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246A -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246A
KR20210088246A KR1020200001455A KR20200001455A KR20210088246A KR 20210088246 A KR20210088246 A KR 20210088246A KR 1020200001455 A KR1020200001455 A KR 1020200001455A KR 20200001455 A KR20200001455 A KR 20200001455A KR 20210088246 A KR20210088246 A KR 20210088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iot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092B1 (ko
Inventor
조범진
이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주식회사 케이탑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주식회사 케이탑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0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0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은, 제1기관과 관련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제1개방형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제2기관과 관련된 제2서버에서 제공하며, 상기 제1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제2정보를 제2개방형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도록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3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이 모니터링되면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를 통하여 재난의 알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using IoT and Bigdata}
본 발명은 재난상황을 예측하여 알림을 수행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각종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 발생으로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가 대규모화 됨에 따라 재난대비의 한계 및 현장 대응역량의 문제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맞춤형 대응과 함께, 재난안전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6793호 (공개일자: 2015년05월04일)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재난 감지 시스템이나, 등록특허공보 10-2013153호(공고일자: 2019년08월27일)의 재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시간적 한계, 공간적 한계, 예산적 한계로 인하여, 각종 재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면서도 지역 맞춤형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인프라 구축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4차산업 혁명과 연계한 재난안전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아직 출발선 단계에 있다. 특히, 재난안전의 경우 지역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기술 등은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지역 맞춤형 대응과 함께, 재난안전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내 실정에 맞춘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공용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한 맞춤형 재난정보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지역단위로 재난예측을 수행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재난안전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IoT 기반의 지능형 재난 알림 기술을 구현하여, 보다 효율적인 실용적인 재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은, 공용 API를 이용하여 지역 맞춤형 재난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IoT를 활용하여 지능형으로 재난 상황을 전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은 제1기관과 관련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제1개방형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제2기관과 관련된 제2서버에서 제공하며, 상기 제1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제2정보를 제2개방형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와,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도록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3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이 모니터링되면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를 통하여 재난의 알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지역단위로 구축되도록, 상기 지역 단위로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특정지역의 선택이 가능한 지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지역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지역에 해당하며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와 함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와 관련된 특정 일자에 매칭된 장소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장소 정보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일자의 예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예측 정보와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IoT 기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 등록된 기기이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 등록된 기기로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IoT 기기는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출력하도록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서, 상기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은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실시간 재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나 상기 IoT기기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재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기관과 관련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제1개방형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제2기관과 관련된 제2서버에서 제공하며, 상기 제1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제2정보를 제2개방형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및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도록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합서비스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제3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이 모니터링되면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를 통하여 재난의 알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로부터 수집된 정보로부터 재난 발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방문할 예정인 지역의 재난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지역 단위로 구축된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재난안전을 통합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지역 맞춤형 재난 상황 발생에 대한 대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공용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한 맞춤형 재난정보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이다. 공용 API라고도하는 개방형 API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하며, 네트워크 액세스 가능 서비스의 소유자가 해당 서비스의 사용자에게 보편적인 액세스를 허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시스템(100)"(이하,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이라 명명함)은, 복수의 서버(210, 220)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재난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100)은, 과거 특정 지역에서 기상 정보(예를 들어, 강수량 정보) 및 기상 정보와 관련된 재난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매칭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다. 그리고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100)은,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를 토대로 특정 지역의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은, 단말기(310)의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로부터 특정 일자에 매칭된 사용자의 장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하여, 특정 일자에 상기 추출된 장소의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기기(300)로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전자기기는, 이동 단말기(310) 및 상기 단말기와 연결된 IoT 기기(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100)은, 정보 수집부(110), 통신부(120), 통합서비스 제어부(130) 및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보 수집부(110)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복수의 서버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서버를 2개의 서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정보 수집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210)는, 기상청의 서버이다. 이때 기상청 서버에 해당하는 제1 서버(210)는, 과거의 지역별 기상 정보 뿐만 아니라, 현재 예측되는 지역별 기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100)은, 제1 서버(210)를 통해 지역별로 강수량(또는 적설량) 정보, 지진/해일 발생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버(220)는, 기상청 외의 기관(또는 단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버(220)는, 예를 들어, 산림청 서버, 소방청 서버, 지자체 서버 등 재난을 예측하기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기관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100)은, 일 예로서, 산림청 서버로부터 지역별로 산사태 발생 정보, 산불 발생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통합서비스 제어부(이하, "제어부"라고 명명함, 130)는, 상기 복수의 서버로부터 수집된 정보들 중 서로 관련성 있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추출된 정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를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및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지역별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한 결과로서, 지역별로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생성된 알림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버 및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예를 들어, 기상청 서버, 산림청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통신부(120)는, 제어부가 생성한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 및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기기는, 사물에 센서와 프로세서를 장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상호 통신할 수 있는 기기로, 예를 들어, IoT 스피커, IoT TV, IoT 냉장고, IoT 에어컨, IoT 공기 청정기 등 각종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통합 시스템(1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정보 수집부(110)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서버는 제1 서버(210) 및 제2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210)는, 기상청 서버이다. 그리고 제2 서버(220)는 기상청 외의 기관(또는 단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버(220)는, 예를 들어, 산림청 서버, 소방청 서버, 지자체 서버 등 재난을 예측하기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기관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2 서버를 산림청 서버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기상청 서버인 제1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10).
정보 수집부(110)는, 제1 서버인 기상청의 서버로부터 지역별로, 강수량(또는 적설량) 정보, 지진/해일 정보, 대기의 습도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제1 정보"로 명명한다.
일 예로서, 기상청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는, 특정 지역에서의 과거의 시점에 대응하는 강우량 정보 및 현재 예측되는 미래 시점의 강우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수집부(110)는, 제2서버에서 제공하고, 제1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2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정보와 관련이 예측되고, 제2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제2 정보"로 명명한다. 여기서 제1 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정보란,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제1 정보와 제2 정보 간의 관련성을 예측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정보 수집부(110)는, 일 예로서, 제2 서버인 산림청의 서버로부터 제1 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제2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정보는, 지역별 산사태 발생 정보, 산불 발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정보와 제2 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S330).
여기서 제어부(130)가 제1 정보와 제2 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한다는 것은,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제1 정보와 제2 정보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서, 상기 특정 조건을 기준으로 제1 정보와 제2 정보 사이의 공통점, 유사점 등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은, 특정 지역이 될 수 있으며, 제1 정보는, 상기 특정 지역에서의 강수량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특정 지역에서의 산사태 발생과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조건인 특정 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정보에 해당하는 강수량일 때, 상기 제2 정보에 해당하는 산사태가 발생되었다고 분석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정보(강수량 정보)와 상기 제2 정보(산사태 발생과 관련된 정보)가 서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다른 예로서, 대기의 습도가 일정량 이하인 경우 산불이 발생하였다는 정보와 같이, 기상청으로부터 수집된 제1 정보와 재난 발생과 관련된 제2 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110)는, 기상청 서버(410)로부터 특정 일자(예를 들어, 2018.07.01.)에 특정 지역(예를 들어, A지역)에서의 강수량 정보(예를 들어, 300mm)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110)는, 산림청 서버(420)로부터 상기 강수량 정보가 수집된 일자에(예를 들어, 2018.07.01.)에 상기 강수량 정보가 수집된 지역(예를 들어, A지역)과 관련된 재난 발생 정보(예를 들어, 산사태 발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정보 수집부(110)에 저장된 상기 강수량 정보와 상기 재난 발생 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A지역에 강수량이 200mm인 경우에는 산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강수량이300mm인 경우 산사태가 발생하였다는 정보에 근거하여, "A지역은 강수량이 300mm"인 경우, "산사태의 발생"과 같이 연관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분석한 결과에 따라 히스토리 정보(430)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지역별로 생성된 히스토리 정보(430)를 기반으로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는, 정보가 수집될 때마다 갱신될 수 있으며, 누적되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340). 이때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제2 정보와 구분하기 위하여 "제3 정보"로 명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단말기 상에 설치되거나, 단말기 출고 당시부터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는,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추출(또는 검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캘린더 앱, 다이어리 앱, 문자 앱 등)에 저장된 사용자와 관련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캘린더 앱에 저장된 정보 중,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는 "특정 일자에 A지역에 방문 예정"과 같은 스케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3 정보와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관련된 재난 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S350). 여기서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재난 상황 발생 가능성은, 현재를 기준으로 미래 시점에 방문 예정인 일자 및 장소에 대응하는 재난 상황 발생 가능성, 또는 현재 시점에 머물고 있는 장소에 대응하는 재난 상황 발생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서 특정 일자에 매칭된 장소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140)에서 상기 장소 정보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장소 정보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란,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정보(예를 들어, 강수량 정보) 및 제2 정보(예를 들어, 산사태 발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A지역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는, A지역의 강수량이 300mm인 경우 산사태 발생하였고, 강수량이 500mm인 경우 하천 범람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히스토리 정보이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기상청 서버(또는 제1 서버)를 통해 상기 특정 일자의 예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정보는, 특정 일자에 해당하는 특정 지역에서의, 강수량 예측 정보, 적설량 예측 정보, 및 지진 예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특정 지역(예를 들어, A지역)에서의 특정 일자에 해당하는 예측 정보와, 상기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특정 장소(예를 들어, A지역)의 히스토리 정보를 비교하여(또는 매칭하여, 또는 분석하여)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복수의 서버로부터 수집된 과거의 재난 발생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구축된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 및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 정보(예를 들어,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방문 예정인 장소에 대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출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일자 및 특정 장소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재난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재난 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단말기(52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서 특정 일자(예를 들어, 19.08.01)에 매칭된 장소 정보(예를 들어, A지역)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540)에서 상기 검출된 장소 정보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541)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장소 정보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541)란, 장소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A지역에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541)는, A지역의 강수량이 300mm인 경우 산사태 발생하고, 강수량이 500mm인 경우 하천 범람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 예로서, 단말기(520)로부터 수신된 스케줄 정보에 의하여, 사용자가 특정 일자(예를 들어, 2019년 8월 1일)에 A지역을 방문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상청 서버(510)를 통해, 상기 특정 일자에 특정 지역에서의 예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상청 서버(510)로부터 사용자가 방문 예정인 일자(예를 들어, 2019년 8월 1일)에 해당 A지역의 강수량 예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특정 지역(예를 들어, A 지역)을 방문할 예정인 일자(예를 들어, 2019년 8월 1일)에 상기 특정 지역의 기상청 예측 정보를,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540)에 저장된 A지역의 히스토리 정보(541)를 통해 재난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임계 값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재난 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540)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541)에 의하면, A지역의 산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임계 값 정보는, 강수량 300mm이다. 즉 A지역에 강수량이 300mm이상인 경우, A 지역의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검출된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특정 일자 및 특정 장소와 관련된 재난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재난예측 알림 정보(542)를 생성하고,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530)를 통하여 재난의 알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단말기(520)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IoT 기기(530)로 전송할 수 있다(S360).
재난예측 알림 정보는, 사용자에게 재난의 발생이 예측됨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다. 이러한 재난예측 알림 정보는, 청각적, 촉각적 및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생성된 재난예측 알림을, 사용자의 단말기(520) 및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5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단말기(520) 또는 IoT 기기(530)는 복수의 알림 방식으로 재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알림 방식은, 청각적, 촉각적 및 시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방식을 통해 재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알림 방식 중 어느 알림 방식으로 재난 알림이 출력될지 여부는, 사용자(또는 재난안전통합 시스템의 운영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복수의 알림 방식 중 적어도 두개를 조합하여 재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합되는 적어도 두개의 알리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청각적 방식은, 소리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일 예로서, 제어부는, 재난 알림 발생 시 마다, 단말기(520) 또는 IoT 기기(530)를 통해 특정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는, 재난 알림 발생 시, 단말기(520) 또는 IoT 기기(530)를 통해 재난 발생 정보가 TTS(Text to Speech, 음성합성) 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에 기 등록된 IoT 기기(530)를 통해 "2019년 8월 1일, A지역의 산사태 발생이 예상되므로 주의바랍니다"라는 음성 안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촉각적 방식으로는, 진동 알림 방식이 있으며, 재난 알림 시 마다, 전자 기기를 통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진동이 출력될 수 있다.
시각적 방식으로는, 알림창(또는 팝업 메시지(Toast), 또는 푸시 메시지(Push Message))을 통해 재난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각적 방식의 알림은, 사용자의 선택(또는 설정)에 따라 청각적 방식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과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고, 시각적 방식의 알림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통합 시스템(100)은, 일 예로서,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기준에 해당하는 재난 예측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기준은, 지역 또는 일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특정 지역의 선택이 가능한 지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출력된 지도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선택된 특정 지역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특정 지역에 해당하는 재난 예측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통해 출력된 지도 정보에서 A지역을 선택하는 경우, A지역의 재난 발생과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A 지역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해 "A지역은 강수량이 300mm이상인 경우 산사태 발생 가능성 있으므로 주의 필요"라는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방문 예정인 지역의 재난 히스토리를 사전에 검색함으로써, 재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일자(또는 날짜)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일자에 대응되는 히스토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일자에 지역별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상기 히스토리 정보와 함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A 지역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해 "A지역은 강수량이 300mm이상인 경우 산사태 발생 가능성 있으므로 주의 필요"라는 정보와 함께, "오늘은 A지역의 강수량이 300mm이상 내릴 것으로 예측되므로, 주의 바랍니다"라는 알림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구축된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하여, 운영 시스템(610) 또는 운영자(또는 관리자)가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이 예측되는 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기 또는 IoT 기기로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예측 알림 정보는 재난의 발생이 예측되는 지역별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A지역(620)에 산사태 발생이 예측되고, B지역(630)에 하천 범람이 예측되는 경우 각각의 지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또는 IoT 기기)로 재난예측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서, 제어부(130)는, 제1서버 및 제2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실시간으로 재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나 상기 IoT 기기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재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실시간 재난 정보를 통해 재난의 발생이 예측되는 지역의 방문을 피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로부터 수집된 정보로부터 재난 발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방문할 예정인 지역의 재난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은, 지역 단위로 구축된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재난안전을 통합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지역 맞춤형 재난 상황 발생에 대한 대응을 제공할 수 있다.
100: 재난안전통합 시스템
110: 정보 수집부
120: 통신부
130: 통합 서비스 제어부
140: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
210: 제1 서버
220: 제2 서버
300: 전자기기
310: 단말기
320: IoT 기기

Claims (10)

  1.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기관과 관련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제1개방형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
    제2기관과 관련된 제2서버에서 제공하며, 상기 제1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제2정보를 제2개방형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단계;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도록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단계;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3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이 모니터링되면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를 통하여 재난의 알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지역 단위로 구축되도록, 상기 지역 단위로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특정지역의 선택이 가능한 지도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지역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특정지역에 해당하며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는 상기 히스토리 정보와 함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는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서 기 설정된 이벤트와 관련된 특정 일자에 매칭된 장소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장소 정보와 관련된 히스토리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일자의 예측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예측 정보와 상기 히스토리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기 등록된 기기이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기 등록된 기기로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출력하도록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 또는 상기 제2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실시간 재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나 상기 IoT 기기를 통하여 상기 실시간 재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10.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1기관과 관련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제1개방형 에이피아이(API)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제2기관과 관련된 제2서버에서 제공하며, 상기 제1정보와 관련이 예측되는 제2정보를 제2개방형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및
    재난예측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도록 상기 제1정보와 상기 제2정보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합서비스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합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관련된 제3정보를 검출하며, 상기 제3정보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재난상황 발생 가능성이 모니터링되면 재난예측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IoT 기기를 통하여 재난의 알림이 수행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IoT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200001455A 2020-01-06 2020-01-06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1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55A KR102318092B1 (ko) 2020-01-06 2020-01-06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55A KR102318092B1 (ko) 2020-01-06 2020-01-06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246A true KR20210088246A (ko) 2021-07-14
KR102318092B1 KR102318092B1 (ko) 2021-10-27

Family

ID=7686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455A KR102318092B1 (ko) 2020-01-06 2020-01-06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248A (ko) * 2021-10-06 2023-04-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586149B1 (ko) * 2022-12-29 2023-10-10 (주)레인보우테크 디지털 트윈 적용 재난 안전 관리 플랫폼
KR102593845B1 (ko) * 2023-05-10 2023-10-25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특정 상황에 대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실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560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정보 제공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05073B1 (ko) * 2013-04-02 2013-09-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보앱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및 경보앱을 이용한 위험경보방법
KR20150059505A (ko) * 2013-11-22 2015-06-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기지국 유동인구 정보를 활용한 재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109116A (ko) * 2014-03-19 2015-10-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931A (ko) *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2018011110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80117026A (ko) * 2017-04-18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산업단지 내 위험확산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4560A (ko)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재난 정보 제공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305073B1 (ko) * 2013-04-02 2013-09-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경보앱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및 경보앱을 이용한 위험경보방법
KR20150059505A (ko) * 2013-11-22 2015-06-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기지국 유동인구 정보를 활용한 재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109116A (ko) * 2014-03-19 2015-10-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9931A (ko) * 2015-02-13 2016-08-23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2018011110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80117026A (ko) * 2017-04-18 2018-10-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산업단지 내 위험확산 방지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248A (ko) * 2021-10-06 2023-04-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586149B1 (ko) * 2022-12-29 2023-10-10 (주)레인보우테크 디지털 트윈 적용 재난 안전 관리 플랫폼
KR102593845B1 (ko) * 2023-05-10 2023-10-25 한국정보기술 주식회사 특정 상황에 대한 교통 정보 센터의 상황실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092B1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092B1 (ko)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202101040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ity Tracking and Generating Alerts
JP6094132B2 (ja) 災害情報管理装置、災害情報システム、災害情報の管理方法、および災害情報を管理するプログラム、ならびに、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動作を制御する制御プログラム
JP6242651B2 (ja) 早期状況把握方法、および装置
JP2007141243A (ja) 交通情報収集・検索システム、交通情報収集・検索方法、交通情報収集装置、交通情報収集方法
US20150309895A1 (e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nd decision-making support method
KR20190077682A (ko) 공공 빅 데이터와 sns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안전지수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2013222305A (ja) 緊急時情報管理システム
KR102375617B1 (ko) IoT를 활용한 지능형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150173B1 (ko)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11361311B2 (en) Service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1702016B1 (ko)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CN111123778B (zh) 监控车辆使用状况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86827B1 (ko) 출석 관리 시스템 및 출석 관리 방법
CN113807750B (zh) 基于环境要素的服务决策装置和方法
JP2016224757A (ja) 業務管理支援装置と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lva et al. Earthquake early warning for Portugal: part 2–where is it beneficial?
KR102126266B1 (ko)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Wu et al. Assessment of Taiwan Public Warning Cell Broadcast Service: Insights from an Expert Focus Group and Citizens
KR102322512B1 (ko) 출입정보에 기초한 건물 안전상태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JP2004110557A (ja) 被害調査システム及び災害調査方法
KR20190074015A (ko)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버스 정보 관리 방법
CN116484428B (zh) 数据安全性检测系统、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20230061012A (ko) Cctv와 사이니지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침수 예경보 및 예방시스템
Su et al. Development of a Targeted Recommendation Model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in the Whole Disaster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