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095A -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095A
KR20150047095A KR1020140138805A KR20140138805A KR20150047095A KR 20150047095 A KR20150047095 A KR 20150047095A KR 1020140138805 A KR1020140138805 A KR 1020140138805A KR 20140138805 A KR20140138805 A KR 20140138805A KR 20150047095 A KR20150047095 A KR 2015004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terminal
charg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우
Original Assignee
정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우 filed Critical 정병우
Priority to KR102014013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095A/ko
Publication of KR2015004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탈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는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충전장치{Charging equipment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한 후, 배터리를 충전 거치대에 거치하여 일정시간 동안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그러나, 예비 배터리가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휴대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르게는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포트에 충전잭(jack)을 직접 연결하여 휴대기기의 전원을 켜둔 상태로 휴대단말기에 결합 혹은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연결포트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충전잭과 휴대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젠더를 휴대해야 하는데, 상기 젠더는 휴대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에만 사용하게 되므로 젠더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젠더 또는 충전잭을 결합할 때, 휴대단말기의 연결포트의 위치를 매번 확인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연결포트나 젠더 또는 충전 잭이 파손되거나 변형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충전이 용이한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는, 휴대단말기가 탈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는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거치부재를 수납하는 단자보호커버와, 상기 거치부에 상기 케이스가 거치되면, 상기 거치부와 접하는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이 상기 단자보호커버를 밀어내며 상기 단자보호커버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 내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케이스가 분리되면, 상기 단자보호커버가 상기 수납홈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단자보호커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한 음향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배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에 상기 케이스의 거치를 인식하는 거치센싱부와, 상기 케이스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면, 상기 스피커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작동센서와, 상기 작동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충전단자와, 상기 제1 충전단자와 수직한 상기 케이스의 타 면에 형성된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 외부의 전원공급부가 장착되는 젠더와, 상기 휴대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단자 또는 상기 젠더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의 젠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에서 분리 가능하고, 상기 후면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한 음원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피커공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거치부는 휴대단말기를 거치함과 동시에,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젠더, 충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의 거치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에 휴대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케이스는 휴대단말기를 보호함과 동시에 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거치부에 거치된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케이스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거치부를 사용하지 않고도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케이스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 충전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케이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거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50)는 핸드폰, PDA, 태블릿PC 등 휴대 가능한 전자장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핸드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충전장치(10)는, 휴대단말기(50)가 탈착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 면의 고정홈(160)에 삽입되어 케이스(100)를 지지하는 거치부재(220)와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240)를 포함하는 거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50)는 핸드폰, PDA, 태블릿PC 등 휴대 가능한 전자장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핸드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휴대단말기(50)의 외관을 보호하는 보호장치이고, 가죽, 고무, 실리콘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에는 휴대단말기(5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00)의 일 측면에는 휴대단말기(50)의 충전을 위한 충전장치가 장착되는 젠더(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젠더(150)는 충전장치가 장착되면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휴대단말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케이스(100) 내측의 젠더(130)의 단부에는 접속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50)가 케이스(100)에 장착됨과 동시에 접속단자와 면접하면서 젠더(150)에 충전장치가 장착되면 별도의 과정 없이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충전단자(140)는 케이스(100)의 하면과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케이스(100)의 하면과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는 방향에 관계없이 거치하여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140)가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가로로 눕힌 상태에서 거치부(200)에 거치시켜도 케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된 충전단자(140)가 거치부(200)의 접촉단자(240)와 접하여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충전단자(140)가 케이스(100)의 하면에 형성되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세로로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휴대단말기(50)를 충전하는 충전단자(140)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후술할 거치부(200)의 거치부재(2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160)은 거치부(200)에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거치시킬 때, 거치부(200)의 거치부재(220)를 끼워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정홈(160)은 케이스(100)의 측면과 하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거치 방향에 관계없이 거치부(200)에 거치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케이스(100)는 휴대단말기(50)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케이스(120)와 휴대단말기(5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케이스(180)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스(100)는 측면케이스(120)와 후면케이스(180)로 분리 가능하지만, 케이스(100)의 재질에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100)가 분리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휴대단말기(50)의 충전부(미도시)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50)로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젠더(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젠더(130)는 휴대단말기(50)를 케이스(100)에 장착할 때, 휴대단말기(50)의 충전부에 장착되고, 거치부(200)의 충전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거치부(200)에 거치시키면 충전단자(140)로부터 전원을 휴대단말기(50)로 공급하는 부재이다.
한편, 측면케이스(120)는 휴대단말기(50)에서 발생한 음파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피커 공(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공(170)는 측면케이스(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음파 배출의 용이성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00)는 휴대단말기(50)가 거치되는 부재이며, 휴대단말기(50)가 거치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50)를 충전할 수 있는 부재이다. 즉, 거치부(200)는 휴대단말기(5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휴대단말기(50)를 거치해두거나, 영상을 보거나 음악을 듣기 위하여 휴대단말기(50)를 일정 각도로 기울여 휴대단말기(50)를 거치해두는 부재이다. 또한, 거치부(200)는 휴대단말기(50)를 충전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단말기(50)를 사용하지 않거나 전화 이외의 다른 사용을 하는 경우에도 충전이 지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충전단자(140)와 거치부(200)의 접촉단자(240)는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휴대단말기(50)의 기종에 관계없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거치부(200)에 거치하면 휴대단말기(50)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케이스(100)의 충전단자(140)와 거치부(200)의 접촉단자(240)의 규격은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거치부(2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거치부(200)는 접촉단자(240)와 거치부재(220)를 수납하는 단자보호커버(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보호커버(250)는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될 때, 거치부(200) 내부로 수납되어 접촉단자(240)와 거치부재(22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200)에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자보호커버(250) 내에 접촉단자(240)와 거치부재(220)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단자(240)와 거치부(200)가 단자보호커버(250)에 수납되기 때문에 거치부(200)에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접촉단자(240)와 거치부재(220)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거치부(200)에 안착시키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의 측면으로 단자보호커버(250)를 밀어내어 단자보호커버(250)가 거치부(200) 내의 수납홈(260)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단자보호커버(250)만 거치부(200) 내로 수납되기 때문에 단자보호커버(250)가 내에 수납되어 있던 접촉단자(240)와 거치부재(2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접촉단자(240)는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의 충전단자(140)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재(220)는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의 고정홈(160)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거치부(200)는,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면 단자보호커버(250)가 수납되는 수납홈(260)과 수납홈(260) 내에 구비되고, 거치부(200)에서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되는 케이스(100)를 분리하면, 단자보호커버(250)가 수납홈(260)에서 배출되도록 단자보호커버(250)에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280)을 더 포함한다.
즉, 거치부(200)에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납홈(260) 내의 스프링(280)은 초기상태라고 할 수 있다(도 5의 (a)). 이때,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면 단자보호커버(250)가 수납홈(26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자보호커버(250)의 하단이 수납홈(260) 내의 스프링(280)을 압축할 수 있다(도 5의 (b)). 상기 휴대단말기(50)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휴대단말기(50)의 사용을 위하여 거치부(200)에서 휴대단말기(50)를 분리하면 압축된 스프링(280)이 초기 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단자보호커버(250)가 수납홈(260)에서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5의 (c)).
한편, 상기 거치부(200)는 휴대단말기(50)에서 발생한 음파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배출하는 스피커(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90)는 거치부(200)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한 뒤, 휴대단말기(50)를 작동시키면 상기 스피커(190)로 소리를 배출하기 위하여 스피커(190)는 상기 접촉단자(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거치부(200)는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부(200)에 거치되면 스피커(190)의 전원이 켜지고,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를 거치부(200)에서 분리하면 스피커(190)의 전원이 꺼지도록 작동센서(미도시)와 작동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50)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0) 외부에 충전단자(140)와 고정홈(160)을 형성하고, 휴대단말기(50)가 장착된 케이스(100)가 거치되는 거치부(200)에 상기 충전단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240)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100)를 거치부(200)에 거치하면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휴대단말기(50)를 거치부(200)에 거치하면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240)와 충전단자(140)는 휴대단말기(50)의 기종에 관계없이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50)의 기종에 관계없이 케이스(100)에 장착된 휴대단말기(50)를 거치부(200)에 거치하면 휴대단말기(50)가 충전되기 때문에 다양한 기종이 휴대단말기(5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100)에 형성된 충전단자(140)를 케이스(100)의 측면 및 하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함에 따라 케이스(100)에 장착된 휴대단말기(50)를 다양한 방향으로 거치부(200)에 거치한 뒤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휴대단말기(50)의 거치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5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50: 휴대단말기
100: 케이스 120: 측면케이스
130: 내부젠더 140: 충전단자
150: 젠더 160: 고정홈
170: 스피커 공 180: 후면케이스
190: 스피커 200: 거치부
220: 거치부재 240: 접촉단자
250: 단자보호커버 260: 수납홈
280: 스프링

Claims (9)

  1. 휴대단말기가 탈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거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는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거치부재를 수납하는 단자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보호커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장착된 상기 케이스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될 때 상기 거치부 내부로 수납되어 상기 접촉단자 및 상기 거치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단자보호커버가 수납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 내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장착되는 상기 케이스를 분리하면 상기 단자보호커버가 상기 수납홈에서 배출되도록 상기 단자보호커버에 텐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배출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 측면에 상기 휴대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젠더와,
    상기 충전단자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과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케이스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케이스와 상기 후면케이스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충전부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젠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케이스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한 음파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피커 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


KR1020140138805A 2014-10-15 2014-10-15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150047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05A KR20150047095A (ko) 2014-10-15 2014-10-15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805A KR20150047095A (ko) 2014-10-15 2014-10-15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316 Division 2013-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095A true KR20150047095A (ko) 2015-05-04

Family

ID=5338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05A KR20150047095A (ko) 2014-10-15 2014-10-15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0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59B1 (ko) * 2015-06-26 2016-02-16 (주)디케이하이테크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WO2017191959A1 (ko) * 2016-05-03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
WO2021176353A1 (en) * 2020-03-04 2021-09-10 Iws Global Pty Lt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4188764A (zh) * 2020-09-15 2022-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系统及其充电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59B1 (ko) * 2015-06-26 2016-02-16 (주)디케이하이테크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WO2017191959A1 (ko) * 2016-05-03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
RU2696595C1 (ru) * 2016-05-03 2019-08-0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742045B2 (en) 2016-05-03 2020-08-11 Lg Electronics Inc. Charging device
US11005281B2 (en) 2016-05-03 2021-05-11 Lg Electronics Inc. Charging device
WO2021176353A1 (en) * 2020-03-04 2021-09-10 Iws Global Pty Lt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789494B2 (en) 2020-03-04 2023-10-17 Iws Global Pty Lt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14188764A (zh) * 2020-09-15 2022-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系统及其充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3825B2 (en) Docking charger for charging a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or without a protective cover case fitted thereon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10148104B2 (en) Docking station and device adapter for use in a docking station
US10117022B1 (en) Portable auxiliary unit for voice activated media player
US8759675B2 (en) Dual purpose casing
US20140321048A1 (en) Mobile device case and peripheral system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123287A1 (en) Casing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150047095A (ko)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KR200460949Y1 (ko) 스피커를 갖는 아이폰 케이스
US8204551B2 (en) Attachable battery pack for intelligent cell phone
JP2018523225A (ja) 電気アダプタを有するドッキングスリーブ
KR200488549Y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용 거치대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200386671Y1 (ko)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US8996149B2 (en) Portable radio sets
KR101162362B1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TWI450598B (zh) 具有電線管理功能之可攜式收存容器及用於可攜式收存容器之電線管理方法
KR201300742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1717968B1 (ko) 스마트폰 결합 모듈
US20190208879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storage compartment
CN204206263U (zh) 多功能手机壳
JP2015163009A (ja) 携帯端末用給電装置
KR200489261Y1 (ko) 배터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