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159B1 -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159B1
KR101594159B1 KR1020150091061A KR20150091061A KR101594159B1 KR 101594159 B1 KR101594159 B1 KR 101594159B1 KR 1020150091061 A KR1020150091061 A KR 1020150091061A KR 20150091061 A KR20150091061 A KR 20150091061A KR 101594159 B1 KR101594159 B1 KR 10159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arging
terminal
portable terminal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호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디케이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1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면서, 개별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메인충전단자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충전단자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본체를 다수 연결하여 다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전원 연결부; 상기 메인충전단자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는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면서, 개별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면서, 개별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또는 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기술 및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 단말기를 통한 서비스 영역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기의 이동통신 서비스는 상대방 호출,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점차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게임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과 같은 금융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었고, 사용자들도 점차 청소년 계층으로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강화되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통상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에 근접한 휴대 단말기가 상용화되었다. 따라서 이동 중에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이나 동영상 감상, 더 나아가서는 사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아울러, 학교와 같은 교육, 강의 현장, 각종 학회 등에서는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책자 형태의 교과서나 배포용 유인물을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다중이 동시에 이용하게 되는 학교나 강의실, 학회 등에서 활용되는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는 학교나 주최 측에서 관리하면서 필요할 때 일시적으로 배포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 동안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십에서 수백대에 이르는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미비한 실정이다. 대체로, 휴대 단말기는 개인 사용자 위주로 제작, 판매되기 때문에, 1 단말에 1 충전 세트가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반적인 충전 장치들은 케이블을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휴대 단말기를 충전 장치에 접속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교육 현장이나 학회 등에서 일시적으로 다수에게 동시에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들의 배터리 팩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충전 장치에 접속시키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KR 10-2006-0033992 A KR 20-2012-0004571 U KR 10-100248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면서, 개별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메인충전단자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충전단자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본체를 다수 연결하여 다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전원 연결부; 상기 메인충전단자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켜둘 수 있도록 형성된 도킹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를 삽입하여 개별 충전할 수 있도록 서브충전단자가 형성된 배터리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상신호출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메인충전단자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인가하기 위한 전원 단속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는 다수의 휴대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면서, 개별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의 배터리충전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는 본체(100)와; 전원 접속부(200)와; 전원 공급부와; 전원 연결부(300)와; 충전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켜둘 수 있도록 형성된 도킹부(110);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20)를 삽입하여 개별 충전할 수 있도록 서브충전단자(121)가 형성된 배터리충전부(120)와; 상기 본체(100)에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상신호출력부(130)와; 상기 메인충전단자(111)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인가하기 위한 전원 단속부(140)와;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킹부(110)에는 휴대 단말기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끼워 넣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본체(100)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된 도킹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킹홈은 휴대 단말기가 후방측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킹홈의 바닥에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충전단자에 접속되는 메인충전단자(111)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충전부(12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20)를 개별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 측에 형성한 것으로서, 배터리(20)를 수평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홈과, 삽입홈의 내측에 배터리(20)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접촉되는 서브충전단자(12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배터리(20)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도킹부(110)에 거치시킨 상태로 메인충전단자(111)와 접속이 이루어질 때,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상을 텔레비젼이나 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30)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와 외부 디스플레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신호출력부(130)의 접속단자는 영상신호만을 전송하는 DVI, VGA, BNC, DIN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영상신호 뿐만 아니라 음성신호도 함께 전송가능한 HDMI, ADC, EVC, F 단자, RCA 단자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단속부(140)는 상기 전원 접속부(200)로부터 상기 메인충전단자(111) 및 서브충전단자(12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수동을 조작가능하도록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150)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 접속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부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5핀 또는 8핀 데이터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전원 접속부(200)를 통해 해당 본체(100)에 자체적으로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전원 접속부(2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일 측의 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충전단자(111)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원 연결부(300)는 상기 본체(100)를 다수 연결하여 여러 개의 본체(100)를 통해 여러 개의 휴대 단말기를 다중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단자와, 연결단자가 삽입 접속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는 해당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일 측의 본체(100)의 연결단자와 연결되어 일 측의 본체(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해당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충전표시부(400)는 상기 메인충전단자(111)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20)와 서브충전단자(121)에 접속된 배터리(2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배터리(20)가 충전 완료된 상태일 때에는 녹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중일 때에는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충전장치
20 : 배터리
100 : 본체
110 : 도킹부
120 : 배터리충전부
130 : 영상신호출력부
140 : 전원 단속부
150 : 스피커
200 : 전원 접속부
300 : 전원 연결부
400 : 충전표시부

Claims (5)

  1.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일 측에 메인충전단자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
    상기 전원 접속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충전단자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본체를 다수 연결하여 다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전원 연결부;
    상기 메인충전단자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충전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켜둘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도킹홈을 포함하는 도킹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된 배터리를 삽입하여 개별 충전할 수 있도록 삽입홈과 서브충전단자가 형성된 배터리충전부와, 상기 배터리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삽입홈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영상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영상신호출력부와, 상기 메인충전단자 및 서브충전단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인가할 수 있도록 수동 조작 가능한 스위치로 구성된 전원 단속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원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연결단자가 삽입 접속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표시부는 상기 서브충전단자에 접속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91061A 2015-06-26 2015-06-26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KR10159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61A KR101594159B1 (ko) 2015-06-26 2015-06-26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061A KR101594159B1 (ko) 2015-06-26 2015-06-26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159B1 true KR101594159B1 (ko) 2016-02-16

Family

ID=5544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061A KR101594159B1 (ko) 2015-06-26 2015-06-26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1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069B1 (ko) * 2016-07-21 2017-01-17 디자인 주식회사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KR101746695B1 (ko) * 2016-07-18 2017-06-13 이주열 슬림형 충전기
KR102020588B1 (ko) * 2018-11-08 2019-09-10 김남원 모바일기기 충전기능을 갖는 케이스
KR20230016107A (ko) * 2021-07-23 2023-02-01 변철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153A (ko) * 2003-01-09 200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KR20060033992A (ko) 2004-10-18 2006-04-21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및 개인휴대 단말기의 충전방법
KR101002480B1 (ko) 2003-12-06 201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용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5136A (ko) * 2009-11-19 2011-05-25 조한형 휴대용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KR20120004571U (ko) 2010-12-16 2012-06-2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130053698A (ko) * 2011-11-16 2013-05-24 잘만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충전 거치대
KR20150047095A (ko) * 2014-10-15 2015-05-04 정병우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153A (ko) * 2003-01-09 200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기
KR101002480B1 (ko) 2003-12-06 2010-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용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3992A (ko) 2004-10-18 2006-04-21 주식회사 팬택 개인 휴대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및 개인휴대 단말기의 충전방법
KR20110055136A (ko) * 2009-11-19 2011-05-25 조한형 휴대용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KR20120004571U (ko) 2010-12-16 2012-06-26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130053698A (ko) * 2011-11-16 2013-05-24 잘만테크 주식회사 스마트폰 충전 거치대
KR20150047095A (ko) * 2014-10-15 2015-05-04 정병우 휴대단말기 충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695B1 (ko) * 2016-07-18 2017-06-13 이주열 슬림형 충전기
WO2018016758A1 (ko) * 2016-07-18 2018-01-25 이주열 슬림형 충전기
KR101697069B1 (ko) * 2016-07-21 2017-01-17 디자인 주식회사 전력공급 확장용 스테이션
KR102020588B1 (ko) * 2018-11-08 2019-09-10 김남원 모바일기기 충전기능을 갖는 케이스
KR20230016107A (ko) * 2021-07-23 2023-02-01 변철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
KR102620690B1 (ko) 2021-07-23 2024-01-05 주식회사 원인터내셔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59B1 (ko)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US10553985B2 (en) Tabletop enclosure including a spring-loaded drop-down flip-top cover
KR1019249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장치
US20170117729A1 (en) Charger and charging system
JP3203823U (ja) ビデオコンテンツ投影可能の携帯型ドッキング装置
US9094759B2 (en) Earphone connection detecting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supporting the system
US9071866B2 (en) Wireless video/audio signal transmitter/receiver
US10152442B2 (en) Multi-function ports on a computing device
US110391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cipant-controlled video conferencing
KR201301422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도킹 스테이션
US20150138703A1 (en) Modular Computer Units
CN205788813U (zh) 一种交互式实训教学系统
CN104346964A (zh) 基于移动智能电子设备的实时答疑方法
US20160062395A1 (en) Multi-screen display device
US2014037189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using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CN110432655A (zh) 多功能显示器增高收纳架
US20090077281A1 (en) Kvm console cable and multi-computer system using the same
US20140362168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8664230A (zh) 一种传屏方法、显示设备及其传屏系统
US20130286364A1 (en) Multimedia player and projector
US11870970B2 (en) VR display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US20140052884A1 (en) Mobile device case with wireless high definition transmitter
CA2750668A1 (en) Modular computer units
CN111309657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智能教室系统
KR200474007Y1 (ko) 영상 및 음성의 출력이 가능한 2단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