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875B1 - 폴더형 휴대용램프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용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75B1
KR102427875B1 KR1020220015508A KR20220015508A KR102427875B1 KR 102427875 B1 KR102427875 B1 KR 102427875B1 KR 1020220015508 A KR1020220015508 A KR 1020220015508A KR 20220015508 A KR20220015508 A KR 20220015508A KR 102427875 B1 KR102427875 B1 KR 102427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member
sub
main
mai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우
정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스트트라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스트트라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스트트라얼
Priority to KR102022001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21V14/02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발광부재; 일단이 메인발광부재와 결합되는 힌지부재; 힌지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메인발광부재의 정면에 접하거나 일정각도만큼 펼쳐지는 서브발광부재; 및 메인발광부재에서 인출되어 메인발광부재에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용램프{FOLDER TYPE PORTABLE LAMP}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휴대용램프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가 널리 사용되며, LED는 백열 전구와 같은 종래의 조명 램프에 비하여 발열량이 적어 효율이 좋고 수명이 긴 장점을 가지고 있다.
휴대용 LED램프는 빛을 발광하는 LED, LED가 장착되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LED를 제어하는 기판 및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휴대용 LED램프는 전원부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기판 상의 LED가 빛을 발생시키게 되고, LED에서 발생된 빛이 발산된다.
그런데, 발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경우 LED의 특성상 발생되는 빛이 방향성을 갖게 되어 비교적 좁은 범위의 영역에만 광을 조사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자유롭게 사용하기 어려우며, 보다 넓은 범위를 비출 수 있는 휴대용 LED램프의 경우에는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형태의 LED휴대용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램프에 있어서, 상면에 스탠드거치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후크거치홈이 형성되는 메인발광부재; 일단이 메인발광부재와 결합되는 힌지부재; 힌지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메인발광부재의 정면에 접하거나 일정각도만큼 펼쳐지는 서브발광부재; 및 스탠드거치홈에서 인출되어 메인발광부재에 결합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스탠드는 스탠드거치홈에 삽입되는 원통부재; 및 스탠드거치홈에 삽입되고, 원통부재의 둘레를 따라 원통부재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방사형태로 펼쳐지는 복수 개의 다리부재를 포함하고, 원통부재는 몸체부;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의 상단에 절곡되어 형성되고, 후크거치홈에 삽입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결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메인발광부재의 후면에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체결공에 삽입되고, 메인발광부재의 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단고정돌기와 하단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단고정돌기와 하단고정돌기 간에 힌지부재가 배치되고, 메인발광부재의 측면에 힌지부재거치홈이 형성되어 상단고정돌기와 하단고정돌기 간에 배치되고, 힌지부재의 일단에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힌지부재거치홈에 삽입되고, 폴더형 휴대용램프는 메인발광부재의 측면과 힌지부재거치홈에 설치되는 제1자성체; 및 힌지부재의 둘레를 따라 힌지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제1자성체에 부착 또는 탈착되는 제2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제1자성체의 둘레를 따라 제1자성체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1치형이 형성되고, 제2자성체의 둘레를 따라 제2자성체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2치형이 형성되어 제1치형에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인발광부재는 메인케이스; 메인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는 메인투과판; 및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투과판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메인LED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서브발광부재는 서브케이스; 서브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는 서브투과판; 및 서브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서브투과판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서브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부재의 타측면과 서브발광부재 간에 설치되는 발광부재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램프는 폴더형태로 구성되어 보관, 휴대 및 수납이 용이하며, 발광부재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자유롭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를 분리하여 별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서 조사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상에 발광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발광부재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램프의 사시도로서, 순차적으로 서브발광부재가 접힌 상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램프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치고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인발광부재와 서브발광부재 간 결합관계의 제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순차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서브발광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메인발광부재와 서브발광부재 간 결합관계의 제2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A-A'섹션도로서, 순차적으로 메인발광부재와 서브발광부재 간 결합각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스탠드가 메인발광부재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탠드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스탠드가 메인발광부재 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순차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스탠드가 메인발광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상부"의 상(上)은 도 5에 도시된 하단고정돌기(115)를 기준하여 상단고정돌기(114) 측으로 향한 방향이며, "하부"의 하(下)는 상단고정돌기(114)를 기준하여 하단고정돌기(115)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램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램프의 사시도로서, 순차적으로 서브발광부재가 접힌 상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용램프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치고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폴더형 휴대용램프(100, 이하, '램프'라 함)는 메인발광부재(110), 일단이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와 결합되는 힌지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100)는 상기 힌지부재(120)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정면에 접하거나 일정각도만큼 펼쳐지는 서브발광부재(130),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서 인출되어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결합되는 스탠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100)는 폴더형태로 구성되어 보관, 휴대 및 수납이 용이하며, 상기 발광부재의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자유롭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상에 상기 메인발광부재(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램프(100)는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후면에 힌지결합되는 거치고리(150),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후면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고리(150), 받침부재(160)는 일정 두께를 띤 고리부재, 판상부재로서, 철재, 목재, 합성수지재와 같이 일정강성을 띤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고리(150)가 기울어져서 지면 상에 상기 메인발광부재(110)를 지지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60)에 의해 상기 메인발광부재(1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어서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후면에 스크래치와 같은 훼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발광부재(130)와 힌지부재(120)는 각각 단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서브발광부재(130)와 힌지부재(120)는 동일한 구조로서, 이하, 설명의 용이를 위해 단일의 상기 서브발광부재(130)와 힌지부재(120)를 기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발광부재(110)는 메인케이스(111), 상기 메인케이스(111)의 정면에 설치되는 메인투과판(112), 상기 메인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투과판(112)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메인LED(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발광부재(130)는 서브케이스(131), 상기 서브케이스(131)의 정면에 설치되는 서브투과판(132), 상기 서브케이스(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투과판(132)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서브LED(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케이스(111)와 서브케이스(1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거치고리(150)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인투과판(112)과 서브투과판(132)은 판상부재로서 상기 메인케이스(111)와 서브케이스(131)의 전면에 설치되며, 아크릴과 같이 광을 투과할 수 있는 공지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메인LED(113)와 서브LED(133)는 상기 메인케이스(111)와 서브케이스(131)의 내부에 균일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램프(100)는 상기 메인LED(113)와 서브LED(133)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메인케이스(111)와 서브케이스(131)에 각각 설치되거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매개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00)는 상기 서브발광부재(130)가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접하여 덮으면 자동으로 오프(off)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펼쳐지면 자동으로 온(on) 되어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00)는 충전 표시등, 충전 단자, 제어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표시등, 충전 단자, 제어 버튼은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설치되거나,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와 서브발광부재(1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인발광부재와 서브발광부재간 결합관계의 제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순차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서브발광부재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단고정돌기(114)와 하단고정돌기(115)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돌기(114)와 하단고정돌기(115) 간에 상기 힌지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120)는 상기 거치고리(150)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힌지부재(120)의 일단에 라운딩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서브발광부재(130)의 회전에 대한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와 서브발광부재(130) 간 결합관계의 제1예로, 상기 램프(100)는 상기 힌지부재(120)의 상면과 상기 상단고정돌기(114) 간에 설치되는 상단회전축(122), 상기 힌지부재(120)의 하면과 상기 하단고정돌기(115)에 설치되는 하단회전축(1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단회전축(122)과 하단회전축(123)을 매개로 상기 힌지부재(120)가 회전하여 상기 서브발광부재(130)가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00)는 상기 힌지부재(120)의 타측면과 서브발광부재(130) 간에 설치되는 발광부재회전축(12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회전축(124)을 매개로 상기 서브발광부재(130)가 회전하여 상기 서브발광부재(130)의 조사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메인발광부재와 서브발광부재 간 결합관계의 제2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도시된 'A-A'섹션도로서, 순차적으로 메인발광부재와 서브발광부재 간 결합각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100)는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와 서브발광부재(130) 간 결합관계의 제2예로,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측면에 힌지부재거치홈(116)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고정돌기(114)와 하단고정돌기(115) 간에 배치되고, 상기 라운딩부(121)가 상기 힌지부재거치홈(116)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100)는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측면과 힌지부재거치홈(116)에 설치되는 제1자성체(117), 상기 힌지부재(120)의 둘레를 따라 상기 힌지부재(12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성체(117)에 부착 또는 탈착되는 제2자성체(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성체(117)가 상기 제2자성체(125)에 부착되어 상기 힌지부재(120)가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조사방향으로 결합각(θ)이 조절될 수 있다.(θ1<θ2<θ3)
또한, 상기 서브발광부재(130)를 분리하여 별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서 조사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100)는 상기 제1자성체(117)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자성체(117)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1치형(117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성체(125)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자성체(125)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2치형(125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치형(117a)에 맞물릴 수 있다.
즉, 상기 제1치형(117a)과 제2치형(125a)이 맞물려 상호 고정됨으로써 상기 힌지부재(120)가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스탠드가 메인발광부재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스탠드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140)는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형성되는 스탠드거치홈(118)에 삽입되는 원통부재(141), 상기 스탠드거치홈(118)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부재(141)의 둘레를 따라 상기 원통부재(141)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방사형태로 펼쳐지는 복수 개의 다리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40)는 상기 거치고리(150)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탠드거치홈(118)의 직경은 상기 스탠드(14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탠드(140)를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서 인출하여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다리부재(142)를 펼쳐서 지면 상에 상기 메인발광부재(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스탠드가 메인발광부재 간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순차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스탠드가 메인발광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와 스탠드(140) 간 결합을 위해, 상기 원통부재(141)는 몸체부(141a), 상기 몸체부(14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141a)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부(141b), 상기 연결부(141b)의 상단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후크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후면에 후크거치홈(119)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141c)가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41a)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연결부(141b)에 관통공(143)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의 후면에 상기 관통공(143)과 연통되는 체결공(11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100)는 상기 관통공(143)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공(119a)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170)는 볼트, 나사, 핀과 같은 공지의 고정부재(17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부(141c)가 상기 후크거치홈(119)에 삽입되어 상기 스탠드(140)가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1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70)가 상기 관통공(143)과 체결공(119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메인발광부재(110)에 나사결합되어 2차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발광부재(110)가 상기 스탠드(14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램프는 폴더형태로 구성되어 보관, 휴대 및 수납이 용이하며, 발광부재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자유롭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재를 분리하여 별도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서 조사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상에 발광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발광부재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폴더형 휴대용램프 110 : 메인발광부재
120 : 힌지부재 130 : 서브발광부재
140 : 스탠드 150 : 거치고리
160 : 받침부재 170 : 고정부재

Claims (8)

  1. 폴더형 휴대용램프에 있어서,
    상면에 스탠드거치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후크거치홈이 형성되는 메인발광부재;
    일단이 상기 메인발광부재와 결합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의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메인발광부재의 정면에 접하거나 일정각도만큼 펼쳐지는 서브발광부재; 및
    상기 스탠드거치홈에서 인출되어 상기 메인발광부재에 결합되는 스탠드;
    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스탠드거치홈에 삽입되는 원통부재; 및
    상기 스탠드거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원통부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원통부재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방사형태로 펼쳐지는 복수 개의 다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크거치홈에 삽입되는 후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상기 연결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발광부재의 후면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고정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메인발광부재의 측면에 상호 이격되어 상단고정돌기와 하단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돌기와 하단고정돌기 간에 상기 힌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발광부재의 측면에 힌지부재거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단고정돌기와 하단고정돌기 간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일단에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재거치홈에 삽입되고,
    상기 폴더형 휴대용램프는,
    상기 메인발광부재의 측면과 힌지부재거치홈에 설치되는 제1자성체; 및
    상기 힌지부재의 둘레를 따라 상기 힌지부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자성체에 부착 또는 탈착되는 제2자성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성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자성체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1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제2자성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자성체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제2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제1치형에 맞물리는 폴더형 휴대용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발광부재는,
    메인케이스;
    상기 메인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는 메인투과판; 및
    상기 메인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투과판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메인LED;
    를 포함하는 폴더형 휴대용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발광부재는,
    서브케이스;
    상기 서브케이스의 정면에 설치되는 서브투과판; 및
    상기 서브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투과판을 통해 광을 조사하는 서브LED;
    를 포함하는 폴더형 휴대용램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타측면과 서브발광부재 간에 설치되는 발광부재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폴더형 휴대용램프.
  8. 삭제
KR1020220015508A 2022-02-07 2022-02-07 폴더형 휴대용램프 KR102427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08A KR102427875B1 (ko) 2022-02-07 2022-02-07 폴더형 휴대용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08A KR102427875B1 (ko) 2022-02-07 2022-02-07 폴더형 휴대용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875B1 true KR102427875B1 (ko) 2022-08-02

Family

ID=8284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508A KR102427875B1 (ko) 2022-02-07 2022-02-07 폴더형 휴대용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8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123B1 (ko) * 2014-11-27 2015-06-11 박귀종 휴대용 머리거울
KR20160001301U (ko) * 2014-10-13 2016-04-21 정병우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180101853A (ko) * 2017-03-06 2018-09-14 (주)더원엘이디 캠핑용 엘이디 랜턴
KR20200081860A (ko) * 2018-12-28 2020-07-08 김지민 폴더형 휴대용 램프
KR20200117419A (ko) * 2019-04-04 2020-10-14 김석호 발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포켓형 led 렌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301U (ko) * 2014-10-13 2016-04-21 정병우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101528123B1 (ko) * 2014-11-27 2015-06-11 박귀종 휴대용 머리거울
KR20180101853A (ko) * 2017-03-06 2018-09-14 (주)더원엘이디 캠핑용 엘이디 랜턴
KR20200081860A (ko) * 2018-12-28 2020-07-08 김지민 폴더형 휴대용 램프
KR20200117419A (ko) * 2019-04-04 2020-10-14 김석호 발광각도 조절이 가능한 포켓형 led 렌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983458U (zh) 照明装置
US7309137B2 (en) Telescoping reading light
US9109791B2 (en) Digital table lamp and base thereof
US20050007778A1 (en) Lamp structure for an electrical device
US8517560B2 (en) Portable multi-purpose illumination device
US20120140455A1 (en) Illuminating apparatus
US6296369B1 (en) Lamp
KR102427875B1 (ko) 폴더형 휴대용램프
US20170248291A1 (en) Rotatable illuminator
EP1196718B1 (en) A lantern construction
KR20200081860A (ko) 폴더형 휴대용 램프
JP3118932U (ja) 照明装置
KR101451561B1 (ko) 사용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고휘도 엘이디 작업등기구
KR102387085B1 (ko) 조명등 고정 브라켓
US6715905B2 (en) Lighting apparatus
KR20120119476A (ko) 조명기구
US6758576B2 (en) Portable stack lamp
KR102172476B1 (ko) 엘이디 등기구
JP5706770B2 (ja) 照明器具
KR20110105263A (ko) 형광등형 조명 장치 및 형광등형 조명 장치의 거치대
KR20150090537A (ko) 엘이디 조명 장치
WO2023013159A1 (ja) 可搬型電気機器
CN219227271U (zh) 一种应急电源
CN220981167U (zh) 一种手电、吊灯及台灯
CN219550370U (zh) 一种灯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