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537A - 엘이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537A
KR20150090537A KR1020140011296A KR20140011296A KR20150090537A KR 20150090537 A KR20150090537 A KR 20150090537A KR 1020140011296 A KR1020140011296 A KR 1020140011296A KR 20140011296 A KR20140011296 A KR 20140011296A KR 20150090537 A KR20150090537 A KR 20150090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hub
main body
type main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엽
Original Assignee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537A/ko
Publication of KR2015009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조명 램프나 손전등으로 사용하거나 실내의 천장에 거치 또는 테이블 등에 스탠드형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고, 쇼케이스에 진열된 상품을 집중 또는 간접 조명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허브형 본체와, 허브형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여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각각의 엘이디 바가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되거나, 엘이디 바 각각이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다각도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엘이디 바가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 각도로 꺽인 상태에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빛의 조도 및 입사 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고 간편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 램프에 비해 사용성 및 휴대성이 매우 뛰어난 엘이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허브형 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다수의 엘이디소자가 길이 방향을 따라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이디 조명 장치{LED LIGHTING APPATATUS}
본 발명은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조명 램프나 손전등으로 사용하거나 실내의 천장에 거치 또는 테이블 등에 스탠드형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고, 쇼케이스에 진열된 상품을 집중 또는 간접 조명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허브형 본체와, 허브형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여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각각의 엘이디 바가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되거나, 엘이디 바 각각이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다각도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엘이디 바가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 각도로 꺽인 상태에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따라 빛의 조도 및 입사 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고 간편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 램프에 비해 사용성 및 휴대성이 매우 뛰어난 엘이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램프는 백열램프 또는 형광램프를 배터리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출현함으로써 휴대용 램프의 크기 및 중량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휴대용 램프의 종래기술은 기판에 엘이디가 실장된 엘이디모듈,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엘이디모듈의 전방에 설치되는 투광체, 상기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후방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종래기술은 엘이디모듈이 기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엘이디 조명기기는 장수명 및 에너지 고효율이라는 장점을 가지는 한편 점등시 엘이디모듈에 고열이 발생되고 방열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조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상기 엘이디 조명기기는 수명이 끝난 배터리의 교체를 위해 여분의 배터리를 항상 휴대하거나 충전이 필요한 것이었고,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조명기기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현재 개발되어 있는 LED 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엘이디(LED) 램프는 그 용도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331880호(2006. 12. 07 공개) "휴대용 LED 조명등 장치" 와 같은 기술에서는 공사 현장이나 교통 정리시에 있어서의 신호등 내지 표시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위주로 하며, 필요에 따라 전방을 조사하는 전조등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LED의 빛을 반사경을 통해 편광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휴대용 LED 조명등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엘이디 조명기기는 엘이디 소자 각각의 밝기를 조절하는 작업과 빛이 발광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작업 등은 쉽게 가능한 것이었지만, 빛이 입사되는 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조명기기 또는 조명 램프가 현재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고,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은 기존의 조명 장치들은 조도 조절과 빛의 입사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제작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것은 물론, LED 소자나 배터리의 수명이 다한 경우 조명장치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캠핑,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조명 램프나 손전등으로 사용하거나 실내의 천장에 거치 또는 테이블 등에 스탠드형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고, 간편한 설치를 통해 쇼케이스에 진열된 상품을 집중 또는 간접 조명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허브형 본체와, 허브형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여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각각의 엘이디 바가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되거나, 엘이디 바 각각이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다각도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사용 환경에 따라 빛의 조도 및 입사 방향의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의 엘이디 바에서 배터리 또는 엘이디(LED)의 수명이 다함에 따라 빛이 소멸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다수의 엘이디 바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소실된 빛의 조도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부 수명이 끝난 엘이디 바를 낱개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엘이디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허브형 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다수의 엘이디소자가 길이 방향을 따라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상기 엘이디 바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상기 엘이디 바가 상기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엘이디 바의 내측 말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반구형 홈이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엘이디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 바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끼움 지지되도록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엘이디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엘이디 바의 내측 말단부 외주면에 밀리는 경우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양측 방향에서 상기 허브형 본체의 측벽 일부를 수직하게 절개하여 상기 돌기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수직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상기 허브형 본체는, 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다각면을 이루는 복수의 외부접속면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 각각에는 그 외부접속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입되게 설치된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 바는, 상기 제1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도록 상기 엘이디 바의 내측 말단부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의 연결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상기 허브형 본체는,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이 상기 허브형 본체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허브형 본체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측면과, 상기 수직면 또는 측면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바 각각의 양측 말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엘이디 바 각각의 외측 말단부에서 상기 연결핀과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허브형 본체와, 그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여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각각의 엘이디 바가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연결될 수 있어 사용 환경에 따라 빛의 조도 및 입사 범위와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다수의 엘이디 바 각각이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다각도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고, 일부 수명이 끝난 엘이디 바를 낱개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는 일부의 엘이디 바에서 배터리 또는 엘이디(LED)의 수명이 다함에 따라 빛이 소멸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다수의 엘이디 바의 간편한 조작을 통해 소실된 빛의 조도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부분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엘이디 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회전지지수단을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엘이디 바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엘이디 바가 연장된 상태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엘이디 바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회전지지수단을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엘이디 바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의 엘이디 바가 연장된 상태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장치(100)는, 허브형 본체(110), 다수의 엘이디 바(120) 및 회전지지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허브형 본체(110)는 전원공급이 가능한 구성으로, 내부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 또는 SMPS(Switching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공급장치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허브형 본체(110)는 상하로 분리 결합되는 하부몸체(110a)와 상부몸체(110b)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몸체(110a)와 상기 상부몸체(11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이 육각형의 다각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형 본체(11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의 중앙에 위치되어 외측에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의 일단부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 즉, 육각형의 측면 방향 각각에는 다수의 연결슬롯부(11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슬롯부(111)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서 방사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슬롯부(111)는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서 대략 "⊂"자 형태로 내부 방향을 향하여 움푹하게 형성된 홈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서 상기 엘이디 바(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연결슬롯부(11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112)이 구비되는데, 상기 전원공급모듈(112)은 상기 연결슬롯부(111) 각각의 내부 양측 방향으로 수직한 형태로 배치되도록 연장된 한 쌍의 접속판(112a)과, 상기 접속판(112a) 각각으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육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하부몸체(110a) 내측에 안착되게 고정된 전원공급기판(112b)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기판(112b)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배터리 또는 SMPS(Switching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접속판(112a)으로 전원을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접속판(112a)은 상기 연결슬롯부(111) 각각에 구비되도록 상기 전원공급기판(112b)의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는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로부터 투사되는 빛이 상기 허브형 본체(110)를 중심으로 다각도로 확산 또는 집광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엘이디 바(12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다수의 엘이디소자(121a)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실장된 엘이디모듈(121)과, 상기 엘이디모듈(121)이 안착 고정되는 방열판(122)과, 상기 엘이디모듈(121)을 감싸도록 상기 엘이디모듈(121)의 전방에서 상기 방열판(122)과 결합되어 상기 엘이디소자(121a)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투영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된 전방커버(123)와, 상기 엘이디모듈(121) 및 상기 방열판(122)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체결나사에 의해 상하로 결합되는 한 쌍의 캡부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는 각각의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슬롯부(111)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서 상기 허브형 본체(110)를 중심으로 방사 대칭형으로 이격 배치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 바(120)는 상기 엘이디모듈(121)의 일단부에서 상기 엘이디모듈(121)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갈라지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접속부재(121b)가 구비되는데, 상기 힌지접속부재(121b)는 상기 엘이디 바(120)의 일단부를 마감하도록 구성된 상기 캡부재(124)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는 각각의 상기 엘이디 바(120)의 일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상기 힌지접속부재(121b)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전원공급모듈(112)의 접속판(112a)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엘이디모듈(12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허브형 본체(110) 또는 상기 엘이디 바(120)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는 전원스위치(도면미도시) 등의 조작에 의해 점등 및 소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각각의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엘이디 바(120)는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연결슬롯부(11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상기 엘이디 바(120)는 상하 방향으로의 연결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 상기 허브형 본체(110)에는 축삽입홈(111a)이 형성되고, 상기 엘이디 바(120)에는 상기 축삽입홈(111a)에 대응하여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124a)이 형성된다.
상기 축삽입홈(111a)은 상기 허브형 본체(110)와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즉, 상기 연결슬롯부(111)의 내부 양측 방향에서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축삽입홈(111a)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상기 하부몸체(110a)와 상부몸체(110b)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하부몸체(110a)와 상부몸체(110b) 각각에 형성된 반구형 홈의 결합을 통해 구형의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124a)은 상기 엘이디 바(120) 각각의 내측 말단부 양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엘이디 바(120)의 길이방향 양측을 마감하기 위한 상기 캡부재(124)의 양측에서 상기 축삽입홈(111a)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24a)은 상기 엘이디모듈(121)의 일단부에서 상기 엘이디모듈(121)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갈라지게 형성된 한 쌍의 힌지접속부재(121b) 자체가 힌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힌지접속부재(121b)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원형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축삽입홈(111a)에 끼움되어 축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는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연결슬롯부(111) 각각에서 힌지 결합되어 외측 말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엘이디 조명 장치(100)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가 방사형으로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천장형 모드(A)로 사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를 상기 허브형 본체(110)와 수평하게 회전시킨 경우,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에서 방사상 형태의 외형을 갖추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천장형 모드(A)로 변형된 경우 상기 허브형 본체(110)와 천장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별도의 브라켓 또는 연결부재(도면미도시) 등을 통해 공중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넓은 범위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는 상기 엘이디소자(121a)로부터 투사되는 빛이 균일한 조도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엘이디모듈(121)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허브형 본체(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천장형 모드(A)에서 본 발명 엘이디 조명 장치(100)가 거꾸로 뒤집히게 설치된 경우에는 빛이 천장을 향하여 입사되기 때문에 은은한 간접조명의 연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와 같이 뒤집힌 상태로 엘이디 조명 장치(100)를 설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바형 모드(B)로 사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허브형 본체(11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천장에 매달린 경우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를 일정개수로 나누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눠진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끼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빛의 투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스탠드형 모드(C)로 사용되도록 변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스탠드형 모드(C)에서는 상기 허브형 본체(110)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로부터 수직하게 회전시킨 경우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에서 투사되는 빛이 측면 사방으로 흩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엘이디 바(120)를 소정 경사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킨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빛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어 일정 영역으로 은은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무드형 모드로 사용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 각각이 상기 허브형 본체(110)로부터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 예시된 모드로의 변형은 물론, 더욱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조도 및 입사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한 빛의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상기 엘이디 바(120)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지지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수단(130)은 상기 허브형 본체(11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의 회전각이 서로 일정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힌지축(124a)에 의해 상기 연결슬롯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상기 엘이디 바(120)는 그 회전각이 상호간에 동일하게 맞추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지지수단(130)을 구성하여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 상호간의 회전각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회전지지수단(130)은 걸림부(131)와, 돌기부(132)와, 수직절개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 각각은 상기 허브형 본체(110)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말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반구형 홈 형상을 갖는 상기 걸림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형 본체(110)는 상기 연결슬롯부(111) 내측에서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내부공간과 상기 연결슬롯부(111)를 구획하는 측벽(111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부(132)는 상기 측벽(111b)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걸림부(131) 형상에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반구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32)는 상기 엘이디 바(120)가 상기 힌지축(124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 바(120)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걸림부(131)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131)에 수평하게 끼움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기부(132)는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하부몸체(110a) 및 상부몸체(110b)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 즉, 상기 연결슬롯부(111) 중앙 부분에서 상기 하부몸체(110a) 및 상부몸체(110b) 각각의 수직한 단면이 사분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돌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반구형으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132)는 상기 엘이디 바(120)가 상기 힌지축(124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중에 복수개로 구성된 상기 걸림부(131)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131)에 끼워질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절개부(133)는 상기 돌기부(132)의 양측 방향에서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측벽(111b) 일부를 수직하게 절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32)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절개부(133)는 상기 연결슬롯부(111)에서 상기 엘이디 바(120)가 상기 힌지축(124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돌기부(132)가 상기 엘이디 바(120)의 내측 말단부 외주면 즉, 상기 캡부재(124)의 외주면에 밀리는 경우 탄성바이어스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이디 바(120)가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연결슬롯부(111)에 형성된 측벽(111b) 부분에서 일정 간격으로 마찰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상기 회전지지수단(130)의 구성을 통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가 일정한 각도로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되는데, 도 4에는 상기 엘이디 바(120)가 대략 30°~ 60°의 범위 간격으로 마찰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131)가 상기 캡부재(12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 각각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외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수직하게 펼침 및 접힘되는 것은 물론, 도 1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킬 수 있는 실시예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회전지지수단(130)은 상기 힌지접속부재(121b)의 외주면을 따라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돌기와, 상기 돌기와 대응되게 맞물리도록 상기 허브형 본체(110)의 연결슬롯부(111) 내부 양측에 형성된 축삽입홈(111a)의 내주면을 따라 움푹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요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기와 요홈이 상호 마찰 회전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10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의 상호간의 회전각을 동일하게 맞추는 작업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120)로부터 투사되는 빛의 조도가 균일해지게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엘이디 바(120)로부터 투사되는 빛이 상호간에 균형을 이루며 일정 범위로 집광 또는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200)는 다수의 엘이디 바(220)가 허브형 본체(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200)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엘이디 조명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와 같이 허브형 본체(210), 다수의 엘이디 바(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허브형 본체(210)는 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다각면을 이루는 복수의 외부접속면(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211) 각각에는 그 외부접속면(2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입되게 설치된 제1 접속단자(2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는, 상기 제1 접속단자(212)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도록 상기 엘이디 바(220) 각각의 일측 말단부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핀(220a)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211)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접속면(211)은 상기 허브형 본체(210)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다각면을 형성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211)은 상기 허브형 본체(210)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면(211a)과, 상기 허브형 본체(210)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측면(211b)과, 상기 측면(211b)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1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211) 즉, 상기 수직면(211a)과, 측면(211b) 및 경사면(211c) 각각에는 상기 허브형 본체(210)로부터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1 접속단자(2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접속단자(212)는 상기 수직면(211a)과, 측면(211b) 및 경사면(211c) 각각에 대응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엘이디 바(120)를 구성하는 엘이디모듈(111), 방열판(112), 전방커버(113) 및 한 쌍의 캡부재(114)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엘이디 바(220)는 상기 외부접속면(211) 즉, 상기 수직면(211a), 측면(211b) 및 경사면(211c) 각각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내측 말단부가 상기 제1 접속단자(212)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는 연결핀(220a)이 구성된다.
이에,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는 상기 연결핀(220a)이 상기 허브형 본체(210)의 다각면 즉, 외부접속면(211)에 구비된 상기 제1 접속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엘이디 바(220)는 상하방향으로의 연결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211)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가 상기 수직면(211a), 측면(211b) 및 경사면(211c) 중 어느 하나의 외부접속면(211)에 방사 대칭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 바(220)의 전방으로 빛이 입사되는 경우 일정한 방향 또는 일정 범위로 빛이 집광 또는 확산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2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의 엘이디 조명 장치(100)와 같은 천장형 모드(D), 테이블 모드(E) 및 무드형 모드(F)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200)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바(220)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내측 말단부가 상기 연결핀(220a)을 통해 상기 허브형 본체(210)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측 말단부에 상기 연결핀(220a)과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22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는 각각의 상기 엘이디 바(220) 서로가 상호간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일정 개수만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허브형 본체(210)에서 출력 가능한 전원의 공급량에 따라 서로 이웃하여 나란하게 연장되는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220)가 일정 길이로 연속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발광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장치(2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또는 바 형태 등의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됨으로써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의 일실시예에서 보다 넓은 범위로 집중 조명이 가능한 것은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은 천장형 모드(D), 테이블 모드(E) 및 무드형 모드(F) 등의 조명 연출 또한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엘이디 조명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200 엘이디 조명 장치 110,210 허브형 본체
111 연결슬롯부 111a 축삽입홈
112 전원공급모듈 112a 접속판
112b 전원공급기판 120,220 엘이디 바
121 엘이디모듈 121a 엘이디소자
121b 힌지접속부재 122 방열판
123 전방커버 124 캡부재
124a 힌지축 130 회전지지수단
131 걸림부 132 돌기부
133 수직절개부 211 외부접속면
211a 수직면 211b 측면
211c 경사면 212 제1 접속단자
220a 연결핀 220b 제2 접속단자

Claims (6)

  1. 전원공급이 가능한 허브형 본체와;
    일정 길이를 갖도록 다수의 엘이디소자가 길이 방향을 따라 실장된 엘이디모듈이 구비되고, 각각의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방사 대칭형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엘이디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바는, 상하 방향으로의 연결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측 말단부가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바가 상기 허브형 본체로부터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회전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엘이디 바의 내측 말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반구형 홈이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엘이디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엘이디 바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대응하여 끼움 지지되도록 상기 허브형 본체의 외측에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엘이디 바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돌기부가 상기 엘이디 바의 내측 말단부 외주면에 밀리는 경우 탄성바이어스 되도록 상기 돌기부의 양측 방향에서 상기 허브형 본체의 측벽 일부를 수직하게 절개하여 상기 돌기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수직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형 본체는, 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다각면을 이루는 복수의 외부접속면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 각각에는 그 외부접속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입되게 설치된 제1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엘이디 바는, 상기 제1 접속단자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도록 상기 엘이디 바의 내측 말단부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핀이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의 연결 경사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형 본체는, 상기 복수의 외부접속면이 상기 허브형 본체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허브형 본체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된 측면과, 상기 수직면 또는 측면과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엘이디 바 각각의 양측 말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엘이디 바 각각의 외측 말단부에서 상기 연결핀과 나란한 방향으로 끼움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엘이디 바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0140011296A 2014-01-29 2014-01-29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50090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96A KR20150090537A (ko) 2014-01-29 2014-01-29 엘이디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96A KR20150090537A (ko) 2014-01-29 2014-01-29 엘이디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37A true KR20150090537A (ko) 2015-08-06

Family

ID=5388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96A KR20150090537A (ko) 2014-01-29 2014-01-29 엘이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5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80U (ko) * 2017-01-18 2018-07-26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 시인성 엘이디 바 조립체
WO2023092064A1 (en) * 2021-11-18 2023-05-25 Flipo Group Limited, Inc. Collapsible ligh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80U (ko) * 2017-01-18 2018-07-26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 시인성 엘이디 바 조립체
WO2023092064A1 (en) * 2021-11-18 2023-05-25 Flipo Group Limited, Inc. Collapsible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985B1 (en) Finite element and multi-distribution LED luminaire
US7695162B2 (en) LED lamp having a plurality of heat sinks
US20110038148A1 (en) Led light fixture
JP2020074313A (ja) 傾斜した外壁を有するledベースの光源
EP2418422A2 (en) Led lamp having broad and uniform light distribution
US8317361B2 (en) Operation lamp and illumination unit thereof
US20130107530A1 (en) High Efficiency LED Lighting System with Thermal Diffusion
KR20140038633A (ko) 조명 장치
KR101349843B1 (ko) 조명 장치
US20130322069A1 (en) Lamp structure
JP2011100714A (ja) Led照明ユニット
JP2007265646A (ja) 照明器具
US9759407B2 (en) Opto-mechanically adjustable and expandable light fixtures
KR20170079407A (ko) 야외용 조명기구
KR20080005009U (ko) 엘이디를 사용하는 매입등용 하우징
KR20150090537A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10056140A (ko) 엘이디 램프
KR20160111132A (ko) 조명 장치
KR200471915Y1 (ko) 조명장치
KR200463715Y1 (ko) 의료용 조명등의 조립구조
JP5580112B2 (ja) 電球形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101167043B1 (ko) 다중 리플렉터를 구비한 엘이디 전구
KR20170067029A (ko) 개별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622075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전구형 조명장치
JP3156929U (ja) Led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7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05

Effective date: 2018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