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100A -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100A
KR20180111100A KR1020170041549A KR20170041549A KR20180111100A KR 20180111100 A KR20180111100 A KR 20180111100A KR 1020170041549 A KR1020170041549 A KR 1020170041549A KR 20170041549 A KR20170041549 A KR 20170041549A KR 20180111100 A KR20180111100 A KR 2018011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vibration
disaster
inpu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41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1100A/ko
Publication of KR2018011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장치, 일정 감도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상기 서버장치로 전송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출되는 구조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Notification of Disaster}
본 발명은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장치가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도록 서버장치로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전송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단순히 땅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진동으로 인해 건물, 터널 등의 건축물이 붕괴되기도 한다. 특히, 건축물의 붕괴로 인해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던 사람들이 화재, 폭발,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등의 2차 재난으로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붕괴로 인해 사람들이 매몰되면, 매몰된 사람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골든타임 내에 매몰된 사람들의 구조가 어려워 인명피해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장치에서 진동 감지 시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도록 서버장치로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스캔장치에서 구조 신호를 확인하여 전자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동 감지 시에 스캔장치에서 사용하는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은, 서버장치, 일정 감도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상기 서버장치로 전송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출되는 구조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특정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특정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갖는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특정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상기 서버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을 출력한다.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고 재난방송으로 튜닝하여 상기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또한, 서버장치는, 상기 진동이 재난에 의한 진동이면, 상기 진동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전자장치에서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재난센터로 전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알람 제공 장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서버장치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장치로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에 대한 전송을 제어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구조 신호의 송출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발생되면,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갖는 알람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상기 서버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고 재난방송으로 튜닝하여 상기 재난방송의 출력을 제어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알람 제공 방법은, 진동의 감지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서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특정 버튼에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버튼에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갖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버튼에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는 방법,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진동이 감지되면,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재난방송으로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은, 전자장치에서 진동 감지 시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도록 서버장치로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존재하는 전자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은, 진동 감지 시에 스캔장치에서 사용하는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공중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스캔장치에서 전자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감지 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진동 감지 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스캔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장치에서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10)은 서버장치(100), 전자장치(200) 및 스캔장치(300)를 포함한다.
서버장치(100)는 공중망에 대한 기지국을 통해 복수개의 전자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 통신사 등에서 운영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장치(100)는 LTE-M(long term evolu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장치(100)는 복수개의 기지국을 통해 복수개의 전자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진동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서버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진동정보들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생성한다.
서버장치(100)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자장치(200)에서 수신된 진동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한다. 예컨대,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에서 수신된 진동정보에 포함된 진동에 대한 감도와 진동이 감지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장치(100)는 진동에 대한 감도가 일정 감도 이상이고,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된 것으로 확인되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자장치(200)에서 감지된 진동이 지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장치(100)는 빅데이터와 진동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진동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진동정보가 지진에 의해 생성된 정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에서 수신된 진동정보에 포함된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한 복수개의 전자장치로부터 진동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서버장치(100)는 진동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확인하고 전자장치(200)가 위치한 곳에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진동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의 위치를 기반으로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장치(100)는 진동정보에 포함된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로부터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장치(100)는 진동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전자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지진이 발생한 위치에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진동정보를 빅데이터에 추가한다. 서버장치(100)는 진동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임계치 이상이면, 적어도 하나의 재난센터로 전자장치(200)가 위치한 곳에 재난이 발생되었음을 신고하고, 진동정보를 빅데이터에 추가한다. 이때, 재난센터는 119안전신고센터 등일 수 있다. 서버장치(100)는 진동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임계치 미만이면, 진동정보를 빅데이터에 추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자장치(200)가 존재하는 위치에 발생한 지진을 감지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자장치(200)가 차량 내부 등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자장치(200)가 일정 감도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면,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가 위치한 곳에 사고, 도난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거나,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로 라디오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전자장치(200)는 휴대전화기, 스마트 폰, 타블렛 PC 등 통신이 가능하고, 라디오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진동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진동정보를 생성한다. 전자장치(200)는 진동정보를 공중망에 대한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LTE-M(long term evolu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 LTE,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진동이 감지되면,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여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전자장치(200)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전원이 OFF된 상태이더라도 최소한의 전력 소모를 통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대기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재난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자동으로 튜닝하여 재난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이때, 재난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재난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스캔장치(300)에서 스캔이 가능하도록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전자장치(200)의 사용자는 전자장치(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붕괴된 건축물 내에 매몰되는 등의 최악의 상태에 처했을 경우에 구조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구조 버튼에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구조 신호를 송출하고 있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wifi),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일정 데시벨 이상으로 설정된 알람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재난으로 인해 공중망이 붕괴되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더라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조 신호 및 알람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구조자에게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장치(200)는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전자장치(200)는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하면 전자장치(200)에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에 대한 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전자장치(200)는 서버장치(100)로부터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장치로 메시지의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출력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진동센서(미도시)를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장치를 가진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위치를 성공적으로 제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메시지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처해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며,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스캔장치(300)로부터 특정 통신방식을 통해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스캔장치(300)를 사용하는 구조자가 근처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스캔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채널을 활성화하여 스캔장치(3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전자장치(20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스캔장치(300)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이름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스캔장치(300)의 사용자 즉, 구조자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메모리(260)에 저장된 복수의 문장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문장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문장데이터를 스캔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육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스캔장치(300)와 기본적인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투입된 구조자가 사용하는 장치로, 전자장치(200)에서 사용하는 특정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전자장치(200)에서 송출하는 구조 신호를 스캔한다. 이를 위해, 스캔장치(30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wifi),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특정 통신방식을 통해 전자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구조 신호가 감지되면,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구조 신호가 감지됨을 알리는 알람을 표시한다. 스캔장치(300)는 특정 통신방식을 통해 전자장치(200)와 연결하여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통해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전자장치(200)의 정보는 전자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과 전자장치(200)의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또한,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와 연결된 후에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활성화한다. 스캔장치(300)는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전자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캔장치(300)의 사용자 즉, 구조자는 전자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와 육성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구조 시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구조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스캔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가 스캔되면,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구조 버튼에 입력을 발생시킬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인지하여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스캔장치(300)는 주파수가 스캔되면,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알람을 표시하여 주변에 전자장치(200)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에 따라 전자장치(200)가 활성화되면, 전자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한다.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자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통신 채널이 연결된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LCD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전자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에서 선택된 문장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문장데이터를 음성데이터(TTS; text to speech)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음성데이터 출력 후, 전자장치(200)로 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센서부(220), 입력부(230), 오디오처리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LTE-M(long term evolution machine type communication), LTE, NB-IoT(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를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센서부(220)에서 감지된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를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의 통신을 통해 진동 감지 시의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장치(3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wifi), 지웨이브(z-wave),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재난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재난방송을 수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RF(radio frequenc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되어 재난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재난방송을 제어부(270)로 제공한다.
센서부(220)는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센서부(220)는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전자장치(200)의 외부환경에 의해 전자장치(20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된 센싱정보를 제어부(270)로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3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및 버튼(button)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처리부(24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때, 오디오처리부(24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오디오처리부(240)는 제어부(27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오디오처리부(240)는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출력부(25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조명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명부는 적어도 하나의 LED램프를 포함한다. 조명부는 전자장치(20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는 비상 시에 랜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명부를 통해 구조 신호를 송출 중임을 확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로 메시지를 송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스캔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6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자의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자의 가족 또는 지인 등에 대한 연락처일 수 있다. 메모리(260)는 복수의 문장데이터를 저장한다. 복수의 문장데이터는, 위급상황에서 사용자가 육성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스캔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270)는 센서부(220)에서 감지된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270)는 서버장치(100)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서버장치(100)로 진동정보에 대한 전송을 제어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의 송출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로부터 수신된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진동정보를 생성한다. 진동정보는,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진동의 강도정보, 진동이 발생된 시점에 GPS를 통해 획득된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 메모리(260)에 기저장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및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메모리(260)에 기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생성된 진동정보를 공중망에 대한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진동이 감지되면,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여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제어부(270)는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재난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자동으로 튜닝하여 재난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이때, 재난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재난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재난방송을 출력하고 난 이후에 또는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전자장치(200)가 라디오와 랜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스캔장치(300)에서 스캔이 가능하도록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전자장치(200)의 사용자는 전자장치(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붕괴된 건축물에 매몰되고, 공중망이 붕괴되어 서버장치(100)를 비롯한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최악의 상태에 처했을 경우에 구조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구조 버튼에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구조 신호를 송출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일정 데시벨 이상으로 설정된 알람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중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구조 요청이 가능하여 재난 발생 시에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270)는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제어부(270)는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하면 메모리(260)에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제어부(270)는 서버장치(100)로부터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장치로 메시지의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램프, 스피커 및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처해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며,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스캔장치(300)로부터 특정 통신방식을 통해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스캔장치(300)를 사용하는 구조자가 근처에 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스캔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캔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채널을 활성화하여 스캔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제어부(270)는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스캔장치(300)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이름 및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스캔장치(300)의 사용자 즉, 구조자와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육성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메모리(270)에 저장된 문장데이터를 호출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호출된 문장데이터를 출력부(250)에 표시한다. 제어부(270)는 표시된 문장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문장 데이터가 선택되면, 선택된 문장데이터를 스캔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문장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램프, 스피커 및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하여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문장데이터는 스캔장치(300)에서 음성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감지 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진동이 감지됨을 확인한다. 301단계의 확인결과, 진동이 감지되면 전자장치(200)는 303단계를 수행한다. 30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감지된 진동에 대한 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진동에 대한 정보(이하, 진동정보라 함)는 진동의 강도정보, 진동을 감지한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 진동을 감지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전자장치(200)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구비된 상태일 때, GPS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03단계에서 전자장치(200)가 진동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한 이후에, 317단계에서 전자장치(200)가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200)는 진동이 감지되면, 진동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하는 동시에 재난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305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진동정보를 기반으로 빅 데이터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장치(100)는 복수개의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진동정보와, 기저장된 진동정보를 빅 데이터로 확인한다. 307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빅 데이터와 303단계에서 수신된 진동정보를 비교한 결과, 303단계에서 수신된 진동정보에 포함된 진동의 강도정보가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진 예컨대, 재난인 것으로 확인되면 309단계를 수행한다. 서버장치(100)는 307단계의 확인결과, 303단계에서 수신된 진동정보에 대한 진동의 강도정보가 지진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305단계로 회귀한다.
309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진동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전자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 기지국의 위치로부터 전자장치(200)의 개략적인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서버장치(1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진동정보에 전자장치(200)의 위치가 포함된 상태이면, 이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인 전자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311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303단계에서 수신된 진동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 정보를 확인한다. 313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확인된 수신장치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장치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재난이 발생된 위치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315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재난센터로 전자장치(200)가 위치한 곳에 재난이 발생되었음을 신고한다. 이때, 재난센터는 119안전신고센터 등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313단계 및 315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버장치(100)는 313단계와 315단계를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31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진동이 감지됨이 확인되면,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여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장치(200)는 재난방송을 출력하고 난 이후에 또는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램프를 활성화하여 전자장치(200)가 라디오와 랜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319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입력부(230) 중 구조 버튼(미도시)에 입력이 발생되면 321단계를 수행하고,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구조 버튼의 입력을 대기한다. 사용자는 전자장치(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붕괴된 건물 내에 매몰되는 등의 최악의 상태에 처하면 구조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구조 버튼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321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구조 버튼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구조 신호는 스캔장치(300)에서 스캔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반으로 송출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구조 신호는 블루투스, BLE, 와이파이, 지웨이브 등의 무선 통신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는 신호이다. 323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구조 버튼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알람을 출력한다. 이때, 알람은 사용자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알람으로, 일정 데시벨(예컨대, 90dB) 이상의 알람일 수 있다. 32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구조 버튼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325단계의 확인결과,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전자장치(200)는 319단계로 회귀하여 319단계 내지 325단계를 재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장치(200)가 건물 붕괴 등의 이유로 매몰되어 기지국과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전자장치(200)의 사용자는 구조 신호 또는 알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25단계의 확인결과,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하면 전자장치(200)는 327단계를 수행한다. 327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에 대한 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진동 감지 시에 GPS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329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메시지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 처해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이며,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구조 버튼에 입력이 발생된 시점에 전자장치(200)와 통신한 기지국의 위치정보일 수 있으며, 진동 감지 시에 전자장치(200)에서 획득된 위치정보일 수 있다.
331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333단계를 수행한다. 333단계에서 서버장치(100)는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한다. 335단계에서 전자장치(200)는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수신장치로 메시지의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출력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출력부(250) 중 LED 램프를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진동 감지 시 알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를 통해 진동이 감지됨을 확인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일정 시간 이상, 일정 감도 이상으로 진동이 감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01단계의 확인결과, 센서부(220)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면 제어부(270)는 403단계를 수행하고 진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진동감지여부를 확인한다.
센서부(220)를 통해 진동이 감지됨이 확인되면, 40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를 통해 감지된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서버장치(100)로 전송한다. 진동정보는, 진동의 강도정보, 진동을 감지한 전자장치(200)의 위치정보, 진동을 감지한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전자장치(200)의 사용자가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미도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전자장치(200)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구비된 상태일 때, GPS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정보일 수 있다.
센서부(220)를 통해 진동이 감지됨이 확인되면, 40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재난방송을 출력한다.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단계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의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한다. 50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재난 방송국과 관련된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튜닝을 수행한다. 이때, 재난 방송국과 관련된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되어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 50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재난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재난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고 도 4의 407단계로 리턴한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270)는 재난방송을 출력하고 난 이후에 또는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LED램프를 활성화하여 전자장치(200)가 라디오와 랜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40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입력부(230)에 포함된 구조버튼(미도시)에 입력이 발생되면, 409단계를 수행한다. 40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구조버튼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구조 신호를 송출한다. 구조 신호는, 사용자가 전자장치(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붕괴된 건축물에 매몰되거나, 공중망이 붕괴되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최악의 상태에 처했을 경우에 구조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송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구조 신호는, 스캔장치(300)에서 스캔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반으로 송출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구조 신호는 블루투스, BLE, 와이파이, 지웨이브, 지그비 등의 무선 통신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반으로 하는 신호이다.
41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구조버튼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알람을 출력한다. 알람은, 사용자가 전자장치(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최악의 상태에 처했을 경우에 구조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람이다. 알람은, 일정 데시벨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재난으로 인해 공중망이 붕괴되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사용자가 붕괴된 건축물 등에 매몰되더라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조 신호 및 알람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구조자에게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1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구조버튼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413단계의 확인결과, 서버장치(100)와 통신이 가능하면 제어부(270)는 415단계를 수행하고, 서버장치(100)와 통신이 불가능하면 407단계로 회귀한다. 41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기지국을 통해 서버장치(100)로 구조정보를 전송한다. 구조정보는, 메모리(260)에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에 대한 정보, 진동 감지 시에 GPS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41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서버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 메시지 전송을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419단계를 수행한다. 제어부(270)는 메시지 전송을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413단계로 회귀한다. 41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수신장치로 메시지의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출력부(250) 중 LED 램프 등을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진동센서(미도시)를 활성화하여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송출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스캔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스캔장치(300)와의 연결이 가능하면 605단계를 수행하고, 스캔장치(300)와의 연결이 불가능하면 60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스캔장치(300)와 연결한다는 의미는 스캔장치(300)와 특정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60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스캔장치(300)로부터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605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는, 스캔장치(300)와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60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스캔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스캔장치(300)와의 연결을 수행한다. 60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스캔장치(300)로 전자장치(200)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기 설정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607단계의 확인결과, 전자장치(200)의 정보 예컨대, 전자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과 전자장치(200)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기설정된 상태이면, 제어부(270)는 609단계를 수행한다. 60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전자장치(200)의 정보를 스캔장치(300)로 전송하고 611단계를 수행한다. 607단계의 확인결과, 전자장치(200)의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기설정된 상태이면 제어부(270)는 611단계를 수행한다.
61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입력부(230)를 통해 문장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615단계를 수행한다. 61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문장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613단계를 수행한다. 613단계는 전자장치(2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619단계를 수행한다. 61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스캔장치(300)로 전송한다.
61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메모리(260)에 저장된 복수의 문장데이터를 출력부(250)에 출력한다. 61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출력된 문장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문장데이터가 선택되면 619단계를 수행한다. 61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선택된 문장데이터를 스캔장치(300)로 전송한다. 61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어느 하나의 문장데이터가 선택되지 않으면 615단계로 회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육성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스캔장치(300)로 문장데이터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생존하였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장치에서 전자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에서 송출되는 구조 신호의 감지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스캔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BLE, 와이파이, 지웨이브,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701단계에서 구조 신호가 감지되면, 707단계를 수행하고, 구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703단계를 수행한다. 스캔장치(300)는 구조 신호가 감지되면,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알람을 표시하여 주변에 전자장치(200)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703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스캔하여, 스캔장치(300)가 사용하는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가 감지되면, 705단계를 수행한다. 705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와의 통신을 위해 전자장치(200)를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하고, 707단계를 수행한다. 703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주파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701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단계들을 재수행한다. 스캔장치(300)는 주파수가 감지되면, 스캔장치(300)에 구비된 램프, 스피커 등을 통해 알람을 표시하여 주변에 전자장치(200)가 존재함을 표시할 수 있다.
707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와 연결을 수행한다.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전자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709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된 전자장치(200)의 정보가 수신되면 711단계를 수행한다. 711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수신된 전자장치(200)의 정보를 표시하고 71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전자장치(200)의 정보는 전자장치(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이름과 전자장치(200)의 전화번호 등일 수 있다. 709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연결된 전자장치(200)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713단계를 수행한다. 713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전자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캔장치(300)의 사용자 즉, 구조자는 전자장치(200)를 소지한 사용자와 육성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구조 시에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713단계에서 스캔장치(3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문장데이터를 음성데이터(TTS; text to speech)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스캔장치(300)는 음성데이터 출력 후, 활성화된 마이크를 통해 전자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위험에 처한 사용자가 잠들거나 정신을 잃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제공 시스템(70)은 서버장치(700), 전자장치(800), 리피터(900) 및 스캔장치(1000)를 포함한다.
서버장치(700), 전자장치(800) 및 스캔장치(1000)는 도 1에 도신된 서버장치(100), 전자장치(200) 및 스캔장치(300)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리피터(900)는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전자장치(800)와 스캔장치(1000)의 통신이 어려울 경우, 전자장치(800)와 스캔장치(1000)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7)

  1. 서버장치;
    일정 감도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상기 서버장치로 전송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서 송출되는 구조 신호를 스캔하는 스캔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특정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특정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갖는 알람을 출력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특정 버튼에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상기 서버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장치의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고 재난방송으로 튜닝하여 상기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진동이 재난에 의한 진동이면, 상기 진동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장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전자장치에서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재난센터로 전송하는 시스템.
  8.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서버장치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장치로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에 대한 전송을 제어하고,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구조 신호의 송출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발생되면,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갖는 알람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상기 서버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전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고 재난방송으로 튜닝하여 상기 재난방송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14. 진동의 감지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재난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진동에 대한 진동정보를 서버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특정 버튼에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특정 통신방식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구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에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임계치 이상의 데시벨을 갖는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버튼에 발생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이 가능함을 확인하는 방법;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서버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수신장치로의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메시지 전송이 완료됨이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전송 완료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 감지되면, 라디오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재난방송으로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041549A 2017-03-31 2017-03-31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KR20180111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49A KR20180111100A (ko) 2017-03-31 2017-03-31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49A KR20180111100A (ko) 2017-03-31 2017-03-31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00A true KR20180111100A (ko) 2018-10-11

Family

ID=6386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49A KR20180111100A (ko) 2017-03-31 2017-03-31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11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46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21015B1 (ko) * 2021-07-08 2021-11-03 (주)인테크 디자인 스카이워크 영상 제어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246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케이탑솔루션 IoT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통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2321015B1 (ko) * 2021-07-08 2021-11-03 (주)인테크 디자인 스카이워크 영상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6474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 crowd-sourced alert
KR20140130952A (ko)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22486B1 (ko) 긴급구조요청 및 분실방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930155B1 (ko) 도어 프리 기능을 갖는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201017191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3021435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80111100A (ko) 재난 알람 제공 시스템, 전자장치 및 방법
CA2955697C (en) Improved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10219956A (ja) 移動警告システム、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移動警告方法
KR20180014631A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3227A (ko)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JP2008085747A (ja) 携帯端末保護装置及び携帯端末保護システム
KR20180095957A (ko) 재실 확인 서비스 장치
JP2006054623A (ja)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13046309A (ja) 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72779B1 (ko)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호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662B1 (ko) 사용자 단말기 기반 휴대용 센서와 연계한 소규모 공간 생활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76024A (ko) 가상기지국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및장치
KR20190042325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에티켓 시스템
KR102458629B1 (ko) 화재대피 유도시스템 및 방법
JP2005033458A (ja) 緊急信号送受信用携帯端末
KR1018863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긴급 신호 처리 방법
KR101781347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구조 요청 방법
KR101547947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95824A (ja) 携帯型電話機、警報受信器、及びこれら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