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965A -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 Google Patents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965A
KR20210088965A KR1020200002091A KR20200002091A KR20210088965A KR 20210088965 A KR20210088965 A KR 20210088965A KR 1020200002091 A KR1020200002091 A KR 1020200002091A KR 20200002091 A KR20200002091 A KR 20200002091A KR 20210088965 A KR20210088965 A KR 20210088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ter pressure
load bearing
increasing load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무락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965A/ko
Publication of KR2021008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965A/ko
Priority to KR1020220126648A priority patent/KR10259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이나 교대를 비롯한 다양한 벽체(이하, 옹벽으로 설명)의 배면에 설치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을 저감시키고 옹벽의 배면에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다양한 연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켜 옹벽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보다 가벼운 단위중량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블록에 배수의 기능 및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부여하여 옹벽에 가해지는 토압 및 수압을 저감시키고, 연직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는 배수가 가능한 다양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Block to reduce earth and water pressure and to increase load bear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to use the block}
본 발명은 옹벽이나 교대를 비롯한 다양한 벽체(이하, 옹벽으로 설명)의 배면에 설치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을 저감시키고 옹벽의 배면에 상부로부터 작용하는 다양한 연직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켜 옹벽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보다 가벼운 단위중량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블록에 배수의 기능 및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부여하여 옹벽에 가해지는 토압 및 수압을 저감시키고, 연직하중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배후사면의 경사를 자연안식각 이상으로 유지하며 배후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물로 효과적인 부지활용을 목적으로 설치되며 도시화 및 사회기반시설의 증가, 가용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옹벽설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100)의 배면에 뒤채움되는 토사(101)의 단위중량이 작지 않아 옹벽(100)의 배면에는 상대적으로 큰 토압이 작용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 옹벽(100)의 두께를 크게 설계 및 시공해야함에 따라, 공기 및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옹벽 시공 및 현장조건에 따라 뒤채움되는 배면측 토사의 배수능력이 충분하지 않아 시공 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배면측 토사가 물에 포화되어 단위중량이 증가하여 토압이 증가함과 더불어 수위증가로 인한 수압 또한 증가하게 되어 옹벽(100)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옹벽(100)에 배부름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옹벽(100)을 설치한 후 옹벽(100)의 배면에 토사(101)를 채워 다짐을 하면서 동시에 자갈(102), 모래, 쇄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배수층을 형성하여 배수공(103)이나, 파이프(104)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옹벽(100)에 작용하는 수압발생을 줄이도록 설치하고는 있으나, 옹벽(100)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옹벽 배수기능이 저하되고 인접한 시설물 설치 등의 주변 환경변화로 인해 옹벽(100)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이 설계 시 고려한 토압 및 수압보다 크게 증가하여 옹벽(100)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55950호 "연약지반 구조용 블록"와 같이, 뒤채움재로서 사용되는 토사 대신에 단위중량이 작아 무게가 가벼운 EPS(Expanded Polystyrene) 블록 등으로 대체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줄이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EPS 블록은 토사보다 단위중량이 작아 토압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배수기능이 없어 여전히 옹벽의 배면에 자갈, 모래, 쇄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배수층을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연직하중에 장기간 노출될 때 크립 등으로 인한 압축변형이 증가하여 지표침하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토사보다 가벼운 단위중량을 가진 재료로 만들어진 블록을 활용하면서, 배수가 원활하고, 지지하중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55950호 "연약지반 구조용 블록"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경감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EPS 블록공법의 배수기능이 없는 문제점과 크립 등으로 인한 압축변형증가 문제점을 해소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뿐만 아니라 수압도 경감시키면서 하중 지지능력도 증기시킬 수 있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시공법을 제공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토사뒤채움 방법이나 EPS 블록채움 방법과 비교하여 토압 및 수압을 더욱 경감시켜 옹벽의 단면 또한 보다 작게 설계 및 시공할 수 있어 옹벽설치에 따른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켜 경제성을 추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블록채움 방법과 비교하여 하중 지지능력을 증가시켜 연직하중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블록의 크립변형으로 인한 지표침하에 대한 우려 및 문제점을 감소시키고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 후 옹벽 배수기능 저하 및 환경변화로 인해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 하중의 증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노후옹벽의 안정성을 추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은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홀의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는 중공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외부를 감싸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른 블록 몸체를 한번에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움재는 자갈, 모래, 쇄석, 플라스틱 볼, 발포 세라믹 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의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배수홀과 가로 방향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제2 배수홀로 구성되며, 제1 배수홀과 제2 배수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교차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 표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표면판은 인접한 블록 몸체에 설치된 다른 블록 표면판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 표면판에는 수평방향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 표면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블록 표면판은 지지체와 일체형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법은 상기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옹벽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토사를 지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의하면, 블록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배수홀에 지지체와 채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채워짐으로써,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수압을 크게 저감하여 하중 지지능력을 증가시키고, 옹벽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의하면, 종래의 토사 뒤채움 방법이나 EPS 블록채움 방법과 비교하여 토압 및 수압을 더욱 경감시켜 옹벽의 두께 또한 보다 얇게 설계 및 시공할 수 있어 옹벽설치에 소요되는 공기 및 공사비를 감소시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의하면, 블록의 배수홀에 설치되는 채움재 및 지지체를 통해 하중 지지능력을 크게 증가시켜 연직하중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블록의 크립변형으로 인한 지표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에 의하면, 블록 내의 채움재 및 지지체와 필터재를 통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장기간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옹벽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토사를 뒤채움재로 사용하고, 배수층을 형성한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법에 따라 설치된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에 적용된 블록 표면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에 적용된 블록 표면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필터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 또는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또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법에 따라 설치된 옹벽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에 적용된 블록 표면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에 적용된 블록 표면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필터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 또는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법은 옹벽(100)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뒤채움재로 설치한 후 토사(101)를 성토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이하, 블록)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중공 지지체(점선으로 개념적으로 도시, 3)가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체(점선으로 개념적으로 도시, 3)가 복수 개의 블록(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10)은 토사(101)의 토압을 지지하면서 지지체(3)를 통해 옹벽(100)의 배수공(103) 및 하단에 설치된 유공관(104)으로 물을 배수시키게 되며, 블록(10, 10a)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없이 다양한 종류의 다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10)을 통해 배수된 물이 옹벽(100)의 배수공(103)이나, 하단의 유공관(104)으로 흐르도록 옹벽(100)과 블록(10) 사이에는 배수재(10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블록(100)의 최하단에는 유공관(104)으로 물이 배수되도록 자갈(102)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의 배수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은 EPS(Expanded Polystyrene)소재를 비롯하여 토사보다 가벼운 단위중량을 가진 재료로 구성된 다면체의 블록 몸체(1)와 상기 블록 몸체(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2)이 형성되어 토사에서 옹벽배면으로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홀(2)은 기본적으로 각 면에 형성된 배수홀(2)의 배열 형태 및 개수가 동일하게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의 블록 몸체(1) 형성된 상기 배수홀(2)에는 채움재(4)가 채워지거나, 중공의 지지체(3)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배수홀(2)에 중공의 지지체(3)가 삽입되고, 지지체(3) 내부에 채움재(4)가 채워질 수도 있다.
다만, 배수홀(2) 내에 입자형태의 채움재만 채워져 있을 경우 상부하중에 의해 채움재가 압축되어 주변 EPS를 옆으로 밀면서 변형되는 배부름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지지체(3)가 삽입되거나, 지지체(3)와 채움재(4)가 혼용되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체(3)는 배수홀(2) 및 블록 몸체(1)의 전반적인 하중 지지능력을 크게 증가시키게 되며, 특히 배수홀(2) 내에 입자형태의 채움재만 채워져 있을 경우 상부하중에 의해 채움재가 압축되어 주변 EPS를 옆으로 밀면서 변형되는 배부름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우려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하중지지 효과 저감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3)는 하중 지지능력을 크게 증가시켜 하중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블록(10)의 크립변형으로 인한 지표침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2)에 삽입되는 중공의 지지체(3) 내부에 채워지는 채움재(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체(3) 없이 상기 배수홀(2)에는 직접적으로 채움재(4)가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채움재(4)는 우수한 통수능력을 가지면서, 하중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자갈, 모래, 쇄석, 플라스틱 볼, 발포 세라믹 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몸체(1)의 상면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 표면판(6)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 표면판(6)은 지지체로의 물 빠짐을 위해 배수를 위한 복수 개의 블록 배수홀(6a)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금속, 지오텍스타일 중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블록 몸체(1) 및 지지체(3)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블록 몸체 전체로 분산시켜 지지체(3)가 하중에 의해 아래의 다른 불록 몸체에 관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표면판(6)에는 수평방향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홈(6b)이 형성되어 배수홀(6a)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블록 몸체(1)에 직접적으로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상기 홈(6a)은 격자 형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표면판(6)은 단순히 블록 몸체(1)의 상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상기 블록 표면판(6)이 블록 몸체(1)의 상부에 접착되거나, 체결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블록 표면판(6)이 인접한 복수 개의 블록 상면을 한번에 덮어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하나의 블록 표면판(6)이 여러 블록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 표면판(6)은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해 인접한 블록 몸체에 설치된 다른 블록 표면판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 표면판(6)과 다른 블록 표면판이 결합될 경우, 연결부가 모멘트 및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블록 표면판(6)과 지지체(3)간 연결부는 축하중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블록 표면판(6)과 지지체(3)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 몸체(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수홀(2)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배수홀(2a)과 가로 방향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제2 배수홀(2b)로 구성되며, 제1 배수홀(2a)과 제2 배수홀(2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교차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지지체(3a, 3b)가 교차하는 위치는 물 빠짐이 가능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럭(1)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각 지지체(3) 내부에 채움재(4)가 모두 채워지거나,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지지체(3a)에만 채움재(4)가 채워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수홀(2b) 및 제2 지지체(3b)가 설치되는 경사각도 및 경로, 위치, 개수 등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재(5)는 물은 통과시키면서, 토사는 잡아주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체(3)를 감싸거나, 지지체(3)의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상단부를 덮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텍스타일을 비롯하여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지지체(3)의 단부에 결합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필터재(5)는 지오텍스타일(5c)이 중앙에 채워지고,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5a)가 형성된 캡 형태로 지지체(3) 또는 배수홀의 단부에 결합되고, 플랜지(5a)가 블록 몸체(1)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필터재(5)가 직접적으로 상기 배수홀의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상단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표면판(6)을 더 포함할 경우, 블록 표면판(6)이 지지체(3b)를 통해 전달되는 상부 하중을 분산시켜줌에 따라, 블록 몸체(1)를 수직하게 정렬시키지 않고 설치 환경에 맞춰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체(3b)가 복수 개의 블록 몸체(1)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최하단에는 잡석, 모래, 배수판을 비롯한 배수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는 복수 개의 블록 몸체(1)를 미리 설치한 후 지지체(3b)가 복수 개의 블록 몸체(1)를 관통하면서 배수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블록 몸체
2 : 배수홀
3 : 지지체
4 : 채움재
5 : 필터재
6 : 블록 표면판
7 : 배수관
10 :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00 : 옹벽
101 : 토사
102 : 자갈
103 : 배수공
104 : 파이프

Claims (18)

  1.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의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3.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에 삽입되는 중공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채워지는 채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외부를 감싸는 필터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른 블록 몸체를 한번에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자갈, 모래, 쇄석, 플라스틱 볼, 발포 세라믹 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0. 다면체의 블록 몸체와;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과;
    상기 배수홀의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1. 제 1항, 제 3항,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홀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배수홀과;
    가로 방향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제2 배수홀로 구성되며,
    제1 배수홀과 제2 배수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교차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2. 제 1항, 제 3항,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 표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표면판은 인접한 블록 몸체에 설치된 다른 블록 표면판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표면판에는 수평방향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블록 표면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블록 표면판은 지지체와 일체형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표면판은 인접한 블록 몸체에 설치된 다른 블록 표면판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표면판에는 수평방향으로 물이 흘러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하나의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옹벽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토사를 지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을 이용한 시공법.
KR1020200002091A 2020-01-07 2020-01-07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20210088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91A KR20210088965A (ko) 2020-01-07 2020-01-07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1020220126648A KR102597836B1 (ko) 2020-01-07 2022-10-04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091A KR20210088965A (ko) 2020-01-07 2020-01-07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648A Division KR102597836B1 (ko) 2020-01-07 2022-10-04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965A true KR20210088965A (ko) 2021-07-15

Family

ID=768902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91A KR20210088965A (ko) 2020-01-07 2020-01-07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1020220126648A KR102597836B1 (ko) 2020-01-07 2022-10-04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648A KR102597836B1 (ko) 2020-01-07 2022-10-04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889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15B1 (ko) * 2021-12-09 2022-05-30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5354685A (zh) * 2022-08-08 2022-11-18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山区沿河挡墙防水和排水一体泄水孔结构
KR102547783B1 (ko) * 2022-10-12 2023-06-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50A (ko) 2002-12-23 2004-06-30 임홍수 연약지반 구조용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69Y1 (ko) * 2000-07-06 2000-12-01 주식회사우대기술단 옹벽구조물
KR100378467B1 (ko) * 2000-08-23 2003-03-29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이피에스를 이용한 배수용 블록
KR200223114Y1 (ko) * 2000-12-06 2001-05-15 주식회사대원엔지니어링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20040030756A (ko) * 2004-02-26 2004-04-09 조부호 (철판)으로 테두리를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
KR20060101596A (ko) * 2005-03-21 2006-09-26 이종하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KR101029261B1 (ko) * 2010-10-12 2011-04-18 대상이앤씨(주) 숏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950A (ko) 2002-12-23 2004-06-30 임홍수 연약지반 구조용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15B1 (ko) * 2021-12-09 2022-05-30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5354685A (zh) * 2022-08-08 2022-11-18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山区沿河挡墙防水和排水一体泄水孔结构
KR102547783B1 (ko) * 2022-10-12 2023-06-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47A (ko) 2022-10-17
KR102597836B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836B1 (ko)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CN106522270B (zh) 一种含eps缓冲层的桩基挡墙抗震支挡结构及施工方法
CN113123325B (zh) 一种地下连续墙及其施工方法
WO2013153387A1 (en) Foundation structures
JP3765000B2 (ja) 軟弱地盤における地盤改良基礎工法
JP2014012981A (ja) 液状化対策構造
JP2009133099A (ja) 自立式土留擁壁
CN210288428U (zh) 组合式支护结构
JP2018150772A (ja) 地下構造物の液状化対策構造物
JP3855196B2 (ja) 構造物の基礎構造
CN211665773U (zh) 卸荷板式支护结构
CN206346220U (zh) 一种含eps缓冲层的桩基挡墙抗震支挡结构
KR101192357B1 (ko)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41095A (ko) 지하수 배수장치
JP4183137B2 (ja) 耐震構造
CN110318367A (zh) 一种新型护岸结构
JP2019206803A (ja) 風力発電装置用基礎構造
JPH05140955A (ja) 地盤の流動化防止工法
CN218204535U (zh) 一种适用于填方路基的双层挡土墙
JP3903313B2 (ja) 構造物の基礎構造
CN219262379U (zh) 一种适用于偏压地形的双连拱隧道洞门结构
CN216515715U (zh) 一种快速排水箱式扶壁挡土墙支挡结构
KR101253051B1 (ko) 아칭 말뚝
CN217460627U (zh) 一种防止市政边坡倒塌用加固结构
CN106284408A (zh) 桩承加筋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