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678A -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678A
KR20210086678A KR1020217016118A KR20217016118A KR20210086678A KR 20210086678 A KR20210086678 A KR 20210086678A KR 1020217016118 A KR1020217016118 A KR 1020217016118A KR 20217016118 A KR20217016118 A KR 20217016118A KR 20210086678 A KR20210086678 A KR 2021008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information
detection result
detection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웨이 장
쳉 리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센스타임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센스타임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센스타임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N5/232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4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to protect a block of data words, e.g. CRC or checks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03
    • H04N5/23219
    • H04N5/23245
    • G06K2209/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7Target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Image Analysi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 방법은,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910809368.5이고 출원일자가 2019년 8월 29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분야에서,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의 통신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임베디드 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마스터 컴퓨터는 슬레이브 컴퓨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슬레이브 컴퓨터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기기 작동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의 통신은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완전한 통신 프로토콜은 정보가 신뢰적이고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에 의해,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공유 메모리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마스터 컴퓨터는 공유 메모리에서 검출 결과에 대해 직접 복제를 수행할 수 있고, 검출 결과 획득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정보를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검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 및 제어 필드에 반송될 수 있고,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의 정보 통신을 구현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결과의 헤드(head)부 및 테일(tail)부에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검출 결과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체크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하는 단계 - 상기 제2 체크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한다.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가 반송되는 것을 통해, 검출 정보 또는 제어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고, 위변조될 가능성을 방지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성 다항식에 기반하여, 이진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진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검출 결과에 대해 체크를 수행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검출 결과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통해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 슬레이브 컴퓨터는 상응한 동작을 더욱 잘 실행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송신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리턴된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도달하도록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보장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가 반송한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에 대해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의 양방향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로써, 마스터 컴퓨터는 슬레이브 컴퓨터와 다양한 작동 모드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의 정보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슬레이브 컴퓨터는 제1 데이터 패킷에서 타깃 검출에 의해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서 제1 체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체크 정보가 기설정 체크 정보에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검출 결과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이진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하여, 체크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가 체크 통과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슬레이브 컴퓨터는 정확한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검출 결과가 위변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작동 모드가 변화될 경우,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및 마스터 컴퓨터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슬레이브 컴퓨터에서 마스터 컴퓨터로의 정보 통신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로써, 슬레이브 컴퓨터는 마스터 컴퓨터와 다양한 작동 모드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공유 메모리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정보를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체크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은 또한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체크 정보 - 상기 제2 체크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정확성을 검증하도록 구성됨 - 를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하고; 상기 생성 다항식에 기반하여, 이진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진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은 또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송신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리턴된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가 반송한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에 대해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서 제1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체크 정보가 기설정 체크 정보에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이진 시퀀스를 획득하며; 상기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하여, 체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체크 결과가 체크 통과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변화될 경우,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며; 마스터 컴퓨터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수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다음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다음, 슬레이브 컴퓨터에 생성된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로써,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에 의해,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의 세부적인 설명은 다만 예시적 및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아래 참조 도면이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특징 및 측면은 명확해진다.
아래의 도면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공유 메모리의 정보 저장 포맷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검출 결과의 정보 저장 포맷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제1 데이터 패킷 포맷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장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장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전자 기기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표시는 기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이 도면에서 도시되었지만, 특별히 지적하지 않는 한, 비례대로 제도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전문적으로 사용되는 "예시적"이란 단어는 "예, 실시예 또는 설명적인 것으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설명된 그 어떤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보다 더 우수하거나 좋은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문에서 용어 “및 /또는”은 다만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세 가지의 관계가 존재함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문에서 용어 "적어도 하나"는 복수에서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에서의 적어도 두 개 중의 어느 하나의 조합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A, B, 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은, A, B 및 C로 구성된 집합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시 형태에서 수많은 세부 사항을 제공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일부 세부 사항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가 부각되도록 본 분야의 기술자들이 익숙한 방법, 수단, 구성 요소 및 회로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측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표시는 기능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이 도면에서 도시되었지만, 특별히 지적하지 않는 한, 비례대로 제도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통신 방안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다음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다음,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정보 통신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라즈베리 파이(마스터 컴퓨터)와 스마트 로봇의 제어 모듈(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정보 통신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통신 방법은 단말 기기, 서버 또는 다른 타입의 전자 기기에 의해 실행되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셀룰러 폰, 무선 전화,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로봇 등일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호출하는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 전자 기기를 실행 주체로 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 실시예의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메모리에 저장된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검출 결과는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 프레임에서의 타깃 대상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획득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미지 프레임에서의 구체(sphere)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구체에 대한 타깃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여기서, 검출 결과는 타깃 대상이 이미지 프레임에서의 이미지 좌표일 수 있고, 또는, 타깃 대상이 3차원 공간에서의 세계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즈베리 파이는 마스터 컴퓨터로 사용될 수 있고, 스마트 로봇에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로봇은 현재 시나리오의 이미지 프레임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고, 다음 라즈베리 파이(마스터 컴퓨터)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한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공유 메모리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컴퓨터는 공유 메모리를 만들 수 있고, 또한 이미지 프레임의 검출 결과를 공유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저장함으로써, 마스터 컴퓨터는 공유 메모리에서 검출 결과에 대해 직접 복제를 수행할 수 있고, 검출 결과 획득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일 예시에 있어서, 공유 메모리에는 검출 결과가 저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 프레임 및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도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할 때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의 작동 모드일 수 있고,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수행한 타깃 검출은 상기 작동 모드와 대응되고, 즉 작동 모드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는 타깃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 분류 모드에서, 타깃 대상은 이미지 프레임에서의 제스처 이미지일 수 있고, 얼굴 검출 모드에서, 타깃 대상은 이미지 프레임에서의 얼굴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공유 메모리의 정보 저장 포맷의 블록도이다. 공유 메모리는 플래그 비트 부분, 이미지 내용 부분 및 검출 결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래그 비트 부분은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의 타깃 검출 상태 및 작동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 비트를 저장할 수 있고, 타깃 검출 상태는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이 타깃 검출 처리를 경과하였는지 여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래그 비트가 1일 때,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이 제스처 검출을 경과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미지 내용 부분은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로봇이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마다, 라즈베리 파이는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공유 메모리의 이미지 내용 부분에 저장할 수 있다. 검출 결과 부분은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이 타깃 검출을 수행한 검출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타깃 검출이 얼굴 검출일 경우, 검출 결과는 얼굴의 이미지 좌표 또는 세계 좌표일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메모리에 포함된 각 부분에 상응한 저장 공간을 분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래그 비트에 크기가 8 바이트인 저장 공간을 분배하며, 이미지 내용 부분에 크기가 50K 바이트인 저장 공간을 분배하고, 검출 결과에 크기가 72 바이트인 저장 공간을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 메모리에 캐시된 내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고,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마다, 공유 메모리의 내용을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되는 플래그 비트, 이미지 내용 및 검출 결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검출 결과의 정보 저장 포맷의 블록도이다.
일 예시에 있어서, 공유 내용의 검출 결과 부분은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깃 대상의 검출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즉 타깃 대상의 이미지 좌표 또는 세계 좌표이며, 상기 검출 결과는 몇 개 포인트의 이미지 좌표 또는 세계 좌표로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출 결과 부분은 N 개의 타깃 대상의 검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N은 0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여기서, 타깃 대상 1의 윤곽의 상, 하, 좌, 우 네 개 에지의 포인트가 선택될 수 있으며, 이 네 개 에지의 포인트의 이미지 좌표 또는 세계 좌표를 타깃 대상 1의 검출 결과로 사용한다.
단계 S12에서,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할 수 있고, 현재의 이미지 프레임의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에 캡슐화한다. 여기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은 전송 제어/인터넷(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프로토콜 포맷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재의 작동 모드는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현재의 작동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고,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검출 정보를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하고, 제어 정보를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데이터 패킷은 검출 결과 필드 및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결과 필드에 검출 결과에 의해 생성된 검출 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제어 필드에 현재의 작동 모드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마스터 컴퓨터는 검출 결과를 직접 검출 정보로 사용하여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할 수 있거나, 또는 검출 결과에 대해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여, 암호환된 검출 결과를 검출 정보로 사용하여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할 수 있다. 상응하게, 마스터 컴퓨터는 현재의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직접 제어 정보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마스터 컴퓨터는 현재의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검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 및 제어 필드에 반송될 수 있고, 슬레이브 컴퓨터와의 정보 통신을 구현한다.
상기 구현 방식의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예시에 있어서, 검출 결과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 각각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헤드부에 추가된 제1 체크 정보와 테일부에 추가된 제1 체크 정보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체크 정보는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사전 협의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헤드부의 제1 체크 정보를 0X7e로 설정하고, 테일부의 제1 체크 정보를 0Xac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후, 마스터 컴퓨터와 사전 협의된 제1 체크 정보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의 검출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할 수 있고,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가 모두 제1 체크 정보와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상응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수신된 제1 데이터 패킷을 포기하고, 어떠한 처리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검출 결과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단계 S13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 후, 슬레이브 컴퓨터에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즈베리 파이는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마트 로봇의 제어 모듈과 연결될 수 있고, 라즈베리 파이는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데이터 패킷을 스마트 로봇의 제어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후, 제1 데이터 패킷에 대한 파싱을 통해,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 정보가 지시하는 작동 모드 및 검출 결과가 지시하는 타깃 대상의 위치에 따라, 예를 들어 타깃 대상에 대해 추적 촬영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상응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제1 데이터 패킷 포맷의 블록도이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데이터 패킷은 체크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은,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하는 단계 - 상기 제2 체크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데이터 패킷에는 체크 필드가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체크 필드는 16개 비트일 수 있다. 마스터 컴퓨터는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난수를 사용하여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한 다음, 제2 체크 정보를 사용하여 검출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암호화하고, 제2 체크 정보를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후, 체크 필드에서의 제2 체크 정보를 사용하여 검출 정보 또는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할 수 있고, 디코딩 성공일 경우, 획득한 검출 결과 및 제어 정보에 따라 상응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수신된 제1 데이터 패킷을 포기할 수 있다.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가 반송되는 것을 통해, 검출 정보 또는 제어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고, 위변조될 가능성을 방지한다.
상기 구현 방식의 일 예시에 있어서,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생성 다항식에 기반하여, 이진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진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예시에 있어서, 정보 통신 과정에서 검출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검출 결과에 있어서, 검출 결과에 대해 체크를 수행한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 다항식은 슬레이브 컴퓨터와 사전 협의할 수 있고, 생성 다항식은 감독 코드 시퀀스일 수 있으며, 생성 다항식을 이진 시퀀스로 전환할 수 있고, 이진 시퀀스의 비트 수는 양의 정수이며, 예를 들어 8비트, 4비트 등이다. 예를 들어, 생성 다항식 G(x)=x3+x2+1이고, 이진 시퀀스는 1101일 수 있다. 다음 검출 결과 D(x) 및 생성 다항식 G(x)를 사용하여, 중복 부호 길이 R을 결정할 수 있고, D(x)의 이진 부호를 왼쪽으로 R 비트를 이동하여, 하나의 제1 이진 부호를 획득하며, 상기 제1 이진 부호를 G(x)로 나눠서, 나머지 r을 얻는다. 다음 r의 마지막 R 비트를 모드 2 계산하여, 제2 이진 부호를 획득하며, 제2 이진 부호를 r에 재할당할 수 있다. 다음 D(x)의 이진 부호를 왼쪽으로 R 비트를 이동하고 r을 더하면,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통해, 검출 결과에 대해 체크를 수행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검출 결과 전송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데이터 패킷은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데이터 패킷에는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는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가 1일 때,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마스터 컴퓨터는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따라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에 저장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정보를 캡슐화하여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에 저장한다.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후, 제1 데이터 패킷에서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에 따라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현재의 검출 결과는 얼굴 검출 모드에서의 얼굴 검출 결과임을 결정하면, 슬레이브 컴퓨터는 상기 얼굴 검출 결과를 얼굴 검출 모드에 대응되는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통해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음으로, 슬레이브 컴퓨터는 상응한 동작을 더욱 잘 실행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송신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리턴된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재전송 임계값을 제1 데이터 패킷의 재전송 임계값 필드에 저장할 수 있고, 재전송 임계값은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킷이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후,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마스터 컴퓨터가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1 데이터 패킷에 대한 리턴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신되지 못하거나 또는 제1 데이터 패킷 오류 등 문제가 존재한다고 간주할 수 있고, 슬레이브 컴퓨터에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성공적으로 도달하도록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보장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패킷은 선택 가능한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택 가능한 필드는 실제 응용 시나리오 중 제1 데이터 패킷의 통신 프로토콜 포맷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음으로써, 제1 데이터 패킷에 대해 개선 및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가 반송한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에 대해 조정을 수행한다.
상기 실시 방식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복수 개의 센서를 연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센서를 통해 현재의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슬레이브 컴퓨터는 센서의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작동 모드를 결정한다. 슬레이브 컴퓨터는 현재의 작동 모드에 의해 직접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 추가할 수 있거나, 또는, 암호화된 제어 정보를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마스터 컴퓨터에 제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패킷이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후,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현재의 작동 모드를 파싱하고, 자체의 작동 모드를 파싱 된 작동 모드로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라즈베리 파이는 스마트 로봇의 제어 모듈에 의해 전송된 제2 데이터 패킷에 따라, 작동 모드를 원래의 얼굴 검출 모드에서 구체 검출 모드로 조정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의 양방향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마스터 컴퓨터는 제2 데이터 패킷에서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다른 일부 정보, 예를 들어, 제2 데이터 패킷에서 스마트 로봇이 운행하는 회전 속도, 속도 등과 같은 일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음으로써, 마스터 컴퓨터는 슬레이브 컴퓨터와의 양방향통신을 통해, 스마트 로봇의 현재 운동 상태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통신 방법은 슬레이브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통신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은 TCP/IP 프로토콜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로봇의 제어 모듈(슬레이브 컴퓨터)은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라즈베리 파이(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2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포함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검출 결과에 따라 타깃 대상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위치는 타깃 대상의 세계 좌표 또는 이미지 좌표일 수 있다. 다음, 현재의 작동 모드 및 검출 결과가 지시하는 타깃 대상의 위치에 따라, 예를 들어, 타깃 대상에 대해 추적 촬영을 수행하는 것 등과 같은, 상응한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한다. 이런 방법을 통해,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의 정보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응하게, 슬레이브 컴퓨터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검출 결과 필드의 검출 정보에 의해 직접 타깃 대상의 검출 결과를 획득하거나, 또는, 마스터 컴퓨터와 사전 협의된 방식을 사용하여 검출 결과 필드의 검출 정보를 디코딩 하여, 타깃 대상의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응하게, 슬레이브 컴퓨터는 제어 필드의 제어 정보에 의해 직접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거나, 또는, 마스터 컴퓨터와 사전 협의된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필드의 제어 정보를 디코딩 하여,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데이터 패킷 내용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상기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서 제1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체크 정보가 기설정 체크 정보에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체크 정보는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사전 협의된 것일 수 있고, 체크 정보 헤드부 및 테일부의 제1 체크 정보는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의 제1 체크 정보를 0X7e로 설정하고, 테일부의 제1 체크 정보를 0Xac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패킷이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수신된 후, 마스터 컴퓨터와 사전 협의된 제1 체크 정보를 사용하여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의 검출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할 수 있고,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가 모두 제1 체크 정보와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 의해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수신된 제1 데이터 패킷을 포기하고, 어떠한 처리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검출 결과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구현 방식의 일 예시에 있어서, 마스터 컴퓨터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이진 시퀀스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하여, 체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체크 결과가 체크 통과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획득한다.
상기 예시에 있어서, 정보 통신 과정에서 검출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 결과에 제2 체크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체크 정보는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반송될 수 있다. 슬레이브 컴퓨터는 사전 저장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하고, 상기 생성 다항식을 통해 이진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저장된 이진 시퀀스를 직접 획득한다. 다음 제2 체크 정보를 이진 시퀀스로 나눠서, 나머지를 얻고, 나머지가 0일 경우, 체크 결과는 체크 통과라고 간주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체크 결과는 체크 실패라고 간주할 수 있다. 체크 통과일 경우,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결과를 검출할 수 있고, 체크 실패일 경우, 제1 데이터 패킷을 포기할 수 있다. 이로써, 슬레이브 컴퓨터는 정확한 검출 결과를 획득할 수 있고, 검출 결과가 위변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작동 모드가 변화될 경우,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및 마스터 컴퓨터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현 방식에 있어서, 슬레이브 컴퓨터는 예를 들어, 터치 센서, 광센서,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복수 개의 센서를 연결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는 센서를 통해 현재의 작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슬레이브 컴퓨터는 센서의 전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작동 모드를 결정한다. 슬레이브 컴퓨터는 현재의 작동 모드에 의해 직접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 추가할 수 있거나, 또는, 암호화된 제어 정보를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마스터 컴퓨터에 제2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컴퓨터는 제2 데이터 패킷 중 제어 필드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슬레이브 컴퓨터에서 마스터 컴퓨터로의 정보 통신 과정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슬레이브 컴퓨터는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통해 현재의 작동 모드 마스터 컴퓨터로 송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주동적으로 마스터 컴퓨터에 다른 일부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로봇이 운행하는 회전 속도, 속도 등과 같은 일부 정보는 제2 데이터 패킷에 반송되어 마스터 컴퓨터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통신 방안을 통해, 마스터 컴퓨터와 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정보 통신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라즈베리 파이(마스터 컴퓨터)와 스마트 로봇의 제어 모듈(슬레이브 컴퓨터) 사이의 정보 통신을 구현한다.
레고 및 라즈베리 파이를 결합하여 만든 교육용 로봇 mindstorms-EV3은, 현재 프로그래밍 교육 및 인공 지능에서 보급된 신흥 교육 도구이고, 여기서, 레고 및 라즈베리 파이 사이에서의 양방향통신은 제일 기초적인 문제이다. 관련 기술에서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의 통신 방식은 상태 레지스터, 작업 유닛 시퀀스 등을 사용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 통신 기술은 많은 분야에서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특히 임베디드 기기에서, 완전한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신뢰적이고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하지만 완전하고 통일된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은 비교적 어렵다. 먼저, 프로토콜 규범은 관련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마스터 컴퓨터 기기와 슬레이브 컴퓨터 기기는 연결 방식이 다양하여, 통일된 표준을 설정할 수 없다. 또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체크 메커니즘 및 재전송 메커니즘의 도움을 빌려야 하는데, 재전송 및 체크는 데이터 전송의 실시간성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기에, 상이한 요구 시나리오에 따라 프로토콜에 대해 수정을 수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설계는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의 양방향 상호 작용도 구현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즈베리 파이 및 EV3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을 통해, 상기 프로토콜은 라즈베리 파이 및 EV3의 통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주로 하기와 같이 단계 S31 내지 단계 S36을 포함한다.
단계 S31에 있어서, 라즈베리 파이에 플래그 비트, 이미지 및 이미지 검출 결과 등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유 메모리를 만든다.
여기서,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 적용 분야는 교육 배경 하의 스마트 로봇이고, 스마트 로봇은 제스처 분류, 얼굴 검출 및 인체 추적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즈베리 파이 및 레고 EV3의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라즈베리 파이에서 이미지의 캡처 및 상이한 기능의 이미지 검출 작업을 완료한다. 이미지 저장, 검출 결과 저장 및 상이한 기능의 스위칭을 구현하기 위하여, 라즈베리 파이에 공유 메모리를 만들고, 공유 메모리 주요 정보 포맷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 중 공유 메모리 정보 포맷은 주로 플래그 비트, 이미지 내용 및 검출 결과 세 부분의 내용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래그 비트 기능은 하기와 같다. 현재 캡처하여 획득된 이미지가 검출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고, 상이한 검출 기능 모드를 표시하며; 이미지 내용 부분은 이미지 저장 영역이고, 캡처하여 획득된 동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분리하여 상기 부분에 저장하며; 검출 결과 부분은 이미지 검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부분 내용의 크기는 72바이트이며, 주로 다중 타깃 검출 결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정보는 도 3을 참조한다. 여기서, 플래그 비트 및 이미지 내용의 각 프레임은 계속 업데이터 되지만, 데이터 전송 내용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각 프레임 검출 결과 정보는 데이터 패킷에 캡슐화된다.
단계 S32에 있어서, 공유 메모리 플래그 비트를 변경하여, 다음 프레임 이미지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 결과 정보를 데이터 필드로 캡슐화한다.
여기서, 공유 메모리에서의 검출 결과 부분을 입력하고, 검출 결과를 캡슐화한 데이터 패킷을 출력할 수 있으며; 라즈베리 파이 공유 메모리 중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필드를 지정된 부분에 기입함으로써 데이터 캡슐화를 완료하고, 데이터 패킷 포맷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공유 메모리에는 기능 모드 필드 및 검출 결과 정보 필드가 동시에 보류되고, 검출 결과 정보를 대응되는 검출 정보 부분에 직접 캡슐화하며, 검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의 하나의 바이트에 모두 체크 바이트를 추가한다. 여기서 헤드부 체크 바이트는 0X7e 일 수 있고, 테일부 바이트는 0Xac 일 수 있다.
데이터 패킷이 EV3에 의해 수신된 후, 먼저 검출 결과 필드를 파싱하고, 다음 헤드부와 테일부 바이트 정보의 체크를 수행한다. 체크 통과했을 때, 검출 결과에 따라 상응한 명령을 수행하고; 체크 실패했을 때, 데이터 패킷을 포기하고, 어떠한 처리도 수행하지 않는다.
단계 S33에 있어서, 데이터 필드에 따라 CRC 체크 필드를 계산한다.
여기서, 전송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데이터 패킷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환 중복 체크) 체크 필드를 추가하고, 상기 필드는 검출 결과에 대해서만 체크를 수행하며, 체크 디지트는 총 16개 비트 정보이다. EV3 측에서 데이터 패킷을 파싱 할 때, 동시에 CRC 체크를 수행하여, 검출 결과 시퀀스를 획득하고, 체크 통과하지 못했을 때 데이터 패킷을 포기한다.
타입 일련 번호
제스처 분류 1
얼굴 검출 2
인체 추적 3
구체 검출 4
여기서, 교육용 로봇은 상이한 작동 모드가 있고, 상이한 작동 모드에서 EV3 및 라즈베리 파이는 상응한 서비스를 동시에 시작해야 하며, 서비스의 시작 및 스위칭은 제어 필드의 설정을 통해야 하고, 서비스 및 대응되는 제어 타입은 위의 표 1과 같다. 라즈베리 파이 측에서 먼저 자체의 서비스 타입을 검출하고, 서비스 종류에 따라 제어 필드 내용을 보충한다.
또한, 데이터 패킷 포맷에는 재전송 임계값 필드가 사전 보류되었고, 상기 시간 임계값을 설정한 후, 데이터 패킷 송신 시간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였지만 상응한 ACK(Acknowledge character, 응답 문자) 답장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 패킷을 다시 송신한다. 본 교육용 로봇은 유선 시리얼 포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패킷 손실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상기 필드는 보류 필드이고, 무선 시나리오 수요는 보류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 정보에 대한 캡슐화를 완료한 후, 라즈베리 파이는 시리얼 포트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은 운영체제 기본 명령을 통해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완료한다.
단계 S35에 있어서, EV3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응한 명령을 실행하며, 체크를 완료하고, 센서를 터치하는 것을 통해 제어 필드를 수정한다.
여기서, Ev3은, 라즈베리 파이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 및 파싱하고, 데이터 패킷 제어 필드를 수정 및 데이터 패킷을 라즈베리 파이로 송신하는 두 개 부분의 기능을 완료할 수 있다.
먼저, EV3 측에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후, 먼저 CRC 체크를 수행하고, 체크 통과했을 때 검출 결과를 파싱 하며, 검출 결과에 따라 상응한 명령을 실행한다. CRC 체크 과정은 하기와 같은,
데이터 패킷을 파싱 하여 검출 결과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S351;
검출 결과 시퀀스를 기설정 생성 다항식으로 나눠서, 나머지를 얻는 단계 S352;
나머지가 0이면 체크 통과이고 검출 결과가 정확한 단계 S353 ;
나머지가 0이 아니면 체크 실패이고 검출 결과가 틀린 단계 S354; 를 포함한다.
그다음, EV3 측에서 관련 센서를 통해 기능 모드를 수정할 때, 만약 센서 또는 적외선 비콘 등을 터치하는 방식을 통하면, 데이터 패킷에서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고, 상기 정보를 라즈베리 파이 측으로 송신하며, 라즈베리 파이 측에서 시작된 서비스를 조정하여,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 서비스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단계 S36에 있어서, 라즈베리 파이가 EV3 제어 필드 정보를 수신하고, 작동 모드 조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라즈베리 파이 측에서 데이터 패킷이 수신된 후, 먼저 CRC 체크를 완료하고, 체크 통과된 후, 제어 필드를 파싱 하며, 제어 필드를 통해 자체 작동 모드를 조정한다. 이때 라즈베리 파이 공유 메모리 포맷은 변하지 않고, 플래그 비트, 이미지 내용 및 검출 결과 세 개 부분을 포함하지만, 검출 결과는 상이한 기능에서의 검출 정보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즈베리 파이 및 EV3 통신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필드 및 제어 필드를 설계하는 것을 통해, 데이터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전송을 완료할 수 있고; 또한 재전송 메커니즘 및 CRC 체크 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통해, 데이터가 신뢰적이고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보장하며; EV3의 터치 센세(접촉 센서)의 도움을 빌려,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예를 들어 라즈베리 파이 및 EV3)의 상이한 기능 모드의 스위칭을 구현하고, 교육용 로봇의 상이한 작동 모드를 완료하며, 데이터 정보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고; 라즈베리 파이 및 EV3 통신 프로토콜은 다른 선택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필드를 사전 보류하여, 다른 유사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개량 및 최적화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TCP/IP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시리얼 포트 모드에서의 상이한 마스터 컴퓨터 기기 및 슬레이브 컴퓨터 기기를 호환 가능하고, 하드웨어 기기에 대해 의존이 약하지만; 종래 기술은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기기 유형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욱 유연하게 마스터 컴퓨터 및 슬레이브 컴퓨터의 양방향 정보 상호 작용 메커니즘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슬레이브 컴퓨터가 마스터 컴퓨터에 대한 약한 제어를 쉽게 구현할 수 있지만; 관련 기술은 대부분 마스터 컴퓨터가 슬레이브 컴퓨터에 대한 제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즈베리 파이 및 EV3 통신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타입에 대해 구분을 수행하여, 데이터 필드 및 제어 필드 두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필드를 통해 교육용 로봇의 상이한 모드의 스위칭을 구현할 수 있지만; 기존의 프로토콜은 데이터 타입에 대해 분류하지 않으며, 비교적 고정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CRC 체크 방법에 대해 개량을 수행하고, 자체 정를 통해 순환 코드 길이를 자유로 조정할 수 있어, 신뢰성 및 효율성의 절충을 구현하지만; 전통 CRC 방식은 일반적으로 순환 코드 길이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교육용 로봇, 반도체 분야 또는 임베디드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교육용 로봇의 적용 시나리오에서, 라즈베리 파이 및 EV3 통신 프로토콜은 제어 기기 및 실행 기기 사이의 양방향 신뢰 가능한 통신을 보장할 수 있고; 반도체 분야 또는 임베디드 기기에서, 상기 알고리즘은 유연한 양방향 상호 작용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선된 CRC 체크 방안을 사용하여,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공유 메모리 방식을 사용하여, 마스터 컴퓨터에서 상이한 기능 모듈의 스위칭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서 언급한 상기 각 방법 실시예는, 원리 논리에 위배되지 않는 한, 모두 서로 상호적으로 결합되어 결합된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고, 편폭의 제한으로, 본 발명에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장치, 전자 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 전자 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프로그램은 모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응한 기술적 방안 및 설명 및 방법 부분을 참조한 상응한 기재는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실시 형태의 상기 방법에서, 각 단계의 기록 순서가 엄격한 수행 순서를 의미하여 실시 과정에 대한 임의의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각 단계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가능한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된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장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31);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32);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33)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31)은, 공유 메모리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32)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정보를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32)은, 상기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체크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32)은 또한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체크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32)은,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하고; 상기 생성 다항식에 기반하여, 이진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진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32)은 또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33)은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송신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리턴된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가 반송한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에 대해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통신 장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는,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41);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42);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43)을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2)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2)은, 상기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서 제1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체크 정보가 기설정 체크 정보에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42)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이진 시퀀스를 획득하며; 상기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하여, 체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체크 결과가 체크 통과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변화될 경우,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며; 마스터 컴퓨터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수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장치가 갖고 있는 기능 또는 포함하는 모듈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현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기기는 단말, 서버 또는 다른 형태의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전자 기기(19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900)는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900)는 처리 컴포넌트(1922)를 포함하고, 추가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1932)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 자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같은 처리 컴포넌트(192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932)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각각 명령어 세트에 대응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1922)는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기기(1900)는 전자 기기(1900)의 전원 관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전원 컴포넌트(1926), 전자 기기(19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50) 및 입력 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19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900)는 메모리(1932)에 기반하여 저장된 운영체제,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유사한 것을 작동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1932)와 같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전자 기기(1900)의 처리 컴포넌트(1922)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통신 방법을 완료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방법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측면을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가 탑재되어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기기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어를 유지 및 저장할 수 있는 타입 기기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기 저장 기기, 자기 저장 기기, 광 저장 기기, 전자기 저장 기기, 반도체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비전면한 리스트)는,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Access Memory, SRAM),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메모리 스틱, 플로피 디스크, 명령어가 저장된 펀치 카드 또는 홈내에 철기된 구조와 같은 기계적으로 인코딩된 기기 및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무선 전자파 또는 다른 자유롭게 전파되는 전자기파, 도파관 또는 다른 전송 매체를 통해 전파되는 전자기파(예를 들어, 광섬유 케이블을 통과하는 펄스), 또는 와이어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 신호와 같은 순간적인 신호 자체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설명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각 컴퓨팅/처리 기기로 다운로드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 광역 통신망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컴퓨터 또는 외부 저장 기기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동 전송 케이블, 광섬유 전송, 무선 전송, 라우터, 방화벽, 교환기, 게이트웨이 컴퓨터 및/또는 에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컴퓨팅/처리 기기의 네트워크 어댑터 카드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수신하고, 각 컴퓨팅/처리 기기에서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어셈블리 명령어, 명령어 세트 아키텍처(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ISA) 명령어, 머신 명령어, 머신 관련 명령어, 마이크로 코드, 펌웨어 명령어, 상태 설정 데이터, 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된 소스 코드 또는 목적 코드일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래밍 언어에는 Smalltalk,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및 “C”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가 포함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사용자 컴퓨터에서 완전히 실행되거나, 사용자 컴퓨터에서 부분적으로 실행되거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실행되거나, 사용자 컴퓨터에서 일부가 수행되고 원격 컴퓨터에서 일부가 실행되거나,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완전히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와 관련된 상황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또는 광대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을 포함하는 모든 타입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 (Programmable Logic Array, PLA)와 같은 전자 회로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될 수 있고, 상기 전자 회로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구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하였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들의 조합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모두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이러한 명령어가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는 기계가 생성되고,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장치가 생성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를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다른 기기가 특정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제조품을 포함하며, 상기 제조품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기기에 로딩될 수도 있어, 컴퓨터로 구현되는 과정을 생성하기 위하여, 일련의 동작 단계가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기기에서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기기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한다.
상응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의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실행한다.
도면의 흐름도 및 블록도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구현 가능한 체계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흐름도 또는 블록도에서의 각 블록은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명령어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명령어의 일부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지정된 논리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에서, 블록에 표시된 기능은 도면에 표시된 것과 부동한 순서로 발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두 개의 블록은 실제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때로는 관련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관련된 기능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유의해야 할 것은,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의 블록의 조합은,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실행하는 전용 하드웨어 기반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상기 설명은 예시적이고, 철저하지 않으며, 개시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설명된 각 실시예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을 경우, 많은 수정 및 변경은 본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본문에서 사용된 용어의 선택은 각 실시예의 원리, 실제 응용 또는 시장에서의 기술에 대한 기술 개선을 가장 잘 해석하거나, 또는 본 기술분야의 다른 일반적인 기술자가 본문에서 개시된 각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35)

  1. 통신 방법으로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공유 메모리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정보를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체크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하는 단계 - 상기 제2 체크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성 다항식에 기반하여, 이진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진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송신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리턴된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가 반송한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에 대해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통신 방법으로서,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서 제1 체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체크 정보가 기설정 체크 정보에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이진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하여, 체크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가 체크 통과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은,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작동 모드가 변화될 경우,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는 단계; 및 마스터 컴퓨터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7. 통신 장치로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및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공유 메모리에서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검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정보를 검출 결과 필드에 추가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필드에 추가하여,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검출 결과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1 체크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검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체크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은 또한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 상기 제2 체크 정보는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임 -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을 획득하고; 상기 생성 다항식에 기반하여, 이진 시퀀스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진 시퀀스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은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모듈은 또한, 상기 이미지 프레임을 수집할 때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모드 플래그 비트 필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송신 시간이 재전송 임계값을 초과하고, 또한, 상기 송신 시간 내에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리턴된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했을 경우, 상기 슬레이브 컴퓨터에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슬레이브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가 반송한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의 작동 모드에 대해 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통신 장치로서,
    상기 통신 장치는,
    마스터 컴퓨터에 의해 송신된 기설정 프로토콜 포맷의 제1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상기 검출 결과 및 현재의 작동 모드에 따라 현재 시나리오에 대해 이미지 캡처 수행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검출 결과 필드에서 검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정보에 따라 이미지 프레임에 대해 타깃 검출을 수행하여 얻은 검출 결과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현재 작동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검출 정보의 헤드부 및 테일부에서 제1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체크 정보가 기설정 체크 정보에 매칭될 경우, 상기 검출 정보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체크 필드에서, 제2 체크 정보를 획득하고; 기설정된 생성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이진 시퀀스를 획득하며; 상기 이진 시퀀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체크 정보에 대해 체크를 수행하여, 체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체크 결과가 체크 통과일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에서 상기 검출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1. 제2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현재의 작동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작동 모드가 변화될 경우, 현재의 작동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 패킷의 제어 필드를 수정하여, 제2 데이터 패킷을 획득하며; 마스터 컴퓨터에 상기 제2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수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2. 제2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모드는 제스처 분류 모드; 얼굴 검출 모드; 인체 추적 모드; 및 구체 검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3. 전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여,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11항 내지 제16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11항 내지 제16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5.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전자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의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거나, 또는 제11항 내지 제16항에 따른 통신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16118A 2019-08-29 2020-06-10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086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809368.5 2019-08-29
CN201910809368.5A CN110545376B (zh) 2019-08-29 2019-08-29 通信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CT/CN2020/095340 WO2021036407A1 (zh) 2019-08-29 2020-06-10 通信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678A true KR20210086678A (ko) 2021-07-08

Family

ID=6871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6118A KR20210086678A (ko) 2019-08-29 2020-06-10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94767A1 (ko)
JP (1) JP2022509292A (ko)
KR (1) KR20210086678A (ko)
CN (1) CN110545376B (ko)
SG (1) SG11202105681QA (ko)
TW (1) TWI737460B (ko)
WO (1) WO2021036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5376B (zh) * 2019-08-29 2021-06-25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746833B (zh) * 2021-09-02 2023-06-16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465888A (zh) * 2021-12-23 2022-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配置数据协议的采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334331B (zh) * 2022-08-23 2023-09-22 苏州青颖飞帆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教学直播的通讯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5861033A (zh) * 2022-12-20 2023-03-28 北京远舢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487A (ja) * 2001-03-19 2002-09-27 Fujitsu General Ltd ネットワークカメラによる監視方法と監視システム
JP4284609B2 (ja) * 2003-03-27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
CN101112017B (zh) * 2005-02-03 2011-06-01 富士通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及无线通信方法
US7899557B2 (en) * 2005-03-01 2011-03-01 Asm Japan K.K. Input signal analyzing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using same
JP2007243663A (ja) * 2006-03-09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受信装置
JP4279345B1 (ja) * 2008-09-16 2009-06-17 株式会社 水口研究所 プログラマブル・トグルスイッチを持つデジタル画像処理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5276538B2 (ja) * 2009-07-22 2013-08-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WO2011091604A1 (zh) * 2010-01-29 2011-08-04 华为终端有限公司 视频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JP5703801B2 (ja) * 2011-02-04 2015-04-22 富士通株式会社 ロボット、位置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5886B2 (ja) * 2013-08-08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撮像方法及び画像撮像装置
EP3077939A1 (en) * 2013-12-03 2016-10-12 Edh Us Llc Systems and methods to track a golf ball to and on a putting green
JP6126028B2 (ja) * 2014-02-28 2017-05-10 三井不動産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ロボット制御サーバ及び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CN104243918A (zh) * 2014-09-03 2014-12-24 深圳奇沃智联科技有限公司 应用蓝牙定位进行自动巡逻之机器人监控系统
US20160085518A1 (en) * 2014-09-21 2016-03-24 Jang Hee I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and generation of executable processor instructions based on ordered objects
US20180009118A1 (en) * 2015-02-17 2018-01-11 Nec Corporation Robot control device, robot, robot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06034199B (zh) * 2015-03-18 2019-07-05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模拟数据源的图像采集装置和方法
CN105391939B (zh) * 2015-11-04 2017-09-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无人机拍摄控制方法和装置、无人机拍摄方法和无人机
CN105391780A (zh) * 2015-11-09 2016-03-09 重庆川仪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采集和接收的方法及系统
JP2017100242A (ja) * 2015-12-02 2017-06-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検査ロボットシステム
CN205721829U (zh) * 2016-03-07 2016-11-23 谭圆圆 一种无人飞行器
JP2018113649A (ja) * 2017-01-13 2018-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CN106603581B (zh) * 2017-02-22 2020-04-07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支持多种通信协议的测试方法及装置
CN107623726A (zh) * 2017-08-29 2018-01-23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数据转换传输方法和装置
CN207910927U (zh) * 2018-02-13 2018-09-25 深圳市辰卓电子有限公司 一种信息采集桥接装置及图像传感器质量自动检测设备
CN108712609A (zh) * 2018-05-17 2018-10-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对焦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09105343U (zh) * 2018-12-10 2019-07-12 美钻深海能源科技研发(上海)有限公司 水下履带智能机器人图像采集单元
CN110070511B (zh) * 2019-04-30 2022-01-28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545376B (zh) * 2019-08-29 2021-06-25 上海商汤智能科技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9292A (ja) 2022-01-20
CN110545376A (zh) 2019-12-06
CN110545376B (zh) 2021-06-25
TW202109352A (zh) 2021-03-01
WO2021036407A1 (zh) 2021-03-04
TWI737460B (zh) 2021-08-21
SG11202105681QA (en) 2021-06-29
US20210294767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6678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190098752A (ko)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20023B1 (ko) 이미지 생성 방법 및 디바이스
CN106453474A (zh) 在不稳定网络环境中的大文件的网络传输
US20190079894A1 (en) Method, client device and data forwarding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serial port
US1137468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driving vehicle, and device
US11868485B2 (en) Operation method, operation apparatus, and device
US11575469B2 (en) Multi-bit feedback protocol systems and methods
CN110404256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设备、服务器、系统及存储介质
US10296765B2 (en) Multi-level security enforcement
WO2019228148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05897689B (zh) 嵌入式系统及其方法
CN110662089A (zh) 弹幕接收处理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US10374608B1 (en) Bridged integrated circuits
CN112925297B (zh) 自动驾驶算法验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CN107133517B (zh) 一种基于内存中数据加密和计算的数据还原方法
CN110585727B (zh) 一种资源获取方法及装置
CN112463067A (zh) 一种NVMe-oF场景下的数据保护方法及设备
KR20150062712A (ko) 데이터 패킷 전송의 인증 및 검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들
US20230344634A1 (en) Gesture-based authentication tokens for information security within a metaverse
US11283451B1 (en) Bridged integrated circuits
EP3382479B1 (en) Rule-based communicating of equipment data from an industrial system to an analysis system using uni-directional interfaces
CN105727556A (zh) 一种图像绘制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15499173A (zh) 一种基于udp协议的可信通讯方法和系统
CN114629891A (zh) 文件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