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153A - 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153A
KR20210086153A KR1020190179886A KR20190179886A KR20210086153A KR 20210086153 A KR20210086153 A KR 20210086153A KR 1020190179886 A KR1020190179886 A KR 1020190179886A KR 20190179886 A KR20190179886 A KR 20190179886A KR 20210086153 A KR20210086153 A KR 20210086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int
filter unit
soft water
mai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725B1 (ko
Inventor
김범섭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17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725B1/ko
Priority to US17/136,753 priority patent/US20210198127A1/en
Publication of KR2021008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02F1/469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electro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요처 내의 제1 수요지점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라인, 상기 메인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하게 마련되는 필터부, 상기 메인라인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우회지점과, 상기 메인라인 중의 다른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합류지점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라인 중의 원수를 상기 제1 우회지점에서 상기 합류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우회라인, 및 상기 메인라인 중의 또 다른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우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 내의 제2 수요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우회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수 시스템 {WATER SOFTENING SYSTEM}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수를 처리하는 방식은 크게 POE(Point of Entry) 방식과 POU(Point of Use)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POE 방식은 수요처로 공급되는 원수를 전부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POE 방식에선 원수를 처리하는 디바이스가 수요처로 원수가 진입하는 지점에 설치된다. POU 방식은 사용자에게 토출되는 원수만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POU 방식에선 원수를 처리하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원수가 토출되는 지점의 바로 직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POE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수처리 방식에선 음용이 가능할 정도로 원수를 처리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POE 방식의 디바이스를 설치하더라도 음용을 위해 POU 방식의 디바이스를 더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수요처로 공급되는 원수를 전부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음용이 가능할 정도로 처리된 원수도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는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연수 시스템은, 수요처 내의 제1 수요지점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라인, 상기 메인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하게 마련되는 필터부, 상기 메인라인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우회지점과, 상기 메인라인 중의 다른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합류지점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라인 중의 원수를 상기 제1 우회지점에서 상기 합류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우회라인, 및 상기 메인라인 중의 또 다른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우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 내의 제2 수요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우회라인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연수 시스템은,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를 음용수로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상기 제2 우회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상기 필터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연수 시스템은, 상기 제1 우회라인 중 상기 제1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밸브와, 상기 메인라인 중 상기 제2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고,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메인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우회지점의 사이에서 분기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우회지점의 사이에서 다시 합쳐지는 제1 분기라인과 제2 분기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분기라인 중에 구비되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1 필터유닛, 및 상기 제2 분기라인 중에 구비되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2 필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연수 시스템은, 상기 제1 우회라인 중 상기 제1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밸브와, 상기 메인라인 중 상기 제2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밸브와, 상기 제1 분기라인 중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제3 밸브와, 상기 제2 분기라인 중 상기 제2 필터유닛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제4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3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4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1 필터유닛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제1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계속 요구되면, 상기 제1 기준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1 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4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유닛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개방되어 있던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폐쇄되어 있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된 후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개방되어 있던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폐쇄되어 있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4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은 작동을 정지하거나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들과 상기 필터유닛들이 상기 대기상태가 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연수 시스템은, 수요처 내의 제1 수요지점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하게 마련되는 필터부, 및 상기 메인라인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우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 내의 제2 수요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우회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연수 시스템은,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상기 우회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상기 필터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요처로 공급되는 원수를 전부 처리하여 수요처 내의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라인을 통해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제2 우회라인을 통해 제2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필터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켜, 음용수에 적합하게 처리된 연수를 제2 수요지점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수요지점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중에도 제1 우회라인을 통해 제1 수요지점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수 시스템을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이온이 제거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도 2의 연수 시스템에서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연수 시스템에서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를 공급하는 경우의 제어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과 도 9는 도 2의 연수 시스템에서 제2 수요지점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연수 시스템에서 제2 수요지점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경우의 제어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연수 시스템을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POE(Point of Entry) 방식과 POU(Point of Use) 방식이 통합되어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라인(110), 필터부(120), 제1 우회라인(130) 및 제2 우회라인(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메인라인(110)은 수요처(C, 도 1 참조) 내의 제1 수요지점(C1)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수요처(C)는 가정집일 수 있다. 제1 수요지점(C1)은 수전이나 샤워 헤드일 수 있다. 메인라인(110)은 수전이나 샤워 헤드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요처(C)의 내부에서 여러 개로 분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메인라인(110) 중의 원수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필터부(120)는 메인라인(110) 중에 구비된다. 필터부(120)는 메인라인(110)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메인라인(110)으로 배출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는 필터유닛(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필터유닛(121, 122)은 전기적인 힘(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원수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일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투석공정(ED: Electrodialysis), 전기탈이온공정(EDI: Electrodeionization), 축전식탈이온공정(CDI: Capacitive Deionization)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ED 방식의 필터유닛은 보통 전극 및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EDI 방식의 필터유닛은 보통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CDI 방식의 필터유닛은 보통 전극만을 구비한다. 또는 CDI 방식의 필터유닛은 이온교환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유닛(121, 122)은 CDI 방식의 필터유닛일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이온이 제거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고, 도 4는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수가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원수 중의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원수 중의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원수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모드를 이하에서는 제거모드라 한다. 흡착 이후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반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이하에서는 재생모드라 한다.
본 실시예의 제1 우회라인(13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메인라인(110) 중의 제1 우회지점(P1)과 메인라인(110) 중의 합류지점(P0)을 연결하여, 메인라인(110) 중의 원수를 제1 우회지점(P1)에서 합류지점(P0)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배관이다. 제1 우회지점(P1)은 메인라인(110)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필터부(120)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합류지점(P0)은 메인라인(110) 중의 다른 지점으로서 필터부(120)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본 실시예의 제2 우회라인(140)은 메인라인(110) 중의 제2 우회지점(P2)에 연결되어, 필터부(120)로부터 메인라인(110)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수요처(C) 내의 제2 수요지점(C2)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배관이다. 제2 우회지점(P2)은 메인라인(110)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필터부(120)와 합류지점(P0)의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이다. 제2 수요지점(C2)은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공급하는 수전일 수 있다. 제2 우회라인(140)은 기존의 수요처(C)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우회라인(140)에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세디먼트 필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수요처(C) 내의 제1 수요지점(C1)으로 연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필터부(120)를 통해 연수를 생성하고 이를 메인라인(110)을 통해 제1 수요지점(C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POE 방식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수요처(C) 내의 제1 수요지점(C1)과 제2 수요지점(C2)에 서로 다르게 처리된 연수를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라인(110)을 통해 제1 수요지점(C1)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제2 우회라인(140)을 통해 제2 수요지점(C2)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필터유닛(121, 12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켜, 이온성 물질이 더 제거된 연수를 제2 수요지점(C2)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유닛(121,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유닛(121, 122)은 원수를 음용수의 수준으로 처리할 수 있다. 제2 우회라인(140)을 통해 제2 수요지점(C2)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필터유닛(121, 122)이 원수를 음용수의 수준으로 처리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제2 수요지점(C2)으로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POU 방식의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제2 수요지점(C2)으로 연수를 공급하는 중에도 제1 우회라인(130)을 통해 제1 수요지점(C1)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제2 우회라인(140)을 통해 제2 수요지점(C2)으로 음용수를 제공하는 중에도 제1 우회라인(130)을 통해 제1 수요지점(C1)으로 원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위와 같이 필터부(120) 등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 수요지점(C2)으로 연수를 음용수로서 공급하기 위해, 메인라인(110)을 통해 제1 수요지점(C1)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제2 우회라인(140)을 통해 제2 수요지점(C2)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필터부(120)의 필터유닛(121, 122)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필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전원을 구비하거나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5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필터부(120) 등의 제어를 위한 명령들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메인라인(11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및 제2 우회지점(P1, P2)의 사이에서 분기된 후 제1 및 제2 우회지점(P1, P2)의 사이에서 다시 합쳐지는 제1 분기라인(111)과 제2 분기라인(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메인라인(110)은 재생모드 중에 발생하는 재생수의 배출을 위해 제1 배출라인(113)과 제2 배출라인(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20)는 제1 분기라인(111) 중에 구비되는 제1 필터유닛(121)과, 제2 분기라인(112) 중에 구비되는 제2 필터유닛(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유닛(121, 122)은 전술한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필터유닛(121, 122)은 축전식탈이온 방식의 필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은 제1 및 제2 밸브(171, 172)를 포함하는 밸브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160)는 메인밸브(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밸브(170)는 메인라인(110) 중 제1 우회지점(P1)과 필터부(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제1 밸브(171)는 제1 우회라인(130) 중 제1 우회지점(P1)과 합류지점(P0)의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제2 밸브(172)는 메인라인(110) 중 제2 우회지점(P2)과 합류지점(P0)의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밸브부(160)는 제3 및 제4 밸브(173, 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밸브(173)는 제1 분기라인(111) 중 제1 필터유닛(121)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제4 밸브(174)는 제2 분기라인(112) 중 제2 필터유닛(122)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밸브부(160)는 제5 및 제6 밸브(175, 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밸브(175)는 제1 배출라인(113) 중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제6 밸브(176)는 제2 배출라인(114) 중에 구비되는 밸브이다.
밸브들은 솔레이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밸브들 중 메인밸브(170), 제2 밸브(172), 제3 밸브(173)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려 있는 상시 개방형의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고, 나머지 밸브들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닫혀 있는 상시 닫힘형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다만 밸브들의 타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밸브(170)와 제1 밸브(171)는 하나의 삼방밸브로 구현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선 제어부(150)에 의한 제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로, 대기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대기상태에서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다음 [표 1]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 필터유닛의 대기는 필터유닛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필터유닛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대기상태는 제1 수요지점(C1)과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는 초기상태일 수도 있고 제1 수요지점(C1)이나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다가 요구가 중단된 상태일 수도 있다. 참고로 메인밸브(17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도 2 등의 메인밸브(170)의 위치에는 유체의 유동을 항상 허용하는 배관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폐쇄 폐쇄 대기 대기
제1 유량센서(F1)에서 유량이 인식되면 제어부(150)는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수요지점(C1)에 구비되어 있는 수전 등을 개방하면 제1 유량센서(F1)에서 유량이 인식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유량센서(F2)에서 유량이 인식되면 제어부(150)는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유량센서(F2)에서 유량이 인식되면 제1 유량센서(F1)에서도 유량이 인식될 수 있다.
둘째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이 제1 수요지점(C1)으로 연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제어들은 도 7에 플로우 차트로 정리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대기상태 중에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다음 [표 2]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표와 같이 제어되면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필터유닛(121)의 제거모드에 의해 생성된 연수가 제1 수요지점(C1)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유닛(122)의 재생모드에 의해 생성된 재생수는 드레인될 수 있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폐쇄 개방 제거 재생
제어부(150)는 [표 2]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동안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계속 요구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다음 [표 3]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표와 같이 제어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필터유닛(122)의 제거모드에 의해 생성된 연수가 제1 수요지점(C1)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유닛(121)의 재생모드에 의해 생성된 재생수는 드레인될 수 있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재생 제거
제어부(150)는 [표 2]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내에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요구가 중단되면 다음 [표 4]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아래의 제어는 [표 2]의 제어 중에 사용된 제1 필터유닛(121)에 대해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제어이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재생 대기
제어부(150)는 [표 4]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내에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다시 요구되면 [표 3]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4]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동안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표 1]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3]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동안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계속 요구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표 2]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3]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내에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요구가 중단되면 다음 [표 5]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아래의 제어는 [표 3]의 제어 중에 사용된 제2 필터유닛(122)에 대해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제어이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폐쇄 개방 대기 재생
제어부(150)는 [표 5]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내에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다시 요구되면 [표 2]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5]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동안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표 1]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위의 제어들을 플로우 차트로 정리하면 도 7과 같다.
셋째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연수 시스템이 제2 수요지점(C2)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의 제어들은 도 10에 플로우 차트로 정리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대기상태 중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다음 [표 6]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표와 같이 제어되면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필터유닛(121)의 제거모드에 의해 생성된 연수(음용수)가 제2 수요지점(C2)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유닛(122)의 재생모드에 의해 생성된 재생수는 드레인될 수 있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개방 폐쇄 개방 폐쇄 폐쇄 개방 제거 재생
제어부(150)는 제1 수요지점(C1)으로 연수를 공급할 때보다 높은 전압(예를 들어 300V)이 제1 필터유닛(121)에 인가되게 필터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가 위와 같이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제어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제2 수요지점(C2)으로 음용수를 공급하는 것에 필터부(120)의 성능을 집중시킬 수 있다.
한편, 위의 제어에선 제1 밸브(171)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2 수요지점(C2)으로 연수가 공급되는 중에 제1 수요지점(C1)에서 물의 공급이 요구되면 제1 우회라인(130)을 통해 원수가 제2 수요지점(C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6]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초) 동안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계속 요구되면 소정 시간의 경과 후 필터부(120)와 밸브부(160)를 다음 [표 7]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다음 표와 같이 제어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필터유닛(122)의 제거모드에 의해 생성된 연수(음용수)가 제2 수요지점(C2)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필터유닛(121)의 재생모드에 의해 생성된 재생수는 드레인될 수 있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개방 폐쇄 폐쇄 개방 개방 폐쇄 재생 제거
제어부(150)는 [표 6]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초) 내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요구가 중단되고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다음 [표 8]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아래 제어는 [표 6]의 제어 중에 사용된 제1 필터유닛(121)에 대해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제어이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재생 대기
제어부(150)는 [표 8]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내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다시 요구되면 [표 7]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8]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동안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표 1]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6]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초) 내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요구가 중단되고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표 3]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7]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초) 내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요구가 중단되고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다음 [표 9]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아래 제어는 [표 7]의 제어 중에 사용된 제2 필터유닛(122)에 대해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제어이다.
메인
밸브
(170)
제1
밸브
(171)
제2
밸브
(172)
제3
밸브
(173)
제4
밸브
(174)
제5
밸브
(175)
제6
밸브
(176)
제1
필터
유닛
(121)
제2
필터
유닛
(122)
개방 폐쇄 개방 개방 폐쇄 폐쇄 개방 대기 재생
제어부(150)는 [표 9]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내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다시 요구되면 [표 6]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9]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90초) 동안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표 1]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 7]의 제어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0초) 내에 제2 수요지점(C2)에서 연수의 공급요구가 중단되고 제1 수요지점(C1)에서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표 2]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위의 제어들을 플로우 차트로 정리하면 도 10과 같다.
참고로 제1 수요지점(C1)에 대한 연수의 공급에서 제2 수요지점(C2)에 대한 음용수의 공급으로 전환되는 경우, 또는 이의 반대로 전환되는 경우 현재 제거모드를 수행 중인 필터유닛이 계속 제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면, 그 필터유닛이 계속 제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0초 단위로 필터유닛들을 스위칭하고 있는 중에 제1 수요지점(C1)에 대한 연수의 공급에서 제2 수요지점(C2)에 대한 음용수의 공급으로 전환되는 경우, 현재 제거모드를 수행 중인 필터유닛이 제거모드를 수행한지 45초가 경과되기 전이라면, 그 필터유닛이 90초 중 나머지 시간 동안 계속 제거모드를 수행한 후 필터유닛이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수 시스템은, 메인라인 중에 구비되는 필터부와, 메인라인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필터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우회지점(전술한 제2 우회지점 참고)에 연결되어, 필터부에서 메인라인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수요처 내의 제2 수요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우회라인(전술한 제2 우회라인 참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연수 시스템은 전술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메인라인
111: 제1 분기라인
112: 제2 분기라인
113: 제1 배출라인
114: 제2 배출라인
120: 필터부
121: 제1 필터유닛
122: 제2 필터유닛
130: 제1 우회라인
140: 제2 우회라인
150: 제어부
160: 밸브부
170: 메인밸브
171: 제1 밸브
172: 제2 밸브
173: 제3 밸브
174: 제4 밸브
175: 제5 밸브
176: 제6 밸브
C: 수요처
C1: 제1 수요지점
C2: 제2 수요지점
P0: 합류지점
P1: 제1 우회지점
P2: 제2 우회지점
F1, F2: 유량센서

Claims (15)

  1. 수요처 내의 제1 수요지점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라인;
    상기 메인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하게 마련되는 필터부;
    상기 메인라인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우회지점과, 상기 메인라인 중의 다른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합류지점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라인 중의 원수를 상기 제1 우회지점에서 상기 합류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우회라인; 및
    상기 메인라인 중의 또 다른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우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 내의 제2 수요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를 음용수로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상기 제2 우회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상기 필터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라인 중 상기 제1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밸브와, 상기 메인라인 중 상기 제2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고,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우회지점의 사이에서 분기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우회지점의 사이에서 다시 합쳐지는 제1 분기라인과 제2 분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분기라인 중에 구비되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1 필터유닛; 및
    상기 제2 분기라인 중에 구비되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마련되는 제2 필터유닛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라인 중 상기 제1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 밸브와, 상기 메인라인 중 상기 제2 우회지점과 상기 합류지점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 밸브와, 상기 제1 분기라인 중 상기 제1 필터유닛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제3 밸브와, 상기 제2 분기라인 중 상기 제2 필터유닛의 하류 측에 구비되는 제4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와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면,
    상기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3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4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1 필터유닛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제1 기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계속 요구되면, 상기 제1 기준시간의 경과 후
    상기 제1 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4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필터유닛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개방되어 있던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폐쇄되어 있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된 후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개방되어 있던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 중 폐쇄되어 있던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 중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유닛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제1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밸브는 개방되거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4 밸브는 폐쇄되거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유닛은 작동을 정지하거나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된 후 상기 제1 및 제2 수요지점으로 상기 연수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들과 상기 필터유닛들이 상기 대기상태가 되게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4. 수요처 내의 제1 수요지점으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하게 마련되는 필터부; 및
    상기 메인라인 중의 어느 지점으로서 상기 필터부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우회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상기 메인라인으로 배출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 내의 제2 수요지점으로 우회시키도록 마련되는 우회라인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게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보다 상기 우회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수요지점으로 연수가 공급될 때, 상기 필터유닛에 인가되는 전압이 커지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KR1020190179886A 2019-12-31 2019-12-31 연수 시스템 KR10247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86A KR102473725B1 (ko) 2019-12-31 2019-12-31 연수 시스템
US17/136,753 US20210198127A1 (en) 2019-12-31 2020-12-29 Water softe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886A KR102473725B1 (ko) 2019-12-31 2019-12-31 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153A true KR20210086153A (ko) 2021-07-08
KR102473725B1 KR102473725B1 (ko) 2022-12-05

Family

ID=7654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886A KR102473725B1 (ko) 2019-12-31 2019-12-31 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98127A1 (ko)
KR (1) KR1024737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4039A2 (en) 2021-06-30 2023-01-04 LG Display Co., Ltd.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and vehicula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971A (ja) * 1996-08-28 1998-03-10 Toray Ind Inc 純水製造装置および純水製造方法
JP2010051905A (ja) * 2008-08-29 2010-03-11 Noritz Corp 軟水化システムおよび軟水器
JP2014008463A (ja) * 2012-06-29 2014-01-20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システム
KR20190134290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0792A1 (en) * 2013-03-15 2014-09-25 Hydronovation, Inc. Electrochemical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837614B1 (ko) * 2013-12-10 2018-03-14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971A (ja) * 1996-08-28 1998-03-10 Toray Ind Inc 純水製造装置および純水製造方法
JP2010051905A (ja) * 2008-08-29 2010-03-11 Noritz Corp 軟水化システムおよび軟水器
JP2014008463A (ja) * 2012-06-29 2014-01-20 Mitsubishi Rayon Co Ltd 浄水システム
KR20190134290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14039A2 (en) 2021-06-30 2023-01-04 LG Display Co., Ltd.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and vehicula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8127A1 (en) 2021-07-01
KR102473725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3167A1 (e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capacitive deioniz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273718B2 (ja) 電気脱イオン法による被処理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KR102661763B1 (ko) 연수 시스템
KR102557399B1 (ko) 연수 시스템
JP2017500201A (ja) Cdi方式の水処理装置
KR102473725B1 (ko) 연수 시스템
KR102621163B1 (ko) 연수 시스템
KR102232416B1 (ko)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CN114829307A (zh) 水使用装置
KR102598182B1 (ko) 연수 시스템
US20230128055A1 (en) Water-softening system
KR101745568B1 (ko) 이온수발생장치
KR20210035466A (ko)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3335B1 (ko) 연수 시스템
KR102666200B1 (ko) 연수 시스템
KR102275495B1 (ko) 연수시스템
KR20220081711A (ko) 연수 시스템
KR20220043025A (ko) 연수 시스템
KR20170074067A (ko) 제빙 장치, 제빙 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및 제빙 방법
US20220098062A1 (en) Water softening system
WO2022168152A1 (ja) 加湿装置
KR20240073836A (ko) 연수 시스템
KR20220050762A (ko) 연수 시스템
KR102419367B1 (ko)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US20220119284A1 (en) Water softe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