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884A - 드럼 누액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누액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884A
KR20210086884A KR1020190179430A KR20190179430A KR20210086884A KR 20210086884 A KR20210086884 A KR 20210086884A KR 1020190179430 A KR1020190179430 A KR 1020190179430A KR 20190179430 A KR20190179430 A KR 20190179430A KR 20210086884 A KR20210086884 A KR 20210086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unit
stopper
support part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491B1 (ko
Inventor
조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17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4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드럼 누액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롤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마개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드럼을 이송하는 드럼이송유닛과,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드럼이송유닛 위에 놓인 드럼을 회전시켜 가로로 눕히는 드럼자세전환유닛과, 드럼자세전환유닛에 설치되어 가로로 눕혀진 드럼을 회전시켜 마개의 위치를 변경하는 드럼회전유닛, 및 드럼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누액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 누액 검사장치{Testing apparatus of drum's leakage}
본 발명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의 자세를 전환시켜 드럼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액상의 화학(chemical) 물질은 빗물, 눈, 공기 등 외부와의 접촉에 의한 변질,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한 보관을 위하여 드럼(Drum) 내부에 수용된다. 드럼은 플라스틱제 원통형 용기로 형성되며, 상면에 화학물질의 출입을 위해 형성된 관통구는 마개에 의해 개폐된다.
한편, 드럼 내부에 액상의 화학물질을 일정량 주입하고 마개로 관통구를 밀폐한 후에 제품을 출하하는데, 드럼 또는 관통구 또는 마개가 불량이거나 마개가 제대로 닫히지 않았을 경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화학물질이 누액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출하 전 드럼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검사한 후 출하하고 있다. 액체의 누액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마개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드럼을 가로로 눕혀야 하는데, 드럼의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드럼 내부에 주입된 액상의 화학물질로 인해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드럼의 자세를 전환시켜 드럼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491호 (2009. 03. 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럼의 자세를 전환시켜 드럼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롤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마개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드럼을 이송하는 드럼이송유닛과,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럼이송유닛 위에 놓인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가로로 눕히는 드럼자세전환유닛과, 상기 드럼자세전환유닛에 설치되어 가로로 눕혀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마개의 위치를 변경하는 드럼회전유닛, 및 상기 드럼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누액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자세전환유닛은, 상기 드럼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며 상기 드럼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측면지지부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받침부 또는 상기 측면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작동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복수 개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롤러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유닛은, 상기 측면지지부에 상기 드럼의 측면과 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드럼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액감지부는, 상기 마개와 함께 상기 드럼을 촬영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판별유닛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미지판별유닛은, 상기 드럼을 밀폐하는 상기 마개를 인식하여 상기 마개 주위를 촬영하고 상기 마개 주위의 색상 변화 또는 얼룩을 감지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판별유닛은 상기 드럼회전유닛이 상기 마개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다음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누액이 감지되면 상기 드럼회전유닛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럼을 세로로 세울 수 있다.
상기 드럼 누액 검사장치는, 상기 드럼자세전환유닛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개를 통해 누설되는 액체를 받는 액체받이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액감지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누설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이송유닛이 드럼을 이송시키면, 드럼자세전환유닛이 세로로 놓인 드럼을 회전시켜 가로로 눕히고, 드럼회전유닛이 가로로 눕혀진 드럼을 회전시켜 마개의 위치를 변경하며, 누액감지부가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을 이송시키고 자세를 변환, 및 회전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드럼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짧은 시간 동안 복수의 드럼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어 검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는 드럼의 자세를 전환시켜 드럼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검사하는 장치로, 드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도시되지 않음)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양 측으로 각각 컨베이어벨트가 연장되어,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던 드럼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를 통과하며 액체의 누액여부가 검사된 후 다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필요처로 이송될 수 있다.
드럼 누액 검사장치는 드럼이송유닛이 드럼을 이송시키면, 드럼자세전환유닛이 세로로 놓인 드럼을 회전시켜 가로로 눕히고, 드럼회전유닛이 가로로 눕혀진 드럼을 회전시켜 마개의 위치를 변경하며, 누액감지부가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을 이송시키고 자세를 변환, 및 회전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드럼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짧은 시간 동안 복수의 드럼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어 검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드럼 누액 검사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1)는 프레임(10)과, 드럼이송유닛(20)과, 드럼자세전환유닛(30)과, 드럼회전유닛(40), 및 누액감지부(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1)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 골조 형태 등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은 일 측면에 드럼이송유닛(20)이 설치되고, 상면에 드럼자세전환유닛(30)이 설치된다.
드럼이송유닛(20)은 전술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된 드럼(D), 보다 구체적으로, 마개(S)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드럼(D)을 검사 위치로 이송하고 검사가 완료된 드럼(D)을 다시 컨베이어벨트로 이송하는 것으로, 양 측으로 각각 컨베이어벨트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이송유닛(20)은 드럼(D)의 이송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롤러(21)로 구성되며, 각각의 롤러(21)는 컨베이어벨트와 동일 평면 상에 드럼(D)의 이송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 롤러본체(2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롤러(21)는 한 쌍의 제1 롤러본체(22) 사이에 개재되어 드럼(D)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마개(S)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드럼(D)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제1 롤러본체(22)는 롤러(21)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한 쌍이 드럼(D)의 너비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제1 롤러본체(22) 중 어느 하나는 프레임(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롤러본체(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1) 하부에서 제2 롤러본체(2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롤러본체(23)에는 롤러(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제1 롤러본체(22)가 제2 롤러본체(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롤러본체(22)는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드럼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된 드럼(D)은 드럼자세전환유닛(30)에 의해 자세가 전환된다.
드럼자세전환유닛(30)은 드럼이송유닛(20) 위에 세로로 놓인 드럼(D)을 가로로 눕혀 자세를 전환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드럼(D)을 회전시킬 수 있다. 드럼자세전환유닛(30)이 세로로 놓인 드럼(D)을 가로로 눕혀 자세를 전환시킴으로써, 마개(S)가 위치한 드럼(D)의 상면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액체가 누액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드럼자세전환유닛(30)은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 및 회전구동부(34)를 포함한다.
받침부(32)는 드럼(D)의 밑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롤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32)는 일단부가 프레임(10)과 접하는 제1 롤러본체(22)의 상면과 측면을 동시에 관통하여 복수 개의 롤러(21) 사이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제1 롤러본체(22) 외측에서 측면지지부(33)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받침부(32)는 드럼(D)의 밑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드럼(D)의 직경과 길이가 동일하거나 드럼(D)의 직경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받침부(32)가 3개의 바(bar)로 이루어지고, 바(bar) 사이에 각각 2개의 롤러(21)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받침부(32)의 개수 및 배치 상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측면지지부(33)는 드럼(D)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함체, 판재, 골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지지부(33)는 드럼이송유닛(20)의 외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드럼(D)의 측면을 지지하며, 일 측이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측면지지부(33)가 'ㄷ'자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어 양 측면이 각각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측면지지부(33)의 형상 및 힌지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지지부(33)는 'ㄴ'자 또는 'I'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측면지지부(33)와 받침부(32)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측면지지부(33)와 받침부(32)는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측면지지부(33)는 회전구동부(34)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34)는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를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 구동하는 것으로, 받침부(32) 또는 측면지지부(33)를 당기거나 밀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구동부(34)는 일단부가 받침부(32) 또는 측면지지부(33)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프레임(10)에 결합된 작동실린더일 수 있으며,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양단부가 각각 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부(34)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가 일체로 당겨지거나 밀리면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이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구동부(34)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가 일체로 드럼이송유닛(20)을 향하여 밀리면서 측면지지부(33)가 드럼이송유닛(20)의 일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초기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구동부(34)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면,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가 일체로 당겨지면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측면지지부(33)가 드럼이송유닛(20)의 일 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검사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프레임(10)의 상면과 측면지지부(33)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완충부재(70)가 설치되므로, 프레임(10)과 측면지지부(33)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면서 측면지지부(33)가 기준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가 회전구동부(34)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드럼(D)이 가로로 눕혀지면, 드럼회전유닛(40)이 동작한다.
드럼회전유닛(40)은 가로로 눕혀진 드럼(D)을 회전시켜 마개(S)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드럼자세전환유닛(30), 예를 들어, 측면지지부(33)에 설치될 수 있다. 드럼회전유닛(40)이 드럼(D)을 회전시켜 마개(S)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마개(S)가 관통구를 밀폐한 상태에서 누액이 되는지 검사할 수 있다. 드럼회전유닛(40)은 한 쌍의 구동롤러(41)와 구동부(42)를 포함한다.
구동롤러(41)는 회전축이 드럼(D)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롤러로, 한 쌍이 각각 측면지지부(33)에 드럼(D)의 측면과 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드럼(D)은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41)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 일부가 구동롤러(41)의 외주면과 접한다. 측면지지부(33)에 한 쌍의 구동롤러(41)가 설치됨으로써, 측면지지부(33)가 검사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 드럼(D)이 구동롤러(41) 사이에 안착될 수 있어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구동롤러(41)는 구동부(4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42)는 구동롤러(4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 쌍의 구동롤러(41)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2)는 측면지지부(33)에 설치되며, 구동롤러(41)의 회전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부(42)가 구동롤러(41)의 회전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동롤러(41)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드럼회전유닛(40)이 드럼(D)을 회전시켜 특정 위치에 마개(S)를 위치시키면, 누액감지부(50)가 드럼(D)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한다. 누액감지부(50)는 마개(S)와 함께 드럼(D)을 촬영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판별유닛으로 형성되거나 드럼(D)으로부터 누설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누액감지부(50)가 이미지판별유닛으로 형성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누액감지부(50)는 드럼이송유닛(20)이 배치된 프레임(10)의 일 측과 대향된 타 측에 위치하며, 드럼(D)을 밀폐하는 마개(S)를 인식하여 마개(S) 주위를 촬영하고 마개(S) 주위의 색상 변화 또는 얼룩을 감지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액감지부(50)는 마개(S)를 인식하는 센서와, 마개(S) 주위를 촬영하는 촬상기, 및 촬영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마개(S) 주위의 색상 변화 또는 얼룩을 감지하고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누액감지부(50)는 드럼회전유닛(40)이 마개(S)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드럼(D)을 회전시킨 다음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개(S)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누액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드럼(D)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누액감지부(50)가 이미지 판별 방식으로 누액여부를 판단할 경우, 마개(S) 주변의 얼룩을 통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미세한 누설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미판별유닛은 드럼(D)에 액체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외부에 묻은 경우에도 쉽게 판단할 수 있어 위험한 케미컬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한편, 누액감지부(50)가 누설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누액감지부(50)는 드럼(D)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누액감지부(50)는 액체가 센서에 접촉할 경우 누설로 인정하는 방식으로 드럼(D)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10) 자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후술할 액체받이통(60)에 설치될 수 있다.
누액감지부(50)는 반드시 이미지판별유닛이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정밀하고 안전한 판단을 위하여 서로 중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누액감지부(50)에서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는 액체가 통전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떨어지는 액체의 압력이나 진동을 측정하거나, 온도를 측정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가능할 것이다.
드럼자세전환유닛(30)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드럼(D)의 하부에는 액체받이통(60)이 배치되므로, 마개(S) 또는 마개(S)와 관통구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되는 액체는 액체받이통(6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누액이 감지되면, 드럼자세전환유닛(30)은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드럼(D)을 세로로 다시 세울 수 있다.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드럼 누액 검사장치(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드럼 누액 검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누액 검사장치(1)는 드럼이송유닛(20)이 드럼(D)을 이송시키면, 드럼자세전환유닛(30)이 세로로 놓인 드럼(D)을 회전시켜 가로로 눕히고, 드럼회전유닛(40)이 가로로 눕혀진 드럼(D)을 회전시켜 마개(S)의 위치를 변경하며, 누액감지부(50)가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D)을 이송시키고 자세를 변환, 및 회전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드럼(D)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게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짧은 시간 동안 복수의 드럼(D)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어 검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드럼(D)은 마개(S)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상태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드럼이송유닛(20)으로 진입하며, 복수 개의 롤러(2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다. 드럼(D)이 이송될 때 측면지지부(33)는 피스톤이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구동부(34)에 의해 드럼이송유닛(20)의 일 측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측면지지부(33)에 결합된 받침부(32)는 제1 롤러본체(22)를 관통하여 복수 개의 롤러(21) 사이에 배치된다. 롤러(21)에 의해 이송된 드럼(D)은 받침부(32)의 상측에 안착된다. 받침부(32)는 측면지지부(33)에 설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41) 사이에 위치하므로, 드럼(D)이 한 쌍의 구동롤러(41) 사이에 개재되면 받침부(32)의 상측에 안착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롤러본체(22) 또는 받침부(32)에 센서가 설치되어 드럼(D)이 받침부(32)의 상측에 안착되었음을 인지할 수도 있다.
드럼(D)이 받침부(32)에 안착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로 점차 삽입되어 회전구동부(34)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며, 이로 인해, 드럼(D)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32)와 드럼(D)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3)가 일체로 당겨지면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측면지지부(33)가 드럼이송유닛(20)의 일 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검사 자세로 전환된다. 측면지지부(33)가 수평하게 배치됨에 따라, 드럼(D)은 가로로 눕혀져 마개(S)가 위치한 상면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완충부재(70)는 프레임(10)과 측면지지부(33)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고 측면지지부(33)가 기준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드럼(D)이 가로로 눕혀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가 구동롤러(41)를 회전시킨다. 구동롤러(41)가 회전함에 따라 드럼(D)도 회전하여 마개(S)의 위치가 변경되며, 누액감지부(50)는 마개(S)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마개(S)와 함께 드럼(D)을 촬영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마개(S)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누액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드럼(D)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마개(S) 또는 마개(S)와 관통구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되는 액체는 액체받이통(60)에 수용되며, 누액이 감지되면 회전구동부(34)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받침부(32)와 측면지지부(33)를 밀어 드럼(D)을 세로로 다시 세울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된 드럼(D)은 드럼이송유닛(20)을 통해 이송되어 컨베이어벨트로 진입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드럼 누액 검사장치
10: 프레임 20: 드럼이송유닛
21: 롤러 22: 제1 롤러본체
23: 제2 롤러본체 24: 구동모터
30: 드럼자세전환유닛 31: 힌지축
32: 받침부 33: 측면지지부
34: 회전구동부 40: 드럼회전유닛
41: 구동롤러 42: 구동부
50: 누액감지부 60: 액체받이통
70: 완충부재
D: 드럼 S: 마개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롤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마개가 위에 위치하도록 세로로 놓인 드럼을 이송하는 드럼이송유닛;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럼이송유닛 위에 놓인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가로로 눕히는 드럼자세전환유닛;
    상기 드럼자세전환유닛에 설치되어 가로로 눕혀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마개의 위치를 변경하는 드럼회전유닛, 및
    상기 드럼에 수용된 액체의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누액감지부를 포함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자세전환유닛은,
    상기 드럼의 밑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연결되며 상기 드럼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와 상기 측면지지부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받침부 또는 상기 측면지지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작동실린더인 드럼 누액 검사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복수 개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롤러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회전유닛은,
    상기 측면지지부에 상기 드럼의 측면과 접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회전축이 상기 드럼의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감지부는, 상기 마개와 함께 상기 드럼을 촬영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판별유닛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미지판별유닛은,
    상기 드럼을 밀폐하는 상기 마개를 인식하여 상기 마개 주위를 촬영하고 상기 마개 주위의 색상 변화 또는 얼룩을 감지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판별유닛은 상기 드럼회전유닛이 상기 마개가 하부로 위치하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다음 누액여부를 판단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누액이 감지되면 상기 드럼회전유닛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드럼을 세로로 세우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자세전환유닛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개를 통해 누설되는 액체를 받는 액체받이통을 더 포함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감지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누설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되는 드럼 누액 검사장치.
KR1020190179430A 2019-12-31 2019-12-31 드럼 누액 검사장치 KR10234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30A KR102345491B1 (ko) 2019-12-31 2019-12-31 드럼 누액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30A KR102345491B1 (ko) 2019-12-31 2019-12-31 드럼 누액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84A true KR20210086884A (ko) 2021-07-09
KR102345491B1 KR102345491B1 (ko) 2022-01-03

Family

ID=76865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30A KR102345491B1 (ko) 2019-12-31 2019-12-31 드럼 누액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325B1 (ko) * 2022-06-13 2022-11-22 주식회사 이앤비솔루션 누액 검사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6850A (en) * 1986-03-31 1987-08-18 Evans Robert G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drums
JPH11237302A (ja) * 1998-02-20 1999-08-31 Japan Small Corp 画像処理によるドラム缶発泡漏れ検査装置
KR100889491B1 (ko) 2007-05-09 2009-03-19 주식회사 동희산업 연료탱크의 누설 검사장치 및 방법
CN202676383U (zh) * 2012-07-12 2013-01-16 深圳出入境检验检疫局工业品检测技术中心 钢桶气密液压试验机的定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6850A (en) * 1986-03-31 1987-08-18 Evans Robert G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drums
JPH11237302A (ja) * 1998-02-20 1999-08-31 Japan Small Corp 画像処理によるドラム缶発泡漏れ検査装置
KR100889491B1 (ko) 2007-05-09 2009-03-19 주식회사 동희산업 연료탱크의 누설 검사장치 및 방법
CN202676383U (zh) * 2012-07-12 2013-01-16 深圳出入境检验检疫局工业品检测技术中心 钢桶气密液压试验机的定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325B1 (ko) * 2022-06-13 2022-11-22 주식회사 이앤비솔루션 누액 검사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491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4961B2 (ja) シェアログラフィック撮像マシン及び方法
KR102345491B1 (ko) 드럼 누액 검사장치
KR20100042382A (ko) 비파괴 검사 장비
KR101416748B1 (ko) 연속 핀 자동 검사 장치
JP4900849B2 (ja) シール部の密封性検査装置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JP4816931B2 (ja) 容器の気密性検査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容器の気密性検査システム
KR101060712B1 (ko) 기판 검사 장치 및 이를 갖는 공정 설비
CN102288617A (zh) 对充满液体的容器内的悬浮物质的检测
JP5057014B2 (ja) 汚れ検出装置
WO2019176372A1 (ja) ピンホール検査装置及びピンホールの有無が検査された包装袋の製造方法
KR100950016B1 (ko) 평판 패널 지지유닛
KR102469325B1 (ko) 누액 검사장비
KR102343482B1 (ko) 화학 약품 자동 용기 개폐 및 약액 이송 시스템
US7343815B2 (en) Quality control device for solid, pharmaceutical products
JP2003287474A (ja) タンクリーク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1866181B1 (ko) 용기 내부의 이물질 검사 장치
EP39698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s from sealed containers
JP2008224427A (ja) 充填容器の欠陥検査装置
KR102016582B1 (ko) 잔량 방지 용기의 핀홀 검사 장비
KR101472489B1 (ko) 침투탐상법을 이용한 소형 파이프 내부 결함 검사장치
JPH0648373Y2 (ja) 容器の漏洩検査装置
KR101365851B1 (ko) 글래스 반송 장치
KR101345213B1 (ko) 완성타이어 반전장치
US6367312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ontainer for leakage of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