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006B1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6006B1 KR101906006B1 KR1020160162418A KR20160162418A KR101906006B1 KR 101906006 B1 KR101906006 B1 KR 101906006B1 KR 1020160162418 A KR1020160162418 A KR 1020160162418A KR 20160162418 A KR20160162418 A KR 20160162418A KR 101906006 B1 KR101906006 B1 KR 101906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electrode
- portable terminal
- power
- protective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A45C2011/002—
-
- H04M2001/02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이용 중 방전 배터리를 완충 배터리로 교체 시,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무정전 상태를 유지한 채 배터리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제1배터리수용부에 삽입 및 체결되는 배터리더미부와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제2배터리수용부를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결합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유지한 채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외장 케이스 내 보조배터리를 포함하여 주 배터리를 교체하는 동안에도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휴대전화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무전기 등)는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며, 내장된 배터리는 외부 충전기와 연결하는 연결 잭을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방전된 배터리를 탈거한 뒤 별도의 충전장치를 이용해 완충된 배터리를 교체 장착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중 방전된 배터리를 탈거 후 완충 배터리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전원은 꺼지게 되어 있어 긴요한 통화 내지 문자 메시지 교환, 문서 편집/열람 등의 연속적인 작업이 필요한 경우,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한국 공개번호 10-2005-0115501 은 휴대전화기에 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고, 둘 중 하나가 방전되면 나머지 충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배터리를 갖는 휴대전화기" 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공개번호 10-2005-0115501 은 휴대전화기에 두개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휴대전화기 구동시간을 늘린다는 개념에서 접근한 것으로, 휴대전화기에 둘 이상의 배터리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현재 최대한 얇고 작게 만들어지는 휴대단말기의 추세를 볼 때, 실제 적용될 가능성은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1420090 은 휴대전화기 배터리 교체 시에도 휴대전화기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420090 은 휴대전화기의 배터리부에 별도의 힌지 구조를 포함하여 배터리 교체 시에도 휴대전화기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한다는 개념에서 접근한 것으로, 휴대전화기 배터리부에 보조 전극을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힌지 구조가 조립되어 있어야 하고 방전된 배터리를 탈거하기 전에 힌지를 회동한 뒤 완충된 배터리를 선 장착하여야 하므로,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매회 완충된 배터리부터 장착하고 방전된 배터리를 탈거하는 절차를 준수하도록 안내하기 쉽지 않음은 물론, 배터리부에 회동 가능한 힌지 구조를 조립하려면 최초 휴대단말기의 설계 초기단계부터 기구설계상 반영되어야 하는 등 휴대전화기 제조기술에 가까워 실제 채택될 가능성은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공개번호 10-2011-0016557 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내장된 보조배터리를 이용해 휴대전화기 구동시간을 연장하는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 보호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공개번호 10-2011-0016557 은 휴대전화기에 장착할 수 있는 보호케이스에 보조배터리를 내장하여 휴대전화기의 구동시간을 연장한다는 개념에서 접근한 것으로, 보조배터리를 포함하는 보호케이스 외 휴대단말기에 보조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충전 소켓 단자에 연결되는 U자형 연결단자를 함께 장착해야 하므로 연결단자 분실/파손 시 특허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점과 주 배터리 외 보호케이스 내 보조배터리 방전 시 배터리를 교체하는 동안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진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1554605 는 휴대단말기의 플레이트 에 보조배터리를 포함하여 휴대전화기 구동시간을 연장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전화기 "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554605 는 휴대단말기 후면을 보호하기 위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중 휴대전화기에 탈부착 되는 내부면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배터리와 내부 면에 배치한 전원 출력단자를 이용해 휴대전화기의 구동시간을 연장한다는 개념에서 접근한 것으로, 기존 휴대단말기의 뒷면 플레이트 를 제거한 뒤 장착해야 한다는 점과 배터리 교체를 위해 플레이트 탈거 및 방전 배터리 탈거 시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진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교체 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 이용 시 전원 꺼짐 없이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구동/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정전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전극을 구비하는 제1배터리수용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본체 외 보호케이스에 형성되며 보호케이스 상단에는 배터리 삽입 시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는 제2배터리수용 부를 포함하며, 보호케이스 내면에는 상단의 제2배터리수용부의 제2전극과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의 제1배터리수용부의 제1전극과 접촉하는 제3전극을 구비하는 배터리더미부를 포함하며, 보호케이스에는 보조배터리가 내삽되어 보호케이스 상단의 제2배터리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 교체 시 휴대단말기의 전원 꺼짐 상태를 방지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이용 중 방전된 배터리를 완충 배터리로 교체 시,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무정전 상태로 배터리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단말기 중 휴대전화기의 제1배터리수용부와 배터리 장착, 및 탈착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내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있는 제2배터리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를 탈거하거나 충전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2배터리수용부와 배터리더미부의 구조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배터리수용부에 배터리를 탈거하거나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휴대단말기에 씌우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내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있는 제2배터리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를 탈거하거나 충전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 및,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2배터리수용부와 배터리더미부의 구조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배터리수용부에 배터리를 탈거하거나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휴대단말기에 씌우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방전 배터리는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었던 배터리로서 전원이 없거나 얼마 남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전 배터리는 휴대단말기 및 본 발명에서 이야기하는 보호케이스의 제2배터리수용부에서 탈착되어야 할 배터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완충 배터리는 바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충전된 것으로서, 전술한 방전 배터리를 대신하여 휴대단말기 및 본 발명에서 이야기하는 보호케이스의 배터리 수용부에 장착되어야 하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충전 배터리는 완충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에 결합되는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로서, 방전 배터리와 달리 휴대단말기의 지속 사용이 가능한 상태의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충전 배터리는 완충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에 결합되는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배터리로서, 방전 배터리와 달리 휴대단말기의 지속 사용이 가능한 상태의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 스마트폰, PDA, PMP, 노트북, 게임기를 포함해 배터리 교체나 충전이 요구되는 형태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언급된 장치 이외에도, 배터리 충전 및 교체가 있어야 하는 어떠한 휴대형 단말기라도,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휴대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휴대단말기 중 휴대전화기의 제1배터리수용부와 배터리 장착, 및 탈착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는 케이스(100), 제1배터리수용부(110) 및 배터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휴대단말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플라스틱, 금속, 합금, 탄소섬유 및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배터리수용부(110)에는 배터리(3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제1전극(111)이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300)는 휴대단말기 판매 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별도 구매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는 배터리(300)를 제1배터리수용부(110)에 장착하면 배터리전극(310)과 케이스(100)에 마련된 제1전극(111)이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배터리(300) 탈거 시 배터리전극(310)과 제1전극(111)의 회로 단절에 의해 휴대단말기는 전원 꺼짐 상태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배면, 내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 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 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보호케이스(200), 제2배터리수용부(210)와 배터리더미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호케이스(200)는 휴대단말기의 외부에 덧씌우거나 결착 가능한 형태의 외형물로서 플라스틱, 금속, 합금, 탄소섬유 및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배터리 수용부(210)에는 배터리(3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제2전극(211)이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더미부(220)는 제2배터리수용부(210)의 뒷면에 위치하며 제3전극(221)을 포함하고 있어 휴대단말기 케이스(100)에 보호케이스(200)를 씌우게 되면 제1배터리수용부(110)에 삽입되어 제1전극(111)과 제3전극(221)이 연결된다.
도 3은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있는 제2배터리수용부에서 방전 배터리를 탈거하거나 충전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제2배터리수용부(210)에 완충 배터리(300)를 삽입하게 되면 배터리전극(310)이 제2배터리수용부(210)를 구성하는 제2전극(211)과 연결하게 된다. 또한, 배터리 교체 시에는 제2배터리수용부(210)에서 방전 배터리(300)를 탈거하게 되면 배터리전극(310)이 제2배터리수용부(210)의 제2전극과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2배터리수용부(210)와 배터리더미부(220)의 구조와 접속관계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 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 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제2배터리수용부(210)와 배터리더미부(220)는 한 면을 맞대고 있으며, 제2배터리수용부는 배터리(300) 삽입 시 연결되는 제2전극(211)을 포함하며, 제2전극(211)은 배면에 있는 배터리더미부(220)의 제3전극(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더미부(220)에는 배터리(300) 교체 시 무정전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배터리(230)가 내삽되어 있으며, 제3전극(221)과는 무정전회로부(235)를 통해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계적 및, 물리적인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동일한 기능을 위해 전자적 및, 소프트웨어적인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4의 제2배터리수용부(210)에서 배터리(300)를 탈거하거나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구동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 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 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배터리수용부(210)와 배터리더미부(220)은 제2전극(211), 제3전극(221)과, 무정전전극(222)과, 보조배터리충전단자(223)과, 무정전회로부(235)와, 보조배터리(230)를 포함한다. 제2배터리수용부(210)에 배터리(300)가 장착되지 않았으면, 제2전극(211)의 끝점(b)은 제3전극(221) 및, 무정전전극(2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무정전회로부(235)는 보조배터리(230)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무정전전극(222)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제1전극(11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의 무정전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4의 제2배터리수용부(210)에 배터리(300)를 장착,삽입하는 상태에서의 구동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 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 대해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 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배터리수용부(210)와 배터리더미부(220)은 제2전극(211), 제3전극(221)과, 무정전전극(222)과, 보조배터리충전단자(223)과, 무정전회로부(235)와, 보조배터리(230)를 포함한다. 제2배터리수용부(210)에 배터리(300)가 장착 및, 삽입되는 경우, 제2전극(211)의 접점(a)은 배터리(300)의 삽입 위치에 따라 배터리전극(310)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제2전극(211)의 끝점(b)은 이동하여 제3전극(221) 및, 보조배터리충전단자(2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배터리(300)의 전원은 제3전극(221)을 통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며, 보조배터리충전단자(223)를 통해 무정전회로부(235) 및, 보조배터리(2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보호케이스(200)에 내삽된 보조배터리(230)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 교체 과정에서 손실된 보조배터리(230)의 충전량을 보전하게 된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배터리수용부에 배터리를 탈거하거나 삽입하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배터리수용부(210)와 배터리더미부(220)는 한 면을 마주하고 있으며, 도 2의 예와 같이 보호케이스(200)를 구성한다. 배터리(300)는 보호케이스(200)의 제2배터리수용부(210)에 삽입 및, 장착되며 또한, 삽입되어 있는 배터리(300)는 제2배터리수용부(210)에서 탈거한다. 배터리더미부(220)는 배터리(300)의 삽입 및, 탈거 시에도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수용부(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를 휴대단말기에 씌우는 방식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에 보호케이스(200)를 씌우고, 체결하게 되면 도 7의 배터리더미부(220)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수용부(110)에 삽입되어 무정전 상태로 배터리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100 : 케이스(휴대단말기 외형) 110 : 제1배터리수용부
111 : 제1전극 200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210 : 제2배터리수용부 211 : 제2전극
ⓐ : 제2전극 접점 ⓑ : 제2전극 끝점
220 : 배터리더미부 221 : 제3전극
222 : 무정전전극 223 : 보조배터리 충전단자
230 : 보조배터리 235 : 무정전회로부
300 : 배터리 310 : 배터리전극
111 : 제1전극 200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210 : 제2배터리수용부 211 : 제2전극
ⓐ : 제2전극 접점 ⓑ : 제2전극 끝점
220 : 배터리더미부 221 : 제3전극
222 : 무정전전극 223 : 보조배터리 충전단자
230 : 보조배터리 235 : 무정전회로부
300 : 배터리 310 : 배터리전극
Claims (5)
-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덮도록 휴대단말기에 결착되는 보호케이스 몸체;
상기 보호케이스 몸체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착 시 휴대단말기 뒷면의 배터리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더미부;
상기 배터리더미부와 중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호케이스 몸체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배터리수용부;
상기 배터리더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단말기 배터리 수용부 단자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3전극;
일단이 상기 배터리더미부 내부의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전극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무정전전극;
일단이 제2배터리수용부 내면으로 돌출되는 탄성 돌출부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제3전극 및 무정전전극에 접하여 두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전극; 및
일단이 상기 배터리더미부 내부의 보조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3전극과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배터리 충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배터리수용부에 배터리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탄성 돌출부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2 전극의 타단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무정전전극과 이격되고 상기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배터리를 교체 시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 꺼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무정전회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무정전회로부는 무정전전극 및 보조배터리 충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터리수용부에 배터리가 삽입되면 상기 제2전극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3전극과 보조배터리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배터리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삽입된 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 꺼짐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배터리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보조배터리의 방전분을 충전 보상하며,
상기 제2배터리수용부에서 배터리를 탈거하면, 상기 제2전극에 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제3전극 및 상기 보조배터리 충전단자와 배터리의 전극이 전기적으로 끊어지며, 상기 제3전극과 상기 무정전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배터리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 꺼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2418A KR101906006B1 (ko) | 2016-12-01 | 2016-12-01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CN201721065965.4U CN207382045U (zh) | 2016-12-01 | 2017-08-24 | 能够在不间断状态下更换电池的便携式终端保护壳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2418A KR101906006B1 (ko) | 2016-12-01 | 2016-12-01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2591A KR20180062591A (ko) | 2018-06-11 |
KR101906006B1 true KR101906006B1 (ko) | 2018-10-08 |
Family
ID=62342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2418A KR101906006B1 (ko) | 2016-12-01 | 2016-12-01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6006B1 (ko) |
CN (1) | CN207382045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4307B1 (ko) * | 2020-11-17 | 2021-12-03 | 주식회사 파이네라 | 액션캠 및 이를 포함하는 액션캠 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781Y1 (ko) * | 2004-04-21 | 2004-10-27 | 박종화 | 휴대 통신기의 무정전 배터리 교환시스템 |
KR20050115501A (ko) | 2004-06-03 | 2005-12-08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다수의 배터리를 갖는 휴대폰 |
KR100677397B1 (ko) * | 2004-11-22 | 2007-0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보조 전원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
KR101247570B1 (ko) | 2011-02-24 | 2013-03-26 | 김남철 |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용 전화기 보호케이스 |
KR20120008840U (ko) * | 2011-06-16 | 2012-12-27 | 주식회사 알.에프.텍 | 휴대단말기용 보조배터리 케이스 |
JP3171131U (ja) * | 2011-08-04 | 2011-10-13 | 株式会社ドウシシャ | 無停電源機能付モバイルバッテリー |
KR20130106740A (ko) * | 2012-03-20 | 2013-09-30 | 장욱 | 전원을 끄지 않는 배터리 교체 방법 |
KR101420090B1 (ko) | 2012-10-15 | 2014-07-17 | 이강민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
KR101554605B1 (ko) | 2013-05-16 | 2015-09-22 | 주식회사 애니모드 |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
-
2016
- 2016-12-01 KR KR1020160162418A patent/KR101906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8-24 CN CN201721065965.4U patent/CN207382045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2591A (ko) | 2018-06-11 |
CN207382045U (zh) | 2018-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6309B1 (ko) |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101554605B1 (ko) |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커버 | |
US10630102B2 (en) | Battery device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with such a battery device | |
KR20040014442A (ko) | 휴대폰용 백업 밧데리 | |
KR101437948B1 (ko) |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 |
EP2999198B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battery pack | |
KR101906006B1 (ko)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200486136Y1 (ko) | 보조배터리 및 유에스비 케이블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 |
CN103872718A (zh) | 名片盒式移动电源 | |
CN204230372U (zh) | 用于手机的背夹式电池 | |
KR101420090B1 (ko) |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 |
JP5842187B2 (ja) | 充電用接続部品および充電器 | |
KR101955772B1 (ko) |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 |
KR20140001056U (ko) | 보조전원 공급장치 | |
CN207743719U (zh) | 一种手机充电背夹及充电电池 | |
US10168755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power maintenance function during replacement of battery | |
KR20150073471A (ko) |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
KR101722991B1 (ko) |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 |
KR100691967B1 (ko) | 배터리 팩 록킹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307358Y1 (ko) |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 |
CN213661250U (zh) | 一种用于背夹电池的充电支架及背夹电池 | |
CN210608620U (zh) | 一种充电卡座及其充电系统 | |
KR20170001537U (ko) | 카드형 보조 배터리 | |
KR20160003460U (ko) | 휴대폰케이스를 겸한 보조배터리 | |
KR200447111Y1 (ko) | 축전지 교환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