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407A - 파워 아웃렛 - Google Patents

파워 아웃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407A
KR20210091407A KR1020200004479A KR20200004479A KR20210091407A KR 20210091407 A KR20210091407 A KR 20210091407A KR 1020200004479 A KR1020200004479 A KR 1020200004479A KR 20200004479 A KR20200004479 A KR 20200004479A KR 20210091407 A KR20210091407 A KR 2021009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der
housing
power outlet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742B1 (ko
Inventor
이창훈
최욱현
김태용
한승민
윤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20000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7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 터미널이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고, 양(+) 터미널이 홀더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점에서, 이에 따른 추가적 부품이 다수 감소된 파워 아웃렛에 관한 기술로, 폴리 스위치 및 와셔와 같이 불필요한 부품이 없는 바, 제조 공정이 단순해져서, 제조 비용 및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워 아웃렛{Power Outlet}
본 발명은 파워 아웃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의 음(-) 단자인 음(-) 터미널이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고, 터미널의 양(+) 단자인 양(+) 터미널이 홀더에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점에서, 이에 따른 추가적 부품이 다수 감소된 파워 아웃렛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차량에는 개인용 휴대전화 단말기를 비롯하여, 네비게이션, TV 및 외부 장치로의 전력 전달을 위해 충전 플러그를 꽂는 파워 아웃렛이 활용 및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파워 아웃렛은 종래의 시거 라이터가 결합하는 시거 소켓의 기능도 하는 바, 개방된 상태일 경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어 접촉 불량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파워 아웃렛은 전력 전달 구조의 구현을 위해 커버, 핀, 홀더, 컨택트, 플레이트, 하우징, 폴리스위치, 양(+) 터미널, 인슐레이터, 음(-) 터미널, 와셔 및 스크류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조립하는 구조인 점에서, 제조 비용이 높고,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9-0055895호 (2019. 05. 24.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13720호 (2014. 06. 2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품 수가 줄어 제조가 단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에 대비하여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는 파워 아웃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인 개방부와 대칭되는 면에 양(+) 터미널을 수납 및 고정하는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하는 홀더 및 홀더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홀더의 개방부에는 커버가 결합하는 'U' 자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고, 커버는 홀더의 고리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용 핀을 포함한다.
홀더는 개방부와 대칭되는 면에 양(+) 터미널을 수납 및 고정하는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하고, 터미널 고정부는 양(+)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로 성형된다.
하우징은 일단에 음(-) 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된다.
홀더는 터미널 고정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 음(-) 터미널이 돌출되는 터미널 개구를 포함한다.
홀더의 외주면은 차량 전원 공급부의 내주면에 맞물려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홀더의 내주면에 암수 결합하여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홀더는 오조립 방지 부재와 맞물리는 오조립 방지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 스위치 및 와셔와 같이 불필요한 부품이 없는 바, 제조 공정이 단순해져서, 제조 비용 및 제조 단가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아웃렛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발명의 전반에 걸친 설명에서 양(+) 터미널은 터미널의 양(+) 단자를 의미하며, 음(-) 터미널은 터미널의 음(-) 단자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아웃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아웃렛은 차량의 전원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인 개방부와 대칭되는 면에 양(+) 터미널(400)을 수납 및 고정하는 터미널 고정부(220)를 포함하는 홀더(200), 및 홀더(20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의 형상으로, 원기둥의 양단이 개방된 구조이다. 따라서, 개방된 일면으로 개인용 휴대전화 단말기의 충전기, 네비게이션, TV 및 외부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충전 플러그를 꽂으며, 개방된 타면으로는 차량의 전원 공급부와 맞닿는다.
하우징(100)은 차량의 전원 공급부와 맞닿는 면에 음(-) 단자와 맞물리는 음(-) 터미널(110)을 포함한다. 음(-) 터미널(110)은 원기둥의 양 개방면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축과 평행한 구조로, 차량의 전원 공급부가 위치한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이다. 또한, 음(-) 터미널(110)은 하우징(100)의 일단에서 일체로 성형된 구조이다.
또한, 하우징(100)은 홀더(200)의 내주면에 암수 결합하도록, 하우징(100)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오조립 방지 부재(120)를 포함한다. 오조립 방지 부재(120)는 충전 플러그가 삽입되는 일면에서 연장되며, 결합시 홀더(200)에 형성된 오조립 방지 홈(250)에 삽입 및 고정되어 홀더(200)와 하우징(100)을 고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오조립 방지 부재(120)는 후술될 홀더(200)의 오조립 방지 홈(250)에 결합시, 오조립 방지 부재(120)의 텐션에 의해 체결음이 발생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200)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200)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홀더(20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일면이 개방된다. 여기서, 개방되지 않은 일면은 전술된 하우징(100)의 음(-) 터미널(110)이 위치한 방향으로, 차량의 전원 공급부와 연결된다. 또한, 개방된 일면은 커버(300)가 결합하는 'U'자 형상의 고리(210)를 포함하고, 또한, 홀더(200)의 개방되지 않은 면에는 양(+) 터미널(400)이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하는 터미널 고정부(220)와, 하우징(100)의 음(-) 터미널(110)이 홀더(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 개구(230)와, 차량 내 전원 공급부의 내주면에 맞물려서, 전원 공급부에 홀더(2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240), 하우징(100)의 오조립 방지 부재(120)과 맞물려서 조립시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 방지 홈(250)을 포함한다.
고리(210)는 'U'자 형상으로, 'U'자 내부에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이는 후술될 커버(300)의 핀(310)이 삽입되어, 돌기에 걸리면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리(210)는 일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핀(310)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폭이 넓어지며, 핀(310)이 삽입되거나, 제거된다.
터미널 고정부(220)는 내부에 'ㄱ'자 형상의 양(+) 터미널(400)이 수납되어,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충전 플러그와 맞물리는 구조이다. 터미널 고정부(220)는 홀더(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이나, 양(+) 터미널(400)의 고정을 위해 터미널 고정부(220)의 개방된 직경이 양(+) 터미널(40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미널 고정부(220)의 내주면측 개방 직경과 외주면측 개방 직경이 서로 상이하다. 이는 내주면측의 직경이 외주면측의 직경보다 큰 구조로, 내주면에는 차량의 충전 플러그가 꽂히나 각 제품별 플러그의 규격이 일부 상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 플러그와 맞닿는 면적이 넓도록 직경이 크다. 또한, 외주면의 직경은 차량의 전원 공급부가 고정적인 규격으로 제공되는 바, 외주면의 개방 직경은 전원 공급부의 양(+) 단자 직경과 유사한 것이다.
여기서, 터미널 고정부(220)는 내부에 'ㄱ'자 형상의 양(+) 터미널(400)이 삽입된 상태로 성형(인서트 사출)되어, 양(+) 터미널(400)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터미널 개구(230)는 하우징(100)의 음(-) 터미널(110)과 맞닿는 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음(-) 터미널(110)이 홀더(2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터미널 개구(230)을 통해 홀더(200)의 외부로 돌출된 하우징(100)의 음(-) 터미널(110)이 차량의 전원 공급부에 맞닿는다.
고정 부재(240)는 차량 내 전원 공급부의 내주면에 맞물린다. 이는 레버의 형상으로, 전원 공급부의 내주면보다 큰 직경상에 위치하나, 전원 공급부 내로 삽입하며 수축된 후, 다시 직경이 넓어지며 전원 공급부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부재(240)는 홀더(20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고정 부재(240)가 위치한 홀더(200)의 외주면에는, 고정 부재(240)와 동일 선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마련되어, 차량 내 전원 공급부와 홀더(200)의 이격을 방지한다. 여기서, 이격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는 충전 플러그를 삽입했을 때 발생하는 과도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오조립 방지 홈(250)은 전술된 하우징(100)의 오조립 방지 부재(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오조립 방지 부재(120)과 맞물려서 고정 및 결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오조립 방지 홈(250)과 오조립 방지 부재(120)의 결합에 의해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300)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300)는 홀더(200)의 개방부를 개폐한다. 이는 하우징(10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며, 사용자에 의한 개방이 용이한 구조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홀더(200)의 직경보다 넓은 정원형의 형상이나, 직사각형의 기둥이 상부로 연장된 구조이다. 이를 위해, 커버(300)는 홀더(200)의 고리(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핀(310)을 포함한다.
핀(310)은 커버(300)의 외주면에서 연장된다. 또한, 전술된 홀더(200)의 'U'자 형상의 고리(210)에 결합하기 위해, 커버(300)와 고리(21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 하우징 110 : 음(-) 터미널
120 : 오조립 방지 부재 200 : 홀더
210 : 고리 220 : 터미널 고정부
230 : 터미널 개구 240 : 고정 부재
250 : 오조립 방지 홈 300 : 커버
310 : 핀 400 : 양(+) 터미널

Claims (7)

  1. 차량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일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면인 개방부와 대칭되는 면에 양(+) 터미널을 수납 및 고정하는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
    를 포함하는 파워 아웃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개방부에는 커버가 결합하는 'U' 자 형상의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홀더의 고리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용 핀;
    을 포함하는 파워 아웃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개방부와 대칭되는 면에 양(+) 터미널을 수납 및 고정하는 터미널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는 양(+)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로 성형된 파워 아웃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 음(-) 터미널이 일체로 형성된 파워 아웃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 하우징의 음(-) 터미널이 돌출되는 터미널 개구;
    를 포함하는 파워 아웃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외주면은
    차량 전원 공급부의 내주면에 맞물려서,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파워 아웃렛.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홀더의 내주면에 암수 결합하여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홀더는 오조립 방지 부재와 맞물리는 오조립 방지 홈을 포함하는 파워 아웃렛.
KR1020200004479A 2020-01-13 2020-01-13 파워 아웃렛 KR10231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79A KR102310742B1 (ko) 2020-01-13 2020-01-13 파워 아웃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79A KR102310742B1 (ko) 2020-01-13 2020-01-13 파워 아웃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407A true KR20210091407A (ko) 2021-07-22
KR102310742B1 KR102310742B1 (ko) 2021-10-12

Family

ID=7715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79A KR102310742B1 (ko) 2020-01-13 2020-01-13 파워 아웃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7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947A (ja) * 2000-06-12 2001-12-2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ソケット
KR20100044976A (ko) * 2008-10-23 2010-05-03 서라벌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아웃렛의 보호덮개
KR101413720B1 (ko) 2013-05-21 2014-07-01 서라벌산업 주식회사 파워 아웃렛
KR20170056780A (ko) * 2015-11-13 2017-05-2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KR20190055895A (ko)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파워 아울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947A (ja) * 2000-06-12 2001-12-26 Niles Parts Co Ltd 車両用ソケット
KR20100044976A (ko) * 2008-10-23 2010-05-03 서라벌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아웃렛의 보호덮개
KR101413720B1 (ko) 2013-05-21 2014-07-01 서라벌산업 주식회사 파워 아웃렛
KR20170056780A (ko) * 2015-11-13 2017-05-2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유에스비 충전기
KR20190055895A (ko)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파워 아울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742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945A (en) Microphone connector assembly
JP5345640B2 (ja) バナナプラグ
WO2010110278A1 (ja) 防水コネクタ
US7513796B2 (en) Step up pin for coax cable connector
US4564255A (en) Strain relief device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WO2002097931A3 (en) Connector
KR101611899B1 (ko) 방수 가능한 전기 접속구
US3377610A (en) Plug for electrical cord
US5967851A (en) Cigarette lighter adapter having plunger retention mechanism
KR102310742B1 (ko) 파워 아웃렛
US8215985B2 (en) Step up pin for coax cable connector
US5626496A (en) Cigarette lighter adapter with flexible diameter
KR102334759B1 (ko) 파워 아웃렛
US7645163B2 (en) Step up pin for coax cable connector
JP4396610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3267240B2 (ja) 防水コネクタ
KR100322055B1 (ko)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US5176539A (en) Safety plug
WO2019142759A1 (ja) コネクタ
US6193558B1 (en) Cigarette lighter adapter with securing ring
CN216981011U (zh) 通讯连接器用插头组件
WO2024009814A1 (ja) コネクタ
KR200330061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회선연결부 구조
KR20000000700U (ko) 전기 자동차용 교류 전원 커넥터
JP3124302U (ja) プラグ側嵌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