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266B1 -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266B1
KR102126266B1 KR1020180090964A KR20180090964A KR102126266B1 KR 102126266 B1 KR102126266 B1 KR 102126266B1 KR 1020180090964 A KR1020180090964 A KR 1020180090964A KR 20180090964 A KR20180090964 A KR 20180090964A KR 102126266 B1 KR102126266 B1 KR 10212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victim
investig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5310A (ko
Inventor
정지범
황하
연다혜
김병제
문지원
임동현
강민희
장상훈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9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2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재난 피해자를 조사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재난 정보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들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대한 정보를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VESTIGATING AND MANAGING VICTIMS OF DISASTERS}
아래의 실시 예들은 재난 피해자의 상태를 조사하고 관리하며 행정 정보를 제공하고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난 피해자를 효과적으로 조사하여 피해자 명단을 확보하고 구난 구조 및 구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난 피해자를 효율적으로 조사하고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인적 재난, 자연 재난 등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한 재난 또는 재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재난 알림 서비스 중 하나인 안전디딤돌의 경우, 재난 발생에 따른 재난 문자, 기상 특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재난 시 행동 요령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재난 지역 주변 대피소, 병원, 약국 등의 대피 시설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디딤돌 등과 같이 기존의 재난 알림 기술은 재난과 관련된 직접적인 정보보다는 지역 단위의 재난 및 특보, 주변 시설물 정보 등의 간접적인 정보만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경북 경주시 지진 발생, 부산 해운대동에 홍수경보, 서울 종로 3가에 화재 발생, 서울 강남에 도로 붕괴 등과 같이 정확한 특정 위치가 아니라 행정 구역 상의 특정 동이나 특정 도와 같은 지역 단위의 재난, 재해 등의 알림을 제공함에 따라 정확히 어느 위치에 재난이 발생하였는지를 사용자들이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국가재난관리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은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과 같이 재난 관리 단계별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단위 종합 정보 시스템으로서, 풍수해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유형별 업무지원 시스템과, 기상청 및 홍수 통제소 등과 같이 유관기관의 재난정보를 연계 및 활용하는 재난정보 공동 활용시스템과, 재난현장을 지원하는 119 소방현장 대응시스템 등이 구축되어 운영중에 있다.
하지만, 현행 피해자 조사, 구조 및 구호 체계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피해자 현황 조사 과정에서 신속성과 객관성이 결여되고 있다.
현행 피해자 조사 및 구호체계를 위해 구축된 시스템은 현장조사를 실행하는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표준화된 조사과정 및 조사장비가 부재하기 때문에, 결과 항목 도출과 산정 근거 마련에 어려움이 있으며, 조사 진행 후 결과 도출 및 피해액 산정까지의 과정 진행시 대부분의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있고 오차 발생 위험성이 있고, 피해규모 및 피해액 산출 근거를 확보하기 어려워 피해지역 주민의 정책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중적으로 보급된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재난 피해자를 빠르고 정확하게 조사하고 구조하며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해자들이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상 정도 및 구조 요청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재난 피해자 신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피해자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재난 피해자들의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재난 피해자를 조사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재난 정보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들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에 대한 정보를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응답에 따라 구조가 필요한 사용자를 구조 시스템에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식별번호 입력 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난 정보 서버는 중앙 정부의 재난 서버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정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재난 발생 전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GPS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의 부상 정도 및 구조 요청 여부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상기 신고하는 단계는 상기 부상 정도 및 사용자의 GPS 위치를 구조 시스템에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재난 피해자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도 제공되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재난 피해자의 상기 식별자를 통해서 피해자 등록 및 구호물품 배급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중앙 정부의 재난 서버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정보 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 관련 행정 정보를 해당 피해자에게 관련된 정보를 큐레이팅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 따르면, 재난 피해를 입었을 것으로 예측되는 사용자들에게 조사를 시행하기 때문에 조사 및 구조의 정확도가 매우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해자 구조 정보(부상 정도 및 위치 포함)를 수집하여 구조 시스템에 전송 및 등록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하나의 서비스를 통해서 여러 서버에 혼재되어 있는 행정 정보를 입수할 수 있으며, 원하는 행정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 발생으로 인해 이동통신망이 붕괴된 상황에서도 가족들이 피해자의 안부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들에게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해서 이재민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복수 개의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서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정보 서버(110)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재난 정보를 통해 확인한 재난 지역(120)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1, 122, 123)에 질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에 구조 요청이 포함된 경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구조 시스템(130)에 신고를 할 수 있고, ARS 서버(140)에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여 재난 피해자의 가족들이 피해자의 상태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정보 서버(110)로부터 재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정보 서버(110)는 중앙정부 산하의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의 서버와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관리 시스템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정보는 태풍, 홍수, 호우, 폭풍, 폭설, 가뭄, 지진, 황사 등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정보와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환경오염 사고 등 이와 유사한 사고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와 전염병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정보를 통해 확인한 재난 지역(120)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1, 122, 123)에 질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정보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재난 정보는 재난 지역(120)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난 정보가 홍수 피해 정보인 경우, 재난 정보는 홍수 피해가 발생한 행정 구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재난 정보가 지진 피해 정보인 경우, 재난 정보는 지진이 발생한 행정 구역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21, 122, 123)은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면,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바람직하게는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여기서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의 재난 피해 발생여부, 부상 정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 구조 요청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노티(notification), SMS 메시지, 사회 관계망 서비스 또는 메신저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에 연동할 수 있는 앱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에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일정 시간마다 한 번씩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정보의 재난 지역(120)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송신한 적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만 질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정보의 재난 지역(120)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송신한 적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만 질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와 무관하게 재난 피해를 입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Application) 서비스를 통해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에 접속하여 재난 피해를 신고할 수도 있다. 이때, 앱(Application)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를 들면, 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앱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되는 질의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 될 수 있다. 이때, 질의 메시지는 재난의 급박한 상황을 고려하여 앱 서비스 상에서 간단한 버튼 동작만으로 본인의 위치와 상태에 대한 정보만 간단하게 선택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의 메시지는 설문 조사의 형태로, 부상 정도, 구조 요청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를 입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에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은 와이파이나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에 구조 요청이 포함된 경우, 구조 시스템(130)에 신고를 할 수 있다. 이때, 구조 시스템(130)은 119 구조대, 경찰, 병원 및 군부대 중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피해자의 가족들이 피해자의 상태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ARS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사용자의 가족이나 친지, 친구 등 지인이 상기 ARS 서버(140)에 전화해서 상기 사용자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는 주민 등록 번호, 전화 번호, 생년월일 및 미리 정해진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피해자의 상태와 위치를 포함하는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미리 저장된 재난 피해자의 가족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예상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재난 정보 서버(110)를 통해서 재난 예보를 수신한 서버(100)는 재난 발생 예상 지역(120)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121, 122, 123)에 대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GPS 위치 정보와 대피소 위치 정보를 이용해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사용자의 GPS 정보가 산악 지형인 경우, 하산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들에게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발생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200)에 안부와 위치를 설문하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200)의 유저 인페터이스(UI)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으며, 이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안부에 대한 질의, 부상 정도에 대한 질의, 위치 정보에 대한 질의, 구조 여부에 대한 질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보이는 유저 인터페이스는 긴급한 상황에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대응할 수 있도록 선택 박스와 전송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재난 발생 지역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만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난 발생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 서비스는 사용자의 GPS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재난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재난 정보의 위치 정보와 매칭하여 매칭될 경우, 사용자의 행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310)는 사용자 마다 고유한 식별자(32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식별자(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가 될 수 있으며, 바코드가 될 수도 있고, 규칙을 갖는 텍스트가 될 수도 있다.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는 재난이 발생하거나 다수의 이재민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이재민 등록 및 구호물품의 배급 등의 작업에 식별자(320)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난 발생 이전에 사용자는 본인의 개인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식별자는 통신사의 멤버쉽 코드나 사회 관계망 서비스의 QR 코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 개인정보(생년월일, 이름, 주소)와 매칭될 수 있으며, 장애여부, 혈액형, 지병 등 의료 정보와도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발생시 상기 식별자의 인식을 통해서 재난 상황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에 매칭된 개인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의 해당 지방 자치 단체 서버에 연결할 수도 있으며, 해당 지방 자치 단체의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해서 이재민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재민(재난 피해자)의 사용자 단말(430)을 통해서 식별자(320)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자(320)는 인터넷과 무관하게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 대피소 혹은 구호소에서 이재민 등록 시 대피소 관리 담당자는 식별자 리더기(420)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자(320)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410)에 이재민 등록을 빠르게 진행하고, 구호물품을 배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이재민이 급격히 증가할 때에도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피소를 운영할 수 있으며, 식별자를 통해 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재난 상황에서도 이재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서 복수 개의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서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재난 발생 이후에는 대피소 운영 정보, 복구지원금 지급 등 익숙하지 않은 다양한 행정 업무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행정 지원 정보에 대해 이재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행정 정보 통합 게시판을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앱 서비스 내에서 제공할 수 있다.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중앙정부 산하의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의 서버(510)와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관리 시스템의 서버(520)로부터 재난 관련 행정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현재 많은 수의 지자체에서는 각 시도별로 자체적인 재난 안전 대책 본부와 관련 웹사이트를 보유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실제 피해자들로부터의 접근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1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설정된 관심 지역의 재난 행정 정보를 제공하여 피해자가 확인하고 싶은 정보를 손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단계(S610)에서 재난 정보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난 정보 서버는 중앙 정부의 재난 서버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정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단계(S620)에서 재난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설문 조사를 질의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재난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는 재난 발생 전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GPS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의 부상 정도 및 구조 요청 여부에 대한 질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30)에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30)에서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설문 응답에 대한 정보를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상기 ARS 서버에 상기 사용자의 식별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식별번호는 주민 등록 번호, 전화 번호, 생년월일 및 미리 정해진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설문의 응답에 따라 구조가 필요한 사용자는 구조 시스템에 신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부상 정도 및 사용자의 GPS 위치를 구조 시스템에 신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재난 피해자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식별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도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자를 통해서 피해자를 등록하고 구호물품 배급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의 프로세서는 중앙 정부의 재난 서버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정보 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 관련 행정 정보를 해당 피해자에게 관련된 정보만 큐레이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서버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서버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프로세서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서버
110 : 재난 정보 서버
120 : 재난 지역
121 : 사용자 단말
122 : 사용자 단말
123 : 사용자 단말
130 : 구조 시스템

Claims (9)

  1.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재난 정보 서버로부터 재난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 발생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들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대한 정보를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중앙 정부의 재난 서버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정보 서버에서 제공하는 재난 관련 행정 정보를 해당 피해자에게 관련된 정보를 큐레이팅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행정 정보는 복구지원금 지급을 포함하는 것인,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응답에 따라 구조가 필요한 사용자를 구조 시스템에 신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식별번호 입력 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응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정보 서버는 중앙 정부의 재난 서버 및 지방 자치 단체의 재난 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재난 발생 전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GPS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사용자의 부상 정도 및 구조 요청 여부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상기 신고하는 단계는 상기 부상 정도 및 사용자의 GPS 위치를 구조 시스템에 신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부여하여 재난 피해자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아도 제공되며,
    상기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재난 피해자의 상기 식별자를 통해서 피해자 등록 및 구호물품 배급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피해자 조사 및 관리 방법.
  9. 삭제
KR1020180090964A 2018-08-03 2018-08-03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2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64A KR102126266B1 (ko) 2018-08-03 2018-08-03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64A KR102126266B1 (ko) 2018-08-03 2018-08-03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10A KR20200015310A (ko) 2020-02-12
KR102126266B1 true KR102126266B1 (ko) 2020-06-24

Family

ID=6956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64A KR102126266B1 (ko) 2018-08-03 2018-08-03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2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139A (ja) * 2005-09-22 2007-04-05 Nec Corp 災害時安否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方法,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34628A (ja) * 2006-06-15 2007-12-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被災者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139A (ja) * 2005-09-22 2007-04-05 Nec Corp 災害時安否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方法,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34628A (ja) * 2006-06-15 2007-12-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被災者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10A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390B2 (en)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disaster information system,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of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of controlling operation of portable terminal
US10701542B2 (en) Social media content for emergency management
US115587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data integration
US20130060729A1 (en)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US20150309895A1 (e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nd decision-making support method
JP599438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Dong et al. Emergency preparedness for mass gatherings: Lessons of" 12.31" stampede in Shanghai Bund
CN110930176B (zh) 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021786B2 (ja) 避難情報作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003099A1 (en) REAL TIME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RESPONSE OPERATIONS AND RELATED RESOURCE DEPLOYMENT
JP5695649B2 (ja) 人の安全保証および生存システム
KR101702016B1 (ko) 위험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KR102126266B1 (ko) 재난 피해자 조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80017847A (ko) 출석 관리 시스템 및 출석 관리 방법
Mody et al. Distress–an application for emergency response and disaster management
KR20180000068A (ko) 개인 맞춤형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Higashino et al. eTriage: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latform for advanced rescue operations
Abulkhair et al. Using rule base system in mobile platform to build alert system for evacuation and guidance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JP7075662B2 (ja) 会員登録システム
Hassan et al. Communication and tracking ontology development for civilians earthquake disaster assistance
Elazab et al. Location Based Approach for Messaging Services.
Martínez Cepeda et al. ESPE Security: Mobile and Web Application to Manage Community Emergency Alerts.
Kanade et al. Saviour: Disaster Management and Monitoring Utility
Kamal et al. Original Research Article SOSFloodFinder: A text-based priority classification system for enhanced decision-making in optimizing emergency flood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