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695B1 - 슬림형 충전기 - Google Patents

슬림형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95B1
KR101746695B1 KR1020160090670A KR20160090670A KR101746695B1 KR 101746695 B1 KR101746695 B1 KR 101746695B1 KR 1020160090670 A KR1020160090670 A KR 1020160090670A KR 20160090670 A KR20160090670 A KR 20160090670A KR 101746695 B1 KR101746695 B1 KR 10174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power
charging
connector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이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열 filed Critical 이주열
Priority to KR102016009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9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774 priority patent/WO20180167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7
    • H02J7/005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는 일면에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을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 제1 암커넥터가 형성된 플러그부; 상기 제1 암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인렛 커넥터,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와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제2 암커넥터, 및 상기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에 형성된 USB 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와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에 연결되어 AC 전원을 정류하는 AC 전원부; 상기 AC 전원부 상부에 형성되어 AC 전원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된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USB 포트에 제공하는 DC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충전기{SLIM CHARGER}
본 발명은 슬림형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을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슬림형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술 및 서비스의 발달과 함께, 휴대 전화,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 피씨 등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배터리 용량 및 그 사용 시간이 제약을 받고 있고, 모바일 기기를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기기용 충전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는 충전기의 전면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의 (b)는 충전기의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충전기는 하우징(1) 내부에는 급속 충전을 위한 충전 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기의 전면부에는 플러그 단자(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부에는 USB 포트(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 회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7681호(2012년11월23일 공개)에서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메인 전류 공급부; 및 상기 메인 전류 공급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브리지 회로부와 연결되어 부하전류의 흡입 상승을 지원하여 추가 전류를 공급하는 DC-DC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고속충전부를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용 충전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USB 단자(3)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가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하나의 충전기에 다수의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멀티 충전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USB 단자를 하나 이상 제공하는 멀티 충전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하나의 충전기에 USB 단자를 다수 개 형성하는 경우, 단순히 USB 단자만을 추가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충전 회로도 함께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휴대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의 신속한 충전을 위한 급속충전 기능을 갖는 충전기는 USB 케이블과 연결된 모바일기기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로 통신을 하여 통상적인 USB 출력 전압보다 높은 전압과 높은 전류를 제공하여 모바일기기의 통상적인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급속충전 기능을 갖는 충전기는 모바일기기에 1대1로 연결되며, 멀티 충전기도 급속충전을 지원하는 DC전원 출력용 USB 단자 1개만 구비하고, 나머지 DC전원 출력용 USB 단자는 통상적인 USB 전원만 제공한다.
급속충전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충전기에 급속충전 동작이 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된다. 이는 충전기의 USB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기기 USB 단자와 연결되어 먼저 전원을 공급하고 이후 모바일 기기와 충전기의 컨트롤러가 프로토콜 통신을 하여 전압과 전류를 상승시켜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즉, 종래의 멀티 충전기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는 있지만 급속 충전은 1 개의 모바일 기기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슬림형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는 일면에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을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 제1 암커넥터가 형성된 플러그부; 상기 제1 암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인렛 커넥터,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와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제2 암커넥터, 및 상기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에 형성된 USB 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와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에 연결되어 AC 전원을 정류하는 AC 전원부; 상기 AC 전원부 상부에 형성되어 AC 전원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된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USB 포트에 제공하는 DC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충전부와 동일한 구조의 복수의 충전부가 암커넥터와 인렛 커넥터를 통해 병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AC 전원부는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DCC 전원부는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은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은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보조권선은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제1 암커넥터가 형성된 영역의 상부는 오픈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AC 전원부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원을 상기 트랜스포머로 제공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기 DC 전원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스너버 회로; 및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하기 편리한 얇은 슬림형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C 입출력 단자가 동시에 구비되어 충전기 병렬 연결이 가능하고, 슬림형 충전기가 2개 이상일 경우 병렬 연결하여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충전기가 연결되더라도 모든 충전기가 급속 충전을 지원하므로, 동시에 다수의 모바일 기기를 급속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도에 따라 단일 사용 또는 병렬 사용을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 코어를 중심으로 AC 전원부와 DC 전원부가 분리되어 양산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 코어를 중심으로 AC 전원부와 DC 전원부가 분리되어 DC 전원부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 코어를 중심으로 AC 전원부와 DC 전원부가 분리되어 슬림 PCB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페라이트 코어를 중심으로 AC 전원부와 DC 전원부가 분리되어 조립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충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2의 슬림형 충전기에서 상부 케이스(22)를 제거한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충전부가 결합된 슬림형 충전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충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a)는 전면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후면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림형 충전기는 플러그부(10)와 충전부(20)로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부(10)의 일면에는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 단자(11)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단자(11)가 형성되어 있는 일면과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는 제1 암커넥터(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커넥터(12)는 플러그 단자(11)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부(10)에는 상기 충전부(20)를 수용하는 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암커넥터(12)가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부(10)의 일면은 상부가 오픈된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3)은 충전부(20)의 하단 케이스가 수용되는 부분이므로 하단 케이스와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충전부(20)는 장방향의 기다란 형상으로, 하부 케이스(21)와 상부 케이스(22)과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특히 상부 케이스(22) 부분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암커넥터(12)와 결합되는 제1 인렛(inlet) 커넥터(2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인렛 커넥터(23)가 형성되어 있는 일면과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는 제2 암커넥터(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렛 커넥터(23)와 상기 제2 암커넥터(24)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22)의 일측면에는 USB 포트(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22)의 내부에는 제1 인렛 커넥터(23)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원을 DC로 변환하여 상기 USB 포트(25)로 제공하는 충전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회로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인렛 커넥터(23)와 제2 암커넥터가 형성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상부 케이스(22)를 제거한 상태의 충전부(20)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는 전면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b)후면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22)의 내부에는 AC 전원부(30), 트랜스포머(40), 및 DC 전원부(50)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AC 전원부(3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기판(31)에 인덕터(32), 커패시터(33), 저항(34) 및 스위치(3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직 방향이란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이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있어, 세로 방향의 길이는 길고 가로 방향의 폭은 좁게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AC 전원부(30)의 인덕터(32), 커패시터(33), 및 저항(34) 소자를 포함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다. 상기 정류부는 교류(AC) 전원을 정류한다. 정류된 전원은 스위치(35)에 인가되어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 되며 상기 트랜스포머(40)의 1차 권선으로 입력된다. 상기 저항(34) 소자는 가변 저항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35)는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일 수 있으며, MOSFET의 게이트 단자에 스위칭 주파수가 인가되면 트레인 단자에 전류가 온/오프 되어 출력된다.
상기 트랜스포머(40)는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포함하고,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권선비는 필요한 출력 전압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포머(40)는 보조권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40) 역시 AC 전원부와 마찬가지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DC 전원부(50)는 상기 트랜스포머(4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기판(41)에 다이오드(42) 및 컨트롤러(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42)는 트랜스포머(40)의 2차 권선에 연결되어, 2차 권선에서 인가되는 DC 전원을 최종적으로 정류하여 USB 포트(25)로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러(43)는 급속충전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가 USB 포트(25)에 연결되면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 통신을 수행하고, 전압과 전류가 증가하도록 제어하여 모바일 기기의 충전 시간을 단축하도록 한다. 이때 컨트롤러는 스위칭 주파수를 변경하여 전압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AC 회로부(30), 트랜스포머(40), 및 DC 회로부(50)는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회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회로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더라도 AC 회로 기판 및 DC 회로 기판을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고 이들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면 도시된 것과 같은 장방형의 슬림형 충전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충전부(20)만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트랜스포머(40)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전면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후면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트랜스포머(40)는 한 쌍의 페리이트 코어부(41, 42), 상기 코어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1차 권선(43), 2차 권선(44), 및 보조권선(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권선(43)과 보조권선(45)은 제1 기판(31)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권선(44)은 제2 기판상(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은 양면 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1차 권선(43)은 양면 기판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보조권선(45)은 양면 기판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의 중앙에는 돌출부(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판(31)과 제2 기판(41)에는 돌출부(46)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6) 는 상부 코어(41) 및 하부 코어(42)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차 권선(43)은 제1 기판(41)에 형성하고 2차 권선(44)은 제2 기판(51)에 형성함으로써 USB 포트(25)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간단하게 DC 전원부(50)만 교체하면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부(20)의 AC 전원부 및 DC 전원부를 수직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충전 장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20)의 하단 케이스의 양면에 암커넥터와 인렛 커넥터를 형성하여 다수의 충전부가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다수의 충전부가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도 5의 (a)는 전면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b)는 후면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 충전부(20-1), 제2 충전부(20-1), 제3 충전부(20-1), 제4 충전부(20-1), 및 제5 충전부(20-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충전부가 결합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더 적은 수의 충전부가 결합될 수도 있고, 더 많은 수의 충전부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플러그부 20 : 충전부
11 : 플러그 단자 12 : 제1 암커넥터
13 : 홈 21 : 하부 케이스
22 : 상부 케이스 23 : 제1 인렛커넥터
24 : 제2 암커넥터 25 : USB 포트
30 : AC 전원부 31 : 제1 기판
32 : 인덕터 33 : 커패시터
34 : 저항 35 : 스위치
40 : 프랜스포머 41, 42 : 코어부
43 : 1차 권선 44 : 2차 권선
45 : 보조권선 50 : DC 전원부
51 : 제2 기판 52 : 다이오드
53 : 컨트롤러

Claims (8)

  1. 일면에 플러그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을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 제1 암커넥터가 형성된 플러그부;
    상기 제1 암커넥터와 결합하는 제1 인렛 커넥터,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와 대향하는 다른 일면에 형성된 제2 암커넥터, 및 상기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에 형성된 USB 포트를 포함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와 상기 USB 포트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충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제1 인렛 커넥터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AC 전원을 정류하는 AC 전원부;
    상기 AC 전원부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AC 전원부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권선비에 따라 변압하여 출력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트랜스포머에서 출력된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USB 포트에 제공하는 DC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DC 전원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스너버 회로; 및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슬림형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충전기는,
    상기 충전부와 동일한 구조의 복수의 충전부가 암커넥터와 인렛 커넥터를 통해 병렬로 결합되는 슬림형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부는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1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DC 전원부는 제1 인렛 커넥터 및 제2 암커넥터의 배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슬림형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은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되고,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 권선은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슬림형 충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의 보조권선은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되는 슬림형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제1 암커넥터가 형성된 영역의 상부는 오픈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하는 슬림형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전원부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된 전원을 상기 트랜스포머로 제공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슬림형 충전기.
  8. 삭제
KR1020160090670A 2016-07-18 2016-07-18 슬림형 충전기 KR10174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70A KR101746695B1 (ko) 2016-07-18 2016-07-18 슬림형 충전기
PCT/KR2017/006774 WO2018016758A1 (ko) 2016-07-18 2017-06-27 슬림형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670A KR101746695B1 (ko) 2016-07-18 2016-07-18 슬림형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695B1 true KR101746695B1 (ko) 2017-06-13

Family

ID=5921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670A KR101746695B1 (ko) 2016-07-18 2016-07-18 슬림형 충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6695B1 (ko)
WO (1) WO201801675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22B1 (ko) * 2011-09-28 2012-05-14 정영철 배터리 급속 충전기
KR101594159B1 (ko) * 2015-06-26 2016-02-16 (주)디케이하이테크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2652A1 (en) * 2008-09-05 2010-03-11 Wen-Chi Liu Power adapter with changeable plug
KR101712822B1 (ko) * 2010-06-11 2017-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20140001311U (ko) * 2012-08-24 2014-03-05 조호석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22B1 (ko) * 2011-09-28 2012-05-14 정영철 배터리 급속 충전기
KR101594159B1 (ko) * 2015-06-26 2016-02-16 (주)디케이하이테크 휴대 단말기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758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039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opposite polarity inductor arrangement
US9502921B2 (en) Circuit for a system for contactless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US9722449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urnitur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used therei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ed therein
US10833538B2 (en) Electronic unit and power feeding system
JP5839105B2 (ja) 送電装置及び送電制御方法
US20220239155A1 (en) Device to-be-charged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GB2399466A (en) Battery charging system
US20110116292A1 (en) Integrated multi-inductor magnetic member and multi-loop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having same
WO2021082907A1 (zh) 无线充电系统、充电线缆、电子设备及其无线充电方法
GB2522562A (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CN110391687B (zh) 充电器
TWI706628B (zh) 組合式交流/直流電源供應器
US10707699B2 (en) Interphase transformer based rectifi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JP6350345B2 (ja) トランスモジュール及び受電装置
US20220209567A1 (en) Earphone charging case with adapter function
JP7487237B2 (ja) 被服を通して装着式装置にワイヤレスで充電するための携帯バッテリパック
KR101746695B1 (ko) 슬림형 충전기
KR101286923B1 (ko) 직류전원 공급장치
KR101549438B1 (ko)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WO2007086673A1 (en) Charging system for mobile devices
US7768153B2 (en) Dual input power supply
CN105375649B (zh) 一种具有无线电能接收结构的集成电路及集成方法
TW201835949A (zh) 共用模式雜訊減少
CN204465344U (zh) 整合式电源转换模块
TWI437584B (zh) 變壓器與電感元件之組合結構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