
US119248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uption handling for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KR202100862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US20230188960A1 (en) Multi-static sensing network for assisting vehicle-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
KR2023013650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5186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109141A (ko) 셀룰러 차량-사물 할당 충돌 검출
KR20220097432A (ko) Nr v2x에서 자원 할당 모드 1을 기반으로 sl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903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주파수 자원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5863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선호 자원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