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386A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386A
KR20210087386A KR1020200039293A KR20200039293A KR20210087386A KR 20210087386 A KR20210087386 A KR 20210087386A KR 1020200039293 A KR1020200039293 A KR 1020200039293A KR 20200039293 A KR20200039293 A KR 20200039293A KR 20210087386 A KR20210087386 A KR 2021008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temperature
cooking appliance
cooking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상
김중수
박정현
이상원
김병규
김신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57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37416A1/ko
Publication of KR2021008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386A/ko
Priority to US17/854,080 priority patent/US2022032589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1Details arrangements for discharging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부 온도 감지를 통해 배기구 폐쇄로 인한 비정상 연소 발생을 확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로,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조리기기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캐비티와, 가스와 공기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로와,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장치를 구비하여, 캐비티에 수용된 조리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필요하고 연소가 발생한 후에는 폐가스인 연소 가스(combustion gas)가 발생하므로, 조리기기는 캐비티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유로와 캐비티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로를 더 구비한다. 또한, 조리기기는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도 구비한다.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조리기기의 배기구가 폐쇄될 경우 폐가스인 연소 가스가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연소를 위한 공기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미연소 가스가 캐비티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최근에는 캐비티 내부의 온도 감지를 통해 조리기기의 배기구가 폐쇄된 상황을 확인하여 조리기기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부 온도 감지를 통해 배기구가 폐쇄된 상황을 확인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제품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조리기기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와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은, 상기 캐비티를 예열하는 예열 및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시작 전에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예열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컨벡션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컨벡션 팬을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및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버너를 가동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는 것은,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와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은, 제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제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은, 상기 캐비티를 예열하는 예열 및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예열 시작 전에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를 개시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예열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컨벡션 팬을 가동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병의 일 측면에 의한 조리기기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 조리기기의 동작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면,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은 상기 캐비티를 예열시키는 예열 및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시작 전에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예열 모드를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기 예열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기 조리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를 계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기 조리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컨벡션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컨벡션 팬을 가동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부 온도 감지를 통해 배기구가 폐쇄된 상황을 확인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제품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미연소 가스가 채워진 캐비티의 개방에 따른 갑작스런 가스 연소로 인해 화염이 오븐 밖으로 토출되는 문제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의 배기구가 폐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예열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의 동작 이상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의 동작 이상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 변화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 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스오븐의 배기구가 폐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은 그 내부에 각종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오븐(2) 본체와 조리물이 담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쿡탑(cooktop)(1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의 상부에는 쿡탑(10)이 위치할 수 있고, 하부에는 오븐(2)이 위치할 수 있다. 오븐(2)의 내부에는 캐비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의 내부에는 조리물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조리기기(1)이 쿡탑(10)과 오븐(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조리기기(1)은 오븐(2)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조리기기(1)은 쿡탑(10)이 생략될 수도 있다. 조리기기(1)은 빌트인(built-in) 또는 비 빌트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쿡탑(10)은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버너장치(100)는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스버너장치(100)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쿡탑(10)이 5개의 가스버너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스버너장치(1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쿡탑(10)은 지지 플레이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는 조리기기(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스버너장치(100)는 지지 플레이트(11)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1)의 상부에는 용기 지지부재(12)가 배치될 수 있다. 용기 지지부재(12)는 조리용기(미도시)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용기 지지부재(12)는 지지 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용기 지지부재(12)는 가스버너장치(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용기 지지부재(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쿡탑(10)의 아래에는 오븐(2)이 마련될 수 있다. 오븐(2)의 내부에는 복수의 랙(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랙에는 트레이(미도시)가 거치될 수 있다. 트레이에는 조리할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다.
오븐(2)은 캐비티(4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도어(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a)는 캐비티(4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투시부(2b)를 포함할 수 있다. 투시부(2b)는 다중 유리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중 유리층은 냉각을 위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1)의 전면 상부에는 노브(3)가 마련될 수 있다. 노브(3)는 쿡탑(10) 및/또는 오븐(2)의 기능 설정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노브(3)는 각각의 가스버너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3)를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는 온/오프 설정, 온도 설정, 시간 설정 등을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노브(3)가 5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노브(3)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노브(3)의 개수는 가스버너장치(1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노브(3)는 각각의 가스버너장치(10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 전면 상부의 노브(3) 옆에는 유저 인터페이스(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유저 인터페이스(5)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복수의 입력 버튼(5a), 조리기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b)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의 외부 및 내부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본체(1a) 내부에는 조리물을 수용하는 캐비티(40)이 형성된다. 캐비티(40)은 상부벽(31), 하부벽(32), 좌측벽(33), 우측벽(34) 및 후벽(35)에 의하여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조리물의 출납을 위하여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캐비티(40)의 개방된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1a)에 결합되는 도어(20)가 마련되고, 캐비티(40)은 도어(2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에는 사용자가 도어(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2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40)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rack)(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대(36)가 마련되며, 복수의 지지대(36)는 좌측벽(33) 및 우측벽(34)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캐비티(40)은 디바이더(43)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디바이더(43)는 캐비티(40)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캐비티(40)을 상하 혹은 좌우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더(43)는 캐비티(40)의 상부벽(31) 및 하부벽(32)와 평행하게 장착되어, 캐비티(40)을 상부의 제1 캐비티(41)과 하부의 제2 캐비티(42)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디바이더(43)는 단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캐비티(41)과 제2 캐비티(42)은 디바이더(43)에 의하여 단열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더(43)에 의하여 분할된 제1 캐비티(41)과 제2 캐비티(42)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42)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캐비티(40)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조리기기(1)은 다양한 구성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은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캐비티(40)을 가열하는 복수의 버너(61, 62), 캐비티(40)의 공기를 순화시키는 복수의 컨벡션 유닛(51, 52), 캐비티(40)으로의 공기 공급을 보조하는 보조 급기부(105),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5),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80 : 81, 8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너(60 : 61, 62)는 캐비티(4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버너(61)와 캐비티(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버너(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더(43)에 의하여 캐비티(40)이 상측의 제1 캐비티(41)과 하측의 제2 캐비티(42)으로 분할될 경우, 제1 버너(61)는 제1 캐비티(41)에 위치하고 제2 버너(62)는 제2 캐비티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버너(61)는 캐비티(40)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불꽃을 생성하는 제1 파이프 버너(61b), 제1 파이프 버너(61b)로 공급되는 가스 연료를 단속하는 제1 버너 밸브(6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버너(61b)는 캐비티(4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파이프 버너(61b)의 측면에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스 연료가 유출되는 복수의 가스 유출공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버너 밸브(61a)는 외부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1 파이프 버너(61b)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제1 가스 공급관(미도시) 상에 마련되어, 제1 가스 공급관을 개폐할 수 있다. 제1 버너 밸브(61a)는 바이메탈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디바이더(43)에 의하여 캐비티(40)이 제1 캐비티(41)과 제2 캐비티(42)으로 분할된 경우 제1 버너(61)는 제1 캐비티(41)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1 버너(61)는 캐비티(40)의 상부에 노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버너(6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40)에 수용된 조리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물은 제1 버너(61)의 불꽃에 의하여 생성된 복사열에 의하여 직접 가열될 수 있다.
제2 버너(62)는 캐비티(40)을 가열하기 위한 불꽃을 생성하는 제2 파이프 버너(62b), 제2 파이프 버너(62b)로 공급되는 가스 연료를 단속하는 제2 버너 밸브(6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이프 버너(62b)는 캐비티(4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파이프 버너(62b)의 측면에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스 연료가 유출되는 복수의 가스 유출공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버너 밸브(62a)는 외부 가스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2 파이프 버너(62b)에 가스 연료를 공급하는 제2 가스 공급관(미도시) 상에 마련되어, 제2 가스 공급관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버너 밸브(62a)는 바이메탈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디바이더(43)에 의하여 캐비티(40)이 제1 캐비티(41)과 제2 캐비티(42)으로 분할된 경우 제2 버너(62)는 제2 캐비티(42)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2 버너(62)는 캐비티(40)의 하부벽(32)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버너(6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40)에 수용된 조리물을 간접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버너(62)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하부벽(32)의 가열 홀(32a)을 통하여 캐비티(40) 내부로 공급되고, 조리물은 캐비티(40) 내부의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조리된다.
복수의 컨벡션 유닛(51, 52)은 캐비티(40)의 후면에 마련되며, 후면의 상측에 마련된 제1 컨벡션 유닛(51)과 후면의 하측에 마련된 제2 컨벡션 유닛(5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디바이더(43)에 의하여 캐비티(40)이 상측의 제1 캐비티(41)과 하측의 제2 캐비티(42)으로 분할될 경우, 제1 컨벡션 유닛(51)은 제1 캐비티(41)에 위치하고 제2 컨벡션 유닛(52)은 제2 캐비티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벡션 유닛(51)은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컨벡션 팬(51b), 캐비티(40) 내부를 보조적으로 가열하는 제1 보조 히터(51a), 제1 컨벡션 팬(51b)과 제1 보조 히터(51a)를 수용하는 제1 컨벡션 하우징(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벡션 팬(51b)은 제1 컨벡션 팬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캐비티(40)의 후면에 마련된 제1 컨벡션 팬(51b)은 공기를 캐비티(40)의 전방을 향하여 토출한다. 제1 컨벡션 팬(51b)에 의하여 캐비티(40)의 전방을 향하여 토출된 공기는 캐비티(40) 내부를 순환한 이후 다시 제1 컨벡션 팬(51b)으로 되돌아온다.
제1 컨벡션 팬(51b)에 의하여 캐비티(4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므로 캐비티(40) 내부는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다.
제1 보조 히터(51a)는 제1 컨벡션 팬(51b)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조 히터(51a)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제1 컨벡션 팬(51b)에 의하여 캐비티(40) 내부로 토출된다.
제1 보조 히터(51a)는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보다 적은 열을 발산한다. 따라서, 제1 보조 히터(51a)는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를 보조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컨벡션 유닛(52) 역시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2 컨벡션 팬(52b), 캐비티(40) 내부를 보조적으로 가열하는 제2 보조 히터(52a), 제2 컨벡션 팬(52b)과 제2 보조 히터(52a)를 수용하는 제2 컨벡션 하우징(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벡션 팬(52b)은 제2 컨벡션 팬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며,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제2 보조 히터(52a)는 제2 컨벡션 팬(52b)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제2 보조 히터(52a)는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보다 적은 열을 발신하며, 제2 보조 히터(52a)는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를 보조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하부벽(32)에는 제2 버너(62)의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구(미도시)가 마련된다.
보조 급기부(105)는 제1 버너(61)의 연소를 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필요하다. 만일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면 연료를 연소시키는 불꽃은 즉시 소멸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는 가스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캐비티(40)을 가열한다. 또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된 가스는 아래에서 위로 이동하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구는 캐비티(40)의 하부에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2 버너(62)는 캐비티(40)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구(미도시)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제2 버너(6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급기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제1 버너(61)는 캐비티(40)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구(미도시)로부터 공기를 공급받기 곤란하므로 제1 버너(61)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급기 장치가 요구된다. 더욱이, 디바이더(43)에 의하여 캐비티(40)이 제1 캐비티(41)과 제2 캐비티(42)으로 분리되는 경우, 제1 캐비티(41)에는 급기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제1 버너(61)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디바이더(43)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캐비티(40)의 하부에 마련된 제2 버너(62)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소 폐가스가 제1 버너(61)의 연소를 방해하므로 제1 버너(61)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장치가 요구된다. 여기서, 폐가스란 연소 후에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스가 완전 연소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와, 수증기 등이 발생하며, 가스가 불완전 연소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수소, 유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버너(62)의 폐가스에 의하여 제1 버너(61)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보조 급기부(105)는 제1 버너(61)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캐비티(40) 후면(35)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31)측에는 조리기기(1)의 외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캐비티(40)의 폐가스를 조리기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구(90)가 마련된다. 또한, 캐비티(40)에 디바이더(43)가 장착되면 배기구(90)는 제1 캐비티(41)의 폐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후벽(35)에는 제2 캐비티(42)의 폐가스를 조리기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보조 배기구(91)가 마련된다. 캐비티(40)에 디바이더(43)가 장착되면, 제2 버너(62)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된 폐가스가 상부벽(31)의 배기구(90)로 배출되기 곤란하다. 이러한 이유로, 제2 캐비티(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캐비티(42)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보조 배기구(91)가 마련된다.
유저 인터페이스(5)는 조리기기(1) 전면 상부의 노브(3) 옆에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복수의 입력 버튼(5a), 조리기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b)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5a)은 사용자로부터 조리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설정값을 입력받거나,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 버튼(5a)을 통하여 조리 시간을 설정하거나, 조리 온도를 변경하거나, 캐비티(예를 들어, 제1 캐비티 또는 제2 캐비티)을 선택하거나, 조리 방법(예를 들어, 베이크 조리 또는 브로일 조리)을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버튼(5a)는 제1 캐비티(41)의 브로일 조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브로일 버튼(미도시), 제1 캐비티(41)의 베이크 조리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베이크 버튼(미도시), 제2 캐비티(42)의 베이크 가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베이크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 버튼(5a)을 통해 조리기기(1)이 캐비티(40)을 예열 시키기 위한 예열의 설정 온도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캐비티(40)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의 설정 온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버튼(5a)은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 또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입력 버튼(5a)은 푸시 스위치(push switch),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슬라이딩 스위치(sliding switch),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터치 스위치(touch switch) 또는 다이얼(dial)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b)는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리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b)는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 온도 또는 조리 방법을 표시하거나, 캐비티(40)의 현재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b)는 조리기기(1)의 동작 이상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5b)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5b)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채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설정값 또는 제여 명령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값 또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온도 센서(81)와 캐비티(4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온도 센서(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더(43)에 의하여 캐비티(40)이 상측의 제1 캐비티(41)과 하측의 제2 캐비티(42)으로 분할되는 경우, 제1 온도 센서(81)는 제1 캐비티(41)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2 온도 센서(82)는 제2 캐비티(42)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제1 온도 센서(81) 및 제2 온도 센서(82)는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서미스터를 포함하는 제1 온도 센서(81) 및 제2 온도 센서(82)는 캐비티(4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더(43)가 장착된 경우, 제1 온도 센서(81)는 제1 캐비티(41)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2 온도 센서(82)는 제2 캐비티(42)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2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더(43)가 분리된 경우, 제1 온도 센서(81) 및 제2 온도 센서(82)는 캐비티(4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온도 감지 신호 및 제2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은 조리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를 총괄하는 제어부(200), 조리기기(1)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조리기기(1)과 외부 디바이스 간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300), 조리기기(1)의 동작 이상에 대한 경고음을 송출하는 알림부(400), 조리기기(1)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기억하는 메모리(220)와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2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 명령, 제1 및 제2 온도 감지 신호 등을 처리하고, 제1 버너(61), 제2 버너(62), 제1 컨벡션 유닛(51), 제2 컨벡션 유닛(52) 및 보조 급기부(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제1 캐비티(41)에 대한 브로일 조리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처리하고 제1 온도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버너(61), 제1 컨벡션 유닛(51) 및 보조 급기부(10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캐비티(41)의 온도가 조리 온도 미만이면 제1 버너(61), 제1 컨벡션 유닛(51) 및 보조 급기부(105)를 가동시키는 제어 신호 출력하고, 제1 캐비티(41)의 온도가 조리 온도 이상이면 제1 버너(61), 제1 컨벡션 유닛(51) 및 보조 급기부(105)를 중지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조리기기(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 제1온도 센서(81) 및 제2온도 센서(82)로부터 입력된 제1 온도 감지 신호 및 제2 온도 감지 신호, 프로세서(21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와 플래시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의 보조 기억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조리기기(1)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로딩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거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 제1 온도 센서(81) 및 제2 온도 센서(82)로부터 입력된 제1 온도 감지 신호 및 제2 온도 감지 신호, 프로세서(21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의 가동 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달리 조리기기(1)의 전원이 차단되면 기억된 데이터를 손실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프로세서(210)와 메모리(22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210)와 메모리(220)가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에 포함된 각종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조리기기(1)의 동작은 제어부(200)의 제어 동작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상부벽(31) 측에는 배기구(90)가 마련되고, 배기구(90)는 조리기기(1)의 외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캐비티(40)의 폐가스를 조리기기(1)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 동작 중에 사용자가 배기구(90)에 물체(ob)를 올려놓는 등 부주의 또는 실수로 배기구(90)를 폐쇄하는 경우, 조리기기(1) 내부에서 연소된 폐가스가 배기구(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캐비티(40) 내부에 머물게 된다.
캐비티(40) 내부에 폐가스가 채워져 있는 경우, 연소를 위한 공기는 조리기기(1) 내부로 공급되지 못하지만 가스는 공급되므로 미연소 가스가 조리기기(1) 내부에 채워진다.
조리기기(1) 내부에 미연소 가스가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a)를 개방하는 경우 조리기기(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미연소 가스가 연소되어 화염이 조리기기(1) 밖으로 토출되므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조리기기(1)의 배기구(90) 전체가 폐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배기구(90)의 일부가 폐쇄된 경우에도 폐가스가 조리기기(1)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미연소 가스가 조리기기(1)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조리기기(1)의 배기구(90)가 폐쇄됨으로써 미연소 가스가 발생하여 조리기기(1) 내부에 채워지는 경우에 캐비티(40)의 내부 온도 감지를 통해 배기구(90)가 폐쇄된 상황을 확인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예열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의 동작 이상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리기기의 동작 이상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동작이 개시되면,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0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온도 센서(81)는 제1 캐비티(41)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하고 제2 온도 센서(82)는 제2 캐비티(42)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2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더(43)가 분리된 경우, 제1 온도 센서(81) 및 제2 온도 센서(82)는 캐비티(40)의 온도에 대응하는 제1 온도 감지 신호 및 제2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조리기기(1)의 동작 및 그 제어방법은, 디바이더(43)가 장착된 경우에는 제1캐비티(41)과 제2캐비티(42)에 대해 각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디바이더(43)가 장착된 경우에 제어부(200)는 제1 온도 센서(81)가 감지한 제1캐비티(41)의 온도 및 제2 온도 센서(82)가 감지한 제2캐비티(42)의 온도 각각에 기초하여 배기구(90) 폐쇄로 인한 미연소 가스 발생을 판단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더(43)가 분리된 경우에 제어부(200)는 제1 온도 센서(81) 및 제2 온도 센서(82)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에 기초하여 배기구(90) 폐쇄로 인한 미연소 가스 발생을 판단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10). 이 때, 제1 기준 온도는 사용자가 입력 버튼(5a)을 통해 사전에 입력해 놓은 설정 온도일 수 있고,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된 온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제어방법이 수행됨에 앞서, 조리기기(1)이 이미 동작 중이거나 예열을 완료 했거나 음식 조리를 수행했을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현재 감지된 조리기기(1)의 캐비티(40)의 온도가 일정 온도 값 이상이 경우에는 조리기기(1)의 예열이 이미 수행되었거나, 음식 조리가 이미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조리기기(1)의 예열이 완료된 경우, 조리가 개시될 수 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알림부(400)는 현재 감지된 조리기기(1)의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기준 온도 이상이면 예열 완료를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알림 소리를 듣고 조리기기(1)의 조리를 개시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이 조리를 위한 가열을 개시(1060)하도록 제어하고,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기준 온도 미만이면 조리기기(1)이 예열을 위한 가열을 개시(102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미만이면 조리기기(1)이 음식 조리를 시작하기 전에 예열를 개시하여 제1 기준 시간(t1) 동안 캐비티(40)을 미리 정해진 온도까지 예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예열을 위한 가열 개시로부터 제1 기준 시간(t1)이 경과했는지 판단하고(1030), 온도 센서(80)는 제1 기준 시간(t1)이 경과한 시점에서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040).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50). 이 때, 제2 기준 온도는 사용자가 입력 버튼(5a)을 통해 사전에 입력해 놓은 설정 온도일 수 있고,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된 온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이 예열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일정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하는 제1 기준 시간(t1) 동안 캐비티(40)의 온도는 제2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다.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이 조리를 위한 가열을 개시(106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림부(400)는 제1기준 시간(t1) 경과 후 조리기기(1)의 예열이 완료된 경우, 조리가 개시될 수 있음을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알림부(400)는 현재 감지된 조리기기(1)의 캐비티(40)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예열 완료를 알리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알림 소리를 듣고 조리기기(1)의 조리를 개시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기구(90)에 물체(ob)를 올려놓는 등 배기구(90)가 폐쇄된 경우에는 조리기기(1) 내부에서 연소된 폐가스가 배기구(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캐비티(40) 내부에 머물게 되어 연소를 위한 공기가 조리기기(1) 내부로 공급되지 못하므로 미연소가 발생한다.
즉, 조리기기(1) 내부에서 가스가 연소되지 못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상승하지 못하게 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예열 개시로부터 제1기준 시간(t1) 경과 후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는 제2 기준 온도 미만이 된다.
즉, 캐비티(40)의 예열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알림부(400)가 예열 완료를 알리는 알림을 출력하지 않고,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생긴 것을 알리는 경고음이 알림부(4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기준 시간(t1) 동안 예열 후 캐비티(40)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미만이면,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버너(6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051). 즉, 제1 버너(61) 및 제2 버너(62) 각각에 포함된 제1 버너 밸브(61a) 및 제2 버너 밸브(62a)를 제어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조리기기(1) 내부에 미연소 가스가 채워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컨벡션 팬(50b)을 미리 정해진 제1 순환 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1052). 즉, 제어부(200)는 제1 컨벡션 팬(51b) 및 제2 컨벡션 팬(52b) 각각을 제어하여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캐비티(40) 내부의 미연소 가스가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제1 컨벡션 팬(51b) 및 제2 컨벡션 팬(52b)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5초 내지 20초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미연소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도어(2a)가 미리 정해진 제1 잠금 시간 동안 잠기도록 제어할 수 있다(1053).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1) 내부에 미연소 가스가 채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a)를 개방하는 경우 조리기기(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미연소 가스가 연소되어 화염이 조리기기(1) 밖으로 토출되므로,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 내부의 미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소멸할 때까지 도어(2a)가 일정 시간 동안 잠기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알림부(400)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1054).
알림부(400)는 음성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1)의 동작 이상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음성 또는 경고음과 같은 미리 정해진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이러한 경고 메시지를 1회 출력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수 회 출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5b)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1054).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b)에 조리기기(1)의 동작 이상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b)에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현재 배기구(90) 폐쇄로 인해 조리기기(1)에 미연소가 발생하여 동작이 정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부(300)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1055).
통신부(300)는 조리기기(1)과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6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6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조리기기(1)의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마련된 조리기기(1) 전용 디바이스 등 조리기기(1)과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이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러한 통신부(3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통신 칩, 안테나 및 관련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통신부(300)는 사용자 단말(600)과 근거리 통신 또는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통신부(300)를 통해 조리기기(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음성 또는 경고음과 같은 미리 정해진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600)은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청취하거나, 사용자 단말(600)에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여 현재 조리기기(1)의 배기구(90) 폐쇄로 인해 미연소가 발생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이 정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하고 제1 컨벡션 팬(51b) 및 제2컨벡션 팬(52b)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회전시켜서 미연소 가스를 배출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가스 공급을 재개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의 도어(2a)가 잠긴 상태에서 캐비티(40) 내부의 공기 순환 및 미연소 가스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다시 조리기기(1)의 예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예열을 다시 개시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캐비티(40)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 캐비티(40)의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이 조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일정 시간 동안 예열을 다시 진행 후 캐비티(40)의 온도가 여전히 제2기준 온도 미만이면,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다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버너(60)의 동작을 정지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하고, 컨벡션 팬(50b)를 일정 시간 회전시켜서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고, 도어(2a)를 잠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캐비티(40) 온도를 감지하여, 조리기기(1)의 연소 이상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조리기기(1)의 동작을 아예 정지시키고 동작이 다시 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리기기(1)이 캐비티(40)의 예열을 완료하고 조리 모드를 개시(1060)한 이후,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065).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조리 진행 중에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70). 이 때, 제3기준 온도는 캐비티(40)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 온도로서 사용자가 입력 버튼(5a)을 통해 사전에 입력해 놓은 설정 온도일 수 있고,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된 온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이 조리를 개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하는 캐비티(40)의 온도는 제3 기준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다.
제어부(200)는 조리 진행 중에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이 계속하여 조리를 진행(109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기기(1)의 조리 진행 중에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배기구(90)에 물체(ob)를 올려놓는 등 배기구(90)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조리기기(1) 내부에서 연소된 폐가스가 배기구(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캐비티(40) 내부에 머물게 되어 연소를 위한 공기가 조리기기(1) 내부로 공급되지 못하므로 미연소가 발생한다.
즉, 조리 진행 중에 조리기기(1) 내부에서 가스가 연소되지 못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상승하지 못하게 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는 제3 기준 온도 미만이 된다.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기준 온도 미만이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조리 개시로부터 제2 기준 시간(t2)이 경과했는지 판단(1080)할 수 있다.
제2 기준 시간(t2)이 경과하지 아니하였으면,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다시 감지(1065)하고,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를 제3 기준 온도와 다시 비교할 수 있다(1070).
제어부(200)는 조리를 개시한 이후 제2 기순 시간(t2) 동안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 기준 온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리를 개시한 이후 제2 기순 시간(t2) 동안 캐비티(40)의 온도가 단 한번이라도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를 개시한 이후 제2 기순 시간(t2) 동안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 기준 온도보다 작은 것이 계속되면, 제어부(200)는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조리 진행 중에 버너(6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081). 즉, 제1버너(61) 및 제2버너(62) 각각에 포함된 제1버너 밸브(61a) 및 제2버너 밸브(62a)를 제어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조리기기(1) 내부에 미연소 가스가 채워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컨벡션 팬(50b)을 미리 정해진 제2 순환 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1082). 즉, 제어부(200)는 제1 컨벡션 팬(51b) 및 제2 컨벡션 팬(52b) 각각을 제어하여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캐비티(40) 내부의 미연소 가스가 조리기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컨벡션 팬(50b)이 순환하는 제2 순환 시간은 전술한 제1 순환 시간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조리 진행 경과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도어(2a)가 미리 정해진 제2잠금 시간 동안 잠기도록 제어할 수 있다(1083). 즉,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 내부의 미연소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소멸할 때까지 도어(2a)가 일정 시간 동안 잠기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도어(2a)가 잠기는 제2잠금 시간은 전술한 제2잠금 시간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조리 진행 경과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알림부(400)를 제어하여 조리 진행 중에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다(1084).
알림부(400)는 음성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1)의 동작 이상에 관한 경고 메시지를 음성 또는 경고음과 같은 미리 정해진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알림부(400)는 이러한 경고 메시지를 1회 출력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수 회 출력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5b)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1084).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b)에 조리기기(1)의 동작 이상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b)에 표시된 메시지를 통해 조리기기(1)의 조리 진행 중에 배기구(90) 폐쇄로 인해 조리기기(1)에 미연소가 발생하여 동작이 정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부(300)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1085).
사용자 단말(600)은 통신부(300)를 통해 조리기기(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해 음성 또는 경고음과 같은 미리 정해진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600)은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하고 제1 컨벡션 팬(51b) 및 제2 컨벡션 팬(52b)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회전시켜서 미연소 가스를 배출시킨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가스 공급을 재개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의 도어(2a)가 잠긴 상태에서 캐비티(40) 내부의 공기 순환 및 미연소 가스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00)는 다시 조리기기(1)의 조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예열을 다시 개시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기준 온도 이상이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 캐비티(40)의 온도가 제3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이 조리가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일정 시간 동안 예열을 다시 진행 후 캐비티(40)의 온도가 여전히 제3기준 온도 미만이면,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다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버너(60)의 동작을 정지하여 가스 공급을 차단하고, 컨벡션 팬(50b)를 일정 시간 회전시켜서 캐비티(4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고, 도어(2a)를 잠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캐비티(40) 온도를 감지하여, 조리기기(1)의 연소 이상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조리기기(1)의 동작을 아예 정지시키고 동작이 다시 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0)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음을 청취하거나, 사용자 단말(600)에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여 현재 조리기기(1)의 배기구(90) 폐쇄로 인해 미연소가 발생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이 정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조리기기(1)의 캐비티(40) 내부 온도 감지를 통해 배기구(90)가 폐쇄된 상황을 확인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제품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연소 가스가 채워진 캐비티(40)의 개방에 따른 갑작스런 가스 연소로 인해 화염이 오븐 밖으로 토출되는 문제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동작이 개시되면,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100).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를 제1기준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1110).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가 조리를 위한 가열을 개시(1160)하도록 제어하고,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기준 온도 미만이면 조리기기(1)이 예열을 위한 가열을 개시(112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100, 동작 1110 및 동작 1120은 도 5에 도시된 동작 1000,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으며, 동작 1100, 동작 1110 및 동작 1120의 설명은 동작 1000, 동작 1010 및 동작 1020의 설명으로 대체된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130).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140). 이 때, 제1 기준 값 사용자가 입력 버튼(5a)을 통해 사전에 입력해 놓은 설정 온도일 수 있고,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된 온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에 의하여 감지된 캐비티(40)의 온도를 메모리(22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된 캐비티(40)의 온도에 기초하여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서로 다른 시각에서의 온도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80)로부터 시각 t1에 온도 T1을 획득하고, 시각 t2에서 온도 T2를 획득하고, 시각 t3에서 온도 T3를 획득하고, 시각 t4에 온도 T4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서로 인접한 시각들 사이의 온도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시각 t1과 시각 t2 사이의 온도 변화 T2-T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시각 t3과 시각 t4 사이의 온도 변화 T4-T3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고,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상 동작 중에 캐비티(40)의 온도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일정하게 증가하고,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값일 수 있다.
반면, 배기구 등이 폐쇄됨으로 인하여 가스가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경우,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연소 초반에는 캐비티(40)의 온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배기구 등이 폐쇄됨으로 인하여,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캐비티(40)의 산소가 모두 연소되는 기준 시각 tR까지 캐비티(40)의 온도는 급격히 상승할 수 있다. 기준 시각 tR 이후, 캐비티(40)의 산소가 모두 연소되면, 가스는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아니하며, 캐비티(40)의 온도는 서서히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기준 시각 tR 이후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감소한 것이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배기구 등이 폐쇄됨으로 인하여 가스가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가 정상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기준 값은 정상 동작 중의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이면(1140의 예), 제어부(200)는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150).
제어부(200)는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것이 판단되면(1150의 아니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반복된다.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이 판단되면(1150의 예),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가열을 계속한다(1160).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이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가 계속하여 조리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으면(1140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미만인 시간이 제4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170).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4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미만인 시간이 제4 기준 시간 미만인 것이 판단되면(1170의 아니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반복된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다양한 이유에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시간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미만이면, 제어부(200)는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미만인 시간이 제4 기준 시간 이상인 것이 판단되면(1170의 예), 제어부(1180)는 가열을 중지한다(1180).
제4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미만이면, 제어부(200)는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동작 중에 캐비티(40)의 온도는 일정하게 상승하며, 또한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일정 범위 안에서 변동할 수 있다.
반면,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경우, 조기공간(40) 내의 산소가 모두 연소된 기준 시각 tR 이후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감소하며,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제1 기준 값 미만인 것이 유지된다.
따라서,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1 기준 값 미만인 것이 제4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어부(200)는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부(200)는 조리를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 진행 중에 버너(6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벡션 팬(50b)을 미리 정해진 제2 순환 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조리기기(1)의 도어(2a)가 미리 정해진 제2잠금 시간 동안 잠기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알림부(400)를 제어하여 조리 진행 중에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5b)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부(300)를 제어하여 배기구(90) 폐쇄에 의한 미연소 발생 등 조리기기(1)의 연소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에 대한 경고음 또는 경고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조리기기(1)의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를 통해 배기구(90)가 폐쇄된 상황을 확인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제품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연소 가스가 채워진 캐비티(40)의 개방에 따른 갑작스런 가스 연소로 인해 화염이 오븐 밖으로 토출되는 문제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조리기기(1)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불완전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조리기기(1)는 다른 가열 불량으로 인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연소 불량으로 인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것을 구별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에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티 온도 변화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동작이 개시되면,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200).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가 감지한 캐비티(40)의 온도를 제1기준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1210).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기기(1)가 조리를 위한 가열을 개시(1160)하도록 제어하고, 캐비티(40)의 온도가 제1기준 온도 미만이면 조리기기(1)이 예열을 위한 가열을 개시(1220)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200, 동작 1210 및 동작 1220은 도 5에 도시된 동작 1000, 동작 1010 및 동작 1020과 동일할 수 있으며, 동작 1200, 동작 1210 및 동작 1120의 설명은 동작 1000, 동작 1010 및 동작 1020의 설명으로 대체된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1230).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240). 이 때, 제2 기준 값 사용자가 입력 버튼(5a)을 통해 사전에 입력해 놓은 설정 온도일 수 있고, 메모리(220)에 미리 저장된 온도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 센서(80)에 의하여 감지된 캐비티(40)의 온도를 메모리(22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220)에 시계열적으로 저장된 캐비티(40)의 온도에 기초하여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서로 다른 시각에서의 온도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서로 인접한 시각들 사이의 온도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시각 t1과 시각 t2 사이의 온도 변화 T2-T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시각 t3과 시각 t4 사이의 온도 변화 T4-T3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서로 다른 시각에서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는 시각 t2에서의 온도 변화 T2-T1과 시각 t4에서의 온도 변화 T4-T3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시각 t4에서의 온도 변화의 변화 (T4-T3)-(T2-T1)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제2 기준 값과 비교하고,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정상 동작 중에 캐비티(40)의 온도는 비교적 일정하게 증가하고, 캐비티(40)의 온도 변화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0"일 수 있다.
반면, 배기구 등이 폐쇄됨으로 인하여 가스가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경우, 캐비티(40)의 온도가 기준 시각 tR 이전에 급격히 증가하고 기준 시각 tR 이후에 서서히 증가할 수 있다. 기준 시각 tR에서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감소하는 다시 말해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0"보다 작아지는 변곡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기준 시각 tR 이후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감소한 것(더욱 상세하게는 "0"보다 작아지는 것)이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배기구 등이 폐쇄됨으로 인하여 가스가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가 정상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제2 기준 값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기준 값은 "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이상이면(1240의 예), 제어부(200)는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250).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것이 판단되면(1250의 아니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반복된다.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이 판단되면(1250의 예),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가열을 계속한다(1260).
가열 개시 이후 제3 기준 시간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이상이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1)가 정상적인 연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보다 작으면(1240의 아니오),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미만인 시간이 제4 기준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270).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제4 기준 시간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미만인 시간이 제4 기준 시간 미만인 것이 판단되면(1170의 아니오), 온도 센서(80)는 캐비티(40)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200)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반복된다.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미만인 시간이 제4 기준 시간 이상인 것이 판단되면(1270의 예), 제어부(1180)는 가열을 중지한다(1280).
제4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미만이면, 제어부(200)는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동작 중에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는 대략 "0" 인근에서 변동할 수 있다.
반면,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경우, 조기공간(40) 내의 산소가 모두 연소된 기준 시각 tR에서 캐비티(40)의 온도 변화가 감소하며,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0"보다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제2 기준 값 미만인 것이 제4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면, 제어부(200)는 가스의 불완전 연소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부(200)는 조리를 중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는 캐비티(40)의 온도 변화의 변화에 기초하여 불완전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조리기기(1)는 외부 온도가 매우 낮음으로 인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연소 불량으로 인하여 캐비티(40)의 온도가 상승하지 못하는 것을 구별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는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게시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게시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가스오븐
2a : 도어
5 : 유저 인터페이스
5a : 입력 버튼
5b : 디스플레이
40 : 캐비티
50b : 컨벡션 팬
51b : 제1컨벡션 팬
52b : 제2컨벡션 팬
60 : 버너
80 : 온도센서
200 : 제어부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300 : 통신부
400 : 알림부
600 : 사용자 단말

Claims (20)

  1.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
    상기 온도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와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계속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은, 상기 캐비티를 예열하는 예열 및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시작 전에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예열을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컨벡션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컨벡션 팬을 가동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조리기기.
  8.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및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너를 가동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는 것은,
    제1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와 제2 시각에서의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를 식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은,
    제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제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상기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버너의 동작을 계속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은, 상기 캐비티를 예열하는 예열 및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예열 시작 전에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조리를 개시하고,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예열을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컨벡션 팬을 가동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온도 변화의 변화가 기준 값보다 작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오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
  15.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캐비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가스 연료를 연소시켜 상기 캐비티를 가열하는 버너;
    조리기기의 동작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면,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은 상기 캐비티를 예열시키는 예열 및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열 시작 전에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를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예열 모드를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기 예열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조리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기 조리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조리기기가 상기 조리를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조리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기기의 상기 조리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 기준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 온도 미만이면 상기 버너의 동작을 정지하는 조리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는 컨벡션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기기의 동작 개시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상기 캐비티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컨벡션 팬을 가동하는 조리기기.
KR1020200039293A 2020-01-02 2020-03-3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7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5763 WO2021137416A1 (ko) 2020-01-02 2020-11-1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7/854,080 US20220325894A1 (en) 2020-01-02 2022-06-30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118 2020-01-02
KR20200000118 2020-0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386A true KR20210087386A (ko) 2021-07-12

Family

ID=7685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293A KR20210087386A (ko) 2020-01-02 2020-03-31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7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21741A1 (en) * 2022-01-10 2023-07-13 Whirlpool Corporation Temperature sensors for a cooking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21741A1 (en) * 2022-01-10 2023-07-13 Whirlpool Corporation Temperature sensors for a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47894B (zh) 燃气烤箱及其控制方法
US10928062B2 (en) Coo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84273A (ko) 가스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3983B1 (ko) 가스레인지의 노브 위치 자동 판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열방지 제어방법
KR20210087386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7093910A (ja) 加熱調理器
US20220325894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127678B2 (ja) 加熱調理器
JP6400989B2 (ja) グリル装置
JP7039008B2 (ja) コンロ
JP7306874B2 (ja) 加熱調理器
JPH0926136A (ja) 調理器
JP7393180B2 (ja) 加熱調理器
CN112005052B (zh)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40107841A (ko) 스팀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JP2019200009A (ja) ガスコンロ
KR101413982B1 (ko) 가스레인지의 조리용기별 과열방지 자동 온도보정방법
KR100938204B1 (ko) 오븐레인지의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6621A (ja) 炊飯機能付ガスこんろ
JP6913504B2 (ja) 加熱調理装置
JP2022047718A (ja) コンロ
KR20110053636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JP2022176629A (ja) ビルトイン式コンロ
JP2018204910A (ja) 加熱調理器
JP202104697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