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403A -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 Google Patents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403A
KR20210090403A KR1020200003616A KR20200003616A KR20210090403A KR 20210090403 A KR20210090403 A KR 20210090403A KR 1020200003616 A KR1020200003616 A KR 1020200003616A KR 20200003616 A KR20200003616 A KR 20200003616A KR 20210090403 A KR20210090403 A KR 20210090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tube
support plate
cap
striking sound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685B1 (ko
Inventor
백해수
Original Assignee
백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해수 filed Critical 백해수
Priority to KR102020000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6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9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with sound generators, e.g. with internal movable memb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1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63B59/56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characterised by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결합되는 캡 하우징의 중앙에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증폭관을 형성하여 타격시 발생되는 몸체부의 떨림으로 야기된 압축공기의 진동이 상부가 개방된 증폭관 내부에서 진동하며 증폭된 후 표출되어 보다 크고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타격음 강화 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중량을 조절하여 밸런스 조절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ALUMINUM BASEBALL BAT WITH IMPROVING CAP FOR TAPPING SOUND}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결합되는 캡 하우징의 중앙에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증폭관을 형성하여 타격시 발생되는 몸체부의 떨림으로 야기된 압축공기의 진동이 상부가 개방된 증폭관 내부에서 진동하며 증폭된 후 표출되어 보다 크고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타격음 강화 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중량을 조절하여 밸런스 조절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아마추어 선수 또는 사회인 야구인들이 시합 중 야구공의 타격을 위해 사용하는 배트로서, 각종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재의 내부에 압축된 공기가 들어 있는 상태로 제조되곤 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 쥐는 얇은 지름의 손잡이부와, 야구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두꺼운 지름의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몸체부에 이르도록 테이퍼지면서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어 몸체부 내부의 중공부를 폐쇄하는 캡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높은 반발력과 탄성력을 구현함으로써 타격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쉽게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는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9300호는 탄력보강용 보강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야구배트를 개시하면서, 연결부의 내측에 구비된 카본소재의 보강재가 구비된 형태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또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프로야구 선수들이 사용하는 나무 배트와는 달리 타격시 듣게 되는 경쾌한 타격음을 통해 타격의 즐거움을 느끼곤 하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93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와 몸체부 내부 공간에 보강재 등이 추가될 경우 내부 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몸체부 내부에서의 압축공기의 울림이나 진동이 억제되면서 외부로 표출되는 타격음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종래 알루미늄 야구배트의 경우, 히팅 포인트를 증대시키는데 기여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캡을 몸체부 말단에 결합하여 사용하곤 하였는데. 이러한 캡은 몸체부 내부를 밀폐시켜 압축공기의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완전 밀폐된 상태로 이루어짐이 일반적이었다. 그에 따라, 타격시 몸체부 내부의 압축공기를 진동시켜 발생되는 타격음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표출되지 못하고 단순히 몸체부의 진동으로 발생된 타격음만이 외부로 표출되게 되므로, 히팅 포인트 주변에 정확한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경쾌한 타격음이 아니라 캡에 의해 막힌 상태의 억눌린 타격음이 발생되어 타격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히팅 포인트의 증대와 몸체부의 밀폐를 위한 기능을 여전히 수행하면서도 보다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는 새로운 수단에 대한 필요성도 야구를 직접 체험하는 야구인들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930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1418호 미국 등록특허 US10,486,041 B2 미국 공개특허 US 2015/0196816 A1
본 발명은, 몸체부에 결합되는 캡 하우징의 중앙에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증폭관을 형성하여 타격시 발생되는 몸체부의 떨림으로 야기된 압축공기의 진동이 상부가 개방된 증폭관 내부에서 진동하며 증폭된 후 표출되어 보다 크고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타격음 강화 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중량을 조절하여 밸런스 조절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손으로 감싸 쥐는 손잡이부와, 야구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몸체부로 연장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어 야구공의 타격시 상기 몸체부의 떨림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진동음을 증폭시킨 후 외부로 표출시키는 타격음 강화 캡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타격음 강화 캡은,
상기 몸체부 말단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증폭관; 상기 증폭관과 캡 하우징 상호간을 상부와 중앙 및 하부에서 연결하면서 그 사이 공간을 막는 판형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증폭관의 외주면과 캡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플레이트를 지탱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폭관의 지름을 증감시켜 상기 몸체부의 떨림에 의해 야기된 진동이 발생되는 증폭관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표출되는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의 상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캡하우징과 증폭관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캡하우징과 증폭관의 하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제3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증폭관에서 증폭된 타격음의 표출을 위해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도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진동 영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지만,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는 몸체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증폭관 부분까지 폐쇄시킨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증폭관에서 증폭된 타격음의 표출을 위해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진동 영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도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온전히 전달받을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수직하게 이격 설치되어 상기 증폭관의 외주면과 캡 하우징의 내주면을 연결하고 있는 다수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관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다가 상기 캡 하우징에 가까워지면서 점차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타격시 발생되는 몸체부의 떨림으로 야기된 압축공기의 진동이 상부가 개방된 증폭관 내부에서 진동하며 증폭된 후 표출되어 보다 크고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음 강화 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중량을 조절하여 밸런스 조절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타격음 강화 캡이 결합된 알루미늄 야구배트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타격음 강화 캡에서 타격음이 증폭 표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타격음 강화 캡이 결합된 알루미늄 야구배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손으로 감싸 쥐는 손잡이부(100)와, 야구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몸체부(200)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몸체부로 연장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00)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어 몸체부 내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야구공의 타격시 상기 몸체부의 떨림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진동음을 증폭시켜 외부로 표출시키는 타격음 강화 캡(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격음 강화 캡(400)은, 내부에 압축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200)의 말단에 결합되어 몸체부 내부 공간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압축공기를 보존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말단을 밀폐시킴과 아울러,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결합되는 통상적인 캡과 마찬가지로 히팅포인트를 확장시켜 몸체부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 고반발의 타격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캡의 기능과 더불어, 상기 타격음 강화 캡(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 말단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캡 하우징(410)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증폭관(420)과, 상기 증폭관과 캡 하우징 상호간을 상부와 중앙 및 하부에서 연결하면서 그 사이 공간을 막는 판형의 지지플레이트(4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증폭관의 외주면과 캡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플레이트를 지탱하는 다수의 지지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캡 하우징(410)은, 몸체부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210)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 홈(450)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 홈(450)과 돌기(210)의 억지 끼움 결합에 의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캡 하우징(410)의 외형은, 상기 끼움 홈을 중심으로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이 분리된 듯한 모습을 띠게 되어 마치 마카롱과 같은 외형을 갖게 되는데, 이처럼 끼움 홈(450)과 돌기(210) 상호 간의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캡 하우징 외형과 몸체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하듯이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에 바람직하다. 즉, 타격시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캡 하우징과 몸체부 상호간의 결합부위에 진동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나사결합에 의할 경우 결합부위로 전달되는 흔들림에 의해 결합이 약화될 우려가 있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 홈과 돌기의 견고한 억지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 하우징(410)의 높이를 더 높게 하여 몸체부(200) 말단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히팅포인트를 더 길게 확장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증폭관(420)은, 상기 캡 하우징(41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함으로써 몸체부의 어느 방향에서 타격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진동으로 야기되는 압축공기의 떨림을 몸체부 중앙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증폭관(420)은, 몸체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면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30)에 의해 막혀 있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그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바, 상기 몸체부(200) 중앙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떨림을 캡 하우징(4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433)를 통해 전달받은 후 증폭관 내부의 빈 공간에 있는 공기를 진동시키며 증폭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7에서 증폭관(420) 내부를 가로지르는 꺽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의 떨림이 상기 증폭관(420) 내부 벽에 부딪치면서 증폭된 후 외부로 표출되어 알루미늄 야구배트 특유의 경쾌한 타격음을 표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통상적인 캡이 결합된 경우에는 몸체부뿐만 아니라 그 말단을 밀폐시키는 캡도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히팅포인트에서의 타격에 의해 몸체부 전체에서의 완벽한 떨림이 야기되지 않는 한 경쾌한 타격음이 나오기 어려웠으나, 상기 타격음 강화 캡은 정확한 히팅포인트에서의 타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증폭관에 의해 증폭된 타격음이 표출될 수 있어 보다 쉽게 크고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증폭관(420)의 지름을 증감시켜 상기 몸체부의 떨림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증폭관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외부로 표출되는 소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증폭관의 지름을 작게 할 경우 증폭관 내부에서의 진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높은 주파수를 갖는 고음의 타격음이 표출되고, 상기 증폭관의 지름을 크게 할 경우에는 낮은 주파수를 갖는 묵직한 저음의 타격음이 표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폭관(420)과 캡 하우징(410) 상호간을 연결하여 그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판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30)에 의해 캡 하우징과 동심원을 이루는 원통형으로 구현되면서 상기 캡 하우징으(4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그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상기 증폭관(420)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지지플레이트(431)와, 상기 캡하우징과 증폭관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2지지플레이트(432)와,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지지플레이트(433)로 구성되어, 상기 증폭관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타격시 가해지는 충격에 저항하면서 히팅포인트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431)는 상기 증폭관에서 증폭된 타격음의 표출을 위해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432)도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진동 영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지만,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433)는 몸체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증폭관 부분까지 폐쇄시킨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진동과 표출을 통해 경쾌한 타격음을 낼 수 있으면서도, 몸체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는 개방되어 있고 제3지지플레이트 만이 증폭관을 폐쇄하도록 밀폐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은 물론,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플레이트가 모두 관통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에 이르도록 개방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431)는 상기 증폭관에서 증폭된 타격음의 표출을 위해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432)가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진동 영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433)도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온전히 전달받을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지지플레이트가 모두 개방될 경우, 몸체부에 가해지는 타격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몸체부부에서 시작된 후 증폭관을 통해 표출될 수 있어 보다 크고 경쾌한 타격음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4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430)의 저면에 수직하게 이격 설치되어 상기 증폭관(420)의 외주면과 캡 하우징(410)의 내주면을 연결하고 있는 다수의 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44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30) 저면에 고르게 수직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증폭관(420)과 캡 하우징(410) 상호간을 연결함으로써, 타격시 몸체부를 통해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손상되거나 증폭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440)는, 상기 증폭관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다가, 상기 캡 하우징에 가까워지면서 점차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격시 몸체부로부터 많은 충격을 전달받는 캡 하우징에 가까운 부분의 지지대가 캡 하우징에 보다 많이 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격음 강화 캡 전체의 중량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는, 말단 전체가 밀폐되어 있던 종래의 캡과는 달리 공기의 진동이 증폭될 수 있는 증폭관의 내부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몸체부 내부의 떨림에만 의존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것에 비하여, 히팅 포인트에서 살짝 빗맞을 경우에도 몸체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몸체부 내부에서 생성된 진동을 전달받은 타격음 강화 캡에 구비된 증폭관에서 진동이 증폭된 후 표출되어 보다 크고 경쾌한 타격음의 표출이 가능하게 되므로 타격을 하는 즐거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격음 강화 캡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의 종류와 중량을 조절하면서, 밸런스의 위치를 탑밸런스에서 미들밸런스까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서양인의 체형에 맞는 배트부터 동양인의 체형에 맞는 배트, 또한 성인에 맞는 배트부터 어린 학생들에게 맞는 배트를 모두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손잡이부 200 : 몸체부
210 : 돌기 300 : 연결부
400 : 타격음 강화 캡 410 : 캡 하우징
420 : 증폭관 430 : 지지플레이트
431 : 제1지지플레이트 432 : 제2지지플레이트
433 : 제3지지플레이트 440 : 지지대
450 : 끼움 홈
500 : 야구공

Claims (7)

  1. 손으로 감싸 쥐는 손잡이부와, 야구공의 타격이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몸체부로 연장되어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야구배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어 야구공의 타격시 상기 몸체부의 떨림에 의해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진동음을 증폭시킨 후 외부로 표출시키는 타격음 강화 캡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음 강화 캡은,
    상기 몸체부 말단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증폭관;
    상기 증폭관과 캡 하우징 상호간을 상부와 중앙 및 하부에서 연결하면서 그 사이 공간을 막는 판형의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증폭관의 외주면과 캡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하여 지지플레이트를 지탱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관의 지름을 증감시켜 상기 몸체부의 떨림에 의해 야기된 진동이 발생되는 증폭관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표출되는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의 상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제1지지플레이트;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제2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캡 하우징과 증폭관의 하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제3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증폭관에서 증폭된 타격음의 표출을 위해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도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진동 영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지만,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는 몸체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증폭관 부분까지 폐쇄시킨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증폭관에서 증폭된 타격음의 표출을 위해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증폭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진동 영역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지지플레이트도 상기 몸체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온전히 전달받을 수 있도록 증폭관 부분을 개방시킨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저면에 수직하게 이격 설치되어 상기 증폭관의 외주면과 캡 하우징의 내주면을 연결하고 있는 다수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증폭관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낮은 높이를 갖는 수평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다가 상기 캡 하우징에 가까워지면서 점차 높아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KR1020200003616A 2020-01-10 2020-01-10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KR10230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16A KR102308685B1 (ko) 2020-01-10 2020-01-10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16A KR102308685B1 (ko) 2020-01-10 2020-01-10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03A true KR20210090403A (ko) 2021-07-20
KR102308685B1 KR102308685B1 (ko) 2021-10-01

Family

ID=7712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616A KR102308685B1 (ko) 2020-01-10 2020-01-10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6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418A (ko) 2010-12-23 2012-07-03 백해수 내부 보강된 야구배트 제조방법
KR20120006007U (ko) * 2011-02-18 2012-08-28 양노민 골프연습용 배트 소리장치
KR20130019300A (ko) 2011-08-16 2013-02-26 강수연 탄력증강용 보강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야구배트
US20150196816A1 (en) 2014-01-16 2015-07-16 Easton Sports, Inc. Ball bat with a fused end cap
KR101744178B1 (ko) * 2016-11-03 2017-06-08 최백칠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
US10486041B2 (en) 2015-10-07 2019-11-26 Easton Diamond Sports, Llc Ball bat with adjustable-weight end ca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1418A (ko) 2010-12-23 2012-07-03 백해수 내부 보강된 야구배트 제조방법
KR20120006007U (ko) * 2011-02-18 2012-08-28 양노민 골프연습용 배트 소리장치
KR20130019300A (ko) 2011-08-16 2013-02-26 강수연 탄력증강용 보강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야구배트
US20150196816A1 (en) 2014-01-16 2015-07-16 Easton Sports, Inc. Ball bat with a fused end cap
US10486041B2 (en) 2015-10-07 2019-11-26 Easton Diamond Sports, Llc Ball bat with adjustable-weight end cap
KR101744178B1 (ko) * 2016-11-03 2017-06-08 최백칠 히팅 포인트 교정용 야구 배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685B1 (ko)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4871B2 (en) Tubular baseball bats with full length core shafts
US5409214A (en) Baseball bat
US5064197A (en) Method and means to adjust sound characteristics of club head upon impact with golf ball
US3387844A (en) Golf club with percussion chamber plenum
JP4118150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176795B1 (en) Aluminum bat with improved core insert
EP2275178A3 (en) Extreme weighted hybrid and other wood-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050279599A1 (en) Harmonic damper for handheld instruments
JP201003591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5179255A (en) Baseball bat having the functions of resonators and microphones
JP200319984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953405B2 (en) Vibration damping field hockey stick
US6555736B1 (en) Rhythm shaker
KR102308685B1 (ko) 타격음 강화 캡이 구비된 알루미늄 야구배트
US20030236132A1 (en) Golf club head with porous sole plate
JP4011013B2 (ja) 複合式野球バット
US6255572B1 (en) Rattling percussion instrument
JP2009106650A (ja) ゴルフクラブ
US20180361215A1 (en) Shock and vibration absorbing system for baseball and softball bats
JPH1116949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H11169495A (ja) ゴルフパタークラブ
CN111013108A (zh) 一种用于击打碟球的球杆
JPH11206926A (ja) ゴルフのクラブヘッド
JPH11347161A (ja) アイアン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8055062A (ja) 球技用バ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