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596A -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 Google Patents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596A
KR20060101596A KR1020050023072A KR20050023072A KR20060101596A KR 20060101596 A KR20060101596 A KR 20060101596A KR 1020050023072 A KR1020050023072 A KR 1020050023072A KR 20050023072 A KR20050023072 A KR 20050023072A KR 20060101596 A KR20060101596 A KR 20060101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hol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perfor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이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하 filed Critical 이종하
Priority to KR102005002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1596A/ko
Publication of KR2006010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 내 경사진 절개지나 하천부지, 고수부지 등에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시공되는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축조블록의 적소에 종 방향으로 일정 직경의 유공관 삽입공을 관통 구성하고 이 유공관 삽입공의 주변으로 다방향의 지중수 유입로를 요입 구성하여 축조블록의 시공 시 후방의 토양에서 발생되는 지중수나 우수 등의 수분이 지중수 유입로를 통해 원활하게 집수되는 상태에서 유공관 삽입공에 끼워진 유공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축조된 옹벽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줌으로써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지중수의 유입이 가능하여 지중수의 집수효과를 높이고 지중수가 항상 옹벽 내부의 일정한 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옹벽의 표면의 오염이나 얼룩발생을 방지하여 항시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축조블록, 지중수, 유공관, 삽입공, 지중수유입로.

Description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the block with drain structure of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기존 옹벽의 배수 구조를 보이는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축조블록 2:전면부
3:후면부 4:중간체
10:유공관 삽입공 20,20':지중수 유입로
21:바닥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 내 경사진 절개지나 하천부지, 고수부지 등에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시공되는 축조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축조블록의 적소에 종 방향으로 일정 직경의 유공관 삽입공을 관통 구성하고 이 유공관 삽입공 의 주변으로 다방향의 지중수 유입로를 요입 구성하여 축조블록의 시공 시 후방의 토양에서 발생되는 지중수나 우수 등의 수분이 지중수 유입로를 통해 원활하게 집수되는 상태에서 유공관 삽입공에 끼워진 유공관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축조된 옹벽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줌으로써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지중수의 유입이 가능하여 지중수의 집수효과를 높이고 지중수가 항상 옹벽 내부의 일정한 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옹벽의 표면의 오염이나 얼룩발생을 방지하여 항시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폭우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에 의하여 산비탈이나 언덕의 경사면이 일부 훼손된 경우에는 훼손된 경사면을 일정량만큼 깎아내고 그 부분에 토사를 메워서 새로운 경사면을 조성하게 되고,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에 도로나 철도 등을 새로이 개설한 경우에는 산비탈이나 언덕 부분을 일정량만큼 깍아 내어 개설면을 평지화시킨 다음 나머지부분을 새로운 경사면으로 조성하게 된다.
또한,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호수부근에 조성된 둑이나 제방 또한 토사의 성토로 인한 경사면이 조성되고 아파트 시공시 단지 내 경사진 절개지가 조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사를 깍아 내거나 메워서 새로운 지형으로 조성한 성토지역이나 절토지역의 불안정한 경사면을 나대지로 방치할 경우에는 폭우나 홍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자연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사면의 토사가 쉽게 유실됨으로써 빈번히 경사면의 복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나대지 상태의 경사면이 붕괴되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경사면상에 별도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하여 경사면의 표면 활동에 따른 붕괴 및 낙석 등 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차단시켜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불안정한 경사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사면보강공법으로는,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식생매트와 철망을 경사면상에 고정시킨 다음 철망을 통하여 점성력이 우수한 녹생토 조성물을 취부시키는 아스나 공법과, 천공기를 사용하여 경사면에 일정 깊이의 구멍을 청공시킨 다음 그 구멍에 소일 네일과 모르타르를 삽입하여 그라우팅시키는 소일 네일링 공법과, 아연도금 철선으로 이루어지는 철망상자 속에 잡석을 채워 경사면의 연약부분에 축조시키는 개비온 공법 및 축조블록 등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옹벽의 형성을 축조하여 경사면을 커버하고 지지 시키도록 한 콘크리트 옹벽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콘크리트 옹벽 공법은 견고함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어느 정도의 기간까지는 별다른 누수나 붕괴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경사면 내부에서 고립된 우수나 지하수가 콘크리트의 내측 벽을 침식하게 될 경우 침투수의 동결 및 해빙과정에 콘크리트의 옹벽의 부식과 균열이 매우 따른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시공 후 지속적인 지중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는 종래의 옹벽 구조물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옹벽 구조물의 배수구조는 경사면에 설치된 옹벽 구조물(20)에 지중수(地中水)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배수공(21)이 형성되고, 옹벽 구조물(20)의 하부에는 배수공(21)으로부터 배출되어 흘러내린 우수 또는 지하수를 공공수역 또는 기타 배수지역으로 유도하는 배수로(22)가 설치되는 것으로, 옹벽 구조물(20) 후방의 토양으로부터 유입된 우수 또는 지하수는 배수공(21)을 통해 옹벽 구조물(20)의 표면으로 흘러내린 후, 배수로(22)를 통해 공공수역 또는 기타 배수지역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이러한 기존의 옹벽 구조물의 배수구조는 출구가 표면으로 노출된 배수공(21)을 통해 지중수가 유출되는 것이어서 옹벽 구조물(20) 표면을 얼룩지게 오염시켜 외관을 해치는 적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며, 또한 옹벽 구조물(20)의 배수공(21)에서는 동절기에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 표면에 동파현상이 발생되어 단기간 내에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지중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공관으로의 지중수 집수효과를 높이고 지중수가 항상 옹벽 내부의 일정한 통로를 통해 옹벽 구조물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옹벽의 표면의 오염이나 얼룩발생을 방지하여 축조된 옹벽의 미관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조블록의 적소에 종 방향으로 일정 직경의 유공관 삽입공을 관통 구성하고 이 유공관 삽입공의 주변으로 다방향의 지중수 유입로를 요입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이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중간체(4)로 구성되는 공지 구조의 축조블록(1)에 있어서;
상기 축조블록(1)의 후면부(3) 적소에 종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일정 직경의 유공관 삽입공(10)과;
상기 유공관 삽입공(10)의 주변으로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며 자연 집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21)이 유공관 삽입공(1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다방향의 지중수 유입로(20)(2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P)는 유공관이고, (W)는 옹벽의 배수로이며,
(G)는 뒷채움재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축조블록(1)은 도 2에서와 같이 절개면에 다단으로 축조 시공되며 시공과정에서 상, 하 직선으로 일치하는 축조블록(1)의 유공관 삽입공(10)에 주면에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유공관(P)을 꽂아 설치하게 되며 유공관(P)의 하단은 옹벽의 하부에 형성되는 별도의 배수로(W)로 이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축조 블록(1)에 구성되는 지중수 유입로(20)(20')는 유공관 삽입공(10)을 중심으로 다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지중수 유입로(20)(20')의 바닥은 유입된 물이 자연스럽게 유공관(P)의 통공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유공관 삽입공(10)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의 축조블록(1)은 시공 시 중간체(4)와 후면부(3)를 감싸도록 채워지는 뒷채움재(G)를 통해 유출되는 절개면의 지중수는 지중수 유입로(20)(20')를 통해 다 방향에서 균일하고 원활하게 집수되고 유입된 물은 경사진 바닥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공관 삽입공(10)쪽으로 흘러 들어가 이에 끼워진 유공관(P)의 통공을 통해 유공관(P)의 내부로 유입되며 최종적으로 옹벽의 하부에 구성된 배수로(W)로 배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중수는 축조블록(1)의 전면으로 유출되기 이전에 이미 지중수 유입로(20)(20')를 통해 신속 원활하게 흡수 배출하게 됨으로써 축조블록의 표면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게 되어 깨끗한 표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지중수가 항상 옹벽 내부의 일정한 통로로 구성되는 유공관을 통해 옹벽 구조물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옹벽 표면의 오염이나 얼룩 발생을 방지하여 축조된 옹벽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게 되며, 축조블록의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지중수의 유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공관으로의 지중수 집수 및 배수효과를 높이게 되고 동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옹 벽 구조물의 내부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여 성토부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이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중간체(4)로 구성되는 공지 구조의 축조블록(1)에 있어서;
    상기 축조블록(1)의 후면부(3) 적소에 종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일정 직경의 유공관 삽입공(10)과;
    상기 유공관 삽입공(10)의 주변으로 일정 깊이로 요입 구성되며 자연 집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바닥이 유공관 삽입공(1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는 다방향의 지중수 유입로(20)(2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KR1020050023072A 2005-03-21 2005-03-21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KR20060101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072A KR20060101596A (ko) 2005-03-21 2005-03-21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072A KR20060101596A (ko) 2005-03-21 2005-03-21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596A true KR20060101596A (ko) 2006-09-26

Family

ID=3763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072A KR20060101596A (ko) 2005-03-21 2005-03-21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15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056A (zh) * 2020-08-21 2020-11-24 萧云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景观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20220139847A (ko) * 2020-01-07 2022-10-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847A (ko) * 2020-01-07 2022-10-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압 및 수압저감, 하중지지 증가 겸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CN111980056A (zh) * 2020-08-21 2020-11-24 萧云建设股份有限公司 一种景观挡土墙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2027B1 (ja) ナトム工法で施工されたトンネルの漏水対策工法
KR100593786B1 (ko) 터널 배수구조
KR20130114904A (ko) 터널용 배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6087953B (zh) 一种防治山区大型弃土场泥石流的排水施工方法
CN109113076A (zh) 一种临江下沉隧道基坑开挖支护及降止水方法及其结构
KR100491410B1 (ko) 경사지의 배수구조
KR101707302B1 (ko) 생태 및 경관 기능을 갖는 흙댐 리모델링 공법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CN110952574A (zh) 用于滑坡变形体治理的方法
JP4074313B2 (ja) 通水用鋼矢板、および通水土留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5151731A (ja) 基礎保水透水構造及びその蓄水システム
JP6739887B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20060101596A (ko) 지중수 배수 구조를 갖는 축조블록
JPH08260553A (ja) 雨水等の浸透用側溝構造
KR100284857B1 (ko) 지하암반수의채수공법
JP7222602B2 (ja) 地表面排水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102065141B1 (ko) 지하 저류 배수터널의 압축공기 배출구조체
RU2244063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зования оползней
JPH1060871A (ja) ダムの更新工法
JP4985983B2 (ja) 道路用排水設備の施工方法
KR20060081270A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RU2707315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фундамента сооружения в зоне здания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влажного режима на пучинистых грунтах
RU2230156C2 (ru) Противооползнев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0187240Y1 (ko) 투수관을 이용한 이중 수로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