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571U -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571U
KR20120004571U KR2020100013034U KR20100013034U KR20120004571U KR 20120004571 U KR20120004571 U KR 20120004571U KR 2020100013034 U KR2020100013034 U KR 2020100013034U KR 20100013034 U KR20100013034 U KR 20100013034U KR 20120004571 U KR20120004571 U KR 20120004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charging terminal
charg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3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571U/ko
Publication of KR20120004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전면 및 후면 케이스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와, 후면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충전단자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를 가지는 충전기와, 제2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걸림부를 수용하는 함몰부와, 함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제1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또는 무선 전화기 등과 같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를 일정시간 동안 사용을 한 후에는 충전하여 사용해야 한다.
휴대단말기의 일예로서, 도 1에는 종래의 무선전화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선전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전화기(10)는 본체(20)와 무선 송수화기(30)를 구비한다. 본체(20)는 무선 송수화기(30)를 충전할 때 무선 송수화기(30)가 안착되는 안착부(21)를 가진다. 무선 송수화기(30)는 본체(20)와 무선으로 통신한다. 무선 송수화기(30)는 본체(20)의 안착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1)에는 제1 충전단자(22)가 구비되고, 무선 송수화기(30)의 하단에는 제1 충전단자(22)에 접촉하는 제2 충전단자(31)가 구비된다. 제1 충전단자(22)는 일단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충전단자(22)는 탄성재질로 제조되어 안착부(21)에 대해 하측으로 탄성변형되도록 배치된다. 제2 충전단자(31)는 송수화기(30)의 하면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무선 송수화기(30)가 안착부(21)에 안착되면, 제1 충전단자(22)는 제2 충전단자(31)와 접촉하고 무선 송수화기(30)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변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선전화기는, 무선 송수화기(30)의 반복 충전으로 인해 제1 충전단자(22)에는 반복 하중이 가해진다. 이 경우에, 제1 충전단자(22)가 원래의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아 제2 충전단자(31)와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충전단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는 전면 및 후면 케이스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와, 후면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충전단자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를 가지는 충전기와, 제2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걸림부를 수용하는 함몰부와, 함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제1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2 충전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충전단자는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충전단자가 제2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제2 충전단자를 가압하면, 제2 충전단자는 제1 및 제2 변형부에서 탄성변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충전단자는 함몰부 내외측으로 출몰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충전단자는 제1 변형부 및 접촉부에서 절곡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에 의하면, 휴대단말기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충전기에 놓이고 걸림부가 함몰부에 걸림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제1 충전단자가 충전기의 제2 충전단자와 접촉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하중 일부는 충전기의 제1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2 충전단자에 전달되는 하중이 크게 감소한다. 그 결과, 휴대단말기를 반복하여 충전하더라도, 충전기의 제2 충전단자가 원래의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의 충전단자는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를 구비함으로써, 충전기의 충전단자는 2 부분에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충전기의 충전단자가 소성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전화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충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휴대단말기와 충전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휴대단말기와 충전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100)는 휴대단말기(110)와, 충전기(120)와, 제1 충전단자(130)와, 제2 충전단자(140)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10)는 전면 케이스(111)와 후면 케이스(112)를 구비한다. 전면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패드 등이 장착되고, 후면 케이스(112)의 내측에는 메인보드 등이 장착된다. 전면 및 후면 케이스(111, 112)는 볼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결합된다. 후면 케이스(112)에는 후면 케이스(112)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후면 케이스(112)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는 걸림부(112a)가 구비된다. 휴대단말기(110)가 충전기(120)에 결합(또는 거치)된 상태에서 걸림부(112a)는 충전기(120)의 상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12a)는 휴대단말기(110)가 충전기(1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충전기(120)는 제1 케이스(121)와, 제2 케이스(122)와 지지대(123)를 구비한다. 제1 케이스(121)는 휴대단말기(110)의 후면 케이스(112)와 맞닿는 부분이고, 제2 케이스(122)는 제1 케이스(121)의 후면에 볼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결합된다. 휴대단말기(110)에 의해 제2 충전단자(14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제1 및 제2 케이스(121, 122)는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23)는 제2 케이스(122)의 후면에 배치된다. 지지대(123)는 별도로 제작되어 제2 케이스(122)에 결합되거나 제2 케이스(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23)는 충전기(120)를 경사지게 지지한다. 제2 케이스(122)의 상단 일부에는 걸림부(112a)와 상호 맞물리는 함몰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122a)의 형상 및 크기는 걸림부(112a)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충전단자(130)는 휴대단말기(110)에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전단자(130)는 걸림부(112a)의 내측에 결합되고, 휴대단말기(110)에 내장된 축전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충전단자(140)는 충전기(120)에 구비되며 제1 충전단자(130)에 대응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충전단자(140)는 제2 케이스(122)의 함몰부(122a)에 구비되며 제2 충전단자(140)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충전단자(14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충전단자(140)는 일단이 충전기(120)의 제1 케이스(121)에 고정되고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충전단자(140)는 제1 변형부(141)와, 제2 변형부(142)와, 접촉부(143)와, 지지부재(144)와, 도피부(145)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충전단자(130, 140)는 얇은 전도성 금속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2 충전단자(140)는 탄성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충전단자(140)는 제1 변형부(141) 및 접촉부(143)에서 소정의 각도로 라운드 형상으로 절곡되어 제공된다. 휴대단말기(110)가 충전기(120)에 결합될 때 (도 8 참조), 제2 충전단자(140)는 제1 변형부(141)에서 1차적으로 탄성변형된다. 제2 변형부(142)는 휴대단말기(110)와 충전기(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휴대단말기(110)가 충전기(120)에 결합될 때(도 8 참조), 제2 충전단자(140)는 제2 변형부(142)에서 2차적으로 탄성변형된다. 접촉부(143)는 휴대단말기(110)와 충전기(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함몰부(122a)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휴대단말기(110)가 충전기(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부(143)는 제1 충전단자(130)와 접촉되고 제2 케이스(122)의 내측에 위치한다. 접촉부(143) 부근의 절곡 형상을 유지 하기 위해 지지부재(144)가 제2 충전단자(140)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재(144)는 또한 제2 충전단자(140)가 제1 변형부(141)에 최대로 변형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피부(145)는 제1 케이스(121)의 내측에 형성된다. 도피부(145)는 제2 충전단자(140)의 2차 탄성변형시 제2 충전단자(140)가 제2 케이스(122)에 부딪히지 않도록 도피 공간을 제공한다.
이하,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10)를 충전기(120)에 결합(또는 거치)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10)의 걸림부(112a)가 충전기(120)의 함몰부(122a)에 걸리면, 휴대단말기(110)는 충전기(120)에 결합된다. 걸림부(112a)가 함몰부(122a)에 걸릴 때, 제1 충전단자(130)는 제2 충전단자(140)의 접촉부(143)와 접촉하여 제2 충전단자(140)를 충전기(120)의 내측(즉, 도피부(145))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제2 충전단자(140)는 제1 변형부(141)에서 1차적으로 탄성변형되고 제2 변형부(142)에서 2차적으로 탄성변형된다. 그 결과, 제2 충전단자(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10)를 사용하기 위해 휴대단말기(110)를 충전기(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10)의 걸림부(112a)가 충전기(120)의 함몰부(122a)로부터 이탈하면, 휴대단말기(110)는 충전기(120)로부터 분리된다. 걸림부(112a)가 함몰부(122a)로부터 이탈될 때, 제1 충전단자(130)는 제2 충전단자(140)의 접촉부(143)와의 접촉을 해제한다. 따라서, 제2 충전단자(140)는 도피부(145)로부터 이탈하고 제1 및 제2 변형부(141, 142)에서 탄성복원된다. 그 결과, 제2 충전단자(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충전단자는 제1 변형부에서 1차적으로 탄성변형되고 제2 변형부에서 2차적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 변형부에서 1차적으로 탄성변형되고 제1 변형부에서 1차적으로 탄성변형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110: 휴대단말기
120: 충전기
130: 제1 충전단자
140: 제2 충전단자

Claims (5)

  1. 전면 및 후면 케이스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와,
    상기 후면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충전단자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케이스를 가지는 충전기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를 수용하는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제1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2 충전단자
    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단자는 제1 변형부와 제2 변형부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단자가 상기 제2 충전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충전단자를 가압하면, 상기 제2 충전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변형부에서 탄성변형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단자는 상기 함몰부 내외측으로 출몰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단자는 상기 제1 변형부 및 상기 접촉부에서 절곡되어 있는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20100013034U 2010-12-16 2010-12-16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120004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034U KR20120004571U (ko) 2010-12-16 2010-12-16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034U KR20120004571U (ko) 2010-12-16 2010-12-16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71U true KR20120004571U (ko) 2012-06-26

Family

ID=4685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034U KR20120004571U (ko) 2010-12-16 2010-12-16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5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59B1 (ko) 2015-06-26 2016-02-16 (주)디케이하이테크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59B1 (ko) 2015-06-26 2016-02-16 (주)디케이하이테크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489B1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US9103484B2 (en) Connection device
US20020067151A1 (en)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telephone
US20060089178A1 (en) Cordless telephone set
EP1536615A1 (en) Wireless headse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244418A1 (en) Battery modul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072786A1 (en) Cradle for differently siz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73893A (ko) 모바일 단말에 결합 가능한 보조 배터리
KR20120004571U (ko)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N110635539A (zh) 一种支架式无线充电装置
KR20160129511A (ko) 충전 장치
US20140340028A1 (en) Charger with hub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JP2013232321A (ja) 小型電気機器の接続装置
US20100291809A1 (en) Conduc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JPH0348707B2 (ko)
KR101629774B1 (ko) 이차전지용 충방전장치
KR20170001537U (ko) 카드형 보조 배터리
CN210431816U (zh) 具有充电盒的无线入耳式蓝牙耳机
US20050225285A1 (en) Charging base for batteri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JP2011142733A (ja) 充電装置
CN208127928U (zh) 内置安全伸缩pin端子的手机充电座
KR200382354Y1 (ko) 스프링 컨텍트 프로브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