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01U -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01U
KR20160001301U KR2020140007387U KR20140007387U KR20160001301U KR 20160001301 U KR20160001301 U KR 20160001301U KR 2020140007387 U KR2020140007387 U KR 2020140007387U KR 20140007387 U KR20140007387 U KR 20140007387U KR 20160001301 U KR20160001301 U KR 201600013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power
power connec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우
Original Assignee
정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우 filed Critical 정병우
Priority to KR2020140007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01U/ko
Publication of KR20160001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0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가 탈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의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핀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로 공급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원전송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충전장치{Charging equipment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거치함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한 후, 분리된 배터리를 충전한다. 그러나, 예비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르게는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포트에 충전잭(jack)을 직접 연결하여 휴대기기의 전원을 켜둔 상태로 휴대단말기에 결합 혹은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연결포트가 다르기 때문에 충전잭과 휴대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젠더를 휴대해야 하는데, 상기 연결젠더는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에만 사용하게 되므로 연결젠더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연결젠더 또는 충전잭을 결합할 때, 휴대단말기의 연결포트의 위치를 매번 확인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연결포트나 연결젠더 등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동안에는 휴대단말기가 거치대에 거치되지 못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거치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휴대단말기가 탈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의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핀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로 공급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원전송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서 탈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주면을 고정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 면에 상기 제1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연결부 및 상기 전원전송단자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부를 관통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절버튼을 가압하는 버튼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버튼가압부가 삽입되는 슬롯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납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납부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와 인접하며, 상기 휴대단말기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장착되어 상기 전원연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착젠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수납부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전원연결부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와 수직한 상기 수납부의 타 면에 형성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원연결부, 상기 전원전송단자 및 상기 장착젠더는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 거치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장착되는 거치부재장착젠더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인접하며,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거치부재에 거치된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케이스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펜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압펜이 관통되어 설치되는 펜설치공을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거치되는 케이스 거치부재에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를 형성하고, 케이스에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전송단자를 형성하여 휴대단말기가 케이스 거치부재에 거치될 뿐 아니라, 휴대단말기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전원연결부와 전원공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기종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케이스의 장착홈을 케이스의 상, 하 측면 및 좌, 우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함에 따라, 케이스를 다양한 위치로 케이스 거치부재 상에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케이스에 가압펜이 설치된 실시예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고안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케이스에 가압펜이 설치된 실시예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50)는 핸드폰, PDA, 태블릿 PC 등 휴대 가능한 전자장치를 의미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핸드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충전장치(10)는 휴대단말기(50)가 탈착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200)의 일 면의 장착홈(320)에 삽입되며,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핀(122)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120)를 포함하는 케이스 거치부재(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200)는 전원공급핀(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40)와, 전원연결부(240)로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단말기(50)로 전송하는 전원전송단자(28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200)의 장착홈(320)과 케이스 거치부재(100)의 전원연결부(240)가 결합되면서, 휴대단말기(50)가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10)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우선 상기 케이스(200)는, 휴대단말기(50)가 안착되는 안착홈(210)이 형성된 제1 케이스(200a)와, 상기 제1 케이스(200a)에서 탈착되고, 안착홈(210)에 안착된 휴대단말기(50)의 외주면을 고정하여 휴대단말기(50)가 제1 케이스(200a)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케이스(200b)와, 제1 케이스(200a)의 일 면에 제1 케이스(20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전원연결부(240) 및 전원전송단자(280)가 수납되는 수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에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케이스(200)를 제1 및 제2 케이스(200a, 200b)로 분리한 뒤, 휴대단말기(50)를 제1 케이스(200a)의 안착홈(210)에 안착하여 제1 케이스(200a)에 장착한 후, 제2 케이스(200b)를 제1 케이스(200a)에 조립한다. 이때, 제2 케이스(200b)가 휴대단말기(50) 외주면을 압입하며 제1 케이스(200a)에 조립되면서 휴대단말기(50)가 제1 케이스(200a)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00)는 다수의 배선이 설치되어 케이스(200)를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하거나, 휴대단말기(50)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케이스(200)에 장착될 때, 케이스(200)에 조립된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수납부(300)는 안착홈(210)의 주변을 따라 ㄱ-자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300)는 제1 케이스(200a)의 상, 하 및 좌, 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수납부(300)는 전원연결부(240)와 인접하며, 휴대단말기(50)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장착되어 전원연결부(2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착젠더(2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전원연결부(240)는 수납부(300)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전원연결부(240a)와, 제1 전원연결부(240a)와 수직한 수납부(300)의 타 면에 형성된 제2 전원연결부(240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원연결부(240a, 240b), 전원전송단자(280) 및 장착젠더(260)는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연결부(240a)는 수납부(300)의 상, 하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제2 전원연결부(240b)는 수납부(300)의 좌, 우의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원연결부(240a, 240b)가 하나의 배선(E)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200)가 상, 하 또는 좌, 우의 길이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되어도 제1 및 제2 전원연결부(240a, 240b) 중 어느 하나의 전원연결부(240)와 전원공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전원연결부(240a)는 수납부(300)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형성되지만, 제2 전원연결부(240b)는 장착젠더(260)과 전원전송단자(280) 사이를 연결하며 형성되기 때문에 수납부(300)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전원연결부(240b)를 수납부(300)에 고정하기 위하여 수납부(300)는, 수납부(300)의 좌, 우 길이를 따라 형성된 제2 전원연결부(240b)가 수납부(300) 내에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방지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부(310)는 제2 전원연결부(240b)의 일 면과 밀착되어 제2 전원연결부(240b)가 수납부(300)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전원연결부(240)는 휴대단말기(50) 외부의 전원공급단자의 전원공급핀(122)과 연결되는 연결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42)는 전원공급핀(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연결부(240)는 케이스(200)에 조립된 휴대단말기(50)의 기종에 관계없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된 휴대단말기(50)는 기종에 관계없이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케이스(200)는 수납부(300)를 관통하며, 안착홈(210)에 안착된 휴대단말기(50)의 조작버튼(54)을 가압하는 버튼가압부(220)를 더 포함하고, 수납부(300)는 버튼가압부(220)가 삽입되는 슬롯(250, 290)을 더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버튼가압부(220)는 사용자가 누름 가능한 동작버튼(222)과, 동작버튼(2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동작버튼(222)을 누르면 누른 힘을 휴대단말기(50)의 조작버튼(54)으로 전달하는 누름버튼(224)을 포함한다.
상기 동작버튼(222)은 휴대단말기(50)의 조작버튼(54)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작버튼(222)은 휴대단말기(50)의 조작버튼(54)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224)은 휴대단말기(50)의 조작버튼(54)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224)은 사용자가 동작버튼(222)을 누름과 동시에 휴대단말기(50)의 조작버튼(54)을 가압하여 조작버튼(54)이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누름버튼(224)은 상기 조작버튼(54)을 향해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누름버튼(224)의 형상, 길이 등은 고안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슬롯(250, 290)은 상기 동작버튼(222)이 장착되는 제1 슬롯(250)과, 상기 누름버튼(224)이 장착되는 제2 슬롯(290)을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슬롯(250)은 수납부(30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동작버튼(222)의 일부가 수납부(300)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동작버튼(222)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롯(290)은 상기 누름버튼(22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버튼가압부(220)는 상기 슬롯(250, 290)에서 분리 및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가압부(220)가 슬롯(250, 290)에서 분리 및 장착되기 때문에 파손된 버튼가압부(220)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휴대단말기 충전장치(10)는 수납부(300) 상에 설치되어 수납부(300) 상면을 커버하는 수납부 커버(350)를 더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에 휴대단말기(50)를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스(200)를 제1 및 제2 케이스(200a, 200b)로 분리해야 한다. 이때, 제1 및 제2 케이스(200a, 200b)가 분리되면서 수납부(300)에 설치된 배선(E)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배선(E)은 외부 충격에 파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심미감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부(300) 상면에 수납부 커버(350)를 설치하여 케이스(200)를 분리하여도 수납부(300)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 커버(350)는 수납부(300)를 향해 형성된 복수의 연장편(352)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편(352)은 수납부 커버(350)가 수납부(300) 상에 설치될 때, 수납부(300) 내면에 밀착되면서 수납부 커버(350)가 수납부(300) 상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특히, 도 3을 참고하면, 버튼가압부(220)는 고정부(226)를 더 포함하고, 수납부 커버(350)는 상기 고정부(226)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고정홀(356)을 더 포함한다. 즉, 버튼가압부(220)가 케이스(200)에 조립되고, 수납부 커버(350)가 수납부(300) 상에 설치될 때, 버튼가압부(220)의 고정부(226)가 수납부 커버(350)의 고정홀(356)에 끼워진다. 그 결과, 수납부 커버(350)가 수납부(300) 및 버튼가압부(220)와 이중으로 조립되어 조립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수납부 커버(35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200a, 200b) 사이에 설치되므로 두께가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200)는 케이스(200)에 조립된 휴대단말기(50)의 화면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펜(52)이 삽입되는 펜장착부(270)와, 휴대단말기(50)에서 발생한 음향이 케이스(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스피커(230)와, 케이스(200)가 케이스 거치부재(100) 없이 상, 하의 길이 방향을 바닥으로 한 채 거치될 때, 케이스(200)를 지지하도록 가압펜(52)이 장착되는 펜설치공(330)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장착젠더(260)를 통해 외부의 전원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00)를 세워 휴대단말기(5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펜설치공(330)에 가압펜(52)을 설치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가 상, 하의 길이 방향을 바닥으로 하여 거치될 경우 가압펜(52)은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가 가압펜(52)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50)에 가압펜(52)이 구비된 경우, 휴대단말기(50)의 가압펜(52)을 이용하여 케이스(200)에 거치된 휴대단말기(50)를 지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거치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펜설치동(330)은 가압펜(5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원형으로 형성되어 가압펜(52) 이외의 바(bar) 형태의 어떠한 물체가 삽입되어 케이스(2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230)는 제1 케이스(200a) 및 제2 케이스(200b)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케이스(200a)에는 후면에 형성되고, 제2 케이스(200b)에는 전면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50)에서 발생한 음향이 전, 후로 모두 발생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케이스 거치부재(100)는 전원연결부(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120)과, 휴대단말기(50)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장착되는 거치부재장착젠더(260)와, 전원공급부(120)와 인접하며, 케이스(200)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된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케이스지지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20)는 케이스 거치부재(100)의 일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원공급부(120)가 케이스(200)의 장착홈(320)에 삽입되면서 케이스(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원공급핀(122)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의 오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지지부(140)에 의해 케이스(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스 거치부재(100) 상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00)는 케이스지지부(140)가 삽입되는 삽입공(340)을 포함한다.
이때, 전원공급부(120)와 케이스지지부(14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00)는 전원공급부(120)와 케이스지지부(140) 사이의 간극에 끼워지는 간극삽입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간극삽입부(360)가 전원공급부(120)와 케이스지지부(140)와 장착홈(320)과 삽입공(340) 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스(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5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200)가 거치되는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120)를 형성하고, 케이스(200)에 상기 전원공급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전송단자(280)를 형성하여 휴대단말기(50)가 케이스 거치부재(100)에 거치될 뿐 아니라,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10)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50)의 기종에 관계없이 전원연결부(240)와 전원공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기종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5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200)의 장착홈(320)을 케이스(200)의 상, 하 측면 및 좌, 우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함에 따라, 케이스(200)를 다양한 위치로 케이스 거치부재(100) 상에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사용자가 휴대단말기(50)의 위치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5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100: 케이스 거치부재
120: 전원공급부 140: 케이스지지부
200: 케이스 210: 안착홈
220: 버튼가압부 230: 스피커
240: 전원연결부 250, 290: 슬롯
260: 장착젠더 270: 펜장착부
280: 전원전송단자 300: 수납부
310: 유동방지부 320: 장착홈
330: 펜설치공 340: 삽입공
350: 수납부 커버 360: 간극삽입부

Claims (8)

  1. 휴대단말기가 탈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의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공급핀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거치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원공급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로 공급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원전송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에서 탈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주면을 고정하여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제1 케이스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 면에 상기 제1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연결부 및 상기 전원전송단자가 수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납부를 관통하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조절버튼을 가압하는 버튼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버튼가압부가 삽입되는 슬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수납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전원연결부와 인접하며, 상기 휴대단말기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장착되어 상기 전원연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착젠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수납부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전원연결부와,
    상기 제1 전원연결부와 수직한 상기 수납부의 타 면에 형성된 제2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원연결부, 상기 전원전송단자 및 상기 장착젠더는 하나의 배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거치부재는,
    상기 휴대단말기 외부의 전원공급단자가 장착되는 거치부재장착젠더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인접하며,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 거치부재에 거치된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케이스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펜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가압펜이 관통되어 설치되는 펜설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20140007387U 2014-10-13 2014-10-13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1600013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87U KR20160001301U (ko) 2014-10-13 2014-10-13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87U KR20160001301U (ko) 2014-10-13 2014-10-13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01U true KR20160001301U (ko) 2016-04-21

Family

ID=5591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87U KR20160001301U (ko) 2014-10-13 2014-10-13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875B1 (ko) * 2022-02-07 2022-08-02 주식회사 퍼스트트라얼 폴더형 휴대용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875B1 (ko) * 2022-02-07 2022-08-02 주식회사 퍼스트트라얼 폴더형 휴대용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6267B1 (en) Protective battery case to partially enclose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733324B1 (ko) 전자담배 케이스
EP2182608B1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US10148104B2 (en) Docking station and device adapter for use in a docking station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KR101113592B1 (ko) 이어폰 잭
US94503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uminous effect
TW200746564A (en) Electrical connector
TW200730390A (en) Bicycle control device
US8282054B2 (e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04290U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047095A (ko)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160001301U (ko)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N107113011B (zh) 电气设备
US8199467B2 (en) Battery ej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410641B1 (ko) 태블릿 pc 충전기기
CN205017038U (zh) 充电组件
JP6703161B1 (ja) ワイヤレスイヤホンに用いる内部モジュール
KR101955772B1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KR20060065323A (ko) 내장형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53146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대
CN212137353U (zh) 电器充电支架和电器充电组件
KR101374742B1 (ko) 태블릿 컴퓨터 벽걸이 거치장치
CN215835156U (zh) 电源适配器和充电组件
CN210724268U (zh) 充电座和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