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046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046A
KR20210089046A KR1020200002275A KR20200002275A KR20210089046A KR 20210089046 A KR20210089046 A KR 20210089046A KR 1020200002275 A KR1020200002275 A KR 1020200002275A KR 20200002275 A KR20200002275 A KR 20200002275A KR 20210089046 A KR20210089046 A KR 20210089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rotation
lighting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709B1 (ko
Inventor
서종걸
윤두남
Original Assignee
(주)아이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클 filed Critical (주)아이클
Priority to KR102020000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부, 한 쌍의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 조명부, 및 한 쌍의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조명부와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1 조명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APPARATUS FOR LIGHTENING}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실 등에서는 단순히 조명 범위가 고정된 형태의 조명 장치를 책상 등에 설치해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명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조명 위치 또는 범위를 변경할 수 없어 불편함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여러 조명 위치 또는 범위를 변경 가능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국소부에 대한 조명 위치 변경이 가능할 뿐이거나, 조명 위치 변경 후에 고정이 잘 되지 않는 등의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5320호 (2004.03.18. 공고)
본 발명은 조명 범위를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부, 한 쌍의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 조명부, 및 한 쌍의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조명부와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1 조명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조명 장치는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 각각과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는 본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단부에는 회전 지지부를 내부로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에는,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회전 각도를 기설정된 범위내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한 유닛은,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제1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 제한 유닛, 및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제2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2 회전 제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한 유닛은, 회전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및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내주면에 스토퍼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 각각은, 일면에 빛의 조사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 중공형 기둥 형상을 갖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관통홀에 배치되어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회전 중심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부, 측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 및 측벽부의 타단부로부터 상부 커버부의 단부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하부 커버부를 포함하고, 제1 조명부의 측벽부와 제2 조명부의 측벽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는,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범위를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1 조명부와 제2 조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부(110),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한 쌍의 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1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 조명부(130)는 제1 조명부(120)와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1 조명부(120)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제1 조명부(120) 및/또는 제2 조명부(130)를 회전시켜 회전 조명 범위를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는 한 쌍의 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지지부(1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 각각과 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지지부(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부(110) 각각에 형성되고, 한 쌍의 본체부(1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112)는 한 쌍의 본체부(1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1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지지부(112)가 본체부(110) 각각에 형성되되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 각각은 한 쌍의 회전 지지부(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1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단부에는 회전 지지부(112)를 내부로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지지부(112)가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에 형성되는 수용홀(122, 132) 내로 삽입됨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는 회전 지지부(112)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지지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수용홀(122, 132)은 회전 지지부(112)와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는 수용홀(122, 132) 내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지지부(112)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로 전선(미도시)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통과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지지부(112)가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형성된 수용홀(122, 132)에 수용되고, 수용된 회전 지지부(112)에 관통홀이 형성됨에 따라 본체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선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 지지부(1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와 제2 조명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114)가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회전 지지부(112)로부터 이탈되려는 경우,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단부가 회전 지지부(112)의 이탈 방지부(114)에 걸림으로써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이탈 방지부(1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112)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전 지지부(112)의 외주면 내 타 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탈 방지부(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이탈 방지부(114)가 회전 지지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회전 지지부(1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 각도를 기설정된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는 조명 장치(100)의 사용 용도 등이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회전 제한 유닛에 의해 회전 각도가 기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40도 내로 제한됨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회전되어 조명 범위가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무분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 제한 유닛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제1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 제한 유닛(140), 및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제2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2 회전 제한 유닛(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 제한 유닛(140)과 제2 회전 제한 유닛(150)에 의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제1 방향 회전 및 이와 반대되는 제2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가 제한되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대향하여 빛을 비추는 등의 불필요한 조명 범위 변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한 유닛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1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142), 및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내주면에 스토퍼(14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 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회전됨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44)가 회전 지지부(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142)에 걸리게 되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조명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부(110)의 상부면(116)이 평면이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평면 천장 구조에 면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본체부(110)의 상부면(116)을 독서실, 책상, 선반 등의 천장에 면접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명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116)을 천장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를 수용할 수 있는 나사 수용홀(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100)는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나사 수용홀(117)을 통하여 피스 등으로 천장에 나사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제품을 충전 가능하도록, 충전용 USB 포트(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콘센트 등이 없더라도 조명 장치(100)의 본체부(110)에 설치된 충전용 USB 포트(118)를 통해 휴대폰 등의 전기 제품들이 간편하게 충전될 수 있다.
제1 조명부(1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고, 제2 조명부(130)는 한쌍의 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조명부(120)와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1 조명부(12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다.
즉,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 가능한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 각각이 한 쌍의 본체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각각의 양단부가 한 쌍의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2 조명부(130)는 제1 조명부(120)와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제1 조명부(120)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조명부(120)와 제2 조명부(130)가 상호 간섭없이 회전되어 조명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 각각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빛의 조사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 중공형 기둥 형상을 갖는 케이스(124, 134), 케이스(124, 134)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128), 및 관통홀에 배치되어 발광부(128)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광부(129, 139)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케이스(124, 134)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발광부(128)에서 발생되는 빛은 케이스(124, 134)의 관통홀에 배치되는 투광부(129, 139)를 통하여 외부로 조사됨으로써,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124, 1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 중심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부(125, 135), 측벽부(125, 135)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126, 136), 및 측벽부(125, 135)의 타단부로부터 상부 커버부(126, 136)의 단부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하부 커버부(127, 137)를 포함하고, 제1 조명부(120)의 측벽부(125, 135)와 제2 조명부(130)의 측벽부(125, 135)는 서로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벽부(125, 13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벽부(125, 135)는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 중심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조명부(120)의 측벽부(125, 135)와 제2 조명부(130)의 측벽부(125, 135)는 서로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며 측벽부(125, 135)는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곡면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제1 조명부(120)와 제2 조명부(130)가 회전하는 경우 상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벽부(125, 13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호형 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는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126, 136) 및 하부 커버부(127, 13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커버부(126, 136) 및 하부 커버부(127, 137)가 서로 접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고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 시 이들 상부 커버부(126, 136)와 하부 커버부(127, 137)를 그립할 수 있으므로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25, 135)는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원호형 기둥 구조를 이루되, 상부 커버부(126, 136)와 만나는 일부가 다른 일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부 커버부(126, 136)는 발광부(128, 138)에서 발생되는 열이 케이스(124, 134)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방열홀(121, 1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24, 134) 내부에 배치되는 발광부(128, 138)의 상부로 발광부(128, 138)가 빛을 발생시키면서 발생되는 열에 대응하기 위한 공간이 생성되고, 해당 공간에 집적한 열이 상부 커버부(126, 136)에 위치한 복수의 방열홀(121, 131)을 통하여 케이스(124, 134)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커버부(126, 13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홀(121, 131)에서 케이스(124, 134) 내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차광판(123,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열홀(121, 131)에서 열이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빛이 새어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부(126, 136)는 측벽부(125, 135)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부 커버부(127, 137)는 측벽부(125, 135)로부터 수평하게 형성되어 단부에서 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커버부(126, 136)와 하부 커버부(127, 137)는 단부측에서 서로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부 커버부(126, 136)의 경사진 면과 조명 장치(100)가 설치되는 천장 사이에 좀 더 용이하게 손가락을 집어넣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를 파지함으로써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발광부(128)는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로 제시된 것일 뿐이며, 해당 부재로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다이오드(LED)는 소비전력 전력이 낮고 효율이 높으므로, 조명 장치(100)의 사용에 따른 전기 에너지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발광부(12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129, 139) 측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내부에서 투광부(129, 139) 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128)는 투광부(129, 139)와 동일/유사한 경사도를 갖도록 케이스(124, 134)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빛을 투광부(129, 139)를 향해 수직하게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부(128)는 빛을 직접적으로 투광부(129, 139)에 조사하므로,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에서의 광량이 증가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회전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120)와 제2 조명부(130)는 회전 지지부(112)에 지지되어 회전 지지부(11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지지부(112)에 마련된 제1 회전 제한 유닛(140)과 제2 회전 제한 유닛(150)에 의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 각각에 대한 회전 각도가 기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각 방향으로 20도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각각 회전됨에 따라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144)가 회전 지지부(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142)에 걸리게 되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의 회전이 차단되어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도 6(a)는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회전하여 각각 반시계 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된 것이고, 도 6(b)는 제1 조명부(120) 및 제2 조명부(130)가 회전하여 각각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된 것이며, 도 6(c)는 제1 조명부(1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d)는 제1 조명부(120)가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모습이 도시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조명 장치
110: 본체부
112: 회전 지지부
113: 통과홀
114: 이탈 방지부
116: 상부면
117: 나사 수용홀
118: 충전용 USB 포트
120: 제1 조명부
121: 방열홀
122: 수용홀
123: 차광판
124: 케이스
125: 측벽부
126: 상부 커버부
127: 하부 커버부
128: 발광부
129: 투광부
130: 제2 조명부
131: 방열홀
132: 수용홀
133: 차광판
134: 케이스
135: 측벽부
136: 상부 커버부
137: 하부 커버부
138: 발광부
139: 투광부
140: 제1 회전 제한 유닛
142: 스토퍼
144: 걸림 돌기
150: 제2 회전 제한 유닛
152: 스토퍼
154: 걸림 돌기

Claims (10)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본체부;
    상기 한 쌍의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1 조명부; 및
    상기 한 쌍의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조명부와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조명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빛을 일 방향으로 조사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 각각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 지지부를 내부로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에는,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2 조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조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회전 각도를 기설정된 범위 내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유닛은,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제1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 제한 유닛; 및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제2 방향 회전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제2 회전 제한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한 유닛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 및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내주면에 상기 스토퍼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 각각은,
    일면에 빛의 조사를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 중공형 기둥 형상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회전 중심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 및
    상기 측벽부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상부 커버부의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하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의 상기 측벽부와 상기 제2 조명부의 상기 측벽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회전에 따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곡면 구조를 가지는, 조명 장치.
KR1020200002275A 2020-01-07 2020-01-07 조명 장치 KR10236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75A KR102369709B1 (ko) 2020-01-07 2020-01-07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275A KR102369709B1 (ko) 2020-01-07 2020-01-07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046A true KR20210089046A (ko) 2021-07-15
KR102369709B1 KR102369709B1 (ko) 2022-03-03

Family

ID=7689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275A KR102369709B1 (ko) 2020-01-07 2020-01-07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7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20Y1 (ko) 2003-12-05 2004-03-18 전안실 독서실용 스탠드
KR20100001452U (ko) * 2008-07-31 2010-02-10 이효원 조명등의 각도조절장치
KR20120098137A (ko) * 2011-02-28 2012-09-05 권병일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51986B1 (ko) * 2011-10-07 2013-04-08 (주) 코콤 수평 바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60011264A (ko) * 2014-07-21 2016-02-01 (주)성남조명 장착 각도 조절 가능한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012282B1 (ko) * 2018-11-12 2019-08-21 백분영 각도조절 가능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20Y1 (ko) 2003-12-05 2004-03-18 전안실 독서실용 스탠드
KR20100001452U (ko) * 2008-07-31 2010-02-10 이효원 조명등의 각도조절장치
KR20120098137A (ko) * 2011-02-28 2012-09-05 권병일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251986B1 (ko) * 2011-10-07 2013-04-08 (주) 코콤 수평 바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20160011264A (ko) * 2014-07-21 2016-02-01 (주)성남조명 장착 각도 조절 가능한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012282B1 (ko) * 2018-11-12 2019-08-21 백분영 각도조절 가능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709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0255B2 (ja) 照明器具
US20220373166A1 (en) Angle-adjusted lamp
US20080101067A1 (en) LED lighting device
JP2006310207A (ja) Led照明電球
JP2016091744A (ja) 照明装置
KR102369709B1 (ko) 조명 장치
KR102523189B1 (ko) 조명장치
JP2016091743A (ja) 照明装置
KR101676623B1 (ko) 장착 각도 조절 가능한 엘이디 조명 장치
JP6620642B2 (ja) 照明器具
JP6689811B2 (ja) 照明器具
US10113727B2 (en) Lamp with individually rotatable light emitting modules
KR20110105263A (ko) 형광등형 조명 장치 및 형광등형 조명 장치의 거치대
JP2015210932A (ja) 照明装置
JP2016004663A (ja) 照明器具
EP1669667B1 (en) Led lighting device
TWI521166B (zh) 發光二極體燈具
JP2014135298A (ja) Led照明装置
KR102427875B1 (ko) 폴더형 휴대용램프
CN115789543A (zh) 一种透镜模块及具有该透镜模块的照明灯具
JP5843187B2 (ja) 縁部に接触部材を持つランプ及びランプ保持器
JP2012004036A (ja) Led電球および照明器具
JP2012133923A (ja) Led電球
JP2016066412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7054656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